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62

  • 刎頸之友 획순 刎頸之友(문경지우)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刎: 목 벨 頸: 之: 友:

  • 三益友 획순 三益友(삼익우) :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三: 益: 더할 友:

  • 丈人 획순 丈人(장인) : (1)아내의 아버지. (2)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3)늙은이를 이르는 말. (4)죽은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5)덕이 많고 학식이 많은 사람. (6)아버지의 .
    丈: 어른 人: 사람

  • 竹馬故友 획순 竹馬故友(죽마고우) : 대말을 타고 놀던 이라는 뜻으로, 어릴 때부터 같이 놀며 자란 .
    竹: 馬: 故: 友:

  • 忘年交 획순 忘年交(망년교) : 나이에 거리끼지 않고 허물없이 사귄 .
    忘: 잊을 年: 交: 사귈

  • 北窓三友(북창삼우) : 거문고, 술, 시(詩)를 아울러 이르는 말.
    北: 북녘 窓: 三: 友:

  • 情弟(정제) : 주로 편지글에서, 정다운 아우라는 뜻으로 다정한 사이에 자기를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情: 弟: 아우

  • 芝蘭之交(지란지교) : 지초(芝草)와 난초(蘭草)의 교제라는 뜻으로, 사이의 맑고도 고귀한 사귐을 이르는 말.
    芝: 지초 蘭: 난초 之: 交: 사귈

  • 朋友有信(붕우유신) : 오륜(五倫)의 하나. 사이의 도리는 믿음에 있음을 이른다.
    朋: 友: 有: 있을 信: 믿을

  • 擇友交之有所補益(택우교지유소보익) : 을 가려 사귀면 도움과 유익(有益)함이 있을 것임.
    擇: 가릴 友: 交: 사귈 之: 有: 있을 所: 補: 기울 益: 더할

  • 忘年友(망년우) : 나이에 거리끼지 않고 허물없이 사귄 .
    忘: 잊을 年: 友:

  • 三益之友(삼익지우) : 사귀어 이로운 세 부류(部類)의 으로서, 정직(正直)한 사람과 성실(誠實)한 사람과 견문(見聞)이 넓은 사람을 이름.
    三: 益: 더할 之: 友:

  • 噲伍(쾌오) : 여쾌등오(與噲等伍)의 준말로, (1) 평범(平凡)한 인물(人物) (2) 으로 사귐을 부끄럽게 여김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噲: 목구멍 伍: 대오

  • 忘年之交(망년지교) : 나이에 거리끼지 않고 허물없이 사귄 .
    忘: 잊을 年: 之: 交: 사귈

  • 盟寒沙鳥(맹한사조) : 갈매기와의 약속이 희미해진다는 뜻으로, 은거(隱居)하여 갈매기를 삼아 지내다가, 다시 벼슬길에 오름을 이르는 말.
    盟: 맹세 寒: 沙: 모래 鳥:

  • 江湖歌道(강호가도) : 조선 시대에, 은자(隱者)나 시인(詩人), 묵객(墨客) 들이 현실을 도피하여 자연을 삼아 지내면서 일으킨 시가 창작의 한 경향.
    江: 湖: 호수 歌: 노래 道:

  • 落月屋梁(낙월옥량) : 밤에 의 꿈을 꾸고 깨 보니 지는 달이 지붕을 비추고 있다는 뜻에서, 을 생각하는 마음이 간절함을 이르는 말.
    月: 屋: 梁: 들보

  • 雪中四友(설중사우) : 겨울에도 즐길 수 있는 네 가지 꽃. 옥매(玉梅), 납매(臘梅), 동백꽃, 수선(水仙)을 이른다.
    雪: 中: 가운데 四: 友:

  • 江湖之人(강호지인) : 벼슬하지 아니하고 자연을 삼아 강호에 묻혀 사는 사람.
    江: 湖: 호수 之: 人: 사람

  • 孝悌忠信(효제충신) : 어버이에 대한 효도, 형제끼리의 우애, 임금에 대한 충성과 사이의 믿음을 통틀어 이르는 말.
    孝: 효도 悌: 공경할 忠: 충성 信: 믿을

  • 益者三友(익자삼우) :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益: 더할 者: 三: 友:

  • 松竹梅(송죽매) : 소나무와 대나무와 매화나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예로부터 세한삼우라고 하여 시나 그림의 소재로 많이 삼아 왔다.
    松: 竹: 梅: 매화나무

  • 莫逆之間(막역지간) : 서로 거스르지 않는 사이라는 뜻으로, 허물이 없는 아주 친한 사이를 이르는 말.
    莫: 없을 逆: 거스를 之: 間:

  • 紙筆硯墨(지필연묵) : 종이와 붓과 벼루와 먹을 아울러 이르는 말.
    紙: 종이 筆: 硯: 벼루 墨:

  • 百足之蟲(백족지충) : (1)발이 많은 그리마, 노래기, 지네 따위의 벌레를 통틀어 이르는 말. (2)친척이나 아는 사람이 많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百: 일백 足: 之: 蟲: 벌레

  • 蕙焚蘭悲(혜분난비) : 혜초(蕙草)가 불에 타면 난초가 슬퍼한다는 뜻으로, 의 불행을 함께 슬퍼함을 이르는 말.
    蕙: 향풀 이름 焚: 불사를 悲: 슬플

  • 莫逆之友(막역지우) : 서로 거스름이 없는 친구라는 뜻으로, 허물이 없이 아주 친한 친구를 이르는 말.
    莫: 없을 逆: 거스를 之: 友:

  • 布衣之交(포의지교) : 베옷을 입고 다닐 때의 사귐이라는 뜻으로, 벼슬을 하기 전 선비 시절에 사귐. 또는 그렇게 사귄 을 이르는 말.
    布: 衣: 之: 交: 사귈

  • 旁得香氣(방득향기) : 곁에서 향기를 얻는다는 뜻으로, 한 사람이 향을 가지고 있으면, 곁에 있는 사람도 그 좋은 향기를 얻는 것처럼 주변의 은 좋은 사람을 사귀야 한다는 의미.
    旁: 得: 얻을 香: 향기 氣: 기운

  • 同行親舊(동행친구) : 길을 함께 가는 동무. 또는 같은 길을 가는 사람.
    同: 한가지 行: 親: 친할 舊:

  • 呼兄呼弟(호형호제) : 서로 형이니 아우니 하고 부른다는 뜻으로, 매우 가까운 친구로 지냄을 이르는 말.
    呼: 부를 兄: 呼: 부를 弟: 아우

  • 尊執(존집) : 아버지의 이 될 만한 나이의 웃어른을 높여 이르는 말.
    尊: 높을 執: 잡을

  • 貧賤之交(빈천지교) : 가난하고 천할 때 사귄 사이. 또는 그런 .
    貧: 가난할 賤: 천할 之: 交: 사귈

  • 言而不信非直之友(언이불신비직지우) : 말을 하되 미덥지 아니하면 정직(正直)하지 아니한 임.
    言: 말씀 而: 말 이을 不: 아니 信: 믿을 非: 아닐 直: 곧을 之: 友:

  • 忘年之友(망년지우) : 나이에 거리끼지 않고 허물없이 사귄 .
    忘: 잊을 年: 之: 友:

  • 春樹暮雲(춘수모운) : 봄철의 나무와 저문 날의 구름이라는 뜻으로, 먼 곳에 있는 을 그리는 마음이 일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春: 樹: 나무 暮: 저물 雲: 구름

  • 會心之友(회심지우) : 마음이 맞아 의기가 통하는 .
    會: 모일 心: 마음 之: 友:

  • 同門爲朋(동문위붕) : 같은 스승 밑에서 공부(工夫)한 .
    同: 한가지 門: 爲: 朋:

  • 文房四友(문방사우) : 종이, 붓, 먹, 벼루의 네 가지 문방구.
    文: 글월 房: 四: 友:

  • 兄弟之誼(형제지의) : 형제 사이와 같이 정답게 지내는 의 우의.
    兄: 弟: 아우 之: 誼: 옳을

  • 讀書尙友(독서상우) : 책을 읽음으로써 옛날의 현인들과 이 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讀: 읽을 書: 尙: 오히려 友:

  • 江湖之樂(강호지락) : 자연을 삼아 누리는 즐거움.
    江: 湖: 호수 之: 樂: 즐거울

  • 松茂柏悅(송무백열) : 소나무가 무성하면 잣나무가 기뻐한다는 뜻으로, 이 잘되는 것을 기뻐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松: 茂: 우거질 柏: 측백나무 悅: 기쁠

  • 多友之人當事無誤(다우지인당사무오) : 이 많은 사람은 일을 당(當)하여 그르침이 없음.
    多: 많을 友: 之: 人: 사람 當: 마땅할 事: 無: 없을 誤: 그릇할

  • 萍水相逢(평수상봉) : 부평초와 물이 서로 만난다는 뜻으로, 여행 중에 우연히 을 만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萍: 개구리밥 水: 相: 서로 逢: 만날

  • 父交(부교) : 아버지와 나이가 비슷한 어른을 높여 이르는 말.
    父: 아비 交: 사귈

  • 以文會友(이문회우) : 학문으로써 친구를 모은다는 뜻으로, 학문을 매개로 서로가 공유할 수 있는 진정한 을 만들고 관계를 이어가야 한다는 의미.
    以: 文: 글월 會: 모일 友:

  • 知音(지음) : (1)새나 짐승의 울음을 가려 잘 알아들음. (2)음악의 곡조를 잘 앎. (3)마음이 서로 통하는 친한 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거문고의 명인 백아가 자기의 소리를 잘 이해해 준 종자기가 죽자 자신의 거문고 소리를 아는 자가 없다고 하여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의 <탕문편(湯問篇)>에 나오는 말이다. (4)작품을 바르게 느끼고 평가함. 유협의 ≪문심조룡≫에서 문학 평론(文學評論)에 해당하는 제48장의 제목이다. 문학 작품을 어떻게 감상하고 비평할 것인지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여기에서 유협은 작품을 평가할 때에는 현재를 경시하는 태도, 타인을 경멸하는 태도, 진실을 왜곡하는 현상, 편견, 부정확한 평가 따위를 특별히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知: 音: 소리

  • 桑麻之交(상마지교) : 뽕나무와 삼나무를 삼아 지낸다는 뜻으로, 전원에 은거하여 시골 사람들과 사귀며 지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桑: 뽕나무 麻: 之: 交: 사귈

  • 初面親舊(초면친구) : 처음으로 대(對)하여 보는 .
    初: 처음 面: 親: 친할 舊:

  • 朋友責善(붕우책선) : 끼리 서로 좋은 일을 하도록 권함.
    朋: 友: 責: 꾸짖을 善: 착할

  • 三損友(삼손우) : 사귀면 손해가 되는 세 종류의 . 편벽한 , 착하기만 하고 줏대가 없는 , 말만 잘하고 성실하지 못한 을 이른다.
    三: 損: 友:

  • 伯牙絶絃(백아절현) : 백아가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뜻으로, 서로 마음 속 깊이 이해하는 절친한 친구의 죽음을 의미.
    伯: 牙: 어금니 絶: 끊을 絃: 악기줄

  • 父執尊長(부집존장) : 아버지와 나이가 비슷한 어른을 높여 이르는 말.
    父: 아비 執: 잡을 尊: 높을 長:

  • 歲寒三友(세한삼우) : 추운 겨울철의 세 이라는 뜻으로, 추위에 잘 견디는 소나무ㆍ대나무ㆍ매화나무를 통틀어 이르는 말. 흔히 한 폭의 그림에 그려서 ‘송죽매’라고 한다.
    歲: 寒: 三: 友:

  • 知己之友(지기지우) : 자기의 속마음을 참되게 알아주는 친구.
    知: 己: 之: 友:

  • 益者三樂(익자삼요) : 사람이 좋아하여 유익한 세 가지. ≪논어≫에 있는 말로, 예악(禮樂)을 적당히 좋아하는 것, 사람의 착함을 좋아하는 것, 착한 이 많음을 좋아하는 것을 이른다.
    益: 더할 者: 三: 樂: 좋아할

  • 麻中之蓬(마중지봉) : 삼밭 속의 쑥이라는 뜻으로, 곧은 삼밭 속에서 자란 쑥은 곧게 자라게 되는 것처럼 선한 사람과 사귀면 그 감화를 받아 자연히 선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麻: 中: 가운데 之: 蓬:

  • 損者三友(손자삼우) : 사귀면 손해가 되는 세 종류의 . 편벽한 , 착하기만 하고 줏대가 없는 , 말만 잘하고 성실하지 못한 을 이른다.
    損: 者: 三: 友:

  • 刎頸之交(문경지교)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刎: 목 벨 頸: 之: 交: 사귈

  • 三樂(삼악) : (1)≪논어≫에 나오는, 사람이 좋아하는 세 가지. 예악(禮樂)을 절도 있게 좋아하고 남의 선을 말하기 좋아하고 어진 이 많음을 좋아하는 익자삼요와, 교만하게 즐김을 좋아하고 편안히 놀기를 좋아하며 주색을 좋아하는 손자삼요가 있다. (2)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3)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 사람으로 태어난 것, 사내로 태어난 것, 장수하는 것을 이른다. (4)삼락(三樂) 가운데 셋째 가는 즐거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5)국악에서,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향악(鄕樂)의 세 갈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말.
    三: 樂: 즐거울

  • 擧酒屬客(거주촉객) : 잔을 들어 손님에게 권한다는 뜻으로, 송(宋)나라 때 문장가 소식(蘇軾)이 지은 적벽부(赤壁賦)의 일부인데, 적벽의 아름다운 경치를 배경으로 객(客)과 함께 자연을 삼아 뱃놀이를 하던 내용에서 유래됨.
    擧: 酒: 屬: 붙을 客:

#처음 91 #얼굴 99 #의지 69 #방법 59 #어버이 60 #사용 312 #잘못 93 #학문 107 #어머니 72 #벼슬 88 #무리 64 #죽음 73 #사이 200 #정도 153 #경계 56 #서로 71 #노력 69 #마음 496 #세상 339 #조금 96 #비유 1177 #상태 110 #이치 67 #은혜 70 #실패 56 #군자 56 #사랑 91 #나라 392 #경우 64 #세월 71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12개) : 바, 박, 밖, 반, 발, 밤, 밥, 밧, 방, 밭, 밯, 배, 백, 밲, 밴, 밸, 뱀, 뱁, 뱅, 뱍, 뱐, 뱔, 뱜, 버, 벅, 벆, 번, 벋, 벌, 범, 법, 벗, 벙, 벚, 벜, 베, 벡, 벢, 벤, 벨, 벰, 벱, 벳, 벵, 벸, 벹, 벼, 벽, 벾, 변, 볃, 별, 볋, 볌, 볏, 병, 볔, 볕, 보, 복, 볶, 본, 볼, 봄, 봅, 봇, 봉, 봋, 봌, 봏, 뵈, 뵐, 뵘, 뵴, 부, 북, 분, 붇, 불, 붉, 붐, 붑, 붓, 붕, 붘, 붚, 붝, 붞, 붤, 붬, 붴, 붸, 붺, 뷔, 뷖, 뷰, 브, 블, 븟, 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