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속 에 관한 한자 모두 18

  • 夢中相尋 획순 夢中相尋(몽중상심) : 꿈속에서 서로 찾는다는 뜻으로, 몹시 그리워 꿈속에서까지 찾는 것처럼 매우 친밀함을 이르는 말.
    夢: 中: 가운데 相: 서로 尋: 찾을

  • 醉生夢死 획순 醉生夢死(취생몽사) : 술에 취하여 자는 동안에 꾸는 꿈 속에 살고 죽는다는 뜻으로, 한평생을 아무 하는 일 없이 흐리멍덩하게 살아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醉: 취할 生: 夢: 死: 죽을

  • 巫山之雨 획순 巫山之雨(무산지우) :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巫: 무당 山: 之: 雨:

  • 雲雨之情 획순 雲雨之情(운우지정) : 구름 또는 비와 나누는 정이라는 뜻으로,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회왕(懷王)이 꿈속에서 어떤 부인과 잠자리를 같이했는데, 그 부인이 떠나면서 자기는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양대(陽臺) 아래에 있겠다고 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雲: 구름 雨: 之: 情:

  • 夢中夢說 획순 夢中夢說(몽중몽설) : 꿈속에서 꿈 이야기를 한다는 뜻으로, 무엇을 말하는지 종잡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夢: 中: 가운데 夢: 說: 말씀

  • 夢中夢(몽중몽) : 꿈속의 꿈이란 뜻으로, 이 세상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夢: 中: 가운데 夢:

  • 無我夢中(무아몽중) : 자기를 모르고 꿈속에 있는 것 같다는 뜻으로, 마음이 외곬으로 쏠리거나 넋을 잃어 자기도 모르게 행동하는 지경을 이르는 말.
    無: 없을 我: 夢: 中: 가운데

  • 巫山雲(무산운) :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巫: 무당 山: 雲: 구름

  • 夢中占夢(몽중점몽) : 꿈속에서 꿈을 점친다는 뜻으로, 사람의 인생이 덧없다는 의미.
    夢: 中: 가운데 占: 점칠 夢:

  • 夢中說夢(몽중설몽) : 꿈속에서 꿈 이야기를 한다는 뜻으로, 무엇을 말하는지 종잡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夢: 中: 가운데 說: 말씀 夢:

  • 巫山雨(무산우) :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巫: 무당 山: 雨:

  • 巫山夢(무산몽) :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巫: 무당 山: 夢:

  • 朝雲暮雨(조운모우) : 아침의 구름과 저녁의 비라는 뜻으로,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회왕(懷王)이 꿈속에서 어떤 부인과 잠자리를 같이했는데, 그 부인이 떠나면서 자기는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양대(陽臺) 아래에 있겠다고 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朝: 아침 雲: 구름 暮: 저물 雨:

  • 巫山之夢(무산지몽) : 무산(巫山)의 꿈이라는 뜻으로,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巫: 무당 山: 之: 夢:

  • 莊周之夢(장주지몽) : 나와 외물(外物)은 본디 하나이던 것이 현실에서 갈라진 것에 불과하다는 이치를 비유적으로 설명하는 말.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되었다가 깬 뒤에 자기가 꿈속에서 나비가 되었는지 원래 나비였던 자기가 꿈속에서 장주가 되었는지 알 수 없게 되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장자 사상의 으뜸을 이룬다.
    莊: 엄숙할 周: 두루 之: 夢:

  • 盧生之夢(노생지몽) :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生: 之: 夢:

  • 巫山之雲(무산지운) :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巫: 무당 山: 之: 雲: 구름

  • 邯鄲之夢(한단지몽) :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에서 나온 말이다.
    邯: 땅 이름 鄲: 조나라 서울 之: 夢:

#따위 228 #나무 166 #행동 137 #모습 66 #중국 253 #표현 88 #아침 72 #집안 93 #근본 66 #유래 280 #아래 86 #예전 60 #여자 101 #이름 211 #벼슬 88 #은혜 70 #가운데 104 #이익 89 #세월 71 #관계 90 #상황 119 #형제 68 #사랑 91 #싸움 61 #자식 104 #상대 56 #방법 59 #의미 1817 #어려움 105 #노력 69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36개) : 까새, 까슬, 까시, 까신, 깍시, 깎사, 깎새, 깔새, 깔색, 깔성, 깔세, 깜상, 깜숭, 깜시, 깝삭, 깝신, 깡새, 깡세, 깡솔, 깡쇠, 깡술, 깡쉐, 깢신, 깨살, 깨새, 깨성, 깨소, 깨솜, 깽사, 깽새, 깽쇄, 깽쇠, 깽수, 깽쉐, 꺼샹, 꺼시, 꺽사, 꺽새, 꺽세, 꺽쇠, 꺽실, 꺾세, 꺾쇠, 껄새, 껄세, 껍석, 껍신, 께서, 껨신, 꼬삭, 꼬수, 꼬숨, 꼭새, 꼭쇠, 꼰사, 꼴사, 꼴삭, 꼴새, 꼴세, 꼴술, 꼴시, 꼴신, 꼼수, 꼼실, 꼽사, 꼽새, 꼽섀, 꼽셈, 꼽실, 꼿삽, 꼿술, 꽁수, 꽁술, 꽃산, 꽃살, 꽃삽, 꽃색, 꽃샘, 꽃속, 꽃솔, 꽃솜, 꽃수, 꽃술, 꽃신, 꽃실, 꽉새, 꽝새, 꽝쇄, 꽝쇠, 꽨사, 꽹새, 꽹쇠, 꽹수, 꾀상, 꾀수, 꾄사, 꾐수, 꾕쇠, 꾸석, 꾸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