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1,515

  • 魂飛中天 획순 魂飛中天(혼비중천) :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魂: 飛: 中: 가운데 天: 하늘

  • 齒亡脣亦支 획순 齒亡脣亦支(치망순역지) :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있던 것이 없어져서 불편(不便)하더라도 없는 대로 참고 살아간다는 .
    齒: 亡: 잃을 脣: 입술 亦: 支: 가를

  • 愚問賢答 획순 愚問賢答(우문현답) :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현명한 대답.
    愚: 어리석을 問: 물을 賢: 어질 答: 대답할

  • 杜口呑聲 획순 杜口呑聲(두구탄성) : 입을 닫고 소리를 삼킨다는 뜻으로, 입 다물고 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
    杜: 팥배나무 口: 呑: 삼킬 聲: 소리

  • 語言薄過 획순 語言薄過(어언박과) : 대단하지 아니한 의 허물.
    語: 말씀 言: 말씀 薄: 엷을 過: 지날

  • 濫竽(남우)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竽: 피리

  • 父主(부주) : 한문 투의 편지에서, ‘아버님’의 뜻으로 쓰는 .
    父: 아비 主: 주인

  • 懸祖考(현조고) : 신주(神主)나 축문(祝文)에서 '돌아간 할아버지'를 일컫는 .
    懸: 매달 祖: 할아비 考: 상고할

  • 雪上加霜(설상가상) :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불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
    雪: 上: 加: 더할 霜: 서리

  • 不夜城(불야성) :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이다.
    不: 아니 夜: 城:

  • 難言之境(난언지경) : 밝혀 하기 어려운 경우나 처지.
    難: 어려울 言: 말씀 之: 境: 지경

  • 魚頭一味(어두일미) : 물고기는 머리 쪽이 그중 맛이 있다는 .
    魚: 고기 頭: 머리 一: 味:

  • 精神一到何事不成(정신일도하사불성) : 정신(精神)을 한 곳으로 하면 무슨 일인들 이루어지지 않으랴라는 뜻으로,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여 노력(努力)하면 어떤 어려운 일이라도 성취(成就)할 수 있다는 .
    精: 정미할 神: 一: 到: 이를 何: 어찌 事: 不: 아니 成: 이룰

  • 負荊(부형) : 스스로 가시나무를 짊어진다는 뜻으로, 사죄함을 이르는 .
    負: 荊: 모형나무

  • 溫故知新(온고지신) :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앎. ≪논어≫의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공자의 이다.
    溫: 따뜻할 故: 知: 新:

  • 勞而無功(노이무공) : 애는 썼으나 보람이 없음을 이르는 . ≪장자≫ <천운편(天運篇)>, ≪관자(管子)≫ <형세편(形勢篇)>에 나오는 이다.
    而: 말 이을 無: 없을 功:

  • 狐疑未決(호의미결) : 여우가 의심이 많아 결단을 내리지 못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대하여 의심이 많아 결행(決行)하지 못함을 비유(比喩)하는 .
    狐: 여우 疑: 의심할 未: 아닐 決:

  • 天不言而信(천불언이신) : 하늘은 하지 않아도 믿는다는 뜻으로, 하늘은 그 행하는 바가 떳떳하여 틀림이 없음을 이르는 .
    天: 하늘 不: 아니 言: 말씀 而: 말 이을 信: 믿을

  • 下誠(하성) : 주로 편지글에서, 웃어른에게 자기의 정성을 낮추어 이르는 .
    下: 아래 誠: 정성

  • 言行相反(언행상반) : 과 행동이 하나로 이른다는 뜻으로, 과 행동이 같다는 의미.
    言: 말씀 行: 相: 서로 反: 돌이킬

  • 浮言流說(부언유설) : 아무 근거 없이 널리 퍼진 소문.
    浮: 言: 말씀 說: 말씀

  • 樂而忘憂(낙이망우) : 즐겨서 시름을 잊는다는 뜻으로, 도(道)를 행(行)하기를 즐거워하여 가난 따위의 근심을 잊는다는 .
    而: 말 이을 忘: 잊을 憂: 근심

