魯魚亥豕(노어해시) 풀이

魯魚亥豕

노어해시

노(魯)자와 어(魚)자, 해(亥)자와 시(豕)자를 구별하지 못하고 혼동한다는 뜻으로, 글자를 잘못 알거나 잘못 씀을 이르는 말.

#구별 #글자


한자 풀이:
  • (노둔할 ): 노둔하다, 나라 이름, 어리석고 둔함, 주공(周公) 단(旦)을 봉한 곳, 산동성(山東省)에 있었으며, 공자(孔子)의 출생지.
  • (고기 ): 고기, 물 속에서 사는 짐승의 총칭, 바다 짐승 이름, 고기잡이하다, 어대(魚袋).
  • (돼지 ): 돼지, 열두째 지지(地支), 시각으로는 하오 9시에서 11시 사이, 방향으로는 북북서, 달로는 음력 10월, 오행으로는 수(水).
  • (돼지 ): 돼지, 돼지류의 총칭, 역(易)에서는 감(坎), 오행(五行)에서는 수(水)에 속함.
🍿 魯魚亥豕(노어해시) 웹스토리 보기
魯魚亥豕(노어해시)의 의미: 노(魯)자와 어(魚)자, 해(亥)자와 시(豕)자를 구별하지 못하고 혼동한다는 뜻으로, 글자를 잘못 알거나 잘못 씀을 이르는 말.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魚魯不辨 획순 不辨(어불변) : 어(魚) 자와 노(魯) 자를 구별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주 무식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魚之謬(노어지류) : 노(魯)와 어(魚)는 글자 모양(模樣)이 비슷해 틀리기 쉽다는 뜻으로, 글자를 잘못 쓰는 일을 이르는 말.
  • 政如衛(정여노위) : 두 나라의 정치가 서로 비슷함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의 시조 주공(周公)과 위나라의 시조 강숙(康叔)이 형제인 데에서 온 말이다.

  • 豕之譌(시지와) : 서로 비슷한 글자 가운데 하나를 다른 글자로 잘못 써 뜻을 그릇 전하게 됨을 이르는 말. 기해(己亥)를 삼시(三豕)로 잘못 썼다는 데서 유래한다.

  • 三豕渡河 획순 渡河(삼도하) : 글자를 오독(誤讀)하거나 오용(誤用)함을 이르는 말. ‘기해’를 ‘삼시(三豕)’로, ‘섭하(涉河)’를 ‘도하’로 잘못 읽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之惑(어지혹) : ‘노(魯)’를 ‘어(魚)’로, ‘해(亥)’를 ‘시(豕)’로 쓰는 의혹이라는 뜻으로, 여러 번 옮겨 쓰다 보면 반드시 잘못 쓴 글자가 생김을 이르는 말.
  • 交獸畜(교수축) : 돼지처럼 대하고 짐승처럼 기른다는 뜻으로, 사람을 예로써 대우하지 않고 짐승같이 취급함을 이르는 말.


魯魚亥豕(노어해시) 관련 한자

  • 三豕渡河 획순 三豕渡河(삼시도하) : 글자를 오독(誤讀)하거나 오용(誤用)함을 이르는 말. ‘기해’를 ‘삼시(三豕)’로, ‘섭하(涉河)’를 ‘도하’로 잘못 읽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車同軌(거동궤) : 여러 지방의 수레의 너비를 같게 하고 글은 같은 글자를 쓰게 한다는 뜻으로, 천하가 통일된 상태를 이르는 말.
  • 目不識丁(목불식정) : 아주 간단한 글자인 ‘丁’ 자를 보고도 그것이 ‘고무래’인 줄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주 까막눈임을 이르는 말.

#서로 71 #신하 62 #어려움 105 #태도 72 #얼굴 99 #자식 104 #나무 166 #싸움 61 #비유 1177 #아침 72 #이익 89 #경계 56 #속담 63 #문장 59 #행동 137 #목숨 58 #자리 94 #지위 65 #사람 1461 #유래 280 #여자 101 #재능 61 #고사 108 #방법 59 #의미 1817 #세월 71 #상황 119 #모양 142 #사이 200 #학문 107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0개) : 내외향성, 녹의홍상, 낙엽 현상, 남연 회사, 너울 현상, 노어 형식, 노임 학설, 놀이 학습, 농약 희석, 농업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