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에 관한 한자 모두 166

  • 上早莢樹 획순 上早莢樹(상조협수) : 조협나무에 오른다는 뜻으로, 공처가를 이르는 말.
    上: 早: 일찍 莢: 열매 樹: 나무

  • 圓孔方木 획순 圓孔方木(원공방목) : 둥근 구멍에 모난 막대기라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圓: 둥글 孔: 구멍 方: 木: 나무

  • 薪盡火滅 획순 薪盡火滅(신진화멸) : 나무가 다 타서 없어지고 불이 꺼졌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이나 사물의 멸망을 이르는 말.
    薪: 섶나무 盡: 다할 火: 滅: 멸망할

  • 簞食瓢飮 획순 簞食瓢飮(단사표음) :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簞: 대광주리 食: 瓢: 飮: 마실

  • 無憂樹 획순 無憂樹(무우수) : ‘보리수’를 달리 이르는 말. 마야 부인이 보리수 아래에서 싯다르타 태자를 안산하여 근심할 것이 없었다 하여 이렇게 이른다.
    無: 없을 憂: 근심 樹: 나무

  • 催枯拉朽(최고납후) : 마른 나무를 꺾고 썩은 나무를 부러뜨린다는 뜻으로, 일이 대단히 용이(容易)함을 이르는 말.
    催: 재촉할 枯: 마를 朽: 썩을

  • 圓木警枕(원목경침) : 둥근 나무로 만든 경계하는 베개라는 뜻으로, 둥근 목침으로 베개가 굴러 잠에서 깨도록 만든 것인데, 고학(苦學)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로 사용됨.
    圓: 둥글 木: 나무 警: 경계할 枕: 베개

  • 漁樵閑話(어초한화) : 고기잡는 이와 나무하는 이의 한가한 이야기라는 뜻으로, 어부와 나무꾼의 한가한 이야기 같은 명리(名利)를 떠난 이야기를 이르는 말.
    漁: 고기잡을 樵: 땔나무 閑: 한가할 話: 말할

  • 毒樹毒果(독수독과) : 독이 든 나무의 열매에도 독이 있다는 뜻으로, 법에 어긋난 방법으로 얻은 증거는 증거로 인정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毒: 樹: 나무 毒: 果: 실과

  • 四時長靑(사시장청) : 소나무나 대나무같이 식물의 잎이 일 년 내내 푸름.
    四: 時: 長: 靑: 푸를

  • 獨木不成林(독목불성림) : 홀로 선 나무는 숲을 이루지 못한다는 뜻으로, 여럿이 힘을 합쳐야 일이 된다는 의미(意味).
    獨: 홀로 木: 나무 不: 아니 成: 이룰 林: 수풀

  • 草根木皮(초근목피) : (1)풀뿌리와 나무껍질이라는 뜻으로, 맛이나 영양 가치가 없는 거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한약의 재료를 이르는 말.
    草: 根: 뿌리 木: 나무 皮: 가죽

  • 如松之盛(여송지성) : 솔 나무같이 푸르러 성(盛)함은 군자(君子)의 절개(節槪)를 말한 것임.
    如: 같을 松: 之: 盛: 담을

  • 十伐之木(십벌지목) : 열 번 찍어 베는 나무라는 뜻으로,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가 없음을 이르는 말.
    十: 伐: 之: 木: 나무

  • 鳴鳳在樹(명봉재수) : 명군(名君), 성현(聖賢)이 나타나면 봉(鳳)이 운다는 말과 같이 덕망(德望)이 미치는 곳마다 봉(鳳)이 나무 위에서 울 것임.
    鳴: 鳳: 봉새 在: 있을 樹: 나무

  • 木偶石人(목우석인) : 나무나 돌로 만든 사람의 형상.
    木: 나무 偶: 石: 人: 사람

  • 連理枝(련리지) : (1)두 나무의 가지가 서로 맞닿아서 결이 서로 통한 것. (2)화목한 부부나 남녀 사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연리지’의 북한어.
    理: 다스릴 枝: 가지

  • 一樹百穫(일수백확) : 나무 한 그루를 심어서 백 가지의 이익을 본다는 뜻으로, 유능한 인재 하나를 길러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음을 이르는 말.
    一: 樹: 나무 百: 일백 穫: 거둘

  • 三槐(삼괴) : ‘삼공’을 달리 이르는 말. 중국 주나라 때에 조정의 뜰에 세 그루의 회화나무를 심고 삼공이 이를 향하여 앉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三: 槐: 회화나무

