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100

  • 借風使船 획순 借風使船(차풍사선) : 바람을 빌려 를 부린다는 뜻으로, 돈을 빌려 임시변통한다는 의미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
    借: 風: 바람 使: 부릴 船:

  • 腹以懷我乳以哺我 획순 腹以懷我乳以哺我(복이회아유이포아) : 로써 나를 품어 주시고 젖으로써 나를 먹이심.
    腹: 以: 懷: 품을 我: 乳: 以: 哺: 먹일 我:

  • 割股充腹 획순 割股充腹(할고충복) : 빈속을 채우려고 허벅지의 살을 베어 먹는다는 뜻으로, 한때만 모면하려는 어리석은 잔꾀를 이르는 말.
    割: 나눌 股: 넓적다리 充: 腹:

  • 飽飫烹宰 획순 飽飫烹宰(포어팽재) : 부를 때에는 아무리 좋은 음식(飮食)이라도 그 맛을 모름.
    飽: 배부를 飫: 포식할 烹: 삶을 宰: 벼슬아치

  • 晩食當肉 획순 晩食當肉(만식당육) : 가 고플 때는 무엇을 먹든지 고기 맛과 같음.
    晩: 늦을 食: 當: 마땅할 肉: 고기

  • 沈船破釜(침선파부) : 를 가라앉히고 솥을 깨뜨리다는 뜻으로, 항우가 강물을 건넜을 때 沈船破釜하며 사졸에게 필사의 각오를 보인 고사에서 필사의 각오로 결전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沈: 잠길 船: 破: 깨뜨릴 釜: 가마

  • 三十六計(삼십육계) : (1)물주가 맞힌 사람에게 살돈의 서른여섯 를 주는 노름. (2)서른여섯 가지의 꾀. 많은 모계(謀計)를 이른다.
    三: 十: 計:

  • 不繫之舟(불계지주) : (1)매어 놓지 않는 라는 뜻으로, 속세를 초월한 무념무상의 경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정처 없이 방랑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不: 아니 繫: 之: 舟:

  • 桃源(도원) :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말로, 이상향, 별천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때 호남(湖南) 무릉의 한 어부가 를 저어 복숭아꽃이 아름답게 핀 수원지로 올라가 굴속에서 진(秦)나라의 난리를 피하여 온 사람들을 만났는데, 그들은 하도 살기 좋아 그동안 바깥세상의 변천과 많은 세월이 지난 줄도 몰랐다고 한다.
    桃: 복숭아나무 源: 근원

  • 風驅群飛雁月送獨去舟(풍구군비안월송독거주) : 바람은 떼지어 나는 기러기를 몰고, 달은 홀로 가는 를 보냄.
    風: 바람 驅: 群: 무리 飛: 雁: 기러기 月: 送: 보낼 獨: 홀로 去: 舟:

  • 他人之宴曰梨曰栗(타인지연왈리왈률) : 남의 잔치에 놓아라 밤 놓아라 한다는 뜻으로, 남의 일에 공연히 쓸데없는 참견(參見)을 한다는 뜻.
    他: 다를 人: 사람 之: 宴: 잔치 曰: 가로 梨: 배나무 曰: 가로 栗: 밤나무

  • 棹穿波底月船壓水中天(도천파저월선압수중천) : 노는 물결 아래의 달을 뚫고, 는 물 가운데 하늘을 누름.
    棹: 穿: 뚫을 波: 물결 底: 月: 船: 壓: 누를 水: 中: 가운데 天: 하늘

  • 事半功倍(사반공배) : 들인 노력은 적고 얻은 성과는 큼.
    事: 半: 功: 倍:

  • 虛往實歸(허왕실귀) : 비우고 가서 채워서 돌아온다는 뜻으로, 잡념 없는 마음으로 대해 나가면 사물의 이치는 저절로 깨닫데 되어 가 가득 채운 상태로 돌아오게 됨을 의미하거나, 또는 아직 우지 않고 가서 덕을 얻어서 돌아옴을 이르는 말.
    虛: 往: 實: 열매 歸: 돌아갈