  • 橫竪說去(횡수설거) : 을 이렇게 했다가 저렇게 했다가 하다, 두서가 없이 아무렇게나 떠드는 것.
    橫: 가로 竪: 더벅머리 說: 말씀 去:

  • 測水深昧人心(측수심매인심) : 물 속 깊이는 알아도 사람의 마음속은 모른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사람의 마음은 헤아리기가 어렵다는 .
    測: 水: 深: 깊을 昧: 어두울 人: 사람 心: 마음

  • 伏慕區區(복모구구) : 삼가 사모하는 마음 그지없다는 뜻으로, 한문 투의 편지에 쓰는 .
    伏: 엎드릴 慕: 그리워할 區: 갈피 區: 갈피

  • 除煩(제번) : 번거로운 인사을 덜어 버리고 할 만 적는다는 뜻으로, 간단한 편지의 첫머리에 쓰는 .
    除: 煩: 번거로울

  • 桑濮之音(상복지음) : 복수(濮水) 주변의 뽕나무 숲에서 나온 음란한 음악. 뽕나무밭이 남녀가 몰래 만나기 쉬운 장소였기 때문에 나온 로 망국의 음악을 이른다.
    桑: 뽕나무 濮: 강 이름 之: 音: 소리

  • 猛虎出林(맹호출림) : 사나운 호랑이가 숲에서 나온다는 뜻으로, 평안도 사람의 용맹하고 성급한 성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
    猛: 사나울 虎: 出: 林: 수풀

  • 出言有章(출언유장) : 나오는 마다 문채가 있다는 뜻으로, 하는 이 아름답고 훌륭함을 이르는 .
    出: 言: 말씀 有: 있을 章: 문채

  • 傾囷倒廩(경균도름) : (1)어떤 일을 하기 위하여 모든 재산을 내놓음. (2)마음에 품은 생각을 숨김없이 드러내어 함.
    傾: 기울 囷: 곳집 倒: 넘어질 廩: 곳집

  • 累巨萬(루거만) : (1)매우 많음. 또는 매우 많은 액수. (2)‘누거만’의 북한어.
    巨: 萬: 일만

  • 使臂使指(사비사지) : 팔과 손가락을 쓴다는 뜻으로, 명령과 지시 따위를 뜻대로 할 수 있음을 이르는 .
    使: 부릴 臂: 使: 부릴 指: 손가락

  • 甘言美語(감언미어) : 달콤하고 아름다운 .
    甘: 言: 말씀 美: 아름다울 語: 말씀

  • 轉交(전교) : (1)다른 사람의 손을 거쳐 편지나 서류 따위를 교부함. (2)다른 사람을 거쳐서 받게 한다는 뜻으로, 편지 겉봉에 쓰는 .
    轉: 구를 交: 사귈

  • 同心之言其臭如蘭(동심지언기취여란) : 마음을 함께 하는 은 그 냄새가 난초(蘭草)와 같음.
    同: 한가지 心: 마음 之: 言: 말씀 其: 臭: 냄새 如: 같을 蘭: 난초

  • 無憂樹(무우수) : ‘보리수’를 달리 이르는 . 마야 부인이 보리수 아래에서 싯다르타 태자를 안산하여 근심할 것이 없었다 하여 이렇게 이른다.
    無: 없을 憂: 근심 樹: 나무

  • 名不虛得(명불허득) : 명예나 명성은 헛되이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님.
    名: 이름 不: 아니 虛: 得: 얻을

  • 如履薄氷(여리박빙) : 살얼음을 밟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아슬아슬하고 위험한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
    如: 같을 履: 밟을 薄: 엷을 氷: 얼음

  • 詠雪之才(영설지재) : 여자의 뛰어난 글재주. 중국 진나라 사(謝) 씨의 딸이 시를 짓는데 눈을 보고 바람에 날리는 버들가지 같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詠: 읊을 雪: 之: 才: 재주

  • 竹馬故友(죽마고우) : 대을 타고 놀던 벗이라는 뜻으로, 어릴 때부터 같이 놀며 자란 벗.
    竹: 馬: 故: 友:

  • 變色之言(변색지언) : 안색(顔色)을 바꾸고 노해 꾸짖는 .
    變: 변할 色: 之: 言: 말씀

  • 同根連枝(동근연지) : 같은 뿌리와 잇닿은 나뭇가지라는 뜻으로, 형제(兄弟), 자매(姉妹)를 일컫는 .
    同: 한가지 根: 뿌리 枝: 가지