  • 驚弓之鳥(경궁지조) :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말.
    驚: 놀랄 弓: 之: 鳥:

  • 博而精(박이정) : 여러 방면(方面)으로 널리 알 뿐 아니라 깊게도 앎. 즉 '나무도 보고 숲도 본다'는 뜻.
    博: 넓을 而: 말 이을 精: 정미할

  • 一木難支(일목난지) : 한 나무로는 지탱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큰 집이 무너지는 것을 한 기둥으로는 받치지 못하는 것처럼, 기울어지는 대세를 혼자서는 감당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一: 木: 나무 難: 어려울 支: 가를

  • 樵童汲婦(초동급부) : 땔나무를 하는 아이와 물을 긷는 아낙네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을 이르는 말.
    樵: 땔나무 童: 아이 汲: 길을 婦: 며느리

  • 折桂(절계) : 계수나무의 가지를 꺾는다는 뜻으로, 과거에 급제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折: 꺾을 桂: 계수나무

  • 木偶人衣(목우인의) : 나무로 만든 인형에 좋은 옷을 입힌다는 뜻으로, 무능한 사람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
    木: 나무 偶: 人: 사람 衣:

  • 干雲蔽日(간운폐일) : 구름을 범하고 해를 가린다는 뜻으로, 나무가 높이 솟아 있음을 이르는 말.
    干: 방패 雲: 구름 蔽: 가릴 日:

  • 凡樹常草(범수상초) : 흔히 볼 수 있는 보통의 나무나 풀.
    凡: 무릇 樹: 나무 常: 항상 草:

  • 草木怒生(초목노생) : 봄이 되어 초목이 싱싱하게 싹이 틈.
    草: 木: 나무 怒: 성낼 生:

  • 木人石心(목인석심) : 나무 같은 사람과 돌 같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의지가 굳어 어떤 유혹에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쓰이거나, 목석 같이 감정이 없는 사람의 의미로도 쓰임.
    木: 나무 人: 사람 石: 心: 마음

  • 木石草花(목석초화) : 나무ㆍ돌ㆍ풀ㆍ꽃이라는 뜻으로, ‘자연’을 이르는 말.
    木: 나무 石: 草: 花:

  • 樗櫟之材(저력지재) : 참나무와 가죽나무 재목이라는 뜻으로, 아무 데도 쓸모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樗: 가죽나무 櫟: 상수리나무 之: 材: 재목

  • 桑弧蓬矢(상호봉시) : 남자가 큰 뜻을 세움을 이르는 말. 옛날 중국에서 남자가 태어나면 뽕나무로 만든 활과 쑥대로 만든 살을 천지 사방에 쏘아 큰 뜻을 이루기를 빌던 풍속에서 유래한다.
    桑: 뽕나무 弧: 蓬: 矢: 화살

  • 存以甘棠(존이감당) : 주(周)나라 소공이 남국의 아가위나무 아래에서 백성(百姓)을 교화(敎化)하였음.
    存: 있을 以: 甘: 棠: 아가위나무

  • 鬱鬱蒼蒼(울울창창) : ‘울울창창하다’의 어근.
    鬱: 답답할 鬱: 답답할 蒼: 푸를 蒼: 푸를

  • 刻木爲吏(각목위리) : 나무를 깎아 관리(官吏)의 형상을 만든다는 뜻으로, 옥리(獄吏)를 심(甚)히 미워해 이르는 말.
    刻: 새길 木: 나무 爲: 吏: 벼슬아치

  • 適地敵樹(적지적수) : 알맞은 땅에 알맞은 나무를 심음.
    適: 地: 敵: 원수 樹: 나무

  • 傷弓之鳥(상궁지조) :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말.
    傷: 다칠 弓: 之: 鳥:

  • 土牛木馬(토우목마) : 흙으로 만든 소와 나무로 만든 말이라는 뜻으로, 겉은 훌륭하나 실속이 없는 것처럼, 가문이 좋을 뿐 아무 재능이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土: 牛: 木: 나무 馬:

  • 扶桑(부상) : (1)해가 뜨는 동쪽 바다. (2)중국 전설에서, 해가 뜨는 동쪽 바닷속에 있다고 하는 상상의 나무. 또는 그 나무가 있다는 곳.
    扶: 도울 桑: 뽕나무

  • 木石(목석) : (1)나무와 돌을 아울러 이르는 말. (2)나무나 돌처럼 아무런 감정도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木: 나무 石:

  • 破竹之勢(파죽지세) : 대를 쪼개는 기세라는 뜻으로, 적을 거침없이 물리치고 쳐들어가는 기세를 이르는 말. ≪진서(晉書)≫의 <두예전(杜預傳)>에서 나온 말이다.
    破: 깨뜨릴 竹: 之: 勢: 기세

  • 同氣連枝(동기연지) : 형제(兄弟)는 부모(父母)의 기운(氣運)을 같이 받았으니 나무의 가지와 같음.
    同: 한가지 氣: 기운 枝: 가지

  • 梅子十二(매자십이) : 매실나무는 심은 지 12년이 되어야 열매를 맺는다는 말.
    梅: 매화나무 子: 아들 十: 二:

  • 輔車(보거) : 수레의 덧방나무와 바퀴라는 뜻으로, 뗄 수 없을 정도로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이르는 말.
    輔: 도울 車: 수레

  • 抱火臥薪(포화와신) : 불을 안고 섶나무 위에 눕는다는 뜻으로, 점점 더 위험(危險)한 짓을 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抱: 안을 火: 臥: 누울 薪: 섶나무

  • 拉朽(납후) : 썩은 나무를 꺾는다는 뜻으로, 어떤 일을 하기가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朽: 썩을

  • 末大必折(말대필절) : 나무 가지가 너무 커지면 반드시 줄기가 부러진다는 뜻으로, 자손(子孫)이 강성해지면 종가(宗家)를 망하게 한다는 의미. 또는 변방(邊方)의 힘이 강해지면 나라가 위태하다는 의미도로 사용됨.
    末: 大: 必: 반드시 折: 꺾을

  • 松竹梅(송죽매) : 소나무와 대나무와 매화나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예로부터 세한삼우라고 하여 시나 그림의 소재로 많이 삼아 왔다.
    松: 竹: 梅: 매화나무

  • 桂棹蘭槳(계도난장) : 계수나무(桂樹--)로 만든 노와 난초(蘭草)의 삿대란 뜻으로, 노와 삿대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
    桂: 계수나무 棹: 槳: 상앗대

  • 乾木生水(건목생수) : 마른나무에서 물이 난다는 뜻으로, 아무것도 없는 사람에게 무리하게 무엇을 내라고 요구함을 이르는 말.
    乾: 마를 木: 나무 生: 水:

  • 梟木(효목) : 죄인의 목을 베어 높이 매달던 나무.
    梟: 올빼미 木: 나무

  • 枯木發榮(고목발영) : (1)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에 빠졌던 사람이 행운을 만나서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늘그막에 아기를 낳거나 대가 끊길 지경에 대를 이을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枯: 마를 木: 나무 發: 榮: 영화

  • 南柯之夢(남가지몽) :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南: 남녘 柯: 가지 之: 夢:

  • 枯木生花(고목생화) : (1)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곤궁한 처지에 빠졌던 사람이 행운을 만나서 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말라 죽은 나무에서 꽃이 핀다는 뜻으로, 늘그막에 아기를 낳거나 대가 끊길 지경에 대를 이을 아들을 낳음을 이르는 말.
    枯: 마를 木: 나무 生: 花:

  • 圍籬安置(위리안치) : 유배된 죄인이 거처하는 집 둘레에 가시로 울타리를 치고 그 안에 가두어 두던 일.
    圍: 둘레 籬: 울타리 安: 편안할 置:

  • 桂玉之艱(계옥지간) : 계수나무보다 비싼 장작과 옥보다 귀한 쌀로 생활하는 어려움이라는 뜻으로, 물가가 비싼 도회지에서 고학(苦學)하는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桂: 계수나무 玉: 구슬 之: 艱: 어려울

  • 脣齒輔車(순치보거) : 입술과 이 중에서 또는 수레의 덧방나무와 바퀴 중에서 어느 한쪽만 없어도 안 된다는 뜻으로, 서로 없어서는 안 될 깊은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脣: 입술 齒: 輔: 도울 車: 수레

  • 木石不傅(목석불부) : 나무에도 돌에도 붙일 데가 없다는 뜻으로, 의지할 곳이 없는 처지를 이르는 말.
    木: 나무 石: 不: 아니 傅: 스승

  • 簞食豆羹(단사두갱) : 대그릇 하나에 담은 밥과 한 그릇의 국이라는 뜻으로, 변변치 못한 소량의 음식을 이르는 말.
    簞: 대광주리 食: 豆: 羹:

  • 合抱之木生於毫末(합포지목생어호말) : 한아름되는 나무도 싹에서 자란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은 미세(微細)한 것에서 시작(始作)됨을 이르는 말.
    合: 합할 抱: 안을 之: 木: 나무 生: 於: 어조사 毫: 가는 털 末:

  • 難上之木勿仰(난상지목물앙) : 오르지 못할 나무 쳐다보지도 말아야 한다는 뜻으로, 될 수 없는 일은 바라지 말라는 뜻.
    難: 어려울 上: 之: 木: 나무 勿: 仰: 우러를

  • 篳路藍縷(필로남루) : 거친 수레와 누더기 옷이라는 뜻으로, 섶나무로 거칠게 만든 허술한 수레를 타고 누더기 옷을 입는 것처럼 천신만고를 참으며 노력하는 일의 의미하거나, 일을 처음으로 창시(創始)하는 어려움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篳: 사립문 路: 縷:

  • 采薪之憂(채신지우) : 병이 들어 나무를 할 수 없다는 뜻으로, 자기(自己)의 병(病)을 겸손(謙遜)하게 이르는 말.
    采: 薪: 섶나무 之: 憂: 근심

  • 毫末斧柯(호말부가) : 털끝에 도끼자루를 쓴다는 뜻으로, 나무는 작을 때 뽑지 않으면 나중엔 도끼를 써야 하는 것처럼, 시초에 처리하지 않으면 나중엔 처리하기 곤란하다는 의미.
    毫: 가는 털 末: 斧: 도끼 柯: 가지

  • 風樹之嘆(풍수지탄) : 바람 맞는 나무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효도를 다하지 못하고 어버이를 여윈 자식의 슬픈 탄식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
    風: 바람 樹: 나무 之: 嘆: 탄식할

  • 直木先伐(직목선벌) : 곧은 나무가 먼저 베어진다는 뜻으로, 유능함 때문에 오히려 천수(天壽)를 다 누리지 못할 수 있다는 의미. <莊子(장자)>.
    直: 곧을 木: 나무 先: 먼저 伐:

  • 梅雨(매우) : 매실이 익을 무렵에 내리는 비라는 뜻으로, 해마다 초여름인 유월 상순부터 칠월 상순에 걸쳐 계속되는 장마를 이르는 말.
    梅: 매화나무 雨:

  • 難上之木不可仰(난상지목불가앙) : 오르지 못할 나무 쳐다보지도 말아야 한다는 뜻으로, 될 수 없는 일은 바라지 말라는 뜻.
    難: 어려울 上: 之: 木: 나무 不: 아니 可: 옳을 仰: 우러를

  • 桑中之喜(상중지희) : 남녀 간의 불의(不義)의 쾌락이나 풍속의 퇴폐를 풍자하여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공실(公室)이 음탕하여 뽕나무밭에서 정을 통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桑: 뽕나무 中: 가운데 之: 喜: 기쁠

  • 鳥喧蛇登樹犬吠客到門(조훤사등수견폐객도문) : 새가 지저귀니 뱀이 나무로 올라가고, 개가 짖으니 손님이 문에 이름.
    鳥: 喧: 떠들썩할 蛇: 登: 오를 樹: 나무 犬: 吠: 짖을 客: 到: 이를 門:

  • 滄海桑田(창해상전) : 푸른 바다가 변하여 뽕나무밭이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滄: 海: 바다 桑: 뽕나무 田:

  • 遷喬(천교) : 꾀꼬리가 골짜기에서 나와 큰 나무로 옮긴다는 뜻으로, 낮은 지위에서 높은 지위로 오름을 이르는 말.
    遷: 옮길 喬: 높을

  • 春樹暮雲(춘수모운) : 봄철의 나무와 저문 날의 구름이라는 뜻으로, 먼 곳에 있는 벗을 그리는 마음이 일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春: 樹: 나무 暮: 저물 雲: 구름

  • 綠陰芳草(녹음방초) : (1)‘녹음방초’의 북한어. (2)푸르게 우거진 나무와 향기로운 풀이라는 뜻으로, 여름철의 자연 경관을 이르는 말.
    陰: 응달 芳: 꽃다울 草:

  • 篳門圭竇(필문규두) : 섶나무 울타리 사립문과 모나고 둥근 허술한(규격이 없는) 창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이르는 말. ‘篳門閨竇’으로도 표현함.
    篳: 사립문 門: 圭: 竇: 구멍

