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54

  • 榮枯一炊 획순 榮枯一炊(영고일취) : 인생이 꽃피고 시드는 것은 한번 짓는 순간같이 덧없고 부질없음을 이르는 말.
    榮: 영화 枯: 마를 一: 炊: 불땔

  • 一飯之德 획순 一飯之德(일반지덕) : 한 끼를 베푸는 덕이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은덕을 이르는 말.
    一: 飯: 之: 德:

  • 簞食瓢飮 획순 簞食瓢飮(단사표음) : 대나무로 만든 그릇에 담은 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簞: 대광주리 食: 瓢: 飮: 마실

  • 恒茶飯 획순 恒茶飯(항다반) : 항상 있는 차와 이라는 뜻으로, 항상 있어 이상하거나 신통할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恒: 항상 茶: 飯:

  • 酒囊飯袋 획순 酒囊飯袋(주낭반대) : 술을 담는 부대와 을 담는 주머니라는 뜻으로, 술과 음식을 축내며 일은 아니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酒: 囊: 주머니 飯: 袋: 자루

  • 朝飯夕粥(조반석죽) : 아침에는 을 먹고, 저녁에는 죽을 먹는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한 살림을 이르는 말.
    朝: 아침 飯: 夕: 저녁 粥:

  • 陋巷簞瓢(누항단표) : (1)‘누항단표’의 북한어. (2)누항에서 먹는 한 그릇의 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선비의 청빈한 생활을 이르는 말.
    巷: 거리 簞: 대광주리 瓢:

  • 取食之計(취식지계) : 겨우 이나 얻어먹고 살아갈 만한 꾀.
    取: 취할 食: 之: 計:

  • 黃粱一炊之夢(황량일취지몽) : 노생이 잠들기 전(前)에 짓던 기장이 꿈에서 깨어보니 아직 익지 않은 짧은 시간(時間)이었음.
    黃: 누를 粱: 기장 一: 炊: 불땔 之: 夢:

  • 炊沙成飯(취사성반) : 모래를 때어 을 짓는다는 뜻으로, 헛된 수고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炊: 불땔 沙: 모래 成: 이룰 飯:

  • 溫衣美飯(온의미반) : 따뜻한 옷과 맛좋은 이라는 뜻으로, 따뜻한 의복을 입고 맛있는 음식을 먹는 안락한 생활을 한다는 의미.
    溫: 따뜻할 衣: 美: 아름다울 飯:

  • 塵飯塗羹(진반도갱) : 먼지를 담아 이라 하고 진흙을 담아 국이라 한다는 뜻으로, 어린 아이의 소꿉놀이란 의미에서 실제에 소용되지 않는 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塵: 티끌 飯: 塗: 진흙 羹:

  • 萍水(평수) : 물 위에 뜬 개구리이라는 뜻으로,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는 신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萍: 개구리밥 水:

  • 炊臼之夢(취구지몽) : 절구에 을 짓는 꿈이라는 뜻으로, 솥이 없어 절구에 을 짓는 것인데, 釜(부)와 婦(부)의 음이 상통한 것에서 풀이한 것으로, 아내를 잃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임.
    炊: 불땔 臼: 절구 之: 夢:

  • 沙鉢農事(사발농사) : 사발로 짓는 농사라는 뜻으로, 일을 하지 아니하고 을 빌어먹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沙: 모래 鉢: 바리때 農: 농사 事:

  • 茶飯事(다반사) : 차를 마시고 을 먹는 일이라는 뜻으로, 보통 있는 예사로운 일을 이르는 말.
    茶: 飯: 事:

  • 單食壺漿(단사호장) : 도시락 과 병에 담은 음료수(飮料水)라는 뜻으로, 잔소한 음식(飮食)을 마련하여 군대(軍隊)를 환영(歡迎)함을 이르는 말.
    單: 食: 壺: 漿: 미음

  • 飯蔬食(반소사) : 거칠고 반찬(飯饌) 없는 이라는 뜻으로, 안빈 낙도(安貧樂道)함을 일컫는 말.
    飯: 蔬: 나물 食:

  • 炊金饌玉(취금찬옥) : 금으로 을 짓고 옥으로 반찬을 만든다는 뜻으로, 좋은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炊: 불땔 金: 饌: 반찬 玉: 구슬

  • 喝食(갈식) : (1)선원에서, 식사 때에 대중들에게 탕과 반찬의 종류를 알리는 소임. (2)선원에서, 식사 때에 심부름하는 아이.
    喝: 꾸짖을 食:

  • 穀腹絲身(곡복사신) : 배를 채우는 곡식과 몸을 가리는 실이라는 뜻으로, 먹는 것과 입는 것을 이르는 말.
    穀: 곡식 腹: 絲: 身:

  • 黃粱之夢(황량지몽) : 메조 짓는 사이의 꿈이라는 뜻으로, 인간 일생의 영고성쇠(榮枯盛衰)는 한바탕 꿈에 지나지 않는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 一場春夢(일장춘몽)].
    黃: 누를 粱: 기장 之: 夢:

  • 衣架飯囊(의가반낭) : 옷걸이와 주머니 노릇을 한다는 뜻으로, 아무 쓸모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
    衣: 架: 시렁 飯: 囊: 주머니

  • 伴食宰相(반식재상) : 곁에 모시고 을 먹는 재상(宰相)이라는 뜻으로, 무위도식(無爲徒食)으로 자리만 차지하고 있는 무능(無能)(無能)한 대신(大臣)을 비꼬아 이르는 말.
    伴: 食: 宰: 벼슬아치 相: 서로

  • 邯鄲之枕(한단지침) :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邯: 땅 이름 鄲: 조나라 서울 之: 枕: 베개

  • 吐哺握髮(토포악발) : 민심을 잡고 국가 행정에 관계되는 사무를 보살피기에 잠시도 편안함이 없음을 이르는 말.
    吐: 토할 哺: 먹일 握: 髮: 터럭

  • 飯來開口(반래개구) : 이 오면 입을 벌린다는 뜻으로, 심한 게으름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飯: 來: 開: 口:

  • 簞食豆羹(단사두갱) : 대그릇 하나에 담은 과 한 그릇의 국이라는 뜻으로, 변변치 못한 소량의 음식을 이르는 말.
    簞: 대광주리 食: 豆: 羹:

  • 菜飯(채반) : 무 따위의 채소를 섞은 이라는 뜻으로, 변변하지 못한 음식을 이르는 말.
    菜: 나물 飯:

  • 千里無煙(천리무연) : 천리에 연기가 없다는 뜻으로, 천리 사이에 짓는 연기가 오르지 않는 것처럼 백성의 궁핍함이 매우 심함을 이르는 말.
    千: 일천 里: 마을 無: 없을 煙: 연기

  • 鼎食(정식) : 솥을 좍 벌여 놓고 음식을 먹는다는 뜻으로, 귀한 사람이 을 먹는 것을 이르는 말. 또는 그런 진수성찬을 이르는 말.
    鼎: 食:

  • 白飯靑蒭(백반청추) : 종에게 흰 을 주고 말에게 싱싱한 풀을 준다는 뜻으로, 주인(主人)의 인심(人心)이 넉넉하여 남을 후대(厚待)함을 이르는 말.
    白: 飯: 靑: 푸를 蒭:

  • 同鼎食(동정식) : 한솥을 먹는다는 뜻으로, 한집에서 같이 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同: 한가지 鼎: 食:

  • 如咀濕飯(여저습반) : 마치 진 을 씹는 듯 한다는 뜻으로, 사소한 일로 잔소리를 되풀이 한다는 의미.
    如: 같을 咀: 씹을 濕: 축축할 飯:

  • 廢寢忘食(폐침망식) : 잠을 안 자고, 먹는 것도 잊는다는 뜻으로, 매우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廢: 폐할 寢: 잠잘 忘: 잊을 食:

  • 釜中生魚(부중생어) : 솥 안에 물고기가 생긴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하여 오랫동안 을 짓지 못함을 이르는 말. ≪후한서≫의 <범염전(范冉傳)>에 나오는 말이다.
    釜: 가마 中: 가운데 生: 魚: 고기

  • 三旬九食(삼순구식) : 삼십 일 동안 아홉 끼니밖에 먹지 못한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함을 이르는 말.
    三: 旬: 열흘 九: 아홉 食:

  • 恒茶飯事(항다반사) : 차를 마시고 을 먹는 일이라는 뜻으로, 보통 있는 예사로운 일을 이르는 말.
    恒: 항상 茶: 飯: 事:

  • 飯噴(반분) : 입 속에 있는 을 내뿜는다는 뜻으로, 참을 수가 없어서 웃음이 터져 나옴을 이르는 말.
    飯: 噴: 뿜을

  • 炊骨易子(취골역자) : 뼈로 을 짓고 자식과 바꾼다는 뜻으로, 전시에 성 안에 갇혀 식량이 다 떨어져 시체로 을 짓고 차마 자식을 먹을 수 없어 자식을 바꾼다는 참혹한 상황을 형용한 말.
    炊: 불땔 骨: 易: 바꿀 子: 아들

