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 에 관한 한자 모두 90

  • 奢者心常貧 획순 奢者心常貧(사자심상빈) : 사치하는 사람은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뜻으로, 사치를 좋아하는 사람은 만족할 줄 몰라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의미.
    奢: 사치할 者: 心: 마음 常: 항상 貧: 가난할

  • 樂而忘憂 획순 樂而忘憂(낙이망우) : 즐겨서 시름을 잊는다는 뜻으로, 도(道)를 행(行)하기를 즐거워하여 가난 따위의 근심을 잊는다는 말.
    而: 말 이을 忘: 잊을 憂: 근심

  • 貧者一燈 획순 貧者一燈(빈자일등) : 가난한 사람이 바치는 하나의 등(燈)이라는 뜻으로, 물질의 많고 적음보다 정성이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이 부처에게 바친 백 개의 등은 밤 사이에 다 꺼졌으나 가난한 노파 난타(難陀)가 정성으로 바친 하나의 등은 꺼지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貧: 가난할 者: 一: 燈: 등불

  • 簞食瓢飮 획순 簞食瓢飮(단사표음) :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簞: 대광주리 食: 瓢: 飮: 마실

  • 糟糠不飽 획순 糟糠不飽(조강불포) : 가난하여 술찌끼와 쌀겨조차 배부르게 먹을 수 없음.
    糟: 지게미 糠: 不: 아니 飽: 배부를

  • 糊口之策(호구지책) : 가난한 살림에서 그저 겨우 먹고살아 가는 방책.
    糊: 口: 之: 策:

  • 在家貧亦好(재가빈역호) : 제 집에 있으면 가난하여도 마음은 편하다는 뜻으로, 객지(客地)에 있는 사람이 고향(故鄕)을 그리워하는 심정(心情)을 이르는 말.
    在: 있을 家: 貧: 가난할 亦: 好: 좋을

  • 兩窮相合(양궁상합) : (1)‘양궁상합’의 북한어. (2)가난한 두 사람이 함께 모여 관계를 맺는다는 뜻으로, 일이 잘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窮: 다할 相: 서로 合: 합할

  • 赤手成家(적수성가) : 몹시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제 스스로의 힘으로 노력하여 가산(家産)을 이룸.
    赤: 붉을 手: 成: 이룰 家:

  • 草根木皮(초근목피) : (1)풀뿌리와 나무껍질이라는 뜻으로, 맛이나 영양 가치가 없는 거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한약의 재료를 이르는 말.
    草: 根: 뿌리 木: 나무 皮: 가죽

  • 朝飯夕粥(조반석죽) : 아침에는 밥을 먹고, 저녁에는 죽을 먹는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한 살림을 이르는 말.
    朝: 아침 飯: 夕: 저녁 粥:

  • 天寒白屋(천한백옥) : 추운 날의 허술한 초가집이라는 뜻으로, 엄동설한에 떠는 가난한 생활을 이르는 말.
    天: 하늘 寒: 白: 屋:

  • 陋巷簞瓢(누항단표) : (1)‘누항단표’의 북한어. (2)누항에서 먹는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선비의 청빈한 생활을 이르는 말.
    巷: 거리 簞: 대광주리 瓢:

  • 蓬室(봉실) : (1)쑥으로 지붕을 인 집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이르는 말. (2)자기 집을 낮추어 이르는 말.
    蓬: 室:

  • 不蔽風雨(불폐풍우) : 집이 허술하여서 바람과 비를 가리지 못함.
    不: 아니 蔽: 가릴 風: 바람 雨:

  • 內富外貧(내부외빈) : 겉으로 보기에는 가난한 듯하나 속은 부유(富裕)함을 이르는 말.
    內: 富: 가멸 外: 바깥 貧: 가난할

  • 家徒壁立(가도벽립) : 가난한 집이라서 집 안에 세간살이는 하나도 없고 네 벽만 서 있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하다는 말. ≪한서≫의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에 나오는 말이다.
    家: 徒: 무리 壁: 立:

  • 糟糠(조강) : (1)지게미와 쌀겨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 먹는 변변치 못한 음식을 이르는 말. (2)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3)교만한 승려나 거친 교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糟: 지게미 糠:

  • 三不去(삼불거) : 유교에서, 칠거지악을 범한 아내일지라도 버리지 못하는 세 가지 경우. 부모의 삼년상을 같이 치렀거나, 장가들 때 가난했다가 나중에 부자가 되었거나, 아내가 돌아가도 의지할 데가 없는 경우이다.
    三: 不: 아니 去:

  • 知足者富(지족자부) : 분수를 지켜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넉넉함. ≪노자≫ 제33장에 나오는 말이다.
    知: 足: 者: 富: 가멸

  • 積屍在床(적시재상) : 집안이 몹시 가난하여 죽은 사람은 장사(葬事)지내지 못함.
    積: 쌓을 屍: 주검 在: 있을 床:

  • 糊口策(호구책) : 가난한 살림에서 그저 겨우 먹고살아 가는 방책.
    糊: 口: 策:

  • 傷哉之歎(상재지탄) : 살림이 군색(窘塞)하고 가난함에 대(對)한 한탄(恨歎).
    傷: 다칠 哉: 어조사 之: 歎: 탄식할

  • 布衣寒士(포의한사) : 베옷을 입은 가난한 선비라는 뜻으로, 벼슬이 없는 가난한 선비를 이르는 말.
    布: 衣: 寒: 士: 선비

  • 零丁孤苦(영정고고) : 가난해지고 세력(勢力)이 꺾여 도와 주는 사람도 없어, 혼자서 괴로움을 당(當)하는 어려운 처지(處地)를 이르는 말.
    丁: 넷째 천간 孤: 외로울 苦:

  • 無依無托(무의무탁) : 의지하거나 의탁할 데가 없다는 뜻으로, 매우 빈곤하고 고독한 처지의 상황을 이르는 말.
    無: 없을 依: 의지할 無: 없을 托:

  • 三冬文史(삼동문사) : 가난한 사람은 농사(農事) 짓느라고 여가(餘暇)가 없어 다만 삼동에 학문(學問)을 닦는다는 뜻으로, 자기(自己)를 겸손(謙遜)히 이르는 말.
    三: 冬: 겨울 文: 글월 史: 사기

  • 富貴貧賤(부귀빈천) :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은 것과 가난하고 천한 것을 아울러 이르는 말.
    富: 가멸 貴: 귀할 貧: 가난할 賤: 천할

  • 糊口之計(호구지계) : 가난한 살림에서 그저 겨우 먹고살아 가는 방책.
    糊: 口: 之: 計:

  • 子路負米(자로부미) : 공자(孔子)의 제자(弟子)인 子路(자로)는 가난하여 매일(每日) 쌀을 등짐으로 져서 백 리 밖까지 운반(運搬)하여 그 운임(運賃)을 받아 양친(兩親)을 봉양(奉養)했다함.
    子: 아들 路: 負: 米:

  • 木石不傅(목석불부) : 나무에도 돌에도 붙일 데가 없다는 뜻으로, 의지할 곳이 없는 처지를 이르는 말.
    木: 나무 石: 不: 아니 傅: 스승

  • 孫康映雪(손강영설) : 어려운 가운데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손강(孫康)이 몹시 가난하여 겨울밤에는 눈빛으로 공부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孫: 손자 康: 편안할 映: 비칠 雪:

  • 樂以忘憂(낙이망우) : 즐거움에 근심을 잊는다는 뜻으로, 도(道) 행하기를 즐거워하여 가난 따위의 근심을 잊는다는 의미.
    以: 忘: 잊을 憂: 근심

  • 布衣之交(포의지교) : 베옷을 입고 다닐 때의 사귐이라는 뜻으로, 벼슬을 하기 전 선비 시절에 사귐. 또는 그렇게 사귄 벗을 이르는 말.
    布: 衣: 之: 交: 사귈

  • 赤貧無依(적빈무의) : 몹시 가난한 데다가 의지할 곳도 없음.
    赤: 붉을 貧: 가난할 無: 없을 依: 의지할

  • 家負疎族聚(가부소족취) : 집이 가난하게 되면 어진 아내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넉넉히 지낼 때는 몰랐으나 궁박(窮迫)한 형편(形便)에 놓이고 보니 어진 관리자(管理者)를 생각하게 된다는 말.
    家: 負: 疎: 트일 族: 겨레 聚: 모일

  • 放富差貧(방부차빈) : 부유한 사람은 제외하고 가난한 사람에게 부역을 지움.
    放: 놓을 富: 가멸 差: 어긋날 貧: 가난할

  • 赤貧如洗(적빈여세) : 마치 물로 씻은 듯이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을 정도로 가난함.
    赤: 붉을 貧: 가난할 如: 같을 洗: 씻을

  • 貧賤之交(빈천지교) : 가난하고 천할 때 사귄 사이. 또는 그런 벗.
    貧: 가난할 賤: 천할 之: 交: 사귈

  • 菽水之供(숙수지공) : 콩과 물로 드리는 공양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중에도 검소한 음식으로 정성을 다하여 부모를 봉양하는 일을 이르는 말.
    菽: 水: 之: 供: 이바지할

