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문 에 관한 한자 모두 58

  • 桑濮之音 획순 桑濮之音(상복지음) :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桑: 뽕나무 濮: 강 이름 之: 音: 소리

  • 聰明自誤 획순 聰明自誤(총명자오) : 총명(聰明)하기 때문에 스스로 일생(一生)을 그르침.
    聰: 귀밝을 明: 밝을 自: 스스로 誤: 그릇할

  • 春分 획순 春分(춘분) : 이십사절기의 하나. 경칩(驚蟄)과 청명(淸明)의 사이에 들며 양력 3월 21일 무렵이다. 태양이 춘분점에 이르러 적도의 위를 직사(直射)하여 밤과 낮의 길이가 거의 같지만, 빛의 굴절 현상 때문에 낮의 길이가 약간 더 길다.
    春: 分: 나눌

  • 自作孼 획순 自作孼(자작얼) : 자기가 저지른 일 때문에 생긴 재앙.
    自: 스스로 作: 지을 孼: 서자

  • 桑間濮上 획순 桑間濮上(상간복상) :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桑: 뽕나무 間: 濮: 강 이름 上:

  • 心廣體胖(심광체반) : 마음이 너그러우면 몸이 편해 살이 찜.
    心: 마음 廣: 넓을 體: 胖: 희생 반쪽

  • 道謀是用(도모시용) : 길에서 도모하기 때문이라는 뜻으로, 길가에 집을 짓는데, 길 가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짓는 것이 좋을까 상의하면 구구한 의견으로 제대로 완성할 수 없는 것처럼 주견(主見) 없이 남의 의견만 쫓으면 일을 성취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作舍道傍(작사도방)].
    道: 謀: 꾀할 是: 옳을 用:

  • 積惡餘殃(적악여앙) : 남에게 악한 짓을 많이 하여 그 죄에 따르는 재앙이 자손에게 미침.
    積: 쌓을 惡: 악할 餘: 남을 殃: 재앙

  • 狼子野心(랑자야심) : (1)이리는 본래의 야성이 있어 좀처럼 길들여지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신의가 없는 사람은 쉽게 교화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2)‘낭자야심’의 북한어.
    子: 아들 野: 心: 마음

  • 貪夫殉財(탐부순재) : 탐욕스러운 자는 재물 때문에 목숨을 버린다는 뜻으로, 탐욕스러운 사람은 재물을 얻기 위해 어떠한 위험도 돌보지 않아 목숨을 잃을 수도 있음을 이르는 말.
    貪: 탐할 夫: 지아비 殉: 따라 죽을 財: 재물

  • 自作之孼(자작지얼) : 자기가 저지른 일 때문에 생긴 재앙.
    自: 스스로 作: 지을 之: 孼: 서자

  • 鳥爲食死(조위식사) : 새가 좋은 먹이를 찾다가 목숨을 잃는다는 뜻으로, 욕심(慾心) 때문에 몸을 망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鳥: 爲: 食: 死: 죽을

  • 初面不知(초면부지) : 처음으로 얼굴을 대하여 아는 바가 없음.
    初: 처음 面: 不: 아닌가 知:

  • 竭澤而漁(갈택이어) : 연못의 물을 말려 고기를 잡는다는 뜻으로, 일시적인 욕심 때문에 먼 장래를 생각하지 않음.
    竭: 다할 澤: 而: 말 이을 漁: 고기잡을

  • 噬臍莫及(서제막급) : 이미 저지른 잘못에 대하여 후회하여도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 사람에게 잡힌 사향노루가 배꼽의 향내 때문에 잡혔다고 제 배꼽을 물어뜯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噬: 씹을 臍: 배꼽 莫: 없을 及: 미칠

  • 咽噎廢食(인열폐식) : 목구멍이 메어서 먹는 것을 그만둔다는 뜻으로, 어떤 사소한 장애 때문에 큰일을 그만 둠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咽: 목구멍 噎: 목멜 廢: 폐할 食:

  • 惠而不費(혜이불비) : 은혜로우나 낭비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남에게는 많은 혜택을 주나 그 때문에 낭비는 하지 않는다는 의미.
    惠: 은혜 而: 말 이을 不: 아니 費:

  • 知者樂水(지자요수) : 슬기로운 사람은 사리에 밝아 막힘이 없는 것이 흐르는 물과 같아서 물과 친하여 물을 즐김을 이르는 말. ≪논어≫ <옹야편(雍也篇)>에 나오는 말이다.
    知: 者: 樂: 좋아할 水:

  • 直木先伐(직목선벌) : 곧은 나무가 먼저 베어진다는 뜻으로, 유능함 때문에 오히려 천수(天壽)를 다 누리지 못할 수 있다는 의미. <莊子(장자)>.
    直: 곧을 木: 나무 先: 먼저 伐:

  • 禍因惡積(화인악적) : 재앙(災殃)은 악(惡)을 쌓음에 인(因)한 것이므로, 재앙(災殃)을 받는 이는 평소(平素)에 악(惡)을 쌓았기 때문임.
    禍: 재난 因: 인할 惡: 악할 積: 쌓을

  • 望梅止渴(망매지갈) : 매실은 시기 때문에 이야기만 나와도 침이 돌아 해갈(解渴)이 된다는 뜻으로, (1) 매실의 맛이 아주 심 (2) 공상으로 마음의 위안을 얻음.
    望: 바랄 梅: 매화나무 止: 그칠 渴: 목마를

  • 桑間之音(상간지음) :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桑: 뽕나무 間: 之: 音: 소리

  • 梟破鏡(효파경) : 올빼미의 파경이라는 뜻으로, 올빼미가 어미새를 잡아먹는 새고, ‘破鏡’은 아비 짐승을 잡아먹는 짐승이기 때문에 흉악무도(凶惡無道)한 악인을 이르는 말.
    梟: 올빼미 破: 깨뜨릴 鏡: 거울

  • 烏焉成馬(오언성마) : ‘烏’와 ‘焉’이 ‘馬’가 된다는 뜻으로, 글자의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혼동하여 잘못 씀을 이르는 말.
    烏: 까마귀 焉: 어찌 成: 이룰 馬:

  • 大辯如訥(대변여눌) : 말을 잘하는 사람은 함부로 지껄이지 아니하여 도리어 말이 서투른 것처럼 보임.
    大: 辯: 말 잘할 如: 같을 訥: 말더듬을

  • 河魚腹疾(하어복질) : 물고기의 배앓이 병이라는 뜻으로, 물고기가 배부터 썩어들기 때문에 뱃속의 병이나 배앓이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
    河: 강 이름 魚: 고기 腹: 疾:

  • 揠苗(알묘) : 곡식의 싹을 뽑아 올린다는 뜻으로, 성공을 서두르다가 도리어 해를 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揠: 뽑을 苗:

  • 豐年化子(풍년화자) : 풍년거지라는 뜻으로, ‘化子’는 중국 백화로 ‘거지’의 뜻이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모두 이익을 볼 때 혼자 빠져 이익을 못 봄을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豐: 풍년 年: 化: 화할 子: 아들

  • 食玉炊桂(식옥취계) : 옥을 먹고 계수나무를 땐다는 뜻으로, 식량이 옥보다 비싸고 땔감이 계수나무보다 비싸기 때문에 옥을 먹고 계수나무를 때는 것처럼, 물가가 비싸 생활이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食: 玉: 구슬 炊: 불땔 桂: 계수나무

  • 鶴脛不可斷(학경불가단) : 학의 다리가 길다고 자르지 말라는 뜻으로, 사물은 각각 타고난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힘으로 함부로 가감손익(加減損益)을 하여서는 안 된다는 의미.
    鶴: 脛: 정강이 不: 아니 可: 옳을 斷: 끊을

  • 負俗之累(부속지루) : 지조가 고상하여 세속을 멀리하기 때문에 세상 사람들로부터 좋지 아니한 말을 들어야 하는 괴로움.
    負: 俗: 풍속 之: 累: 묶을

  • 竹帛之功(죽백지공) : 역사에 남길 만한 공적.
    竹: 帛: 비단 之: 功:

  • 梅林止渴(매림지갈) : 매실나무 숲이 있다고 하여 목마름을 해소하게 했다는 뜻으로, 거짓 희망이나 일시적인 대용품으로 문제를 해결함을 이르는 말.
    梅: 매화나무 林: 수풀 止: 그칠 渴: 목마를

  • 好家居(호가거) : 집안에 머무르는 것이 좋다는 뜻으로, 덕이 부족한 어린 나이로 벼슬길에 나아감은 화(禍)를 부르기 때문에 집안에 있으면서 덕을 잘 닦으라는 말.
    好: 좋을 家: 居: 있을

  • 盲人眼疾(맹인안질) : 장님이 눈병이 걸렸다는 뜻으로, 별 상관이 없는 일이기 때문에 아무 영향이 없다는 의미.
    盲: 소경 人: 사람 眼: 疾:

  • 賦役黃冊(부역황책) : 중국 명나라 때, 조세 대장을 겸한 호적부. 1381년에 이갑제의 실시와 함께 전국적으로 만들게 하였으며, 리(里)를 단위로 10년에 한 번씩 작성하였는데, 황색 표지로 만들었기 때문에 이렇게 불렸다.
    賦: 구실 役: 부릴 黃: 누를 冊:

  • 下等痛悔(하등통회) : 통회의 동기가 하느님에 대한 사랑에 있지 아니하고 죄를 지은 결과로 자기에게 해가 미치기 때문에 뉘우치는 태도.
    下: 아래 等: 등급 痛: 아플 悔: 뉘우칠

  • 生梗之弊(생경지폐) : 두 사람 사이의 불화 때문에 일어난 폐단.
    生: 梗: 대개 之: 弊: 해어질

  • 貪者殉財(탐자순재) : 탐욕스러운 사람은 재물을 위해 목숨까지 버린다는 뜻으로, 탐욕스러운 사람은 재물 때문에 목숨을 잃음을 이르는 말.
    貪: 탐할 者: 殉: 따라 죽을 財: 재물

  • 濮上之音(복상지음) :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말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濮: 강 이름 上: 之: 音: 소리

  • 破瓜之年(파과지년) : (1)여자의 나이 16세를 이르는 말. ‘瓜’ 자를 파자(破字)하면 ‘八’이 두 개로 ‘二八’은 16이 되기 때문이다. (2)남자의 나이 64세를 이르는 말. ‘瓜’ 자를 파자하면 ‘八’이 두 개로 두 개의 ‘八’을 곱하면 64가 되기 때문이다.
    破: 깨뜨릴 瓜: 오이 之: 年:

  • 後生可畏(후생가외) : 젊은 후학들을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으로, 후진들이 선배들보다 젊고 기력이 좋아, 학문을 닦음에 따라 큰 인물이 될 수 있으므로 가히 두렵다는 말. ≪논어≫의 <자한편(子罕篇)>에 나오는 말이다.
    後: 生: 可: 옳을 畏: 두려워할

  • 鳶飛魚躍(연비어약) : 솔개가 날고 물고기가 뛴다는 뜻으로, 온갖 동물이 생을 즐김을 이르는 말.
    鳶: 소리개 飛: 魚: 고기 躍:

  • 道傍苦李(도방고리) : 길가의 쓴 오얏 열매라는 뜻으로, 길가에 있어도 먹지 않는 쓴 열매이기 때문에 남아 있는 것처럼 남에게 버림받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道: 傍: 苦: 李: 오얏나무

  • 池魚之殃(지어지앙) : 못의 물고기에 미치는 재앙이라는 뜻으로, 제삼자가 엉뚱하게 재난을 당함을 이르는 말. 성문(城門)에 난 불을 끄려고 못의 물을 전부 퍼 온 탓으로 그 못의 물고기가 말라 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池: 魚: 고기 之: 殃: 재앙

  • 由我之歎(유아지탄) : 자신을 말미암은 탄식이라는 뜻으로, 자기 때문에 남에게 피해가 미치게 된 것을 한탄한다는 의미.
    由: 말미암을 我: 之: 歎: 탄식할

  • 白龍魚服(백룡어복) : (1)흰 용이 물고기의 옷을 입었다는 뜻으로, 신분이 높고 귀한 사람이 남 모르게 나다님을 이르는 말. (2)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남모르게 나다니다가 뜻하지 않게 욕을 봄을 이르는 말. 신령스러운 흰 용이 물고기로 변하여 다니다가 어부의 그물에 잡혔다는 데서 유래한다.
    白: 龍: 魚: 고기 服:

  • 綈袍戀戀(제포연연) : 구은(舊恩)을 생각하거나 우정이 두터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에 위나라의 수가(須賈)가 진나라에 사신으로 왔을 때, 전에 허물이 없이 그에게 내쫓김을 당한 범저(范雎)가 재상(宰相)이면서도 짐짓 거지 행세를 하고 나타난 것을 보고 가엾이 여겨 옷 한 벌을 주었기 때문에, 범저로부터 이전의 죄를 용서받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綈: 袍: 핫옷

  • 意馬心猿(의마심원) : 생각은 말처럼 달리고 마음은 원숭이처럼 설렌다는 뜻으로, 사람의 마음이 세속의 번뇌와 욕정 때문에 항상 어지러움을 이르는 말.
    意: 馬: 心: 마음 猿: 원숭이

