非禮勿動(비례물동) 풀이

非禮勿動

비례물동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말라는 뜻으로, 자신의 욕망을 극복하고 예절을 따르는 공자(孔子)의 극기복례(克己復禮)의 실천 가치로 제시한 한 예임.

#욕망 #극복 #공자 #예절 #孔子 #자신 #가치 #제시 #실천


한자 풀이:
  • (아닐 ): 아니다, 비방(誹謗)하다, 등지다, 거짓, 나쁘다.
  • (예도 ): 예도, 예법, 예식, 예물, 음식 대접.
  • (말 ): 말다, 문지르다, 쓰다듬다, 기(旗), 창황한 모양.
  • (움직일 ): 움직이다, 놀라다, 변하다, 생기다, 다투다.
🥝 非禮勿動(비례물동) 웹스토리 보기
非禮勿動(비례물동)의 의미: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말라는 뜻으로, 자신의 욕망을 극복하고 예절을 따르는 공자(孔子)의 극기복례(克己復禮)의 실천 가치로 제시한 한 예임.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非禮勿動(비례물동) 관련 한자

  • 仙聖先師 획순 仙聖先師(선성선사) : 공자(孔子)와 안회(顔回).
  • 使民以時(사민이시) : 백성을 부리는 것은 때에 맞게 한다는 뜻으로, 농번기를 피하여 백성들을 사역(使役)시킨다는 의미인데, 孔子가 말한 백성을 올바로 다스리는 그 첩경의 하나임.

  • 溫故知新 획순 溫故知新(온고지신) :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앎. ≪논어≫의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공자의 말이다.
  • 可聞說話(가문설화) : 들을 만한 가치가 있는 옛이야기.
  • 信言之瑞(신언지서) : 信은 말의 부절(符節)이라는 뜻으로, 전일(前日)에 한 말이 후일(後日)의 일과 일치함을 이르는 신의(信義)의 소중한 가치를 강조하는 의미. [瑞는 符(부)의 의미].

  • 仙聖先師 획순 仙聖先師(선성선사) : 공자(孔子)와 안회(顔回).
  • 溫故知新(온고지신) :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앎. ≪논어≫의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공자의 말이다.
  • 絃歌不輟(현가불철) :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 刺股懸梁(자고현량) : 태만함을 극복하고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소진(蘇秦)은 졸음이 오면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찌르고, 초나라의 손경(孫敬)은 머리카락을 새끼로 묶어 대들보에 매달아 졸음을 쫓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人定勝天(인정승천) : 사람이 노력하면 하늘을 이길 수 있다는 뜻으로, 사람이 노력을 하면 어떤 어려운 일도 극복할 수 있어 인력(人力)은 능히 운명을 만회(挽回)할 수 있다는 의미.

  • 老馬厭太乎(노마염태호) : 늙은 말이 콩 마다 하랴라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본능적(本能的)인 욕망(慾望)은 늙는다고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말.
  • 揚州之鶴(양주지학) : 모든 세속적인 욕망을 한 몸에 다 모으려는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실패 56 #어려움 105 #모양 142 #목숨 58 #집안 93 #처음 91 #따위 228 #비유 1177 #이익 89 #행동 137 #경계 56 #자식 104 #이치 67 #사이 200 #신하 62 #생활 82 #나라 392 #동안 70 #관계 90 #죽음 73 #재능 61 #훌륭 85 #물건 136 #재앙 64 #학문 107 #근심 65 #형용 67 #의지 69 #부부 76 #태도 7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21개) : 바라밀다, 바람맞다, 바람맥동, 발라먹다, 발레먹다, 배라먹다, 배러먹다, 버리묵다, 벨라먹다, 보리문디, 볼라묵다, 부름마당, 비러먹다, 비루먹다, 비리먹다, 비리묵다, 병렬 모드, 병렬 무대, 부력 밀도, 분류 모델, 블로 몰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