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습 에 관한 한자 모두 66

  • 肝腦塗地 획순 肝腦塗地(간뇌도지) : 참혹한 죽임을 당하여 간장(肝臟)과 뇌수(腦髓)가 땅에 널려 있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돌보지 않고 애를 씀을 이르는 말.
    肝: 腦: 塗: 진흙 地:

  • 古今同然 획순 古今同然(고금동연) : 예전이나 지금이나 모습이나 형편이 같음.
    古: 今: 이제 同: 한가지 然: 그러할

  • 油頭粉面 획순 油頭粉面(유두분면) : 기름 바른 머리와 분 바른 얼굴이라는 뜻으로, 여자의 화장한 모습을 이르는 말.
    油: 기름 頭: 머리 粉: 가루 面:

  • 醉翁之意 획순 醉翁之意(취옹지의) : 취한 노인의 뜻이라는 뜻으로, 다른 의도나 속셈이 있거나 안팎의 모습이 다른 상황을 이르는 말.
    醉: 취할 翁: 늙은이 之: 意:

  • 秋風索莫 획순 秋風索莫(추풍삭막) : 가을바람이 황량하고 쓸쓸하게 분다는 뜻으로, 예전의 권세는 간 곳이 없고 초라해진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秋: 가을 風: 바람 索: 동아줄 莫: 없을

  • 兩小無猜(양소무시) : 두 아이가 시기(猜忌)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아이들의 천진한 모습을 이르는 말.
    小: 작을 無: 없을 猜: 시기할

  • 蒲柳之姿(포류지자) : 갯버들의 모습이라는 뜻으로, 갯버들 잎이 일찍 시들어 떨어지는 데서, 쇠약한 몸이라는 것을 스스로 표현할 때 사용하거나, 선천적으로 유약한 체질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로 사용됨.
    蒲: 부들 柳: 버들 之: 姿: 맵시

  • 鶴髮童顔(학발동안) : 머리털은 하얗게 세었으나 얼굴은 아이와 같다는 뜻으로, 전설 따위에 나오는 신선의 얼굴을 이르는 말.
    鶴: 髮: 터럭 童: 아이 顔: 얼굴

  • 刻露淸秀(각로청수) : 나뭇잎이 지고 산 모습이 드러나 맑고 빼어나다는 뜻으로, 가을의 경치가 맑고 수려해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刻: 새길 露: 이슬 淸: 맑을 秀: 빼어날

  • 駭躍超驤(해약초양) : 뛰고 달리며 노는 가축(家畜)의 모습을 말함.
    駭: 놀랄 躍: 超: 넘을 驤: 머리 들

  • 半面美人(반면미인) : 측면에서 얼굴의 한쪽 면만을 그린 미인의 그림.
    半: 面: 美: 아름다울 人: 사람

  • 眞面目(진면목) : 본디부터 지니고 있는 그대로의 상태.
    眞: 面: 目:

  • 目容必端口容必止(목용필단구용필지) : 눈의 모습은 반드시 단정(端正)하게 하고 입의 모습은 반드시 다물고 있는 듯이 함.
    目: 容: 얼굴 必: 반드시 端: 바를 口: 容: 얼굴 必: 반드시 止: 그칠

  • 足重目仄(족중목측) : 발은 겹쳐지고 눈은 곁눈질한다는 뜻으로, 남의 위세에 눌려 두려워하는 모습을 비유하는 말.
    足: 重: 무거울 目: 仄: 기울

  • 康衢煙月(강구연월) : 번화한 큰 길거리에서 달빛이 연기에 은은하게 비치는 모습을 나타내는 말로, 태평한 세상의 평화로운 풍경을 이르는 말.
    康: 편안할 衢: 네거리 煙: 연기 月:

  • 淺酌低唱(천작저창) : 알맞게 술을 마시고 작은 소리로 노래를 부름. 스스로 만족하여 흥겹게 여가를 즐기는 모습을 이른다.
    淺: 얕을 酌: 따를 低: 낮을 唱: 부를

  • 伯兪泣杖(백유읍장) : '백유가 매를 맞으며 운다'는 뜻으로, 늙고 쇠약해진 어머니의 모습을 보여 슬퍼함.
    伯: 兪: 더욱 泣: 杖: 지팡이

  • 反首拔舍(반수발사) : 머리는 헝클어지고 옷은 해어진 초라한 모습으로 한데서 잠.
    反: 돌이킬 首: 머리 拔: 舍:

  • 攘臂大談(양비대담) : 소매를 걷어 올리고 큰소리를 침.
    攘: 물리칠 臂: 大: 談: 말씀

  • 腹高如山(복고여산) : (1)배가 산처럼 높다는 뜻으로, 아이 밴 여자의 배부른 모양을 이르는 말. (2)배가 산처럼 높다는 뜻으로, 부자의 거만스러운 모습을 이르는 말.
    腹: 高: 높을 如: 같을 山:

  • 接杯擧觴(접배거상) : 작고 큰 술잔을 서로 주고받으며 즐기는 모습임.
    接: 사귈 杯: 擧: 觴:

  • 朗目疎眉(낭목소미) : 맑고도 밝은 눈과 성긴 눈썹이라는 뜻으로, 청수(淸秀)한 모습을 이르는 말.
    目: 疎: 트일 眉: 눈썹

  • 厚顔無恥(후안무치) : 뻔뻔스러워 부끄러움이 없음.
    厚: 두터울 顔: 얼굴 無: 없을 恥: 부끄러워할

  • 色容必莊是謂九容(색용필장시위구용) : 얼굴 모습은 반드시 씩씩하게 해야하니 이것을 구용(九容)이라 함.
    色: 容: 얼굴 必: 반드시 莊: 엄숙할 是: 옳을 謂: 이를 九: 아홉 容: 얼굴

  • 紅顔白髮(홍안백발) : 늙어서 머리는 세었으나 얼굴은 붉고 윤이 나는 모습.
    紅: 붉을 顔: 얼굴 白: 髮: 터럭

  • 風浪雷電(풍랑뇌전) : 풍랑과 우레라는 뜻으로, 힘 있는 붓글씨의 모습이 마치 풍랑이나 우레나 번개와 같이 거침없고 힘차다는 의미.
    風: 바람 浪: 물결 電: 번개

  • 張脈憤興(장맥분흥) : 사람이 격분(激憤)하거나 흥분(興奮)하면 혈맥의 펼쳐 움직임은 강(强)한 모습을 띄게 되지만, 그 속은 마르게 됨을 말함.
    張: 베풀 脈: 憤: 결낼 興:

  • 古色蒼然(고색창연) : 오래되어 예스러운 풍치나 모습이 그윽함.
    古: 色: 蒼: 푸를 然: 그러할

  • 平身低頭(평신저두) : 몸을 낮추고 머리를 숙임.
    平: 평평할 身: 低: 낮을 頭: 머리

  • 赤裸裸(적나라) : ‘적나라하다’의 어근.
    赤: 붉을 裸: 벌거숭이

  • 明眸皓齒(명모호치) : 맑은 눈동자와 흰 이라는 뜻으로, 미인(美人)의 모습을 이르는 말.
    明: 밝을 眸: 눈동자 皓: 齒:

  • 舊態依然(구태의연) : ‘구태의연하다’의 어근.
    舊: 態: 모양 依: 의지할 然: 그러할

  • 望塵知敵(망진지적) : 먼지를 바라보고 적을 안다는 뜻으로, 먼지가 일어나는 모습을 보고 적의 수를 추측한다는 의미.
    望: 바랄 塵: 티끌 知: 敵: 원수

  • 可觀(가관) : (1)행동이나 모습 등이 마음에 들지 않거나 우스운 상태를 비웃는 말. (2)경치 따위가 꽤 볼만함.
    可: 옳을 觀:

  • 明窓淨机(명창정궤) : 햇빛이 잘 비치는 창밑에 놓여 있는 깨끗한 책상(冊床)이라는 뜻으로, 말끔히 정돈(整頓)된 서재의 모습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明: 밝을 窓: 淨: 깨끗할 机: 책상

  • 無相眞如(무상진여) : 형태나 사념(思念) 따위의 현상을 모두 초월한 참된 모습의 진여.
    無: 없을 相: 서로 眞: 如: 같을

  • 喋喋喃喃(첩첩남남) : 작은 목소리로 즐겁게 이야기를 주고받는 모습이나 남녀(男女)가 정답게 속삭이는 모습.
    喋: 재잘거릴 喋: 재잘거릴 喃: 재잘거릴 喃: 재잘거릴

  • 色思必溫貌思必恭(색사필온모사필공) : 얼굴빛은 반드시 온화(溫和)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 얼굴 모습은 반드시 공손(恭遜)하게 할 것을 생각함.
    色: 思: 생각할 必: 반드시 溫: 따뜻할 貌: 얼굴 思: 생각할 必: 반드시 恭: 공손할