  • 什佰之器(십백지기) : 열 사람 백 사람의 그릇이라는 뜻으로, 보통 사람들 보다 열 이상 뛰어난 기량의 의미.
    什: 열사람 佰: 백사람 之: 器: 그릇

  • 梯山航海(제산항해) : 험악(險惡)한 산을 넘고 로 바다를 건넌다는 뜻으로, 다른 나라에 사신(使臣)으로 간다는 말.
    梯: 사다리 山: 航: 건널 海: 바다

  • 柏舟之操(백주지조) : 백주지조(栢舟之操). 잣나무로 만든 의 지조(志操)라는 뜻으로, 남편(男便)을 잃은 아내가 끝까지 정절(貞節)을 지킴.
    柏: 측백나무 舟: 之: 操: 잡을

  • 河魚之疾(하어지질) : ‘복통’을 달리 이르는 말.
    河: 강 이름 魚: 고기 之: 疾:

  • 適口充腸(적구충장) : 훌륭한 음식(飮食)이 아니라도 입에 맞으면 를 채움.
    適: 口: 充: 腸: 창자

  • 不如歸(불여귀) : 두견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15~17cm, 꽁지는 12~15cm, 부리는 2cm 정도이다. 등은 회갈색이고 는 어두운 푸른빛이 나는 흰색에 검은 가로줄 무늬가 있다. 여름새로 스스로 집을 짓지 않고 휘파람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휘파람새가 새끼를 키우게 한다.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不: 아니 如: 같을 歸: 돌아갈

  • 小隙沈舟(소극침주) : 조그만 틈으로 물이 새어 들어 가 가라앉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을 게을리하면 큰 재앙이 닥치게 됨을 이르는 말.
    小: 작을 隙: 沈: 잠길 舟:

  • 陸地行船(육지행선) : 육지에서 를 저으려 한다는 뜻으로, 안되는 일을 억지로 하려고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地: 行: 船:

  • 越津乘船(월진승선) : 나루를 건너고 나서 를 탄다는 뜻으로, 일을 순서대로 하지 않고 거꾸로 처리함을 이르는 말.
    越: 넘을 津: 나루 乘: 船:

  • 武陵桃源(무릉도원) :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말로, 이상향, 별천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때 호남(湖南) 무릉의 한 어부가 를 저어 복숭아꽃이 아름답게 핀 수원지로 올라가 굴속에서 진(秦)나라의 난리를 피하여 온 사람들을 만났는데, 그들은 하도 살기 좋아 그동안 바깥세상의 변천과 많은 세월이 지난 줄도 몰랐다고 한다.
    武: 호반 陵: 큰 언덕 桃: 복숭아나무 源: 근원

  • 同舟相救(동주상구) : 같은 를 탄 사람끼리 서로 돕는다는 뜻으로, 같은 운명이나 처지에 놓이면 아는 사람이나 모르는 사람이나 서로 돕게 됨을 이르는 말.
    同: 한가지 舟: 相: 서로 救: 건질

  • 舟非水不行(주비수불행) : 는 물이 없으면 나아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임금은 백성이 없으면 임금이 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舟: 非: 아닐 水: 不: 아니 行:

  • 快果(쾌과) : 시원한 과일이란 뜻으로, ‘’를 달리 이르는 말.
    快: 쾌할 果: 실과

  • 網漏呑舟(망루탄주) : 그물이 새면 도 그 사이로 지나갈 수 있다는 뜻으로, 법령(法令)이 관대(寬大)하여 큰 죄(罪)를 짓고도 피할 수 있게 됨을 비유(比喩).
    網: 그물 漏: 呑: 삼킬 舟:

  • 抱腹(포복) : (1)를 그러안음. (2)를 그러안고 넘어질 정도로 몹시 웃음.
    抱: 안을 腹:

  • 覆舟之下無伯(夷복주지하무백) : 뒤집힌 밑에는 백이(伯夷)와 같은 현인(賢人)은 없다는 뜻으로, 군자(君子)는 위험(危險)을 가까이 하지 않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推舟於陸(추주어륙) : 육지에서 를 민다는 뜻으로, 고집스럽게 무리하여 행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推: 옮을 舟: 於: 어조사 陸:

  • 腹高如山(복고여산) : (1)가 산처럼 높다는 뜻으로, 아이 밴 여자의 부른 모양을 이르는 말. (2)가 산처럼 높다는 뜻으로, 부자의 거만스러운 모습을 이르는 말.
    腹: 高: 높을 如: 같을 山:

  • 穀腹絲身(곡복사신) : 를 채우는 곡식과 몸을 가리는 실이라는 뜻으로, 먹는 것과 입는 것을 이르는 말.
    穀: 곡식 腹: 絲: 身:

  • 割腹自殺(할복자살) : 칼로 자기 를 갈라 스스로 목숨을 끊음.
    割: 나눌 腹: 自: 스스로 殺: 죽일

  • 北馬南船(북마남선) : 중국의 북쪽은 산과 사막이 많아서 말을 이용하고 남쪽은 강이 많아서 를 이용한다는 뜻으로, 늘 쉬지 않고 여기저기 여행을 하거나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北: 북녘 馬: 南: 남녘 船:

  • 解約金(해약금) : 계약을 체결할 때에 그 계약을 해제할 권리를 갖는다는 뜻으로 상대편에게 주는 돈. 해약금을 준 자는 그 돈을 포기함으로써, 받은 자는 그 액(倍額)을 상환함으로써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解: 約: 묶을 金:

  • 剖腹藏珠(부복장주) : 를 갈라 구슬을 감춘다는 뜻으로, 재물만을 소중하게 여겨 자신의 몸을 망친다는 의미.
    剖: 쪼갤 腹: 藏: 감출 珠: 구슬

  • 鴻毳沈舟(홍취침주) : 기러기의 솜털이 를 가라앉힌다는 뜻으로, 작은 것도 많이 싸이면 큰 힘이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鴻: 큰기러기 毳: 솜털 沈: 잠길 舟:

  • 齒髮不長(치발부장) : 젖니를 다 갈지 못하고 머리는 다박머리라는 뜻으로, 아직 나이가 어림을 이르는 말.
    齒: 髮: 터럭 不: 아니 長:

  • 捨量沈舟(사량침주) : 식량을 버리고 를 가라앉힌다는 뜻으로, 목숨을 걸고 어떤 일에 대처함을 이르는 말. ≪사기≫의 <항우기(項羽紀)>에 나오는 말이다.
    捨: 버릴 量: 헤아릴 沈: 잠길 舟:

  • 如渡得船(여도득선) : 강을 건너려 하는 데 마침 나루터에서 를 얻었다는 뜻으로, 필요(必要)한 것이나 상황(狀況)이 바라는 대로 됨이나 부처의 자비(慈悲)를 입음을 이르는 말.
    如: 같을 渡: 건널 得: 얻을 船:

  • 呑舟之魚(탄주지어) : 를 삼킬 만한 물고기라는 뜻으로, 큰 인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呑: 삼킬 舟: 之: 魚: 고기

  • 河魚腹疾(하어복질) : 물고기의 앓이 병이라는 뜻으로, 물고기가 부터 썩어들기 때문에 뱃속의 병이나 앓이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
    河: 강 이름 魚: 고기 腹: 疾:

  • 暴虎馮河(포호빙하) : 맨손으로 범을 때려잡고 걸어서 황허강(黃河江)을 건넌다는 뜻으로, 용기는 있으나 무모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술이편(述而篇)>에 나온 말이다.
    暴: 사나울 虎: 馮: 업신여길 河: 강 이름

  • 烏飛梨落(오비이락) : 까마귀 날자 떨어진다는 뜻으로, 아무 관계도 없이 한 일이 공교롭게도 때가 같아 억울하게 의심을 받거나 난처한 위치에 서게 됨을 이르는 말.
    烏: 까마귀 飛: 落: 떨어질

  • 舟中敵國(주중적국) : 한 안에 적의 편이 있다는 뜻으로, 군주가 덕을 닦지 아니하면 자기편일지라도 모두 곧 적이 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舟: 中: 가운데 敵: 원수 國: 나라

  • 三拜九拜(삼배구배) : 삼의 예와 구의 예라는 뜻으로, 몇 번이고 머리를 숙이고 일을 부탁한다는 의미.
    三: 拜: 九: 아홉 拜:

  • 學如逆水(학여역수) : 움이란 마치 물을 거슬러 를 젓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앞으로 나아가지 않으면 퇴보(退步)한다는 뜻.
    學: 배울 如: 같을 逆: 거스를 水:

  • 他人之宴曰梨曰枾(타인지연왈리왈시) : 남의 잔치에 놓아라 감 놓아라 한다는 뜻으로, 남의 일에 공연히 쓸데없는 참견(參見)을 한다는 뜻.
    他: 다를 人: 사람 之: 宴: 잔치 曰: 가로 梨: 배나무 曰: 가로 枾: 감나무

  • 無學文盲(무학문맹) : 우지 못하여 글을 읽지 못함. 또는 그런 사람.
    無: 없을 學: 배울 文: 글월 盲: 소경

  • 南船北馬(남선북마) : 중국의 남쪽은 강이 많아서 를 이용하고 북쪽은 산과 사막이 많아서 말을 이용한다는 뜻으로, 늘 쉬지 않고 여기저기 여행을 하거나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南: 남녘 船: 北: 북녘 馬:

  • 桃梨千機錦江山一畵屛(도리천기금강산일화병) : 복숭아와 는 일 천 개 베틀의 비단(緋緞)이요, 강과 산은 한 폭의 병풍(屛風)임.
    桃: 복숭아나무 梨: 배나무 千: 일천 機: 베틀 錦: 비단 江: 山: 一: 畵: 그림 屛: 병풍

  • 乘風破浪(승풍파랑) : 먼 곳까지 불어 가는 바람을 타고 끝없는 바다의 파도를 헤치고 를 달린다는 뜻으로, 원대한 뜻이 있음을 이르는 말.
    乘: 風: 바람 破: 깨뜨릴 浪: 물결

  • 明珠闇投(명주암투) : 명주를 어둠 속에서 남에게 던져 준다는 뜻으로, 귀중한 물건도 남에게 잘못 주면 오히려 원망을 듣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明: 밝을 珠: 구슬 闇: 닫힌 문 投: 던질

  • 長風破浪(장풍파랑) : 멀리 불어 가는 대풍을 타고 끝없는 바다 저쪽으로 를 달린다는 뜻으로, 대업(大業)을 이룬다는 말.
    長: 風: 바람 破: 깨뜨릴 浪: 물결

  • 不可思議(불가사의) : (1)사람의 생각으로는 미루어 헤아릴 수 없이 이상하고 야릇함. (2)나유타의 만 가 되는 수. 또는 그런 수의. 즉, 1064을 이른다. (3)예전에, 나유타의 억 가 되는 수를 이르던 말. 즉, 10120을 이른다.
    不: 아니 可: 옳을 思: 생각할 議: 의논할

  • 魚腹孤魂(어복고혼) : 물고기의 에 장사 지낸 외로운 넋이라는 뜻으로, 물에 빠져 죽은 외로운 넋을 이르는 말.
    魚: 고기 腹: 孤: 외로울 魂:

  • 老病有孤舟(노병유고주) : 늙고 병든 몸을 의탁(依託)할 것은 오직 작은 한 척 뿐이라는 뜻으로, 노후(老後)의 고적(孤寂)함을 형용(形容)하는 말.
    病: 有: 있을 孤: 외로울 舟:

  • 大千世界(대천세계) : 중천세계를 천 합한 세계.
    大: 千: 일천 世: 인간 界: 지경

  • 絲身穀腹(사신곡복) : 몸을 가리는 실과 를 채우는 곡식이라는 뜻으로, 입는 것과 먹는 것을 이르는 말.
    絲: 身: 穀: 곡식 腹:

  • 鼓腹(고복) : 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생활이 풍족하여 태평한 세월을 즐김을 이르는 말.
    鼓: 腹:

  • 一葉片舟(일엽편주) : 한 척의 조그마한 .
    一: 葉: 片: 조각 舟:

  • 覆敗之患(복패지환) : 뒤집혀서 패할 근심이라는 뜻으로, (1) 가 전복할 근심 (2) 싸움에 패할 근심(3) 가운(家運)이 기울어질 근심.
    覆: 뒤집힐 敗: 패할 之: 患: 근심

  • 棗栗梨柿(조율이시) : 대추, 밤, , 감이라는 뜻으로, 제사상을 차릴 때 과일을 진설(陳設)하는 순서로 왼쪽부터 대추, 밤, , 감의 순서로 놓은 것을 이르는 말.
    棗: 대추나무 柿: 감나무

  • 捧腹絶倒(봉복절도) : 를 잡고 까무러치듯 넘어진다는 뜻으로, 를 움켜쥐고 넘어질 정도로 몹시 웃는다는 의미.
    捧: 받들 腹: 絶: 끊을 倒: 넘어질

  • 私腹(사복) : 개인의 사사로운 이익이나 욕심.
    私: 사사 腹:

  • 含哺鼓腹(함포고복) : 잔뜩 먹고 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먹을 것이 풍족하여 즐겁게 지냄을 이르는 말.
    含: 머금을 哺: 먹일 鼓: 腹:

  • 抱腹絶倒(포복절도) : 를 움켜쥐고 넘어진다는 뜻으로, 몹시 우스워서 참을 수 없어 를 안고 웃음을 이르는 말.
    抱: 안을 腹: 絶: 끊을 倒: 넘어질

  • 飮河滿腹(음하만복) : 강물처럼 많이 있는 물을 마신다 하여도 실제로 마시는 분량은 를 채울 정도에 지나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자기 분수에 넘지 아니하게 조심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飮: 마실 河: 강 이름 滿: 腹:

  • 飽食暖衣(포식난의) : 부르게 먹고 따뜻하게 입는다는 뜻으로, 의식(衣食)이 넉넉하게 지냄을 이르는 말.
    飽: 배부를 食: 暖: 따뜻할 衣:

  • 非肉不飽(비육불포) : 고기를 먹지 아니하면 가 부르지 아니하다는 뜻으로, 늙은이가 쇠약해진 지경을 이르는 말.
    非: 아닐 肉: 고기 不: 아니 飽: 배부를

  • 吳越同舟(오월동주) : 서로 적의를 품은 사람들이 한자리에 있게 된 경우나 서로 협력하여야 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전국 시대에, 서로 적대시하는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를 탔으나 풍랑을 만나서 서로 단합하여야 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출전은 ≪손자(孫子)≫의 <구지편(九地篇)>이다.
    吳: 나라 이름 越: 넘을 同: 한가지 舟:

  • 濟河焚舟(제하분주) : 강을 건너고 를 불태운다는 뜻으로, 살아 돌아가기를 기약하지 않는 굳은 의지를 보임을 이르는 말.
    濟: 건널 河: 강 이름 焚: 불사를 舟:

  • 同舟濟江(동주제강) : 같은 를 타고 강을 건너간다는 뜻으로, 원수(怨讐)끼리도 공동(共同)의 목적(目的)을 위(爲)해서는 같은 를 타고 서로 협조(協助)하게 된다는 말.
    同: 한가지 舟: 濟: 건널 江:

  • 桃源鄕(도원향) :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말로, 이상향, 별천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때 호남(湖南) 무릉의 한 어부가 를 저어 복숭아꽃이 아름답게 핀 수원지로 올라가 굴속에서 진(秦)나라의 난리를 피하여 온 사람들을 만났는데, 그들은 하도 살기 좋아 그동안 바깥세상의 변천과 많은 세월이 지난 줄도 몰랐다고 한다.
    桃: 복숭아나무 源: 근원 鄕: 시골

  • 不及馬腹(불급마복) : 말의 에 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채찍이 길어도 말의 에 이르지 않는 것처럼 인생에는 인력(人力)이 미치지 못하는 곳이 있음을 비유하는 말.
    不: 아니 及: 미칠 馬: 腹:

  • 刻船求劍(각선구검) :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초나라 사람이 에서 칼을 물속에 떨어뜨리고 그 위치를 뱃전에 표시하였다가 나중에 가 움직인 것을 생각하지 않고 칼을 찾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刻: 새길 船: 求: 구할 劍:

  • 倍達民族(배달민족) : (1) 우리 민족(民族)을 달리 부르는 말 (2) 우리나라의 상고(上古) 시대(時代) 이름(3) '달(倍達) 겨레'가 이루고 있는 나라.
    倍: 達: 통할 民: 백성 族: 겨레

  • 風檣陣馬(풍장진마) : 돛이 바람을 타고 말이 진지(陣地)에 선다는 뜻으로, 돛에 순풍을 받아 가 달리며, 준마(駿馬)가 진두(陳頭)에 서는 것처럼 문장이 웅건하거나 필체가 강하고 굳셈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風: 바람 檣: 돛대 陣: 진칠 馬:

  • 割肉充腹(할육충복) : 자기 살을 베어 를 채운다는 뜻으로, 친족의 재물을 빼앗는 짓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割: 나눌 肉: 고기 充: 腹:

  • 盈科而後進(영과이후진) : 구멍을 가득 채운 뒤에 나간다는 뜻으로, 물이 흐를 때는 조금이라도 오목한 데가 있으면 우선(于先) 그곳을 가득 채우고 아래로 흘러간다는 말. 곧 사람의 움의 길도 속성(速成)으로 하려 하지말고 차근차근 닦아 나가야 한다는 말.
    盈: 科: 과정 而: 말 이을 後: 進: 나아갈

  • 偃鼠之望(언서지망) : 쥐는 작은 동물(動物)이라서 강물을 마신대야 자기(自己) 하나 가득히밖에 더 못 마신다는 뜻으로, 자기(自己) 정(定)한 분수(分數)가 있으니 안분(安分)하라는 말.
    偃: 누울 鼠: 之: 望: 바랄

  • 腹心之疾(복심지질) : (1)나 가슴을 앓는 고치기 어려운 병. (2)떨쳐 버릴 수 없는 근심이나 걱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腹: 心: 마음 之: 疾:

  • 破麥剖梨(파맥부리) : 보리를 찧고 를 가른다는 뜻으로, 보리를 찧으면 기울(麩(부):속껄질)이 생기고 를 쪼개면 씨(종자(種子))가 나오는 것처럼 부(麩)와 부(夫), 종(種)과 子(자)를 연결하여 잃거나 헤어졌던 남편과 자식을 다시 만나는 일을 일컫는 말로 사용됨.
    破: 깨뜨릴 麥: 보리 剖: 쪼갤 梨: 배나무

  • 刻舟求劍(각주구검) :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초나라 사람이 에서 칼을 물속에 떨어뜨리고 그 위치를 뱃전에 표시하였다가 나중에 가 움직인 것을 생각하지 않고 칼을 찾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여씨춘추≫의 <찰금편(察今篇)>에 나오는 말이다.
    刻: 새길 舟: 求: 구할 劍:

  • 腹背之毛(복배지모) : 와 등에 난 털이라는 뜻으로, 있으나 마나 한 것을 이르는 말.
    腹: 背: 之: 毛:

  • 浸潤之譖(침윤지참) : 차차 젖어서 번지는 것과 같이 조금씩 오래 두고 하는 참소의 말.
    浸: 담글 潤: 젖을 之: 譖: 헐뜯을

  • 鞭長莫及(편장막급) : 채찍이 아무리 길어도 말의 에는 닿지 못한다는 뜻으로, 돕고 싶지만 능력이 모자라서 도울 수가 없음을 이르는 말.
    鞭: 채찍 長: 莫: 없을 及: 미칠

  • 麵腹(면복) : 국수를 먹은 라는 뜻으로, 국수가 쉽게 소화되는 것처럼 쉽게 얻은 행운은 오래가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麵: 밀가루 腹:

  • 口蜜腹劍(구밀복검) : 입에는 꿀이 있고 속에는 칼이 있다는 뜻으로, 말로는 친한 듯하나 속으로는 해칠 생각이 있음을 이르는 말.
    口: 蜜: 腹: 劍:

  • 鼓腹擊壤(고복격양) : 태평한 세월을 즐김을 이르는 말. 중국 요 임금 때 한 노인이 를 두드리고 땅을 치면서 요 임금의 덕을 찬양하고 태평성대를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鼓: 腹: 擊: 壤:

  • 破釜沈船(파부침선) : 솥을 깨뜨려 다시 밥을 짓지 아니하며 를 가라앉혀 강을 건너 돌아가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죽을 각오로 싸움에 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破: 깨뜨릴 釜: 가마 沈: 잠길 船:

  • 積羽沈舟(적우침주) : 새의 깃이라도 쌓이고 쌓이면 를 가라앉힐 수 있다는 뜻으로, 작은 힘이라도 합치면 큰 힘이 됨을 이르는 말.
    積: 쌓을 羽: 沈: 잠길 舟:

  • 回鯉(회리) : 물음이나 편지 따위에 대답함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월나라의 왕인 구천(句踐)의 가신(家臣) 범여(范蠡)가 잉어의 를 따고 그 속에 편지를 넣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回: 鯉: 잉어

  • 虎不食兒(호불식아) : 호랑이는 새끼를 먹지 않는다는 뜻으로, 범은 아무리 가 고파도 제 새끼를 먹지는 않는 것처럼, 아무리 흉악한 사람도 제 식구는 함부로 하지 않는다는 의미.
    虎: 不: 아니 食: 兒: 아이

  • 破釜沈舟(파부침주) : 솥을 깨뜨리고 를 가라앉힌다는 뜻으로, 싸움터로 나가면서 살아 돌아오기를 바라지 않고 결전을 각오(覺悟)함을 이르는 말.
    破: 깨뜨릴 釜: 가마 沈: 잠길 舟:

  • 鑿飮耕食(착음경식) : 우물을 파서 마시며 밭을 갈아먹는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하고 생활이 안락함을 이르는 말. 요나라 때에 어떤 노인이 부른 와 땅을 두들기며 읊은 노래에서 유래한다.
    鑿: 뚫을 飮: 마실 耕: 食:

  • 推己及人(추기급인) : 자기를 미루어 남에게 미친다는 뜻으로, 자기의 처지에 비추어 다른 사람의 형편을 헤아림을 이르는 말.
    推: 옮을 己: 及: 미칠 人: 사람

  • 掌中寶玉(장중보옥) : 손안에 있는 보로운 구슬이란 뜻으로, 귀하고 보롭게 여기는 존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掌: 손바닥 中: 가운데 寶: 보배 玉: 구슬

  • 白魚入舟(백어입주) : 적이 항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의 주왕을 치려고 강을 건널 때, 백어가 에 뛰어들어 은나라가 항복할 조짐을 보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백(白)은 은나라를 상징하는 빛깔이었다.
    白: 魚: 고기 入: 舟:

#아래 86 #자연 73 #태도 72 #예전 60 #모습 66 #가운데 104 #머리 141 #문장 59 #세월 71 #이름 211 #의미 1817 #처음 91 #여자 101 #동안 70 #상황 119 #재능 61 #행동 137 #재주 82 #모양 142 #집안 93 #사물 172 #목숨 58 #어머니 72 #시대 114 #노력 69 #관계 90 #나무 166 #백성 105 #임금 189 #표현 88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12개) : 바, 박, 밖, 반, 발, 밤, 밥, 밧, 방, 밭, 밯, 배, 백, 밲, 밴, 밸, 뱀, 뱁, 뱅, 뱍, 뱐, 뱔, 뱜, 버, 벅, 벆, 번, 벋, 벌, 범, 법, 벗, 벙, 벚, 벜, 베, 벡, 벢, 벤, 벨, 벰, 벱, 벳, 벵, 벸, 벹, 벼, 벽, 벾, 변, 볃, 별, 볋, 볌, 볏, 병, 볔, 볕, 보, 복, 볶, 본, 볼, 봄, 봅, 봇, 봉, 봋, 봌, 봏, 뵈, 뵐, 뵘, 뵴, 부, 북, 분, 붇, 불, 붉, 붐, 붑, 붓, 붕, 붘, 붚, 붝, 붞, 붤, 붬, 붴, 붸, 붺, 뷔, 뷖, 뷰, 브, 블, 븟, 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