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54

  • 夢中相尋 획순 夢中相尋(몽중상심) : 속에서 서로 찾는다는 뜻으로, 몹시 그리워 속에서까지 찾는 것처럼 매우 친밀함을 이르는 말.
    夢: 中: 가운데 相: 서로 尋: 찾을

  • 甕算畵餠 획순 甕算畵餠(옹산화병) : 독장수의 셈과 그림의 떡이라는 뜻으로, 독장수가 독을 쓰고 에서 셈을 하다 깨어 독이 깨졌다는 고사와 그림 속의 떡은 아무런 소용이 없다는 것에서 헛수고로 고생만 하거나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甕: 算: 셈할 畵: 그림 餠:

  • 如眞如夢 획순 如眞如夢(여진여몽) : 인지 생시인지 모를 지경임.
    如: 같을 眞: 如: 같을 夢:

  • 夢幻泡影 획순 夢幻泡影(몽환포영) : , 환상, 거품, 그림자라는 뜻으로, 인생이 헛되고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夢: 幻: 변할 泡: 거품 影: 그림자

  • 三刀之夢 획순 三刀之夢(삼도지몽) : 칼 세 자루의 이라는 뜻으로, 영전(榮轉)함을 이르는 말.
    三: 刀: 之: 夢:

  • 醉生夢死(취생몽사) : 술에 취하여 자는 동안에 꾸는 속에 살고 죽는다는 뜻으로, 한평생을 아무 하는 일 없이 흐리멍덩하게 살아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醉: 취할 生: 夢: 死: 죽을

  • 黃粱一炊之夢(황량일취지몽) : 노생이 잠들기 전(前)에 짓던 기장밥이 에서 깨어보니 아직 익지 않은 짧은 시간(時間)이었음.
    黃: 누를 粱: 기장 一: 炊: 불땔 之: 夢:

  • 炊臼之夢(취구지몽) : 절구에 밥을 짓는 이라는 뜻으로, 솥이 없어 절구에 밥을 짓는 것인데, 釜(부)와 婦(부)의 음이 상통한 것에서 풀이한 것으로, 아내를 잃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임.
    炊: 불땔 臼: 절구 之: 夢:

  • 落月屋梁(낙월옥량) : 밤에 벗의 을 꾸고 깨 보니 지는 달이 지붕을 비추고 있다는 뜻에서, 벗을 생각하는 마음이 간절함을 이르는 말.
    月: 屋: 梁: 들보

  • 醉死(취사) : (1)술에 취하여 죽음. (2)술에 취하여 자는 동안에 꾸는 속에 살고 죽는다는 뜻으로, 한평생을 아무 하는 일 없이 흐리멍덩하게 살아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醉: 취할 死: 죽을

  • 夢中夢說(몽중몽설) : 속에서 이야기를 한다는 뜻으로, 무엇을 말하는지 종잡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夢: 中: 가운데 夢: 說: 말씀

  • 夢寐間(몽매간) : 잠을 자며 을 꾸는 동안.
    夢: 寐: 잠잘 間:

  • 夢中夢(몽중몽) : 속의 이란 뜻으로, 이 세상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夢: 中: 가운데 夢:

  • 夢寐之間(몽매지간) : 잠을 자며 을 꾸는 동안.
    夢: 寐: 잠잘 之: 間:

  • 風窓燈易滅月屋夢難成(풍창등역멸월옥몽난성) : 바람 부는 창에서 등불은 꺼지기 쉽고, 달 뜬 집에서 은 꾸기가 어려움.
    風: 바람 窓: 燈: 등불 易: 바꿀 滅: 멸망할 月: 屋: 夢: 難: 어려울 成: 이룰

  • 同床各夢(동상각몽) : 같은 침상(寢床)에서 서로 다른 을 꾼다는 뜻으로, (1) 겉으로는 같이 행동(行動)하면서 속으로는 각기 딴 생각을 함을 이르는 말 (2) 비유적(比喩的)으로, 같은 입장(立場)ㆍ일인 데도 목표(目標)가 저마다 다름을 일컫는 말(3) 기거(起居)를 함께 하면서 서로 다른 생각을 함.
    同: 한가지 床: 各: 각각 夢:

  • 悅感武丁(열감무정) : 부열(傅悅)이 들에서 역사하매 무정(武丁)의 에 감동(感動)되어 곧 정승(政丞)에 됨.
    悅: 기쁠 感: 느낄 武: 호반 丁: 넷째 천간

