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87

  • 落花流水 획순 落花流水(락화류수) : (1)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가는 의 경치를 이르는 말. (2)살림이나 세력이 약해져 아주 보잘것없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떨어지는 꽃에 정(情)이 있으면 물에도 또한 정이 있어 떨어지는 꽃은 물이 흐르는 대로 흐르기를 바라고 유수는 떨어지는 꽃을 띄워 흐르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남녀가 서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4)춘앵전이나 처용무에서, 두 팔을 좌우로 한 번씩 뿌리는 춤사위. (5)1929년에 발매한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 가요. 김서정(金曙汀)이 작사ㆍ작곡하고, 이정숙(李貞淑)이 노래하였다. 1927년에 만들어진 동명의 무성 영화의 주제가이다. (6)‘낙화유수’의 북한어.
    花: 水:

  • 陽春和氣 획순 陽春和氣(양춘화기) : 철의 따뜻하고 화창한 기운.
    陽: 春: 和: 고를 氣: 기운

  • 一石二鳥 획순 一石二鳥(일석이조) : 돌 한 개를 던져 새 두 마리를 잡는다는 뜻으로, 동시에 두 가지 이득을 을 이르는 말.
    一: 石: 二: 鳥:

  • 側目視之 획순 側目視之(측목시지) : 곁눈질하여 .
    側: 目: 視: 之:

  • 借花獻佛 획순 借花獻佛(차화헌불) : 꽃을 빌려 부처에 바친다는 뜻으로, 남의 물건으로 자신의 이득을 꾀한다는 의미.
    借: 花: 獻: 바칠 佛: 부처

  • 元亨利貞(원형이정) : (1)사물의 근본이 되는 원리. (2)하늘이 갖추고 있는 네 가지 덕. 세상의 모든 것이 생겨나서 자라고 이루어지고 거두어짐을 뜻한다.
    元: 으뜸 亨: 형통할 貞: 곧을

  • 四十初襪(사십초말) : 사십에 첫 버선이라는 뜻으로, 나이 들어 처음으로 해 보는 일을 이르는 말.
    四: 十: 初: 처음 襪: 버선

  • 花爛春盛(화란춘성) : 꽃이 만발(滿發)한 한창 때의 .
    花: 爛: 문드러질 春: 盛: 담을

  • 草木怒生(초목노생) : 이 되어 초목이 싱싱하게 싹이 틈.
    草: 木: 나무 怒: 성낼 生:

  • 春夏秋冬(춘하추동) : ㆍ여름ㆍ가을ㆍ겨울의 네 계절.
    春: 夏: 여름 秋: 가을 冬: 겨울

  • 暮春三月(모춘삼월) : 이 저물어 가는 음력(陰曆) 삼월(三月).
    暮: 저물 春: 三: 月:

  • 良辰美景(양신미경) : 좋은 시절(時節)과 아름다운 경치(景致)라는 뜻으로, 경치(景致)를 이르는 말.
    辰: 美: 아름다울 景:

  • 萬化方暢(만화방창) : 따뜻한 날에 온갖 생물이 나서 자라 흐드러짐.
    萬: 일만 化: 화할 方: 暢:

  • 陽春佳節(양춘가절) : 따뜻하고 좋은 철.
    陽: 春: 佳: 아름다울 節: 마디

  • 壁危花笑立春好鳥啼來(벽위화소립춘호조제래) : 벽이 위태(危殆)로우나 꽃은 웃으며 서 있고, 이 좋으나 새는 울면서 옴.
    壁: 危: 위태할 花: 笑: 웃을 立: 春: 好: 좋을 鳥: 啼: 來:

  • 稻熟黃滿野春來綠遍山(도숙황만야춘래록편산) : 벼가 익으니 누런 빛이 들에 가득하고, 이 오니 푸르름이 산을 둘렀음.
    稻: 熟: 익을 黃: 누를 滿: 野: 春: 來: 綠: 초록빛 遍: 두루 山:

  • 柳綠花紅(류록화홍) : (1)초록빛 버들잎과 붉은 꽃이라는 뜻으로, 의 자연 경치를 이르는 말. (2)‘유록화홍’의 북한어.
    綠: 초록빛 花: 紅: 붉을

  • 四時長春(사시장춘) : (1)어느 때나 늘 과 같음. (2)늘 잘 지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四: 時: 長: 春:

  • 春水滿四澤(춘수만사택) : 물이 사방의 연못에 가득하다는 뜻으로, 이 되어 겨우내 얼었던 얼음이 녹아 못의 물이 불어난 것처럼 이 다가왔다는 의미.
    春: 水: 滿: 四: 澤:

  • 摩拳擦掌(마권찰장) : 주먹을 문지르고 손바닥을 비빈다는 뜻으로, 한바탕 해보려고 단단히 벼름을 이르는 말.
    摩: 拳: 주먹 擦: 비빌 掌: 손바닥

  • 春來梨花白夏至樹葉靑(춘래이화백하지수엽청) : 이 오니 배꽃은 희게 피고, 여름이 이르니 나뭇잎이 푸르름.
    春: 來: 花: 白: 夏: 여름 至: 이를 樹: 나무 葉: 靑: 푸를

  • 春蚓秋蛇(춘인추사) : 철의 지렁이와 가을철의 뱀이라는 뜻으로, 글줄이 비뚤어지고 글씨가 가늘어 힘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春: 蚓: 지렁이 秋: 가을 蛇:

  • 反顧(반고) : 뒤를 돌아본다는 뜻으로, 가족을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反: 돌이킬 顧: 돌아볼

  • 三位一體(삼위일체) : (1)성부(聖父), 성자(聖子), 성령(聖靈)의 세 위격이 하나의 실체인 하나님 안에 존재한다는 교의. 325년 제일 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정식으로 채택되었다. (2)세 가지의 것이 하나의 목적을 위하여 통합되는 일.
    三: 位: 자리 一: 體:

  • 春無三日晴(춘무삼일청) : 에는 사흘 맑은 날이 없다는 뜻으로, (1) 에 꽃필 무렵이면 비가 많이 내린다는 말 (2) 전(傳)하여 좋은 일에는 어려움도 많이 따름을 이르는 말.
    春: 無: 없을 三: 日: 晴:

  • 無爲自然(무위자연) : 사람의 힘을 더하지 않은 그대로의 자연. 또는 그런 이상적인 경지.
    無: 없을 爲: 自: 스스로 然: 그러할

  • 春水滿四澤夏雲多奇峯(춘수만사택하운다기봉) : 물은 사방(四方) 연못에 가득하고, 여름 구름은 기이(奇異)한 봉우리가 많음.
    春: 水: 滿: 四: 澤: 夏: 여름 雲: 구름 多: 많을 奇: 기이할 峯: 봉우리

  • 讀書亡羊(독서망양) : 글을 읽는 데 정신이 팔려서 먹이고 있던 양을 잃었다는 뜻으로, 하는 일에는 뜻이 없고 다른 생각만 하다가 낭패를 을 이르는 말.
    讀: 읽을 書: 亡: 잃을 羊:

  • 燕鴻之歎(연홍지탄) : 제비와 고니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여름새인 제비와 겨울새인 기러기가 만나지 못하는 것처럼 길이 어긋나거나 서로 소식 없이 만나지 못함을 한탄하는 말.
    燕: 제비 鴻: 큰기러기 之: 歎: 탄식할

  • 親展(친전) : (1)몸소 펴 . (2)편지를 받을 사람이 직접 펴 보라고 편지 겉봉에 적는 말.
    親: 친할 展:

  • 靑眼視(청안시) : 남을 달갑게 여겨 좋은 마음으로 .
    靑: 푸를 眼: 視:

  • 立春大吉(입춘대길) : 입춘을 맞이하여 길운을 기원하며 벽이나 문짝 따위에 써 붙이는 글귀.
    春: 大: 吉: 길할

  • 淸陽(청양) : 날씨가 화창하고 따뜻하다는 뜻으로, ‘’을 달리 이르는 말.
    淸: 맑을 陽:

  • 方春和時(방춘화시) : 바야흐로 이 한창 화창한 때.
    方: 春: 和: 고를 時:

  • 花天月地(화천월지) : 꽃 피고 달 밝은 밤의 좋은 경치.
    花: 天: 하늘 月: 地:

  • 春露秋霜(춘로추상) : 이슬과 가을 서리라는 뜻으로, ‘春露’는 은택(恩澤)을, ‘秋霜’은 위엄(威嚴)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로 사용됨.
    春: 露: 이슬 秋: 가을 霜: 서리

  • 易地思之(역지사지) : 처지를 바꾸어서 생각하여 .
    易: 바꿀 地: 思: 생각할 之:

  • 虎尾春氷(호미춘빙) : 범의 꼬리와 철의 얼음이라는 뜻으로, 몹시 위험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虎: 尾: 꼬리 春: 氷: 얼음