  • 古今不同(고금부동) : 모습이나 형편 따위가 예전과 지금이 서로 같지 않음.
    古: 今: 이제 不: 아닌가 同: 한가지

  • 碧眼紫髥(벽안자염) : 파란 눈과 검붉은 수염이라는 뜻으로, 서양 사람의 모습을 이르는 말.
    碧: 푸를 眼: 紫: 자주빛 髥: 구레나룻

  • 破鏡重圓(파경중원) : 깨졌던 거울이 다시 둥글게 되었다는 뜻으로, 헤어졌던 부부(夫婦)가 다시 만난 것을 일컫는 말.
    破: 깨뜨릴 鏡: 거울 重: 무거울 圓: 둥글

  • 山川依舊(산천의구) : 경치(景致)가 옛 모습 그대로 변(變)하지 않음.
    山: 川: 依: 의지할 舊:

  • 路夾槐卿(노협괴경) : 길에 고위(高位) 고관(高官)인 삼공구경(三公九卿)의 마차가 열지어 궁전(宮殿)으로 들어가는 모습.
    夾: 槐: 회화나무 卿: 벼슬

  • 雪膚花容(설부화용) : 눈처럼 흰 살갗과 꽃처럼 고운 얼굴이라는 뜻으로, 미인의 용모를 이르는 말.
    雪: 膚: 살갗 花: 容: 얼굴

  • 正正堂堂(정정당당) : ‘정정당당하다’의 어근.
    正: 바를 正: 바를 堂: 堂:

  • 吐氣揚眉(토기양미) : 기염(氣焰)을 토하며 눈썹을 치켜 올린다는 뜻으로, 득의(得意)한 모양을 이르는 말.
    吐: 토할 氣: 기운 揚: 오를 眉: 눈썹

  • 千狀萬態(천상만태) : 천 가지 형상과 만 가지 모습이라는 뜻으로, 세상 사물이 한결같지 아니하고 각각 모습ㆍ모양이 다름을 이르는 말.
    千: 일천 狀: 형상 萬: 일만 態: 모양

  • 切齒扼腕(절치액완) : 이를 갈고 팔을 걷어붙이며 몹시 분해함.
    切: 끊을 齒: 扼: 누를 腕:

  • 千態萬艶(천태만염) : 여러 가지 모양으로 곱고 아름다운 모습.
    千: 일천 態: 모양 萬: 일만 艶: 고울

  • 怒髮上衝冠(노발상충관) : 성내어 머리털이 머리에 쓴 갓을 추켜 올린다는 뜻으로, 몹시 성난 모습을 형용(形容)하여 이르는 말.
    怒: 성낼 髮: 터럭 上: 衝: 찌를 冠:

  • 千態萬象(천태만상) : 천 가지 모습과 만 가지 형상이라는 뜻으로, 세상 사물이 한결같지 아니하고 각각 모습ㆍ모양이 다름을 이르는 말.
    千: 일천 態: 모양 萬: 일만 象: 코끼리

  • 含哺鼓腹(함포고복) : 잔뜩 먹고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먹을 것이 풍족하여 즐겁게 지냄을 이르는 말.
    含: 머금을 哺: 먹일 鼓: 腹:

  • 短小精悍(단소정한) : 작은 것이 정밀(精密)하고 세차다는 뜻으로, 보이는 모습과 달리 다부지고 강(强)한 면모(面貌)가 있음.
    短: 짧을 小: 작을 精: 정미할 悍: 사나울

  • 敗柳殘花(패류잔화) : 잎이 다 떨어진 버드나무와 시든 꽃이라는 뜻으로, 아름다움을 잃은 미인이나 권세를 잃은 실력자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敗: 패할 柳: 버들 殘: 해칠 花:

  • 喪家之狗(상가지구) : 상가집의 개라는 뜻으로, 상가에서는 경황이 없이 개밥도 제대로 주지 못하므로 개가 몹시 여윈다는 데서 몹시 수척한 사람을 빈정거리는 말로 사용됨.
    喪: 복입을 家: 之: 狗:

  • 低頭平身(저두평신) : 머리를 숙이고 몸을 낮춤.
    低: 낮을 頭: 머리 平: 평평할 身:

  • 本來面目(본래면목) : (1)자기의 본디의 모습. (2)중생이 본디 지니고 있는 순수한 심성.
    來: 面: 目:

  • 天方地軸(천방지축) : (1)못난 사람이 종작없이 덤벙이는 일. (2)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뜀. (3)못난 사람이 종작없이 덤벙이는 모양. (4)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天: 하늘 方: 地: 軸: 굴대