  • 土木形骸(토목형해) : 흙과 나무로 된 뼈대라는 뜻으로, 외형을 장식하거나 덧붙이지 아니한 상태를 이르는 말.
    土: 木: 나무 形: 형상 骸: 해골

  • 聲振林木(성진임목) : 목소리가 숲의 나무를 떨게 한다는 뜻으로, 노랫소리의 격렬함을 비유하는 말.
    聲: 소리 振: 떨칠 木: 나무

  • 桂玉之愁(계옥지수) : 계수나무보다 비싼 장작과 옥보다 귀한 쌀로 생활하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다른 나라에 살면서 겪는 괴로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桂: 계수나무 玉: 구슬 之: 愁: 시름

  • 大樹將軍(대수장군) : ‘장군’을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광무제의 장군 풍이(風異)가 겸손하여 공을 논하지 않고 늘 큰 나무 밑에 물러가 있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大: 樹: 나무 將: 장수 軍: 군사

  • 良禽擇木(양금택목) : (1)‘양금택목’의 북한어. (2)좋은 새는 나무를 가려서 깃들인다는 뜻으로, 훌륭한 사람은 좋은 군주를 가려서 섬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禽: 날짐승 擇: 가릴 木: 나무

  • 積薪之歎(적신지탄) : 적신지탄(積薪之嘆). 쌓이고 쌓인 섶나무의 탄식(歎息)이라는 뜻으로, 먼저 쌓인 섶나무는 항상(恒常) 아래에 있듯이 고참이 승진(昇進)하지 못하고 늘 아랫자리에 있음을 한탄(恨歎)함을 이르는 말.
    積: 쌓을 薪: 섶나무 之: 歎: 탄식할

  • 惡木不蔭(악목불음) : 나쁜 나무는 그늘도 없다는 뜻으로, 좋지 못한 사람에게는 사랄 것이 없다는 의미.
    惡: 악할 木: 나무 不: 아니 蔭: 덕택

  • 負荊請罪(부형청죄) : 가시 나무를 등(等)에 지고 때려 주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사죄(謝罪)하는 것을 의미(意味)함.
    負: 荊: 모형나무 請: 청할 罪: 허물

  • 火樹銀花(화수은화) : 불타는 나무와 은색의 꽃 같다는 뜻으로, 붉고 밝게 타오르는 밝은 등불이나 촛불처럼 등불이 번쩍번쩍 빛남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火: 樹: 나무 銀: 花:

  • 米珠薪桂(미주신계) : 쌀은 구슬처럼 비싸고 땔감은 계수나무처럼 비싸다는 뜻으로, 기본적인 생활의 필수품들이 너무 비싸 살기가 어렵다는 의미.
    米: 珠: 구슬 薪: 섶나무 桂: 계수나무

  • 木石肝腸(목석간장) : 나무나 돌처럼 아무런 감정도 없는 마음씨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木: 나무 石: 肝: 腸: 창자

  • 食玉炊桂(식옥취계) : 옥을 먹고 계수나무를 땐다는 뜻으로, 식량이 옥보다 비싸고 땔감이 계수나무보다 비싸기 때문에 옥을 먹고 계수나무를 때는 것처럼, 물가가 비싸 생활이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食: 玉: 구슬 炊: 불땔 桂: 계수나무

  • 出谷遷喬(출곡천교) : 골짜기에서 나와 높은 곳으로 옮겨간다는 뜻으로, 새가 봄에 깊은 산골에서 높은 나무 위에 옮아앉는다는 것에서 사람의 출세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出: 谷: 遷: 옮길 喬: 높을

  • 桑土綢繆(상토주무) : 새는 폭풍우(暴風雨)가 닥치기 전(前)에 뽕나무 뿌리를 물어다가 둥지의 구멍을 막는다는 뜻으로, 미리 준비(準備)하여 닥쳐 올 재앙(災殃)을 막음을 이르는 말.
    桑: 뽕나무 土: 綢: 얽을 繆: 삼 열단

  • 專修念佛(전수염불) : 오로지 아미타불만을 부르는 일.
    專: 오로지 修: 닦을 佛: 부처

  • 莫登高樹父母憂之(막등고수부모우지) : 높은 나무에 올라가지 않음, 부모(父母)님께서 근심하심.
    莫: 없을 登: 오를 高: 높을 樹: 나무 父: 아비 母: 어미 憂: 근심 之:

  • 柳塘春水漫花塢夕陽遲(류당춘수만화오석양지) : 버들나무 연못에 봄 물은 넘치고, 꽃동산에 저녁 볕은 더딤.
    柳: 버들 塘: 春: 水: 漫: 질펀할 花: 塢: 夕: 저녁 陽: 遲: 늦을

  • 徙木之信(사목지신) :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은 백성을 속이지 않는다는 데서, 백성에 대한 신임을 밝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진(秦)의 상앙(商鞅)이 법령을 개정하려 할 때, 수도 남문의 큰 나무를 북문으로 옮기는 백성에게 상금을 걸었는데, 이를 옮기는 사람이 있자 약속대로 포상하여 법령을 신뢰할 수 있음을 보인 데서 유래한다.
    徙: 옮길 木: 나무 之: 信: 믿을

  • 連抱之木(련포지목) : (1)아름드리 큰 나무. (2)‘연포지목’의 북한어.
    抱: 안을 之: 木: 나무

  • 桃李不言下自成蹊(도리불언하자성혜) : 복숭아(桃)와 오얏(李)은 꽃이 곱고 열매가 맛이 좋으므로, 오라고 하지 않아도 찾아오는 사람이 많아 그 나무 밑에는 길이 저절로 생긴다는 뜻으로, 덕이 있는 사람은 스스로 말하지 않아도 사람들이 따름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桃: 복숭아나무 李: 오얏나무 不: 아니 言: 말씀 下: 아래 自: 스스로 成: 이룰 蹊: 지름길

  • 松茂柏悅(송무백열) : 소나무가 무성하면 잣나무가 기뻐한다는 뜻으로, 벗이 잘되는 것을 기뻐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松: 茂: 우거질 柏: 측백나무 悅: 기쁠

  • 折槀振落(절고진락) : 마른 나무를 꺾어 낙엽을 떨어낸다는 뜻으로, 일이 매우 쉬움을 이르는 말.
    折: 꺾을 槀: 마를 振: 떨칠 落: 떨어질

  • 枯木寒巖(고목한암) : 말라 죽은 나무가 선 것처럼 움직이지 않고, 마음은 죽은 재처럼 아무 생각이 없음, 사람의 무위무심(無爲無心)함을 이름.
    枯: 마를 木: 나무 寒: 巖: 바위

  • 桂玉(계옥) : 땔나무의 값은 계수나무만큼 비싸고 쌀값은 옥값과 맞먹는다는 뜻으로, 장작과 식량이 비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桂: 계수나무 玉: 구슬

  • 移木之信(이목지신) : 나무를 옮기는 신의라는 뜻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위정자(爲政者)는 백성에 대한 약속을 반드시 지킴을 밝히는 일. [= 徙木之信(사목지신)].
    移: 옮을 木: 나무 之: 信: 믿을

2
#유래 280 #마음 496 #잘못 93 #생각 236 #가운데 104 #은혜 70 #아침 72 #음식 79 #재주 82 #형제 68 #바람 136 #동안 70 #소리 96 #예전 60 #근심 65 #학문 107 #군자 56 #나이 97 #사이 200 #상황 119 #목숨 58 #서로 71 #의미 1817 #죽음 73 #여자 101 #근본 66 #자연 73 #때문 58 #집안 93 #편안 6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247개) : 나마, 나만, 나말, 나망, 나매, 나맥, 나머, 나멀, 나멘, 나멩, 나면, 나명, 나모, 나목, 나묘, 나무, 나문, 나물, 나므, 나믈, 나미, 나민, 낙마, 낙막, 낙망, 낙매, 낙맥, 낙면, 낙명, 낙모, 낙목, 난마, 난막, 난만, 난망, 난매, 난맥, 난면, 난명, 난모, 난목, 난무, 난문, 난물, 난민, 날망, 날매, 날메, 날멜, 날명, 날목, 날문, 날물, 날믈, 날밑, 남만, 남매, 남면, 남명, 남모, 남목, 남묘, 남무, 남문, 남물, 남미, 납막, 납매, 납명, 납물, 납미, 납밀, 낫멘, 낫면, 낫몸, 낫물, 낭만, 낭말, 낭못, 낭묘, 낭무, 낮말, 낮물, 낯면, 낱말, 낱뭇, 내마, 내막, 내만, 내말, 내맥, 내면, 내명, 내모, 내목, 내무, 내문, 내물, 내미, 내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