  • 寒烟(한연) : 한연(寒煙). (쓸쓸하게 올라오는 연기라는 뜻으로)집이 가난함의 비유(比喩).
    寒: 烟: 연기

  • 糊口之方(호구지방) : 가난한 살림에서 그저 겨우 먹고살아 가는 방책.
    糊: 口: 之: 方:

  • 曳尾塗中(예미도중) : 꼬리를 진흙 속에 묻고 끈다는 뜻으로, 벼슬을 함으로써 속박(束縛)되기보다는 가난하더라도 집에서 편안(便安)히 사는 편이 나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曳: 尾: 꼬리 塗: 진흙 中: 가운데

  • 篳門圭竇(필문규두) : 섶나무 울타리 사립문과 모나고 둥근 허술한(규격이 없는) 창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이르는 말. ‘篳門閨竇’으로도 표현함.
    篳: 사립문 門: 圭: 竇: 구멍

  • 家貧落魄(가빈낙탁) : 집안이 가난하여 혼백(魂魄)이 땅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뜻을 얻지 못하고 실의(失意)에 빠짐.
    家: 貧: 가난할 魄: 영락할

  • 蓬蓽(봉필) : 쑥대나 잡목의 가시로 엮어 만든 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 사는 집을 이르는 말.
    蓬: 蓽: 필발

  • 映雪讀書(영설독서) : 눈(雪)빛에 비쳐 책을 읽는다는 뜻으로, 가난을 무릅쓰고 학문(學問)함을 이르는 말.
    映: 비칠 雪: 讀: 읽을 書:

  • 零細農民(영세농민) : 농사짓는 경지가 적어 생계를 겨우 유지하는 농민. 또는 매우 적은 규모의 농업.
    細: 가늘 農: 농사 民: 백성

  • 貧者小人(빈자소인) : 가난한 사람은 굽히는 일이 많아 떳떳하게 기를 펴지 못하므로 저절로 낮은 사람이 됨.
    貧: 가난할 者: 小: 작을 人: 사람

  • 朝不食夕不食(조불식석불식) : 아침도 굶고 저녁도 굶는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여 끼니를 늘 굶음을 이르는 말.
    朝: 아침 不: 아니 食: 夕: 저녁 不: 아니 食:

  • 曲肱之樂(곡굉지락) : 베개가 없어서 팔을 구부려 베고 잘 정도로 가난하지만 그러한 삶에 만족하는 즐거움을 이르는 말.
    曲: 굽을 肱: 之: 樂: 즐거울

  • 車胤盛螢(차윤성형) : 차윤이 개똥벌레를 모았다는 뜻으로, 가난한 살림에 어렵게 공부(工夫)함을 이르는 말.
    車: 수레 胤: 이을 盛: 담을 螢: 개똥벌레

  • 固窮讀書(고궁독서) : 어려운 처지에도 기꺼이 글을 읽음.
    固: 굳을 窮: 다할 讀: 읽을 書:

  • 先貧後富(선빈후부) : 처음에는 가난하던 사람이 나중에는 부자가 됨.
    先: 먼저 貧: 가난할 後: 富: 가멸

  • 無告之民(무고지민) : (1)의지할 데 없는 늙은이나 어린이. (2)어디다 호소할 데가 없는 어려운 백성.
    無: 없을 告: 알릴 之: 民: 백성

  • 家貧思良妻(가빈사양처) : 집이 가난해지면 좋은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궁핍(窮乏)한 지경(地境)이 되면 훌륭한 관리자(管理者)가 생각난다는 의미(意味).
    家: 貧: 가난할 思: 생각할 妻: 아내

  • 赤手起家(적수기가) : 몹시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제 스스로의 힘으로 노력하여 가산(家産)을 이룸.
    赤: 붉을 手: 起: 일어날 家:

  • 釜中生魚(부중생어) : 솥 안에 물고기가 생긴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하여 오랫동안 밥을 짓지 못함을 이르는 말. ≪후한서≫의 <범염전(范冉傳)>에 나오는 말이다.
    釜: 가마 中: 가운데 生: 魚: 고기

  • 三旬九食(삼순구식) : 삼십 일 동안 아홉 끼니밖에 먹지 못한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함을 이르는 말.
    三: 旬: 열흘 九: 아홉 食:

  • 風窓破壁(풍창파벽) : 뚫어진 창과 헌 담벼락이라는 뜻으로, 돌보지 아니하여 허술한 집의 상태를 이르는 말.
    風: 바람 窓: 破: 깨뜨릴 壁:

  • 桑戶(상호) : 뽕나무로 만든 지게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이르는 말.
    桑: 뽕나무 戶: 지게

  • 寒煙(한연) : 쓸쓸하게 피어오르는 연기라는 뜻으로, 집이 가난함을 이르는 말.
    寒: 煙: 연기

  • 何不食肉糜(하불식육미) : 부자가 가난한 사람에게 왜 고기를 안 먹느냐고 묻는다는 뜻으로, 남의 사정에 어두움을 이르는 말.
    何: 어찌 不: 아니 食: 肉: 고기 糜:

  • 先富後貧(선부후빈) : 처음에는 잘살던 사람이 나중에는 가난해짐.
    先: 먼저 富: 가멸 後: 貧: 가난할

  • 相事失之貧(상사실지빈) : 뛰어난 선비도 지나치게 가난하면 세상(世上)이 알아주지 않아서 활동(活動)할 길이 열리기 어렵다는 말.
    相: 서로 事: 失: 잃을 之: 貧: 가난할

  • 上漏下濕(상루하습) : 위에서는 비가 새고 아래에서는 습기가 오른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한 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上: 漏: 下: 아래 濕: 축축할

  • 淸貧樂道(청빈락도) : (1)청렴결백하고 가난하게 사는 것을 옳은 것으로 여기고 즐김. (2)‘청빈낙도’의 북한어.
    淸: 맑을 貧: 가난할 道:

  • 兼奴上典(겸노상전) : 종을 거느릴 형편이 못 되어 종이 할 일까지 몸소 하는 가난한 양반.
    兼: 겸할 奴: 上: 典:

  • 無室無家(무실무가) : 매우 가난하여 들어 있을 만한 집도 없음을 이르는 말.
    無: 없을 室: 無: 없을 家:

  • 蓬門(봉문) : (1)쑥으로 지붕을 인 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나 숨어 사는 사람의 집을 이르는 말. (2)자기 집을 낮추어 이르는 말.
    蓬: 門:

  • 家貧思賢妻國難思良相(가빈사현처국난사양상) : 집이 가난하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고, 나라가 어지러우면 어진 재상(宰相)을 생각함.
    家: 貧: 가난할 思: 생각할 賢: 어질 妻: 아내 國: 나라 難: 어려울 思: 생각할 相: 서로

  • 貧而樂道(빈이낙도) : 가난하면서도 도를 즐긴다는 뜻으로, 몸은 곤궁하더라도 도를 닦아 즐기는 진정한 삶을 의미함.
    貧: 가난할 而: 말 이을 道:

  • 易衣幷食(역의병식) : 옷을 바꾸어 입고 음식을 쪼개 먹는다는 뜻으로, 한 벌 옷을 바꾸어 입고 하루치의 양식을 이틀 치로 나눈다는 의미에서 아주 가난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易: 바꿀 衣: 幷: 어우를 食:

  • 三不孝(삼불효) : 세 가지의 큰 불효. 부모를 불의(不義)에 빠지게 하는 일, 부모가 늙고 집이 가난하여도 벼슬하지 않는 일, 자식이 없어 조상의 제사를 끊어지게 하는 일을 이른다.
    三: 不: 아니 孝: 효도

  • 朝薺暮鹽(조제모염) : 아침에는 냉이를 저녁에는 소금을 먹는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한 살림살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朝: 아침 薺: 냉이 暮: 저물 鹽: 소금

  • 家貧親老(가빈친로) : 집이 가난하고 어버이가 늙었다는 뜻으로, 집안의 사정이 여의치 못하여 마땅치 않은 일이라도 해야 하는 상태를 이르는 말.
    家: 貧: 가난할 親: 친할 老: 늙을

  • 安貧樂道(안빈낙도) : 가난한 생활을 하면서도 편안한 마음으로 도를 즐겨 지킴.
    安: 편안할 貧: 가난할 道:

  • 至貧無依(지빈무의) : 매우 가난하여 의지할 곳조차 없음.
    至: 이를 貧: 가난할 無: 없을 依: 의지할

  • 螢雪之功(형설지공) : 반딧불ㆍ눈과 함께 하는 노력이라는 뜻으로, 고생을 하면서 부지런하고 꾸준하게 공부하는 자세를 이르는 말. 중국≪진서(晉書)≫의 <차윤전(車胤傳)>ㆍ<손강전(孫康傳)>에 나오는 말로, 진나라 차윤(車胤)이 반딧불을 모아 그 불빛으로 글을 읽고, 손강(孫康)이 가난하여 겨울밤에는 눈빛에 비추어 글을 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螢: 개똥벌레 雪: 之: 功:

  • 家貧則思良妻(가빈즉사양처) : 집안이 가난해지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집안이 궁해지거나 어려워지면 어진 아내의 내조의 필요성(必要性)을 새삼 생각하게 된다는 말.
    家: 貧: 가난할 則: 思: 생각할 妻: 아내

  • 酌水成禮(작수성례) : 물 한 그릇만 떠 놓고 혼례를 치른다는 뜻으로, 가난한 집안의 혼례를 이르는 말.
    酌: 따를 水: 成: 이룰 禮: 예도

  • 秋無擔石(추무담석) : 중국의 주나라에서 담(擔)은 2석(石), 석(石)은 1석으로 아주 적은 분량을 이르던 데서, 집이 가난해서 가을에도 아무 수확이 없음을 이르는 말.
    秋: 가을 無: 없을 擔: 石:

  • 身兼奴僕(신겸노복) : 자기 몸이 노복을 겸하였다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종을 두지 못하고 몸소 궂은일을 함을 이르는 말.
    身: 兼: 겸할 奴: 僕:

  • 糟糠之妻(조강지처) :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후한서≫의 <송홍전(宋弘傳)>에 나오는 말이다.
    糟: 지게미 糠: 之: 妻: 아내

  • 啜菽飮水(철숙음수) : 콩을 먹고 물을 마신다는 뜻으로, 집은 가난하여도 부모(父母)에게 효도(孝道)를 극진(極盡)히 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啜: 마실 菽: 飮: 마실 水:

  • 貧寒到骨(빈한도골) : 가난하여 쓸쓸함이 골수까지 스며든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게 사는 것을 이르는 말.
    貧: 가난할 寒: 到: 이를 骨:

  • 百里負米(백리부미) : 백 리를 쌀을 지고 간다는 뜻으로, 공자(孔子)의 제자 자로(子路)가 어버이를 위하여 백 리나 떨어진 곳에 쌀을 지고 간 고사에서 가난한 가운데서 효양(孝養)함을 비유하는 말.
    百: 일백 里: 마을 負: 米:

  • 男負女戴(남부여대) : (1)‘남부여대’의 북한어. (2)남자는 지고 여자는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男: 사내 負: 女: 戴:

  • 木石難得(목석난득) : 의지할 곳이 없는 처지를 이르는 말.
    木: 나무 石: 難: 어려울 得: 얻을

  • 長者萬燈(장자만등) : 장자의 일만 개의 등(等)이라는 뜻으로, 불교(佛敎)에서, 부자(富者)가 신불(神佛)에게 일만 개의 등(等)을 올리는 반면에 가난한 여인(女人)은 단 하나의 등(等)을 바치지만, 그 참뜻만 있으면 가난한 여인(女人)의 한 등(等)이 장자의 만 등(等)에 못지 않다는 말.
    長: 者: 萬: 일만 燈: 등불

#천하 94 #정도 153 #경우 64 #은혜 70 #조금 96 #방법 59 #신하 62 #상황 119 #얼굴 99 #태도 72 #사용 312 #잘못 93 #때문 58 #속담 63 #이치 67 #지위 65 #서로 71 #표현 88 #예전 60 #편안 62 #목숨 58 #학문 107 #싸움 61 #나이 97 #구름 67 #형제 68 #관계 90 #가운데 104 #바람 136 #동안 70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421개) : 가나, 가난, 가남, 가납, 가내, 가너, 가넷, 가녀, 가녁, 가년, 가념, 가녕, 가녘, 가노, 가뇨, 가눔, 가늠, 가늣, 가능, 가니, 가닐, 가님, 가닛, 각날, 각낭, 각내, 간나, 간난, 간날, 간납, 간낭, 간내, 간녀, 간년, 간념, 간녕, 간노, 간뇌, 간능, 간니, 갈내, 갈늪, 갈닙, 감낙, 감남, 감납, 감낭, 감내, 감념, 감노, 감농, 감능, 갑년, 갓난, 갓내, 갓네, 강남, 강낭, 강내, 강냉, 강냥, 강냬, 강년, 강녕, 강녘, 강노, 강놈, 개날, 개납, 개낭, 개냥, 개넘, 개네, 개년, 개념, 개녘, 개놈, 개뇌, 개눈, 개니, 개님, 객난, 객년, 객님, 갯내, 갯년, 갯논, 갯놈, 갱내, 거나, 거납, 거낫, 거낭, 거냉, 거냐, 거냥, 거너, 거널, 거네, 거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