  • 黃粱之夢(황량지몽) : 메조밥 짓는 사이의 이라는 뜻으로, 인간 일생의 영고성쇠(榮枯盛衰)는 한바탕 에 지나지 않는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 一場春夢(일장춘몽)].
    黃: 누를 粱: 기장 之: 夢:

  • 毫髮不動(호발부동) : 조금도 움직이지 아니함.
    毫: 가는 털 髮: 터럭 不: 아닌가 動: 움직일

  • 南柯之夢(남가지몽) : 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南: 남녘 柯: 가지 之: 夢:

  • 邯鄲之枕(한단지침) :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邯: 땅 이름 鄲: 조나라 서울 之: 枕: 베개

  • 白日夢(백일몽) : 대낮에 을 꾼다는 뜻으로, 실현될 수 없는 헛된 공상을 이르는 말.
    白: 日: 夢:

  • 羅浮之夢(나부지몽) : 나부산(羅浮山)의 이라는 뜻으로, 덧없는 한바탕의 을 이르는 말.
    羅: 그물 浮: 之: 夢:

  • 靑雲萬里(청운만리) : 입신출세하려는 큰 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靑: 푸를 雲: 구름 萬: 일만 里: 마을

  • 筆頭生花(필두생화) : 붓 끝에 꽃이 핀다는 뜻으로, 당나라 이백이 어릴 적 붓끝에 꽃이 핀 을 꾼 뒤부터 글재주가 크게 진보했다는 고사에서 문필(文筆)에 재주가 있음을 이르는 말.
    筆: 頭: 머리 生: 花:

  • 舞馬之災(무마지재) : ‘화재’를 달리 이르는 말. 말이 춤을 추는 을 꾸면 불이 난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舞: 춤출 馬: 之: 災: 재앙

  • 非夢似夢(비몽사몽) : 완전히 잠이 들지도 잠에서 깨어나지도 않은 어렴풋한 상태.
    非: 아닐 夢: 似: 같을 夢:

  • 夢中占夢(몽중점몽) : 속에서 을 점친다는 뜻으로, 사람의 인생이 덧없다는 의미.
    夢: 中: 가운데 占: 점칠 夢:

  • 夢中說夢(몽중설몽) : 속에서 이야기를 한다는 뜻으로, 무엇을 말하는지 종잡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夢: 中: 가운데 說: 말씀 夢:

  • 一場春夢(일장춘몽) : (1)한바탕의 봄이라는 뜻으로, 헛된 영화나 덧없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단가의 하나. 세상 공명(功名) 하직하고, 부귀영화도 일장춘몽에 지나지 않으니 경치나 찾아다니며 흥취를 돋우자는 내용이다.
    一: 場: 마당 春: 夢:

  • 泡沫夢幻(포말몽환) : 물 위에 뜨는 거품과 이라는 뜻으로, 삶의 덧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泡: 거품 沫: 거품 夢: 幻: 변할

  • 浮生若夢(부생약몽) : 덧없는 인생이 마치 과 같다는 뜻으로, 인생이 처럼 덧없음을 의미하는 말.
    浮: 生: 若: 같을 夢:

  • 夢外之事(몽외지사) : 에도 생각지 못했던 뜻밖의 일.
    夢: 外: 바깥 之: 事:

  • 如醉如夢(여취여몽) : 취한 듯하기도 하고 같기도 함.
    如: 같을 醉: 취할 如: 같을 夢:

  • 夢幻(몽환) : (1)과 환상이라는 뜻으로, 헛되고 터무니없는 생각을 이르는 말. (2)이 세상의 모든 사물이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夢: 幻: 변할

  • 夢想不到(몽상부도) : 에도 생각할 수 없음.
    夢: 想: 생각 不: 아닌가 到: 이를

  • 蕩蕩平平室(탕탕평평실) : 조선 시대에, 정조의 침실을 이르던 말. 정조가 영조의 명을 받아 에도 잊지 않고 탕평책을 펴기에 힘썼다는 데서 유래한다.
    蕩: 쓸어없앨 蕩: 쓸어없앨 平: 평평할 平: 평평할 室:

  • 黃粱一炊夢(황량일취몽) :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黃: 누를 粱: 기장 一: 炊: 불땔 夢:

  • 蝶夢(접몽) : 나비에 관한 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장자(莊子)가 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서는, 자기가 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호랑나비가 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한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蝶: 나비 夢:

  • 黃粱夢(황량몽) :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黃: 누를 粱: 기장 夢:

  • 痴人說夢(치인설몽) : 어리석은 사람이 이야기를 한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이 허망한 말을 늘어놓는다는 뜻이나, 설명이 요령부득(要領不得)이라는 의미로 사용됨.
    痴: 어리석을 人: 사람 說: 말씀 夢:

  • 同床異夢(동상이몽) : (1)같은 자리에 자면서 다른 을 꾼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같이 행동하면서도 속으로는 각각 딴생각을 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2)겉으로는 지지하고 받드는 척하면서 속으로는 반대함을 이르는 말.
    同: 한가지 床: 異: 다를 夢:

  • 華胥之夢(화서지몽) : 낮잠 또는 좋은 을 이르는 말. ≪열자≫의 <황제편(黃帝篇)>에 나오는 말로, 고대 중국의 황제가 낮잠을 자다 을 꾸었는데 화서라는 나라에 가서 그 나라의 어진 정치를 보고 깨어나 깊이 깨달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華: 빛날 胥: 서로 之: 夢:

  • 南柯夢(남가몽) : 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南: 남녘 柯: 가지 夢:

  • 巫山之夢(무산지몽) : 무산(巫山)의 이라는 뜻으로,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巫: 무당 山: 之: 夢:

  • 胡蝶之夢(호접지몽) : 나비에 관한 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장자(莊子)가 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서는, 자기가 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호랑나비가 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한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서 나온 말이다.
    胡: 오랑캐 蝶: 나비 之: 夢:

  • 莊周之夢(장주지몽) : 나와 외물(外物)은 본디 하나이던 것이 현실에서 갈라진 것에 불과하다는 이치를 비유적으로 설명하는 말. 장주가 에 나비가 되었다가 깬 뒤에 자기가 속에서 나비가 되었는지 원래 나비였던 자기가 속에서 장주가 되었는지 알 수 없게 되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장자 사상의 으뜸을 이룬다.
    莊: 엄숙할 周: 두루 之: 夢:

  • 盧生之夢(노생지몽) :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生: 之: 夢:

  • 一炊之夢(일취지몽) :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一: 炊: 불땔 之: 夢:

  • 邯鄲之夢(한단지몽) :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에서 나온 말이다.
    邯: 땅 이름 鄲: 조나라 서울 之: 夢:

  • 南柯一夢(남가일몽) : 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南: 남녘 柯: 가지 一: 夢:

  • 椽大之筆(연대지필) : (1)서까래만 한 큰 붓이라는 뜻으로, 뛰어난 대문장(大文章)이나 대논문(大論文)을 이르는 말. 중국 남조 시대의 감엄(江淹)이 에 곽박(郭璞)에게 서까래만 한 큰 붓을 받은 후 훌륭한 문장을 남겼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2)훌륭한 문장을 짓는 재능. (3)다른 사람의 문장을 칭송하여 이르는 말.
    椽: 서까래 大: 之: 筆:

  • 胡蝶夢(호접몽) : 나비에 관한 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장자(莊子)가 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서는, 자기가 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호랑나비가 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한 이야기에서 나온 말.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서 나온 말이다.
    胡: 오랑캐 蝶: 나비 夢:

  • 呂翁枕(여옹침) :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翁: 늙은이 枕: 베개

#나라 392 #가난 90 #경우 64 #예전 60 #정도 153 #여자 101 #처음 91 #사이 200 #재앙 64 #의미 1817 #어머니 72 #잘못 93 #마음 496 #형제 68 #백성 105 #중국 253 #실패 56 #노력 69 #인간 65 #근본 66 #이익 89 #자리 94 #얼굴 99 #동안 70 #시대 114 #천하 94 #군자 56 #유래 280 #모양 142 #벼슬 88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76개) : 까, 깍, 깐, 깔, 깕, 깜, 깝, 깞, 깡, 깨, 깩, 깸, 깽, 꺅, 꺍, 꺼, 꺽, 껄, 껌, 껍, 껏, 껑, 껓, 께, 껜, 껠, 껨, 껴, 꼬, 꼭, 꼰, 꼳, 꼴, 꼼, 꼽, 꼿, 꽁, 꽂, 꽃, 꽅, 꽉, 꽌, 꽐, 꽝, 꽤, 꽥, 꽹, 꾀, 꾐, 꾹, 꾼, 꿀, 꿈, 꿉, 꿍, 꿘, 꿩, 꿰, 꿱, 뀌, 뀨, 끄, 끅, 끈, 끌, 끍, 끔, 끗, 끙, 끝, 끼, 끽, 낀, 낄, 낌, 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