  • 梁上塗灰(양상도회) : (1)‘양상도회’의 북한어. (2)들보 위에 회(灰)를 바른다는 뜻으로, 얼굴에 분을 많이 바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
    上: 塗: 진흙 灰:

  • 大馬不死(대마불사) : 바둑에서, 대마가 결국은 살길이 생겨 쉽게 죽지 않는 일.
    大: 馬: 不: 아니 死: 죽을

  • 黃壤之客(황양지객) : 저승으로 간 나그네라는 뜻으로, 죽은 사람을 이르는 .
    黃: 누를 壤: 之: 客:

  • 言有召禍(언유소화) : 은 화를 부름이 있다는 뜻으로, 은 이따금 화단(禍端)을 불러올 수 있음을 이르는 .
    言: 말씀 有: 있을 召: 부를 禍: 재난

  • 謀事在人(모사재인) : 일을 꾸미는 것은 사람에게 달렸다는 뜻으로, 결과는 하늘에 맡기고 일을 힘써 꾀하여야 함을 이르는 .
    謀: 꾀할 事: 在: 있을 人: 사람

  • 敢言之地(감언지지) : 거리낌 없이 할 만한 자리나 처지.
    敢: 감히 言: 말씀 之: 地:

  • 積善餘慶(적선여경) : 착한 일을 많이 한 결과로 경사스럽고 복된 일이 자손에게까지 미침. ≪주역≫의 <문언전(文言傳)>에 나오는 이다.
    積: 쌓을 善: 착할 餘: 남을 慶: 경사

  • 南蠻北狄(남만북적) : 남쪽과 북쪽에 있는 오랑캐. 예전에 중국에서 거란이나 몽고, 인도차이나 따위의 여러 민족을 이르던 이다.
    南: 남녘 蠻: 오랑캐 北: 북녘 狄: 오랑캐

  • 三豕渡河(삼시도하) : 글자를 오독(誤讀)하거나 오용(誤用)함을 이르는 . ‘기해’를 ‘삼시(三豕)’로, ‘섭하(涉河)’를 ‘도하’로 잘못 읽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三: 豕: 돼지 渡: 건널 河: 강 이름

  • 信言之瑞(신언지서) : 信은 의 부절(符節)이라는 뜻으로, 전일(前日)에 한 이 후일(後日)의 일과 일치함을 이르는 신의(信義)의 소중한 가치를 강조하는 의미. [瑞는 符(부)의 의미].
    信: 믿을 言: 말씀 之: 瑞: 상서

  • 竿頭之勢(간두지세) : 대막대기 끝에 선 형세라는 뜻으로, 매우 위태로운 형세를 이르는 .
    竿: 장대 頭: 머리 之: 勢: 기세

  • 百戰百勝(백전백승) : 싸울 때마다 다 이김.
    百: 일백 戰: 싸움 百: 일백 勝: 이길

  • 偕老同穴(해로동혈) : (1)살아서는 같이 늙고 죽어서는 한 무덤에 묻힌다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하자는 부부의 굳은 맹세를 이르는 . ≪시경≫에 나오는 이다. (2)육방해면의 해면동물. 몸의 길이는 11~36cm, 폭은 2~6cm이고 수세미와 비슷한 둥근 통 모양이다. 대한 해협, 일본 근해의 깊은 바다에 산다.
    偕: 함께 老: 늙을 同: 한가지 穴: 구멍

  • 椎輕釘聳(추경정용) : 마치가 가벼우면 못이 솟는다는 뜻으로, 윗사람이 약하면 아랫사람이 을 듣지 아니함을 이르는 .
    椎: 몽치 輕: 가벼울 釘: 聳: 솟을

  • 阿父(아부) : 예전에, ‘아버지’를 정답게 이르던 .
    阿: 언덕 父: 아비

  • 他山之石(타산지석) : 다른 산의 나쁜 돌이라도 자신의 산의 옥돌을 가는 데에 쓸 수 있다는 뜻으로, 본이 되지 않은 남의 이나 행동도 자신의 지식과 인격을 수양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 ≪시경≫ <소아(小雅)>에 나오는 이다.
    他: 다를 山: 之: 石:

  • 家無擔石(가무담석) : 석(石)은 한 항아리, 담(擔)은 두 항아리의 뜻으로, 집에 조금도 없다는 로, 집에 재물(財物)의 여유(餘裕)가 조금도 없음.
    家: 無: 없을 擔: 石:

  • 被髮纓冠(피발영관) : 머리를 풀어 헤친 채 갓끈을 맨다는 뜻으로, 몹시 바쁜 상황을 이르는 . ≪맹자≫의 <이루하(離婁下)>에 나오는 이다.
    被: 이불 髮: 터럭 纓: 갓끈 冠:

  • 不言之化(불언지화) : 하지 않는 교화(敎化)라는 뜻으로, 로 하지 않고 자연히 德(덕)으로 주는 感化(감화)의 의미.
    不: 아니 言: 말씀 之: 化: 화할

  • 駟不及舌(사불급설) : 아무리 빠른 사마(駟馬)라도 혀를 놀려서 하는 을 따르지 못한다는 뜻으로, 소문은 순식간에 퍼지는 것이므로 을 조심하여야 함을 이르는 .
    駟: 사마 不: 아니 及: 미칠 舌:

  • 北窓三友(북창삼우) : 거문고, 술, 시(詩)를 아울러 이르는 .
    北: 북녘 窓: 三: 友:

  • 繼體之君(계체지군) : 임금의 자리를 이어받을 황태자나 왕세자.
    繼: 이을 體: 之: 君: 임금

  • 大言壯語(대언장어) : 제 분수에 맞지 않는 을 희떱게 지껄임. 또는 그 .
    大: 言: 말씀 壯: 씩씩할 語: 말씀

  • 無足之言飛千里(무족지언비천리) : 발없는 이 천리까지 날아간다는 뜻으로, 이란 순식간에 멀리 퍼져 나감으로 조심하라는 뜻.
    無: 없을 足: 之: 言: 말씀 飛: 千: 일천 里: 마을

  • 難爲兄難爲弟(난위형난위제) : 누구를 형이라 아우라 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1) 누가 더 낫다고 할 수 없을 정도(程度)로 서로 비슷함 (2) 사물(事物)의 우열(優劣)이 없다는 로 곧 비슷하다는 .
    難: 어려울 爲: 兄: 難: 어려울 爲: 弟: 아우

  • 蜂目豺聲(봉목시성) : 벌과 같은 눈과 승냥이 같은 목소리라는 뜻으로, 흉악한 인상을 이르는 .
    蜂: 目: 豺: 승냥이 聲: 소리

  • 山盡水窮(산진수궁) : 산이 막히고 물줄기가 끊어져 더 갈 길이 없다는 뜻으로, 막다른 경우에 이름을 이르는 .
    山: 盡: 다할 水: 窮: 다할

  • 乃武乃文(내무내문) : 문무(文武)를 아울러 갖추었다는 뜻으로 임금의 높은 덕을 기려 이르는 .
    乃: 이에 武: 호반 乃: 이에 文: 글월

  • 他弓莫輓(타궁막만) : 남의 활을 당겨 쏘지 라는 뜻으로, (1) 무익한 일은 하지 라는 (2) 자기(自己)가 닦은 것을 지켜 딴 데 마음 쓰지 것을 이르는 .
    他: 다를 弓: 莫: 없을 輓:

  • 淺學菲才(천학비재) : 학문이 얕고 재주가 변변치 않다는 뜻으로, 자기 학식을 겸손하게 이르는 .
    淺: 얕을 學: 배울 菲: 엷을 才: 재주

  • 走馬加鞭(주마가편) : 달리는 에 채찍질한다는 뜻으로, 잘하는 사람을 더욱 장려함을 이르는 .
    走: 달릴 馬: 加: 더할 鞭: 채찍

  • 桃李滿天下(도리만천하) : 복숭아와 오얏이 천하(天下)에 가득하다는 뜻으로, 우수(優秀)한 문하생(門下生)이 많음을 비유(比喩)하는 .
    桃: 복숭아나무 李: 오얏나무 滿: 天: 하늘 下: 아래