  • 春來不似春(춘래불사춘) : 이 왔지만 같지 않다는 뜻으로, 어떤 처지나 상황이 때에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春: 來: 不: 아니 似: 같을 春:

  • 利害打算(이해타산) : 이해관계를 이모저모 모두 따져 . 또는 그런 일.
    害: 해칠 打: 算: 셈할

  • 春寒老健(춘한노건) : 추위와 늙은이의 건강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오래가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春: 寒: 健: 튼튼할

  • 年年春草生(연년춘초생) : 풀은 해마다 이 되면 다시 돋아남.
    年: 春: 草: 生:

  • 春蛙秋蟬(춘와추선) : 의 개구리와 가을의 매미라는 뜻으로, 쓸모없는 언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春: 蛙: 개구리 秋: 가을 蟬: 매미

  • 怒目視之(노목시지) : 성난 눈으로 바라.
    怒: 성낼 目: 視: 之:

  • 一場春夢(일장춘몽) : (1)한바탕의 꿈이라는 뜻으로, 헛된 영화나 덧없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단가의 하나. 세상 공명(功名) 하직하고, 부귀영화도 일장춘몽에 지나지 않으니 경치나 찾아다니며 흥취를 돋우자는 내용이다.
    一: 場: 마당 春: 夢:

  • 狼貪虎視(낭탐호시) : 이리같이 탐내고 범처럼 노려을 이르는 말.
    貪: 탐할 虎: 視:

  • 慘不忍見(참불인견) : 너무도 참혹하여 차마 볼 수가 없음.
    慘: 참혹할 不: 아니 忍: 참을 見:

  • 强鐵之秋(강철지추) : 강철(鋼鐵)이 가는 데는 가을도 이라는 뜻으로, 다되어 가는 일이 못된 방해자(妨害者)로 인(因)하여 파탄(破綻)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强: 굳셀 鐵: 之: 秋: 가을

  • 自己反省(자기반성) : 자기의 언행에 대하여 잘못이나 부족함이 없는지 스스로 돌이켜 .
    自: 스스로 己: 反: 돌이킬 省: 살필

  • 雜施方藥(잡시방약) : 병을 고치려고 갖가지 약을 시험(試驗)으로 써 .
    雜: 섞일 施: 베풀 方: 藥:

  • 一顧傾城(일고경성) : 한 번 돌아보면 성이 기운다는 뜻으로, 뛰어난 미인을 이르는 말.
    一: 顧: 돌아볼 傾: 기울 城:

  • 揠苗(알묘) : 곡식의 싹을 뽑아 올린다는 뜻으로, 성공을 서두르다가 도리어 해를 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揠: 뽑을 苗:

  • 狼顧(낭고) : 이리는 뒤를 잘 돌아본다는 뜻으로, 경계하거나 무서워하여 뒤를 돌아을 이르는 말.
    顧: 돌아볼

  • 反目嫉視(반목질시) : 서로 미워하고 질투하는 눈으로 .
    反: 돌이킬 目: 嫉: 미워할 視:

  • 豐年化子(풍년화자) : 풍년거지라는 뜻으로, ‘化子’는 중국 백화로 ‘거지’의 뜻이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모두 이익을 볼 때 혼자 빠져 이익을 못 을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豐: 풍년 年: 化: 화할 子: 아들

  • 出谷遷喬(출곡천교) : 골짜기에서 나와 높은 곳으로 옮겨간다는 뜻으로, 새가 에 깊은 산골에서 높은 나무 위에 옮아앉는다는 것에서 사람의 출세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出: 谷: 遷: 옮길 喬: 높을

  • 東作西收(동작서수) : 철에 농사를 지어 가을에 거두어들임.
    東: 동녘 作: 지을 西: 서녘 收: 거둘

  • 柳塘春水漫花塢夕陽遲(류당춘수만화오석양지) : 버들나무 연못에 물은 넘치고, 꽃동산에 저녁 볕은 더딤.
    柳: 버들 塘: 春: 水: 漫: 질펀할 花: 塢: 夕: 저녁 陽: 遲: 늦을

  • 春蘭秋菊(춘란추국) : 의 난초(蘭草)와 가을의 국화(菊花)는 각각(各各) 특색(特色)이 있어 어느 것이 더 낫다고 할 수 없음.
    春: 蘭: 난초 秋: 가을 菊: 국화

  • 明智的見(명지적견) : 환하게 알고 똑똑히 . 또는 밝은 지혜와 적확한 견해.
    明: 밝을 智: 슬기 的: 과녁 見:

  • 春夏秋冬節東西南北方(춘하추동절동서남북방) : , 여름, 가을, 겨울은 계절(季節)이요, 동서(東西) 남북(南北)은 방위(方位)임.
    春: 夏: 여름 秋: 가을 冬: 겨울 節: 마디 東: 동녘 西: 서녘 南: 남녘 北: 북녘 方:

  • 春生秋殺(춘생추살) : 에는 낳게 하고 가을에는 죽인다는 뜻으로, 때에 따라 사랑하기도 하고 벌하기도 함을 이르는 말.
    春: 生: 秋: 가을 殺: 죽일

  • 犬兎之爭(견토지쟁) : 개와 토끼의 다툼이라는 뜻으로, 두 대상이 서로 싸우고 있는 사이에 제삼자가 이득을 보는 상황. ◈ 한자로(韓子廬)라는 빠른 개와 동곽준(東郭逡)이라는 교활한 토끼의 싸움으로 농부가 두 마리를 모두 잡아갔다는 고사.《戰國策》.
    犬: 兎: 토끼 之: 爭: 다툴

  • 若涉春氷(약섭춘빙) : 마치 얼음을 건너듯 한다는 뜻으로, 얇은 얼음을 밟고 건너는 것 같이 대단히 위험함을 이르는 말.
    若: 같을 涉: 건널 春: 氷: 얼음

  • 山深然後寺花落以前春(산심연후사화락이전춘) : 산이 깊은 뒤에 절이 있고, 꽃이 떨어지기 이전(以前)이 임.
    山: 深: 깊을 然: 그러할 後: 寺: 花: 落: 떨어질 以: 前: 春:

  • 春花秋月(춘화추월) : 철의 꽃과 가을철의 달이라는 뜻으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春: 花: 秋: 가을 月:

  • 八字春山(팔자춘산) : 여덟 팔 자 모양의 산이라는 뜻으로, 미인의 눈썹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八: 여덟 字: 글자 春: 山:

  • 回黃轉綠(회황전록) : 누런색이 바뀌어 푸른색으로 옮겨간다는 뜻으로, 누렇게 낙엽 졌던 초목이 이윽고 이 되어 초록색으로 바뀜을 이르는 말.
    回: 黃: 누를 轉: 구를 綠: 초록빛

  • 惜花愁夜雨病酒怨春鶯(석화수야우병주원춘앵) : 꽃을 아끼니 밤 비를 근심하고, 술에 병드니 꾀꼬리를 원망(怨望)함.
    惜: 아낄 花: 愁: 시름 夜: 雨: 病: 酒: 怨: 원망할 春: 鶯: 꾀꼬리

  • 孤露餘生(고로여생) : 어려서 부모를 잃은 사람.
    孤: 외로울 露: 이슬 餘: 남을 生:

  • 徘徊顧眄(배회고면) : 아무 목적도 없이 거닐면서 여기저기 돌아.
    徘: 어정거릴 徊: 어정거릴 顧: 돌아볼 眄: 애꾸눈

  • 四面春風(사면춘풍) : 누구에게나 좋게 대하는 일. 또는 그런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四: 面: 春: 風: 바람

  • 豊年花子(풍년화자) : 풍년(豊年) 거지라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여러 사람이 다 이익(利益)을 볼 때에 혼자 빠져 이익(利益)을 못 을 이르는 말.
    豊: 풍년 年: 花: 子: 아들

  • 和風暖陽(화풍난양) : 솔솔 부는 화창한 바람과 따스한 햇볕이라는 뜻으로, 따뜻한 날씨를 이르는 말.
    和: 고를 風: 바람 暖: 따뜻할 陽:

  • 春意無分別人情有淺深(춘의무분별인정유천심) : 의 뜻은 분별(分別)이 없으나(따스한 기운(氣運)으로 만물(萬物)을 생장(生長)시킴), 사람의 정은 깊고 얕음이 있음.
    春: 意: 無: 없을 分: 나눌 別: 나눌 人: 사람 情: 有: 있을 淺: 얕을 深: 깊을

  • 質諸鬼神(질저귀신) : 의심나는 것을 귀신에게 물어서 밝힌다는 뜻으로, 점을 쳐 을 이르는 말.
    質: 바탕 諸: 모든 鬼: 귀신 神:

  • 白眼視(백안시) : 남을 업신여기거나 무시하는 태도로 흘겨. 중국의 ≪진서(晉書)≫ <완적전(阮籍傳)>에서 나온 말로, 진나라 때 죽림칠현의 한 사람인 완적(阮籍)이 반갑지 않은 손님은 백안(白眼)으로 대하고, 반가운 손님은 청안(靑眼)으로 대한 데서 유래한다.
    白: 眼: 視:

  • 赤地千里(적지천리) : 입춘 뒤의 첫 갑자일(甲子日)에 비가 오면, 그해 에 크게 가물어서 천리의 넓은 논밭이 다 적지(赤地)가 된다는 말.
    赤: 붉을 地: 千: 일천 里: 마을

  • 白龍魚服(백룡어복) : (1)흰 용이 물고기의 옷을 입었다는 뜻으로, 신분이 높고 귀한 사람이 남 모르게 나다님을 이르는 말. (2)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남모르게 나다니다가 뜻하지 않게 욕을 을 이르는 말. 신령스러운 흰 용이 물고기로 변하여 다니다가 어부의 그물에 잡혔다는 데서 유래한다.
    白: 龍: 魚: 고기 服:

  • 春風秋雨(춘풍추우) : 바람과 가을비라는 뜻으로, 지나간 세월을 이르는 말.
    春: 風: 바람 秋: 가을 雨:

  • 春波投石(춘파투석) : 물결에 돌을 던진다는 뜻으로, 삼봉 정도전이 전국 팔도의 사람들의 특성을 표현한 것 중에서 황해도를 표현한 것인데, 바람 타고 살랑대는 물결에 돌을 던져 파문이 일어나는 것처럼 부드럽게 호응 하는 특성을 이르는 말.
    春: 波: 물결 投: 던질 石:

  • 九十春光(구십춘광) : (1)의 석 달 동안. (2)석 달 동안의 화창한 날씨.
    九: 아홉 十: 春: 光:

  • 靑踏(청답) : 에 파랗게 난 풀을 밟으며 산책함. 또는 그런 산책.
    靑: 푸를 踏: 밟을

  • 怒蹴巖(노축암) : 성이 나서 바위를 찬다는 뜻으로, 애꿎은 분풀이로 도리어 손해를 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怒: 성낼 蹴: 巖: 바위

  • 花朝月夕(화조월석) : (1)꽃 피는 아침과 달 밝은 밤이라는 뜻으로, 경치가 좋은 시절을 이르는 말. (2)음력 2월 보름과 8월 보름.
    花: 朝: 아침 月: 夕: 저녁

  • 寸草春暉(촌초춘휘) : 작은 풀과 볕이라는 뜻으로, 철의 작은 풀이 햇살에 무럭무럭 자랄 수 있듯이 부모의 은혜는 만분의 하나라도 갚기가 어려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寸草’는 풀로 자식의 효심을, ‘春暉’는 볕으로 부모의 은혜를 비유.
    寸: 마디 草: 春: 暉:

  • 春北秋南雁朝西暮東虹(춘북추남안조서모동홍) : 에는 북으로 가을에는 남으로 가는 기러기요, 아침에는 서쪽에서 저녁에는 동쪽에서 빛나는 무지개임.
    春: 北: 북녘 秋: 가을 南: 남녘 雁: 기러기 朝: 아침 西: 서녘 暮: 저물 東: 동녘 虹: 무지개

#인간 65 #모양 142 #상대 56 #구름 67 #조금 96 #임금 189 #자연 73 #생각 236 #의지 69 #비유 1177 #근본 66 #백성 105 #훌륭 85 #속담 63 #동안 70 #사이 200 #지위 65 #부모 136 #가난 90 #여자 101 #나라 392 #세월 71 #편안 62 #세상 339 #정도 153 #행동 137 #죽음 73 #의미 1817 #자신 208 #경계 56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12개) : 바, 박, 밖, 반, 발, 밤, 밥, 밧, 방, 밭, 밯, 배, 백, 밲, 밴, 밸, 뱀, 뱁, 뱅, 뱍, 뱐, 뱔, 뱜, 버, 벅, 벆, 번, 벋, 벌, 범, 법, 벗, 벙, 벚, 벜, 베, 벡, 벢, 벤, 벨, 벰, 벱, 벳, 벵, 벸, 벹, 벼, 벽, 벾, 변, 볃, 별, 볋, 볌, 볏, 병, 볔, 볕, 보, 복, 볶, 본, 볼, 봄, 봅, 봇, 봉, 봋, 봌, 봏, 뵈, 뵐, 뵘, 뵴, 부, 북, 분, 붇, 불, 붉, 붐, 붑, 붓, 붕, 붘, 붚, 붝, 붞, 붤, 붬, 붴, 붸, 붺, 뷔, 뷖, 뷰, 브, 블, 븟, 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