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건 에 관한 한자 모두 136

  • 海陸珍味 획순 海陸珍味(해륙진미) :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海: 바다 陸: 珍: 보배 味:

  • 湖上不鬻魚 획순 湖上不鬻魚(호상불육어) : 호수가에서는 물고기를 팔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떤 물건이 많은 곳에서는 같은 물건을 파는 어리석은 짓은 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湖: 호수 上: 不: 아니 鬻: 魚: 고기

  • 見物生心 획순 見物生心(견물생심) : 어떠한 실물을 보게 되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김.
    見: 物: 만물 生: 心: 마음

  • 爪角 획순 爪角(조각) : 짐승의 발톱과 뿔이라는 뜻으로, 자신을 적으로부터 보호하여 주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爪: 손톱 角:

  • 兩相和賣 획순 兩相和賣(양상화매) : 파는 쪽과 사는 쪽이 서로 잘 의논하여서 물건을 팔고 삼.
    相: 서로 和: 고를 賣:

  • 探囊取物(탐낭취물) : 주머니 속에서 물건을 꺼내듯이 아주 손쉽게 얻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探: 찾을 囊: 주머니 取: 취할 物: 만물

  • 森羅萬象(삼라만상) : 우주에 있는 온갖 사물과 현상.
    森: 나무 빽빽할 羅: 그물 萬: 일만 象: 코끼리

  • 染指之物(염지지물) : (1)집게손가락에 붙은 것이라는 뜻으로, 분에 넘치게 가지는 남의 물건을 이르는 말. (2)다 먹히어 곧 없어지는 것을 이르는 말.
    染: 물들일 指: 손가락 之: 物: 만물

  • 塵合泰山(진합태산) : 작은 물건도 많이 모이면 큰 것이 됨.
    塵: 티끌 合: 합할 泰: 山:

  • 害物之心(해물지심) : 사물을 해치려는 마음.
    害: 해칠 物: 만물 之: 心: 마음

  • 草根木皮(초근목피) : (1)풀뿌리와 나무껍질이라는 뜻으로, 맛이나 영양 가치가 없는 거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한약의 재료를 이르는 말.
    草: 根: 뿌리 木: 나무 皮: 가죽

  • 腐鼠(부서) : 썩은 쥐라는 뜻으로, 작고 비천한 물건이나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腐: 썩을 鼠:

  • 患得患失(환득환실) : 물건이나 지위 따위를 얻기 전에는 그것을 얻으려고 걱정하고, 얻은 후에는 그것을 잃지 아니하려고 근심함.
    患: 근심 得: 얻을 患: 근심 失: 잃을

  • 借花獻佛(차화헌불) : 꽃을 빌려 부처에 바친다는 뜻으로, 남의 물건으로 자신의 이득을 꾀한다는 의미.
    借: 花: 獻: 바칠 佛: 부처

  • 無物不存(무물부존) : 무엇이든지 없는 물건이 없음.
    無: 없을 物: 만물 不: 아닌가 存: 있을

  • 愛及屋烏(애급옥오) : 사람을 사랑하면 그 집 지붕 위에 앉은 까마귀까지도 귀엽게 보인다는 뜻으로, 그 사람과 연관된 사람이나 물건까지도 사랑함을 이르는 말.
    愛: 사랑 及: 미칠 屋: 烏: 까마귀

  • 染指(염지) : 손가락을 솥 속에 넣어 국물의 맛을 본다는 뜻으로, 남의 물건을 옳지 못한 방법으로 가짐을 이르는 말.
    染: 물들일 指: 손가락

  • 藥籠中物(약롱중물) : (1)병을 고치는 약처럼 사람의 잘못을 고치도록 하는 것. (2)약롱 속의 약품이라는 뜻으로, 꼭 필요한 사람을 이르는 말. (3)가까이 사귀어 자기편으로 만든 사람.
    藥: 籠: 대그릇 中: 가운데 物: 만물

  • 懷璧有罪(회벽유죄) : 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죄가 된다는 뜻으로, 분수(分數)에 맞지 않는 귀한 물건을 지니고 있으면 훗날 재앙(災殃)을 부를 수 있음을 이르는 말.
    懷: 품을 璧: 둥근 옥 有: 있을 罪: 허물

