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풀이

🌷 , 먹을 , , 사람 이름 , 먹이
  • , 사람 이름 , 음식 , 먹다 , 마시다
  • 음식을 담는 그릇에 뚜껑까지 덮은 모양을 본뜬 글자로 ‘음식물’, ‘먹다’, ‘밥’ 등의 뜻으로 사용되고, 부수로도 음식과 관련된 의미로 활용됨

# 에 관한 한자 모두 82

  • 簞食瓢飮 획순 瓢飮(단사표음) :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簞: 대광주리 食: 瓢: 飮: 마실

  • 四邪命食 획순 四邪命(사사명식) : 승려의 떳떳하지 못한 네 가지 생활 방식. 하구식(下口), 앙구식(仰口), 방구식(方口), 유구식(維口)이다. 비구는 본디 걸식 생활을 본의로 하는데 다른 생활도 함을 이르는 말이다.
    四: 邪: 간사할 命: 목숨 食:

  • 發憤忘食 획순 發憤忘(발분망식) : 끼니까지도 잊을 정도로 어떤 일에 열중하여 노력함.
    發: 憤: 결낼 忘: 잊을 食:

  • 鷄棲鳳凰食 획순 鷄棲鳳凰(계서봉황식) : 닭집에서 봉황(鳳凰)이 함께 살면서 모이를 먹는다는 뜻으로, 충신(忠臣)이 천(賤)한 죄인(罪人)들과 함께 하는 삶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鷄: 棲: 鳳: 봉새 凰: 봉황새 食:

  • 晩食當肉 획순 當肉(만식당육) : 배가 고플 때는 무엇을 먹든지 고기 맛과 같음.
    晩: 늦을 食: 當: 마땅할 肉: 고기

  • 之計(취식지계) : 겨우 밥이나 얻어먹고 살아갈 만한 꾀.
    取: 취할 食: 之: 計:

  • 無爲徒(무위도식) : 하는 일 없이 놀고먹음.
    無: 없을 爲: 徒: 무리 食:

  • 無錢取(무전취식) : 값을 치를 돈도 없이 남이 파는 음식을 먹음.
    無: 없을 錢: 取: 취할 食:

  • 對案不思得良饌(대안불식사득량찬) : 밥상을 대하고서 잡수시지 않으면 좋은 음식(飮) 얻을 것을 생각함.
    對: 대답할 案: 책상 不: 아니 食: 思: 생각할 得: 얻을 良: 좋을 饌: 반찬

  • 冶家無刀(야가무식도) : 대장간에서 식칼이 논다는 뜻으로, 생활에 쫓겨 남의 바라지만 하고 정작 제 집엔 등한시한다는 의미나, 마땅히 흔해야 할 곳에 도리어 그 물건이 부족하거나 없는 상황을 이르는 의미를 지닌 한역(漢譯) 속담.
    冶: 불릴 家: 無: 없을 食: 刀:

  • 宵衣旰(소의간식) : ‘소의한식’의 원말.
    宵: 衣: 旰: 해 질 食:

  • 寢不安不安(침불안식불안) : 자도 걱정 먹어도 걱정이라는 뜻으로, 몹시 걱정이 많음을 이르는 말.
    寢: 잠잘 不: 아니 安: 편안할 食: 不: 아니 安: 편안할

  • 見而不(견이불식) : 눈앞에 보고도 먹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탐나는 것이 있어도 이용할 수 없거나 차지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見: 而: 말 이을 不: 아니 食:

  • 不二味(식불이미) : 먹을 것이 두 맛을 아니라는 뜻으로, 반찬 한 가지로 만족하고 두 가지를 차리지 않는 검약(儉約)하는 일의 의미.
    食: 不: 아니 二: 味:

  • 望門投(망문투식) : 노자가 떨어졌을 때에 남의 집을 찾아가서 얻어먹음.
    望: 바랄 門: 投: 던질 食:

  • 鷄鶩爭(계목쟁식) : 닭과 집오리가 먹이를 서로 먼저 먹으려고 다툰다는 뜻으로, 여염(閭閻)의 사람들이 서로 다툼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鷄: 鶩: 집오리 爭: 다툴 食:

  • 碩果不(석과불식) : 큰 과실을 다 먹지 아니하고 남긴다는 뜻으로, 자기만의 욕심을 버리고 자손에게 복을 줌을 이르는 말.
    碩: 果: 실과 不: 아니 食:

  • 壺漿(단사호장) : 도시락 밥과 병에 담은 음료수(飮料水)라는 뜻으로, 잔소한 음식(飮)을 마련하여 군대(軍隊)를 환영(歡迎)함을 이르는 말.
    單: 食: 壺: 漿: 미음

  • 飯蔬(반소사) : 거칠고 반찬(飯饌) 없는 밥이라는 뜻으로, 안빈 낙도(安貧樂道)함을 일컫는 말.
    飯: 蔬: 나물 食:

  • 不安(침식불안) : 자도 걱정 먹어도 걱정이라는 뜻으로, 몹시 걱정이 많음을 이르는 말.
    寢: 잠잘 食: 不: 아니 安: 편안할

  • (갈식) : (1)선원에서, 식사 때에 대중들에게 탕과 반찬의 종류를 알리는 소임. (2)선원에서, 식사 때에 심부름하는 아이.
    喝: 꾸짖을 食:

  • 暴飮暴(폭음폭식) : 음식(飮)과 술 등(等)을 한꺼번에 많이 먹음.
    暴: 사나울 飮: 마실 暴: 사나울 食:

  • 鳥爲死(조위식사) : 새가 좋은 먹이를 찾다가 목숨을 잃는다는 뜻으로, 욕심(慾心) 때문에 몸을 망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鳥: 爲: 食: 死: 죽을

  • 私其飮禽雖之類(사기음식금수지류) : 형제(兄弟) 간(間)에 음식(飮)을 사사(私事)로이 한다면 새나 짐승의 무리와 같음.
    私: 사사 其: 飮: 마실 食: 禽: 날짐승 雖: 비록 之: 類: 무리

  • 山空(좌식산공) : 일을 하지 아니하고 놀기만 하면 산도 빈다는 뜻으로, 산더미 같은 재산도 놀고먹기만 하면 결국 다 없어지게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坐: 앉을 食: 山: 空:

  • 宰相(반식재상) : 곁에 모시고 밥을 먹는 재상(宰相)이라는 뜻으로, 무위도식(無爲徒)으로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무능(無能)(無能)한 대신(大臣)을 비꼬아 이르는 말.
    伴: 食: 宰: 벼슬아치 相: 서로

  • 千秋(혈식천추) : 나라에서 지내는 제사가 오래도록 끊이지 아니함.
    血: 食: 千: 일천 秋: 가을

  • 暖衣飽(난의포식) : 따뜻하게 입고 배불리 먹음.
    暖: 따뜻할 衣: 飽: 배부를 食:

  • 豆羹(단사두갱) : 대그릇 하나에 담은 밥과 한 그릇의 국이라는 뜻으로, 변변치 못한 소량의 음식을 이르는 말.
    簞: 대광주리 食: 豆: 羹:

  • 過火熟(과화숙식) : 지나가는 불에 음식이 익는다는 뜻으로, 어떤 사람을 위하여 한 것은 아니지만 그 사람에게 은혜가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過: 지날 火: 熟: 익을 食:

  • 嗟來之(차래지식) : “자, 와서 먹어라.”라고 하며 주는 음식이라는 뜻으로, 무례한 태도로 주는 음식을 이르는 말. 모욕적인 대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嗟: 탄식할 來: 之: 食:

  • 咽噎廢(인열폐식) : 목구멍이 메어서 먹는 것을 그만둔다는 뜻으로, 어떤 사소한 장애 때문에 큰일을 그만 둠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咽: 목구멍 噎: 목멜 廢: 폐할 食:

  • 好衣好(호의호식) : 좋은 옷을 입고 좋은 음식을 먹음.
    好: 좋을 衣: 好: 좋을 食:

  • 流離乞(류리걸식) : (1)정처 없이 떠돌아다니며 빌어먹음. (2)‘유리걸식’의 북한어.
    離: 떠날 乞: 食:

  • 遊衣遊(유의유식) : 하는 일 없이 놀면서 입고 먹음.
    遊: 衣: 遊: 食:

  • 轉轉乞(전전걸식) : 정처 없이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빌어먹음.
    轉: 구를 轉: 구를 乞: 食:

  • 無求飽(식무구포) : 먹는 것에 배부름을 구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배불리 먹기를 바라지 않고 허기를 면할 정도로 만족한다는 군자(君子)의 마음가짐의 하나를 의미함.
    食: 無: 없을 求: 구할 飽: 배부를

  • (정식) : 솥을 좍 벌여 놓고 음식을 먹는다는 뜻으로, 귀한 사람이 밥을 먹는 것을 이르는 말. 또는 그런 진수성찬을 이르는 말.
    鼎: 食:

  • 之間(종식지간) : 식사를 하는 짧은 시간이라는 뜻으로, 얼마 되지 아니하는 동안을 이르는 말.
    終: 끝날 食: 之: 間:

  • 率獸人(솔수식인) : 짐승을 거느리고 와서 사람을 잡아먹게 한다는 뜻으로, 위정자가 폭정으로 백성을 고통스럽게 함을 이르는 말.
    率: 거느릴 獸: 짐승 食: 人: 사람

  • 蚤腸出(조장출식) : 벼룩의 간을 내어 먹는다는 뜻으로, 극히 적은 이익을 당치않게 갉아먹는다는 의미.
    蚤: 벼룩 腸: 창자 出: 食:

  • 粗衣粗(조의조식) : 너절하고 조잡한 옷을 입고 맛없는 음식을 먹음. 또는 그 옷이나 음식.
    粗: 거칠 衣: 粗: 거칠 食:

  • 朝不夕不(조불식석불식) : 아침도 굶고 저녁도 굶는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여 끼니를 늘 굶음을 이르는 말.
    朝: 아침 不: 아니 食: 夕: 저녁 不: 아니 食:

  • 西宿(동식서숙) : 동쪽 집에서 먹고 서쪽 집에서 잔다는 뜻으로, 떠돌아다니며 얻어먹고 지내는 일이나 사람. 혹은 주소가 일정하지 않은 사람.
    東: 동녘 食: 西: 서녘 宿: 묵을

  • 玉炊桂(식옥취계) : 옥을 먹고 계수나무를 땐다는 뜻으로, 식량이 옥보다 비싸고 땔감이 계수나무보다 비싸기 때문에 옥을 먹고 계수나무를 때는 것처럼, 물가가 비싸 생활이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食: 玉: 구슬 炊: 불땔 桂: 계수나무

  • 少事煩(식소사번) : 먹을 것은 적은데 할 일은 많음.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사마의가 제갈량을 두고 한 말에서 유래한다.
    食: 少: 적을 事: 煩: 번거로울

  • 同鼎(동정식) : 한솥밥을 먹는다는 뜻으로, 한집에서 같이 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同: 한가지 鼎: 食:

  • 擊鐘鼎(격종정식) : 종을 쳐서 식솔(率)을 모아 솥을 걸어 놓고 먹는다는 뜻으로, 부유(富裕)한 생활(生活)을 이르는 말.
    擊: 鐘: 鼎: 食:

  • 肉富貴(식육부귀) : 고기만 먹으며 누리는 부귀.
    食: 肉: 고기 富: 가멸 貴: 귀할

  • 粗衣惡(조의악식) : 너절하고 조잡한 옷을 입고 맛없는 음식을 먹음. 또는 그 옷이나 음식.
    粗: 거칠 衣: 惡: 악할 食:

  • 廢寢忘(폐침망식) : 잠을 안 자고, 밥 먹는 것도 잊는다는 뜻으로, 매우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廢: 폐할 寢: 잠잘 忘: 잊을 食:

  • 鯨飮馬(경음마식) : 고래가 물을 마시듯, 말이 풀을 먹듯이 많이 먹고 많이 마심.
    鯨: 고래 飮: 마실 馬: 食:

  • 三旬九(삼순구식) : 삼십 일 동안 아홉 끼니밖에 먹지 못한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함을 이르는 말.
    三: 旬: 열흘 九: 아홉 食:

  • 前方丈(식전방장) : 사방 열 자의 상에 잘 차린 음식이란 뜻으로, 호화롭게 많이 차린 음식을 이르는 말.
    食: 前: 方: 丈: 어른

  • 白駒場(백구식장) : 흰 망아지도 감화(感化)되어 사람을 따르며 마당 풀을 뜯어먹게 함.
    白: 駒: 망아지 食: 場: 마당

  • 爲天(이식위천) : 사람이 살아가는 데 먹는 것이 가장 중요함을 이르는 말.
    以: 食: 爲: 天: 하늘

  • 雉膏不(치고불식) : 꿩 기름을 먹지 않는다는 뜻으로, 몸에 좋은 꿩 기름도 먹지 않는 것처럼 재덕이 있어도 임금에게 채용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출전- 주역(周易)].
    雉: 膏: 기름 不: 아니 食:

  • 何不肉糜(하불식육미) : 부자가 가난한 사람에게 왜 고기를 안 먹느냐고 묻는다는 뜻으로, 남의 사정에 어두움을 이르는 말.
    何: 어찌 不: 아니 食: 肉: 고기 糜:

  • 宿西東(숙서식동) : 잠은 서에서 자고 음식은 동에서 먹는다는 뜻으로, 욕심이 많음을 이르는 말. [東家西家息(동가식서가식)].
    宿: 묵을 西: 서녘 食: 東: 동녘

  • 耳視(목식이시) : 눈으로 먹고 귀로 본다는 뜻으로, 맛있는 것보다 보기에 아름다운 음식(飮)을 좋아하고, 몸에 맞는 것보다 귀로 들은 유행(流行)하는 의복(衣服)을 입음. 곧 외관(外觀)을 위(爲)해서 의식(衣) 본래(本來)의 목적(目的)을 버리고 사치(奢侈)로 흐름을 두고 이르는 말.
    目: 食: 耳: 視:

  • 稍蠶之(초잠식지) : 누에가 뽕잎을 먹듯이 점차 조금씩 침략하여 먹어 들어감.
    稍: 벼줄기끝 蠶: 누에 食: 之:

  • 其肉(욕식기육) : 그 사람의 고기를 먹고 싶다는 뜻으로, 매우 원한이 깊음을 이르는 말.
    欲: 하고자 할 食: 其: 肉: 고기

  • 百味飮(백미음식) : 여러 가지 좋은 맛으로 만든 음식. 또는 여러 가지 음식물.
    百: 일백 味: 飮: 마실 食:

  • 惡衣惡(악의악식) : 너절하고 조잡한 옷을 입고 맛없는 음식을 먹음. 또는 그 옷이나 음식.
    惡: 악할 衣: 惡: 악할 食:

  • 易衣幷(역의병식) : 옷을 바꾸어 입고 음식을 쪼개 먹는다는 뜻으로, 한 벌 옷을 바꾸어 입고 하루치의 양식을 이틀 치로 나눈다는 의미에서 아주 가난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易: 바꿀 衣: 幷: 어우를 食:

  • 解衣推(해의추식) : 옷을 벗어주고 음식(飮)을 밀어준다라는 뜻으로, 남에게 은혜(恩惠)를 베푸는 것.
    解: 衣: 推: 옮을 食:

  • 暖衣(포식난의) : 배부르게 먹고 따뜻하게 입는다는 뜻으로, 의식(衣)이 넉넉하게 지냄을 이르는 말.
    飽: 배부를 食: 暖: 따뜻할 衣:

  • 弱肉强(약육강식) : 약자의 살은 강자의 먹이가 된다는 뜻으로, 강한 자가 약한 자를 침해하거나, 폭력이 난무하고 무질서한 상황을 비유하는 의미로 사용됨.
    弱: 약할 肉: 고기 强: 굳셀 食:

  • 不甘(침식불감) : 잠자고 먹는 일이 달지 못하다는 뜻으로, 온갖 걱정으로 잠자는 일과 먹는 일이 달지 않음을 이르는 말.
    寢: 잠잘 食: 不: 아니 甘:

  • 錦衣玉(금의옥식) : 비단옷과 흰쌀밥이라는 뜻으로, 호화스럽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이르는 말.
    錦: 비단 衣: 玉: 구슬 食:

  • 飢者甘(기자감식) : 배고픈 사람은 음식을 가리지 않고 달게 먹음을 이르는 말.
    飢: 주릴 者: 甘: 食:

  • 東家西家宿(동가식서가숙) : 동쪽 집에서 밥 먹고 서쪽 집에서 잠잔다는 뜻으로, 일정한 거처가 없이 떠돌아다니며 지냄을 이르는 말. 나중에는 자기의 잇속을 차리기 위하여 지조 없이 여기저기 빌붙어 사는 행태를 이르게 되었다.
    東: 동녘 家: 食: 西: 서녘 家: 宿: 묵을

  • 鐘鳴鼎(종명정식) : 끼니때에 종을 쳐서 식구를 모으고 솥을 늘어놓고 먹는다는 뜻으로, 부귀한 집의 생활을 이르는 말.
    鐘: 鳴: 鼎: 食:

  • 牛之氣(식우지기) : 소라도 삼킬 만한 기개라는 뜻으로, 나이는 어리나 큰 기개가 있음을 이르는 말.
    食: 牛: 之: 氣: 기운

  • 不甘味(식불감미) : 근심과 걱정으로 음식을 먹어도 맛이 없음.
    食: 不: 아니 甘: 味:

  • 牛飮馬(우음마식) : 소같이 술을 많이 마시고 말같이 음식을 많이 먹는다는 뜻으로, 많이 마시고 먹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牛: 飮: 마실 馬: 食:

  • 如狗藥果(여구식약과) : 개 약과 먹듯이 한다는 뜻으로, 개가 약과를 넣고 바로 삼켜 맛을 모르듯이 남의 말을 듣고도 뜻을 모르거나 뜻을 모르면서 글을 보는 것 같음 비유하여 이르는 속담의 한역(漢譯).
    如: 같을 狗: 食: 藥: 果: 실과

  • 飮全廢(식음전폐) : 먹고 마시는 것을 완전히 끊는다는 뜻으로, 음식을 전혀 먹지 않는다는 의미.
    食: 飮: 마실 全: 온전할 廢: 폐할

  • 禪悅爲(선열위식) : 선정(禪定)의 기쁨으로 몸과 마음을 건전하게 하고 지혜로운 생명을 얻는 일. 음식으로 몸을 기르고 목숨을 보존하는 일에 비유한 말이다.
    禪: 봉선 悅: 기쁠 爲: 食:

  • 虎不兒(호불식아) : 호랑이는 새끼를 먹지 않는다는 뜻으로, 범은 아무리 배가 고파도 제 새끼를 먹지는 않는 것처럼, 아무리 흉악한 사람도 제 식구는 함부로 하지 않는다는 의미.
    虎: 不: 아니 食: 兒: 아이

  • 鑿飮耕(착음경식) : 우물을 파서 마시며 밭을 갈아먹는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하고 생활이 안락함을 이르는 말. 요나라 때에 어떤 노인이 부른 배와 땅을 두들기며 읊은 노래에서 유래한다.
    鑿: 뚫을 飮: 마실 耕: 食:

  • 豊衣飽(풍의포식) : 넉넉한 옷과 배부른 음식이라는 뜻으로, 의식이 여유 있고 충분하다는 의미.
    豊: 풍년 衣: 飽: 배부를 食:

#벼슬 88 #때문 58 #의지 69 #사용 312 #근심 65 #소리 96 #재능 61 #형용 67 #사람 1461 #부모 136 #시대 114 #이익 89 #바람 136 #이름 211 #물건 136 #자리 94 #자연 73 #천하 94 #속담 63 #지위 65 #경계 56 #아침 72 #구름 67 #사랑 91 #훌륭 85 #하늘 251 #목숨 58 #세월 71 #아내 81 #생활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