  • 錦衣玉食(금의옥식) : 비단옷과 흰쌀이라는 뜻으로, 호화스럽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이르는 말.
    錦: 비단 衣: 玉: 구슬 食:

  • 東家食西家宿(동가식서가숙) : 동쪽 집에서 먹고 서쪽 집에서 잠잔다는 뜻으로, 일정한 거처가 없이 떠돌아다니며 지냄을 이르는 말. 나중에는 자기의 잇속을 차리기 위하여 지조 없이 여기저기 빌붙어 사는 행태를 이르게 되었다.
    東: 동녘 家: 食: 西: 서녘 家: 宿: 묵을

  • 鐘鳴鼎食(종명정식) : 끼니때에 종을 쳐서 식구를 모으고 솥을 늘어놓고 먹는다는 뜻으로, 부귀한 집의 생활을 이르는 말.
    鐘: 鳴: 鼎: 食:

  • 飯囊酒袋(반낭주대) : 을 담는 주머니와 술을 담는 부대라는 뜻으로, 술과 음식을 축내며 일은 아니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飯: 囊: 주머니 酒: 袋: 자루

  • 盧生之夢(노생지몽) :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生: 之: 夢:

  • 主酒客飯(주주객반) : 주인은 손님에게 술을 권하고 손님은 주인에게 을 권하며 서로 다정하게 식사를 하는 일.
    主: 주인 酒: 客: 飯:

  • 一炊之夢(일취지몽) :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一: 炊: 불땔 之: 夢:

  • 破釜沈船(파부침선) : 솥을 깨뜨려 다시 을 짓지 아니하며 배를 가라앉혀 강을 건너 돌아가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죽을 각오로 싸움에 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破: 깨뜨릴 釜: 가마 沈: 잠길 船:

  • 二寺狗(이사구) : 두 절의 개라는 뜻으로, 두 절을 왕래하던 개가 양쪽 절을 다니다가 어느 절에서도 을 얻어먹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한 사람이 양쪽에 이름을 걸어놓고 다니면 한 가지 일도 제대로 이루지 못한다는 의미.
    二: 寺: 狗:

  • 簞瓢陋巷(단표누항) : 누항에서 먹는 한 그릇의 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선비의 청빈한 생활을 이르는 말.
    簞: 대광주리 瓢: 巷: 거리

  • 邯鄲之夢(한단지몽) :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에서 나온 말이다.
    邯: 땅 이름 鄲: 조나라 서울 之: 夢:

  • 十匙一飯(십시일반) : 열 술이 한 그릇이 된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이 조금씩 힘을 합하면 한 사람을 돕기 쉬움을 이르는 말.
    十: 匙: 숟가락 一: 飯:

  • 呂翁枕(여옹침) :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翁: 늙은이 枕: 베개

  • 飯囊(반낭) : (1)을 담는 주머니. (2)아무 일도 하지 않고 이나 축내는 쓸모없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飯: 囊: 주머니

#목숨 58 #태도 72 #따위 228 #사용 312 #상대 56 #자신 208 #재능 61 #중국 253 #형제 68 #의지 69 #어머니 72 #마음 496 #생각 236 #자연 73 #가운데 104 #자리 94 #비유 1177 #이치 67 #아침 72 #집안 93 #나이 97 #재주 82 #벼슬 88 #이름 211 #경계 56 #부부 76 #조금 96 #근본 66 #서로 71 #행동 137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12개) : 바, 박, 밖, 반, 발, 밤, 밥, 밧, 방, 밭, 밯, 배, 백, 밲, 밴, 밸, 뱀, 뱁, 뱅, 뱍, 뱐, 뱔, 뱜, 버, 벅, 벆, 번, 벋, 벌, 범, 법, 벗, 벙, 벚, 벜, 베, 벡, 벢, 벤, 벨, 벰, 벱, 벳, 벵, 벸, 벹, 벼, 벽, 벾, 변, 볃, 별, 볋, 볌, 볏, 병, 볔, 볕, 보, 복, 볶, 본, 볼, 봄, 봅, 봇, 봉, 봋, 봌, 봏, 뵈, 뵐, 뵘, 뵴, 부, 북, 분, 붇, 불, 붉, 붐, 붑, 붓, 붕, 붘, 붚, 붝, 붞, 붤, 붬, 붴, 붸, 붺, 뷔, 뷖, 뷰, 브, 블, 븟, 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