  • 隴斷(농단) : 농단(壟斷). (1) 깎아 세운 듯이 높이 솟은 언덕 (2) (옛날 어떤 사람이 높은 곳에 올라가 시장(市場)을 살펴보고 자기(自己) 물건(物件)을 팔기에 적당(適當)한 곳으로 가서, 시리(市利)를 독점(獨占)했다는 옛일에서)이익(利益)을 독점(獨占)함.
    斷: 끊을

  • 冶家無食刀(야가무식도) : 대장간에서 식칼이 논다는 뜻으로, 생활에 쫓겨 남의 바라지만 하고 정작 제 집엔 등한시한다는 의미나, 마땅히 흔해야 할 곳에 도리어 그 물건이 부족하거나 없는 상황을 이르는 의미를 지닌 한역(漢譯) 속담.
    冶: 불릴 家: 無: 없을 食: 刀:

  • 懷玉有罪(회옥유죄) : 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죄가 된다는 뜻으로, 분수(分數)에 맞지 않는 귀한 물건을 지니고 있으면 훗날 재앙(災殃)을 부를 수 있음을 이르는 말.
    懷: 품을 玉: 구슬 有: 있을 罪: 허물

  • 樗櫟之材(저력지재) : 참나무와 가죽나무 재목이라는 뜻으로, 아무 데도 쓸모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樗: 가죽나무 櫟: 상수리나무 之: 材: 재목

  • 新出貴物(신출귀물) : 새로 나와서 흔하지 아니하고 귀한 물건.
    新: 出: 貴: 귀할 物: 만물

  • 鼠竊狗偸(서절구투) : 쥐나 개처럼 몰래 물건을 훔친다는 뜻으로, ‘좀도둑’을 이르는 말.
    鼠: 竊: 훔칠 狗: 偸: 훔칠

  • 孤雛腐鼠(고추부서) : 외로운 병아리와 썩은 쥐라는 뜻으로, 미천한 사람이나 천한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孤: 외로울 雛: 병아리 腐: 썩을 鼠:

  • 刁蹬(조등) : 간사한 꾀를 써서 물건의 시세를 오르게 함을 이르는 말. 독수리가 토끼를 쫓아서 그의 힘이 지치기를 기다려 잡는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刁: 바라 蹬: 비틀거릴

  • 萬有一體(만유일체) : 우주의 온갖 것은 한 몸임.
    萬: 일만 有: 있을 一: 體:

  • 山底貴杵(산저귀저) : 산밑에서 절구공이가 귀하다는 뜻으로, 물건이 그 생산지(生産地)에서 도리어 더 귀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山: 底: 貴: 귀할 杵: 공이

  • 暗索(암색) : (1)물건 따위를 어둠 속에서 더듬어 찾음. (2)어림으로 무엇을 알아내거나 찾아내려 함.
    暗: 어두울 索: 찾을

  • 如斷手足(여단수족) : 손발이 잘린 것과 같다는 뜻으로, 요긴한 사람이나 물건이 없어져 몹시 아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如: 같을 斷: 끊을 手: 足:

  • 萬物之靈(만물지령) : 온갖 물건의 정령(精靈).
    萬: 일만 物: 만물 之: 靈: 신령

  • 路不拾遺(노불습유) : 길에 떨어진 물건을 주워 가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형벌이 준엄하여 백성이 법을 범하지 아니하거나 민심이 순후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不: 아니 拾: 주울 遺: 남길

  • 鳳毛麟角(봉모인각) : 봉황의 깃털과 기린의 뿔이라는 뜻으로, 보기 힘든 매우 희귀한 물건을 이르는 말.
    鳳: 봉새 毛: 角:

  • 山珍海錯(산진해착) :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山: 珍: 보배 海: 바다 錯: 섞일

  • 好物不在多(호물부재다) : 좋은 물건(物件)이 반드시 많아야 할 필요(必要)는 없다는 뜻으로, 위험(危險)한 일을 시작(始作)해 놓고 계속(繼續)할 수도 그만둘 수도 없는 난처(難處)한 지경(地境)을 이르는 말.
    好: 좋을 物: 만물 不: 아닌가 在: 있을 多: 많을