  • 象齒焚身(상치분신) : 코끼리는 상아가 있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죽임을 당한다는 뜻으로, 재물이 많으면 화를 입기 쉬움을 이르는 말.
    象: 코끼리 齒: 焚: 불사를 身:

  • 十人十色(십인십색) : (1)영국의 시인이자 극작가인 존슨이 지은 희곡. 5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시로 나온 시골 청년이 아름다운 애인을 사귀게 되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조급성ㆍ허세ㆍ질투 등 인간의 여러 가지 성질 때문에 일어나는 우스꽝스러운 사건을 묘사하였다. 예리하고 지성적인 풍자와 조소를 통하여 영국의 희극에 새로운 유형을 도입한 기질 희극의 대표적 작품이다. 1598년에 발표되었다. (2)열 사람의 열 가지 색이라는 뜻으로, 사람의 모습이나 생각이 저마다 다름을 이르는 말.
    十: 人: 사람 十: 色:

  • 蜀犬吠日(촉견폐일) : 식견이 좁은 사람이 현인(賢人)의 언행을 의심하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촉나라는 산이 높고 안개가 항상 짙어 해가 보이는 날이 드물기 때문에 개들이 해를 보면 이상히 여겨 짖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蜀: 나라 이름 犬: 吠: 짖을 日:

  • 置之亡地而後存(치지망지이후존) : 군인(軍人)은 사지(死地)에 놓으면 죽을힘을 다해 싸우기 때문에 살아남을 수 있음.
    置: 之: 亡: 잃을 地: 而: 말 이을 後: 存: 있을

  • 走馬燈(주마등) : (1)등(燈)의 하나. 등 한가운데에 가는 대오리를 세우고 대 끝에 두꺼운 종이로 만든 바퀴를 붙이고 종이로 만든 네 개의 말 형상을 달아서 촛불로 데워진 공기의 힘으로 종이 바퀴에 의하여 돌게 되어 있다. (2)무엇이 언뜻언뜻 빨리 지나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走: 달릴 馬: 燈: 등불

  • 名不虛傳(명불허전) : 명성이나 명예가 헛되이 퍼진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이름날 만한 까닭이 있음을 이르는 말.
    名: 이름 不: 아니 虛: 傳: 전할

  • 餘桃啗君(여도담군) : 먹다 남은 복숭아를 임금에게 먹게 했다는 뜻으로, 똑같은 행위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의 애증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위(衛)나라의 미자하(彌子瑕)가 임금의 총애를 받을 때에는 제가 먹던 복숭아를 바쳐 신임을 얻었으나, 총애를 잃은 후에는 그 행동 때문에 죄를 얻어 처벌되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餘: 남을 桃: 복숭아나무 啗: 먹을 君: 임금

  • 至上命令(지상명령) : 칸트 철학에서, 행위의 결과에 구애됨이 없이 행위 그것 자체가 선(善)이기 때문에 무조건 그 수행이 요구되는 도덕적 명령.
    至: 이를 上: 命: 목숨 令: 하여금

  • 望梅解渴(망매해갈) : 매실은 보기만 하여도 침이 돌아 목마름이 해소된다는 뜻으로, 매실의 맛이 아주 심을 이르는 말.
    望: 바랄 梅: 매화나무 解: 渴: 목마를

#방법 59 #자연 73 #재앙 64 #동안 70 #이익 89 #중국 253 #재능 61 #상황 119 #은혜 70 #태도 72 #처음 91 #집안 93 #바람 136 #부부 76 #사용 312 #문장 59 #근심 65 #천하 94 #신하 62 #따위 228 #시대 114 #상대 56 #음식 79 #세월 71 #이름 211 #서로 71 #형용 67 #머리 141 #모습 66 #세상 339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5개) : 따문, 딴말, 딴맛, 딴면, 딸막, 땀몸, 땀물, 땅면, 때문, 때물, 때미, 때민, 땜모, 땟물, 떠묵, 떡말, 떡매, 떡메, 떡목, 떡미, 떤물, 떵물, 떼말, 떼목, 떼미, 뗏마, 뗏말, 뗏목, 또마, 또망, 또매, 똑메, 똘물, 똥물, 뙈미, 뙤미, 뚜물, 뚝막, 뚝메, 뚠물, 뚬물, 뚬믈, 뛰미, 뜨막, 뜨명, 뜨물, 뜨믈, 뜨미, 뜬말, 뜬묵, 뜬물, 뜰막, 뜰망, 뜰먹, 뜰못, 뜸막, 뜸메, 뜸모, 뜸물, 띔목, 띠모, 띠물, 띠미, 띰목, 뜬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