  • 白龍魚服(백룡어복) : (1)흰 용이 물고기의 옷을 입었다는 뜻으로, 신분이 높고 귀한 사람이 남 모르게 나다님을 이르는 말. (2)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남모르게 나다니다가 뜻하지 않게 욕을 봄을 이르는 말. 신령스러운 흰 용이 물고기로 변하여 다니다가 어부의 그물에 잡혔다는 데서 유래한다.
    白: 龍: 魚: 고기 服:

  • 質勝文則野(질승문즉야) : 바탕이 문채를 이기면 야하다는 뜻으로, 실질이 예문(禮文)을 앞지르면 상스럽고 천하다는 의미에서 지나치게 내면적인 소박함이 외형적인 형식미를 누른다면 투박한 모습으로 세련미가 부족하게 된다는 의미. [⇒ 文質彬彬 (문질빈빈)].
    質: 바탕 勝: 이길 文: 글월 則: 野:

  • 食牛之氣(식우지기) : 소라도 삼킬 만한 기개라는 뜻으로, 나이는 어리나 큰 기개가 있음을 이르는 말.
    食: 牛: 之: 氣: 기운

  • 十人十色(십인십색) : (1)영국의 시인이자 극작가인 존슨이 지은 희곡. 5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시로 나온 시골 청년이 아름다운 애인을 사귀게 되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조급성ㆍ허세ㆍ질투 등 인간의 여러 가지 성질 때문에 일어나는 우스꽝스러운 사건을 묘사하였다. 예리하고 지성적인 풍자와 조소를 통하여 영국의 희극에 새로운 유형을 도입한 기질 희극의 대표적 작품이다. 1598년에 발표되었다. (2)열 사람의 열 가지 색이라는 뜻으로, 사람의 모습이나 생각이 저마다 다름을 이르는 말.
    十: 人: 사람 十: 色:

  • 雲鬢花容(운빈화용) : 머리털이 탐스럽고 얼굴이 아름다운 여자의 모습을 이르는 말.
    雲: 구름 鬢: 살쩍 花: 容: 얼굴

  • 橫槊賦詩(횡삭부시) : 창을 가로로 끼고 시를 짓는다는 뜻으로, 말을 탄 채로 창을 겨드랑이에 끼고 시를 짓는 모습에서 영웅이 진중(陣中)에서도 문아(文雅)하고 풍류(風流)로움을 이르는 말.
    橫: 가로 槊: 賦: 구실 詩:

  • 父風母習(부풍모습) : 모습이나 언행이 아버지와 어머니를 고루 닮음.
    父: 아비 風: 바람 母: 어미 習: 익힐

  • 望塵而拜(망진이배) : 먼지가 일어나는 것을 바라보면서 절을 한다는 뜻으로, 귀인이 타고 달리는 수레의 후진(後塵)을 바라보면서 절하는 것처럼 아첨하여 상관을 섬기는 모습을 이르는 말.
    望: 바랄 塵: 티끌 而: 말 이을 拜:

#음식 79 #재능 61 #가난 90 #여자 101 #물건 136 #인간 65 #아침 72 #구름 67 #동안 70 #자신 208 #따위 228 #이치 67 #예전 60 #의지 69 #중국 253 #행동 137 🎗 #모습에 관한 66개의 한자어 #아래 86 #속담 63 #아내 81 #이름 211 #사이 200 #태도 72 #재주 82 #무리 64 #서로 71 #어머니 72 #은혜 70 #집안 93 #가운데 10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41개) : 마사, 마삭, 마삯, 마산, 마상, 마새, 마색, 마샬, 마석, 마선, 마설, 마성, 마세, 마셜, 마소, 마속, 마손, 마송, 마쇄, 마쇼, 마수, 마술, 마슬, 마슴, 마습, 마승, 마시, 마식, 마신, 마실, 막사, 막상, 막새, 막선, 막설, 막성, 막세, 막소, 막손, 막솜, 막수, 막순, 막술, 막시, 막신, 막심, 만사, 만삭, 만산, 만삼, 만상, 만색, 만생, 만서, 만석, 만선, 만성, 만세, 만속, 만손, 만송, 만수, 만숙, 만습, 만승, 만시, 만식, 만신, 만실, 만심, 말사, 말삭, 말산, 말살, 말삼, 말상, 말석, 말세, 말소, 말속, 말손, 말솔, 말수, 말술, 말숨, 말숱, 말슴, 말시, 말심, 맑스, 맘새, 맘성, 맘속, 맛살, 맛술, 망사, 망살, 망상, 망새, 망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