  • 牛溲馬勃(우수마발) : (1)질경이와 버섯류라는 뜻으로, 매우 흔하면서도 약으로 쓸 수 있는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소의 오줌과 말의 똥이라는 뜻으로, 가치 없는 말이나 글 또는 품질이 나빠 쓸 수 없는 약재 따위를 이르는 말.
    牛: 溲: 반죽할 馬: 勃: 우쩍 일어날

  • 天井不知(천정부지) : 천장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물가 따위가 한없이 오르기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天: 하늘 井: 우물 不: 아닌가 知:

  • 暴殄天物(포진천물) : 물건을 아까운 줄 모르고 마구 써 버리거나 아껴 쓰지 아니하고 함부로 버림.
    暴: 사나울 殄: 다할 天: 하늘 物: 만물

  • 事事物物(사사물물) : 모든 일과 모든 물건. 또는 모든 현상.
    事: 事: 物: 만물 物: 만물

  • 牛踏不破(우답불파) : 소가 밟아도 깨어지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사물이 몹시 견고함을 이르는 말.
    牛: 踏: 밟을 不: 아니 破: 깨뜨릴

  • 蟲臂鼠肝(충비서간) : 벌레의 팔과 쥐의 간이라는 뜻으로, 쓸모없고 하찮은 사람이나 물건을 이르는 말.
    蟲: 벌레 臂: 鼠: 肝:

  • 西瓜皮舐(서과피지) : 수박 껍질 핥기라는 뜻으로, 우리말 속담 ‘수박 겉핥기’의 한역인데, 사물의 속 내용은 모르고 겉만 건드리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사용됨.
    西: 서녘 瓜: 오이 皮: 가죽 舐: 핥을

  • 變通(변통) : (1)형편과 경우에 따라서 일을 융통성 있게 잘 처리함. (2)돈이나 물건 따위를 융통함.
    變: 변할 通: 통할

  • 乾沒作錢(건몰작전) : (1)강제로 빼앗아 팖. (2)강제로 빼앗은 물건을 팔아 돈을 벎.
    乾: 마를 沒: 빠질 作: 지을 錢:

  • 學文千載寶貪物一朝塵(학문천재보탐물일조진) : 글을 배움은 천년의 보배요, 물건(物件)을 탐함은 하루 아침의 티끌임.
    學: 배울 文: 글월 千: 일천 載: 실을 寶: 보배 貪: 탐할 物: 만물 一: 朝: 아침 塵: 티끌

  • 難得之物(난득지물) : 얻거나 구하기 어려운 물건.
    難: 어려울 得: 얻을 之: 物: 만물

  • 山珍海味(산진해미) :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山: 珍: 보배 海: 바다 味:

  • 落庭米(락정미) : (1)되나 말 따위로 곡식을 되다가 땅에 떨어뜨린 곡식. (2)수고한 끝에 조금 얻어 차지하게 되는 변변치 못한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낙정미’의 북한어.
    庭: 米:

  • 無用之物(무용지물) : 쓸모없는 물건이나 사람.
    無: 없을 用: 之: 物: 만물

  • 悅口之物(열구지물) : 입에 맞는 음식.
    悅: 기쁠 口: 之: 物: 만물

  • 沙上樓閣(사상누각) : 모래 위에 세운 누각이라는 뜻으로, 기초가 튼튼하지 못하여 오래 견디지 못할 일이나 물건을 이르는 말.
    沙: 모래 上: 閣: 문설주

  • 形枉影曲(형왕영곡) : 물건의 형체가 굽어 있으면 그 그림자도 반드시 굽는다는 뜻으로, 원인과 결과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形: 형상 枉: 굽을 影: 그림자 曲: 굽을

  • 我刀入他鞘亦難(아도입타초역난) : 내 칼도 남의 칼집에 들면 찾기 어렵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자기(自己) 물건(物件)이라도 남의 수중에 들어가면 마음대로 할 수 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我: 刀: 入: 他: 다를 鞘: 칼집 亦: 難: 어려울