  • 大智如愚(대지여우) : 슬기로운 사람은 그 슬기를 함부로 드러내지 않으므로 겉으로는 어리석게 보인다는 .
    大: 智: 슬기 如: 같을 愚: 어리석을

  • 葉錢(엽전) : (1)예전에 사용하던, 놋쇠로 만든 돈. 둥글고 납작하며 가운데에 네모진 구멍이 있다. 고려 시대의 삼한중보ㆍ삼한통보ㆍ동국중보ㆍ해동중보 따위와, 조선 시대의 조선통보ㆍ상평통보ㆍ당백전ㆍ당오전 따위를 들 수 있다. (2)우리나라 사람이 스스로를 낮잡아 이르는 . (3)소나 같은 길짐승의 머리 앞부분에 장식으로 다는 둥글넓적한 금속.
    葉: 錢:

  • 出口入耳(출구입이) : 갑의 입에서 나온 이 을의 귀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당사자 이외에는 아는 사람이 없으므로 비밀이 될 수 있음을 이르는 .
    出: 口: 入: 耳:

  • 聰明不如鈍筆(총명불여둔필) : 총명(聰明)은 둔필만 못하다는 뜻으로, 아무리 기억력(記憶力)이 좋다 해도 그때그때 적어 두어야 한다는 .
    聰: 귀밝을 明: 밝을 不: 아니 如: 같을 鈍: 무딜 筆:

  • 言笑自若(언소자약) : 근심이나 놀라운 일을 당하였을 때도 보통 때와 같이 웃고 이야기함.
    言: 말씀 笑: 웃을 自: 스스로 若: 같을

  • 御人如馬(어인여마) : 사람을 부리는 것이 을 부리듯 노련(老鍊)함.
    御: 어거할 人: 사람 如: 같을 馬:

  • 四邪命食(사사명식) : 승려의 떳떳하지 못한 네 가지 생활 방식. 하구식(下口食), 앙구식(仰口食), 방구식(方口食), 유구식(維口食)이다. 비구는 본디 걸식 생활을 본의로 하는데 다른 생활도 함을 이르는 이다.
    四: 邪: 간사할 命: 목숨 食:

  • 生寄死歸(생기사귀) : 사람이 이 세상에 사는 것은 잠시 머무는 것일 뿐이며 죽는 것은 원래 자기가 있던 본집으로 돌아가는 것임을 이르는 .
    生: 寄: 부칠 死: 죽을 歸: 돌아갈

  • 調御丈夫(조어장부) : 여래 십호(如來十號)의 하나. 중생을 잘 이끌어 가르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부처’를 달리 이르는 이다.
    調: 고를 御: 어거할 丈: 어른 夫: 지아비

  • 甛言蜜語(첨언밀어) : (1) 듣기 좋은 (2) 남을 꾀기 위(爲)한 달콤한 .
    甛: 言: 말씀 蜜: 語: 말씀

  • 道有升降(도유승강) : 길에는 오르고 내림이 있다는 뜻으로, 천도에는 크게 융성(隆盛)함과 쇠망(衰亡)함의 두 가지가 있다는 .
    道: 有: 있을 升: 降: 내릴

  • 無事不涉(무사불섭) : 천도교에서, 한울님은 간섭하지 않는 일이 없음을 이르는 .
    無: 없을 事: 不: 아니 涉: 건널

  • 情弟(정제) : 주로 편지글에서, 정다운 아우라는 뜻으로 다정한 벗 사이에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情: 弟: 아우

  • 慈母(자모) : (1)자식에 대한 사랑이 깊다는 뜻으로 ‘어머니’를 이르는 . (2)팔모(八母)의 하나. 어머니를 여읜 뒤 자신을 길러 준 아버지의 첩을 이르는 이다.
    慈: 사랑 母: 어미

  • 開源節流(개원절류) : 재원(財源)을 늘리고 지출을 줄인다는 뜻으로, 부를 이루기 위하여 반드시 지켜야 할 원칙(原則)을 비유(比喩)한 .
    開: 源: 근원 節: 마디 流: 흐를