  • 高歇無常(고헐무상) : 값의 오르고 내림이 일정하지 아니함.
    高: 높을 歇: 無: 없을 常: 항상

  • 秋風扇(추풍선) : (1)가을철의 부채라는 뜻으로, 철이 지나서 쓸모없이 된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이성의 사랑을 잃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秋: 가을 風: 바람 扇: 부채

  • 毫分縷析(호분누석) : 털을 나누고 실오라기를 쪼갠다는 뜻으로, 아주 잘게 나눔을 이르는 말.
    毫: 가는 털 分: 나눌 析: 가를

  • 夏扇冬曆(하선동력) : 여름의 부채와 겨울의 새해 책력이라는 뜻으로, 선사하는 물건이 철에 맞음을 이르는 말.
    夏: 여름 扇: 부채 冬: 겨울 曆: 책력

  • 冊床退物(책상퇴물) : 책상 앞에 앉아 글공부만 하여 세상일을 잘 모르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冊: 床: 退: 물러날 物: 만물

  • 山珍海饌(산진해찬) :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山: 珍: 보배 海: 바다 饌: 반찬

  • 退藏(퇴장) : (1)물러나서 자취를 감춤. (2)물건이나 화폐 따위를 쓰지 않고 묵혀 둠.
    退: 물러날 藏: 감출

  • 此忘憂物(차망우물) : 이것은 근심을 잊게 하는 물건이라는 뜻으로, 근심을 떨쳐버릴 수 있는 ‘술’을 이르는 말.
    此: 忘: 잊을 憂: 근심 物: 만물

  • 獻芹(헌근) : 변변치 아니한 미나리를 바친다는 뜻으로, 남에게 선물을 하거나 의견을 적어 보냄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獻: 바칠 芹: 미나리

  • 揭斧入淵(게부입연) : 도끼를 들고 산으로 가지 않고 물에 들어간다는 뜻으로, 쓸데없는 짓을 함을 이르는 말.
    揭: 斧: 도끼 入: 淵:

  • 豚蹄一酒(돈제일주) : 돼지 발굽과 술 한 잔이라는 뜻으로, 작은 물건으로 많은 물건을 구하려 한다는 뜻.
    豚: 돼지 蹄: 一: 酒:

  • 滄海一滴(창해일적) : 넓고 큰 바다 속의 물방울 하나라는 뜻으로, 아주 큰 물건(物件) 속에 있는 아주 작은 물건(物件).
    滄: 海: 바다 一: 滴: 물방울

  • 欺人取物(기인취물) : 사람을 속이고 재물을 빼앗음.
    欺: 속일 人: 사람 取: 취할 物: 만물

  • 傳來之物(전래지물) : 예전부터 전하여 내려오는 물건.
    傳: 전할 來: 之: 物: 만물

  • 自作自給(자작자급) : (1)자기 나라에서 만든 물건으로 살아감. (2)필요한 물건을 자기 스스로 만들어 모자람이 없이 지냄.
    自: 스스로 作: 지을 自: 스스로 給: 넉넉할

  • 燈下不明(등하불명) : 등잔 밑이 어둡다는 뜻으로, 가까이에 있는 물건이나 사람을 잘 찾지 못함을 이르는 말.
    燈: 등불 下: 아래 不: 아니 明: 밝을

  • 獻芹之意(헌근지의) : 정성을 다하여 남에게 선물이나 의견을 올리는 뜻.
    獻: 바칠 芹: 미나리 之: 意:

  • 玉巵無當(옥치무당) : 옥잔에 밑바닥이 없다는 뜻으로, 물건이 좋기는 하나 쓸모가 없음을 이르는 말.
    玉: 구슬 巵: 無: 없을 當: 마땅할

  • 運之掌上(운지장상) : 손바닥 위에서 움직인다는 뜻으로, 물건을 손바닥 위에서 굴리듯이 마음대로 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運: 之: 掌: 손바닥 上:

  • 泰山鴻毛(태산홍모) : 태산과 기러기 터럭이라는 뜻으로, 물건의 무거움을 비유하는 ‘泰山’과 물건의 가벼움을 비유하는 ‘鴻毛’를 이르는 말.
    泰: 山: 鴻: 큰기러기 毛:

  • 旱時太出(한시태출) : 가뭄에 콩 나듯 한다라는 뜻으로, 일이나 물건이 드문드문 나타난다는 말.
    旱: 가물 時: 太: 出:

  • 當捧之物(당봉지물) : 마땅히 거둬들일 물건.
    當: 마땅할 捧: 받들 之: 物: 만물

  • 同價紅裳(동가홍상)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라는 뜻으로, 같은 값이면 좋은 물건을 가짐을 이르는 말.
    同: 한가지 價: 紅: 붉을 裳: 치마

  • 白眉(백미) : 흰 눈썹이라는 뜻으로, 여럿 가운데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이나 훌륭한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촉한(蜀漢) 때 마씨(馬氏) 다섯 형제가 모두 재주가 있었는데 그중에서도 눈썹 속에 흰 털이 난 마량(馬良)이 가장 뛰어났다는 데서 유래한다.
    白: 眉: 눈썹

  • 忘憂之物(망우지물) : (1) 시름을 잊게 하는 물건(物件) (2) 술의 딴이름, 술을 마시면 근심 걱정을 잊게 된다는 데서 온 말.
    忘: 잊을 憂: 근심 之: 物: 만물

  • 玩好之物(완호지물) : 신기하고 보기 좋은 물건.
    玩: 희롱할 好: 좋을 之: 物: 만물

  • 明珠闇投(명주암투) : 명주를 어둠 속에서 남에게 던져 준다는 뜻으로, 귀중한 물건도 남에게 잘못 주면 오히려 원망을 듣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明: 밝을 珠: 구슬 闇: 닫힌 문 投: 던질

  • 物薄情厚(물박정후) : 물건은 엷지만 정은 두텁다는 뜻으로, 남과 사귐에 있어서 선물이나 향응(饗應)은 변변하지 않다 하더라도 정의(情誼)만은 두터이 한다는 의미.
    物: 만물 薄: 엷을 情: 厚: 두터울

  • 約法三章(약법삼장) : 중국 한(漢)나라 고조가 진(秦)나라의 가혹한 법을 폐지하고 이를 세 조목으로 줄인 것. 곧 사람을 살해한 자는 사형에 처하고, 사람을 상해하거나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처벌한다는 것이다.
    約: 묶을 法: 三: 章: 문채

  • 天地藏萬物江河束千山(천지장만물강하속천산) : 하늘과 땅은 온갖 물건(物件)을 감추고, 강과 바다는 모든 산을 묶음.
    天: 하늘 地: 藏: 감출 萬: 일만 物: 만물 江: 河: 강 이름 束: 묶을 千: 일천 山:

  • 十長生(십장생) : 오래도록 살고 죽지 않는다는 열 가지. 해, 산, 물, 돌, 구름, 소나무, 불로초, 거북, 학, 사슴이다.
    十: 長: 生:

  • 屋上架屋(옥상가옥) : 지붕 위에 또 지붕을 만든다는 뜻으로, 흔히 물건이나 일을 부질없이 거듭함을 이르는 말.
    屋: 上: 架: 시렁 屋:

  • 囊中物(낭중물) : 주머니 속에 들어 있는 물건이라는 뜻으로, 자기 수중에 있는 물건을 이르는 말.
    囊: 주머니 中: 가운데 物: 만물

  • 契酒生面(계주생면) : 곗술로 생면한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의 것을 마치 자기의 것처럼 생색냄을 이르는 말.
    契: 맺을 酒: 生: 面:

  • 本非我物(본비아물) : 본디 내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뜻밖에 얻은 물건은 잃어버려도 과히 섭섭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本: 非: 아닐 我: 物: 만물

  • 登高而招(등고이초) : 높은 곳에 올라가서 부른다는 뜻으로, 높은 곳에 올라가 사람을 부르면 먼 곳에 있는 사람도 잘 볼 수 있는 것처럼 효과를 얻으려면 물건을 이용해야 한다거나 수신을 하려면 배움에 의해야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登: 오를 高: 높을 而: 말 이을 招: 부를

  • 本非我土(본비아토) : 본디 내 땅이 아니라는 뜻으로, 뜻밖에 얻은 물건은 잃어버려도 과히 섭섭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本: 非: 아닐 我: 土:

  • 還歸本主(환귀본주) : 물건이 본래의 임자에게 돌아감.
    還: 돌아올 歸: 돌아갈 本: 主: 주인

  • 百無可觀(백무가관) : 많은 것 가운데에서 볼만한 것이 하나도 없음. 사람이나 물건 따위가 많기는 하나 마음에 차는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이다.
    百: 일백 無: 없을 可: 옳을 觀:

  • 言無二價(언무이가) : 두 가지 값을 부르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물건값을 에누리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言: 말씀 無: 없을 二: 價:

  • 尺有所短寸有所長(척유소단촌유소장) : 한 자의 길이도 짧을 때가 있고, 한 치의 길이도 길 때가 있다는 뜻으로, 물건(物件)은 쓰는 용도(用途)에 따라 가치(價値)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음을 이르는 말.
    尺: 有: 있을 所: 短: 짧을 寸: 마디 有: 있을 所: 長:

  • 道不拾遺(도불습유) : 길에 떨어진 물건을 주워 가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형벌이 준엄하여 백성이 법을 범하지 아니하거나 민심이 순후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한비자≫의 <외저설좌상편(外儲說左上篇)>에 나오는 말이다.
    道: 不: 아니 拾: 주울 遺: 남길

  • 失於空中(실어공중) : 공중에서 잃었다는 뜻으로, 물건을 아무렇게나 씀을 이르는 말.
    失: 잃을 於: 어조사 空: 中: 가운데

  • 抱璧有罪(포벽유죄) : 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죄가 된다는 뜻으로, 분수(分數)에 맞지 않는 귀한 물건을 지니고 있으면 훗날 재앙(災殃)을 부를 수 있음을 이르는 말.
    抱: 안을 璧: 둥근 옥 有: 있을 罪: 허물

  • 堅白同異(견백동이) :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문인 공손룡이 논한 궤변. 단단하고 흰 돌은 눈으로 보아 흰 것은 알 수 있으나 단단한지는 모르며, 손으로 만져 보아 단단한 것은 알 수 있으나 빛이 흰지는 모르므로, 단단한 돌과 흰 돌은 동시에 성립하는 개념이 아니라고 하였다.
    堅: 굳을 白: 同: 한가지 異: 다를

  • 法三章(법삼장) : 중국 한나라 때에, 고조가 진나라 때의 가혹한 법을 없애고 단 세 가지 죄만을 정한 법. 사람을 죽이는 자는 죽고, 사람을 상하게 하거나 물건을 훔치는 자는 벌을 받는다는 내용이었다.
    法: 三: 章: 문채

2
#자신 208 #신하 62 #음식 79 #예전 60 #시대 114 #자리 94 #집안 93 #모습 66 #형제 68 #동안 70 #표현 88 #세상 339 #생각 236 #이치 67 #잘못 93 #가운데 104 #임금 189 #머리 141 #부부 76 #경계 56 #여자 101 #어려움 105 #소리 96 #따위 228 #천하 94 #목숨 58 #경우 64 #이름 211 #사용 312 #조금 96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702개) : 마가, 마각, 마간, 마갈, 마감, 마갑, 마개, 마건, 마경, 마계, 마고, 마곡, 마골, 마곰, 마공, 마관, 마괄, 마광, 마괴, 마굉, 마교, 마구, 마군, 마굴, 마권, 마궤, 마귀, 마극, 마근, 마기, 막간, 막강, 막개, 막객, 막골, 막공, 막급, 막기, 만가, 만각, 만간, 만감, 만강, 만개, 만겁, 만결, 만경, 만계, 만고, 만곡, 만골, 만공, 만과, 만관, 만광, 만괴, 만교, 만구, 만국, 만군, 만굴, 만궁, 만권, 만근, 만금, 만기, 맏간, 맏골, 말가, 말간, 말갈, 말감, 말값, 말강, 말개, 말객, 말거, 말겯, 말결, 말겻, 말경, 말곁, 말계, 말고, 말곰, 말곱, 말과, 말관, 말광, 말구, 말국, 말군, 말굽, 말굿, 말권, 말귀, 말그, 말글, 말금, 말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