  • 毒樹毒果(독수독과) : 독이 든 나무의 열매에도 독이 있다는 뜻으로, 법에 어긋난 방법으로 얻은 증거는 증거로 인정할 수 없음을 이르는 .
    毒: 樹: 나무 毒: 果: 실과

  • 三尺秋水(삼척추수) : 날이 시퍼렇게 선 긴 칼.
    三: 尺: 秋: 가을 水:

  • 揚弓擧矢(양궁거시) : 활과 화살을 높이 든다는 뜻으로, ‘승리’를 이르는 .
    揚: 오를 弓: 擧: 矢: 화살

  • 過麥田大醉(과맥전대취) : 보리밭을 지나가도 크게 취한다는 뜻으로, 밀밭을 지나다 밀 냄새만 맡아도 취하는 것처럼, 술을 못 마시는 사람을 놀리는 로 사용함.
    過: 지날 麥: 보리 田: 大: 醉: 취할

  • 怨入骨髓(원입골수) : 원한이 골수에 사무친다는 뜻으로, 몹시 원망함을 이르는 . ≪사기≫ <진본기(秦本記)>에 나오는 이다.
    怨: 원망할 入: 骨: 髓: 골수

  • 餘桃之罪(여도지죄) : 같은 행동(行動)이라도 사랑을 받을 때와 미움을 받을 때가 각기 다르게 받아 들여질 수 있다는 것을 비유(比喩)하는 .
    餘: 남을 桃: 복숭아나무 之: 罪: 허물

  • 寸鐵殺人(촌철살인) : 한 치의 쇠붙이로도 사람을 죽일 수 있다는 뜻으로, 간단한 로도 남을 감동하게 하거나 남의 약점을 찌를 수 있음을 이르는 .
    寸: 마디 鐵: 殺: 죽일 人: 사람

  • 千門萬戶(천문만호) : (1)수많은 백성들의 집. (2)대궐의 많은 문호를 이르는 .
    千: 일천 門: 萬: 일만 戶: 지게

  • 四海兄弟(사해형제) : 온 세상 사람이 모두 형제와 같다는 뜻으로, 친밀함을 이르는 . ≪논어≫의 <안연편(顔淵篇)>에서 사해 안에 있는 사람을 모두 형제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四: 海: 바다 兄: 弟: 아우

  • 壺中天(호중천) : 항아리 속에 있는 신기한 세상이라는 뜻으로, 별천지ㆍ별세계ㆍ선경(仙境) 따위를 이르는 .
    壺: 中: 가운데 天: 하늘

  • 使民以時(사민이시) : 백성을 부리는 것은 때에 맞게 한다는 뜻으로, 농번기를 피하여 백성들을 사역(使役)시킨다는 의미인데, 孔子가 한 백성을 올바로 다스리는 그 첩경의 하나임.
    使: 부릴 民: 백성 以: 時:

2 3 4
#재앙 64 #근본 66 #학문 107 #중국 253 #백성 105 #어머니 72 #여자 101 #서로 71 #나라 392 #비유 1177 #물건 136 #음식 79 #목숨 58 #소리 96 #동안 70 #훌륭 85 #가운데 104 #자식 104 #잘못 93 #부부 76 #관계 90 #이름 211 #세상 339 #형제 68 #임금 189 #방법 59 #은혜 70 #머리 141 #근심 65 #생활 8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9개) : 마, 막, 만, 맏, 말, 맑, 맗, 맘, 맛, 망, 맞, 맡, 맣, 매, 맥, 맨, 맬, 맴, 맵, 맹, 먀, 머, 먹, 먻, 먼, 멀, 멈, 멋, 멍, 멎, 메, 멕, 멘, 멜, 멤, 멧, 멩, 멫, 며, 멱, 면, 멸, 몀, 몃, 명, 몇, 모, 목, 몫, 몬, 몯, 몰, 몱, 몸, 못, 몽, 뫃, 뫼, 뫽, 묄, 묌, 묏, 묗, 묘, 묫, 무, 묵, 묶, 문, 물, 뭀, 뭄, 뭇, 뭉, 뭍, 뭐, 뭔, 뭘, 뭣, 뭬, 뮈, 뮐, 뮤, 뮬, 므, 믄, 믈, 믐, 믜, 미, 믹, 민, 밀, 밇, 밈, 밋, 밍, 및, 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