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에 관한 한자 모두 136

  • 風木之悲 획순 風木之悲(풍목지비)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風: 바람 木: 나무 之: 悲: 슬플

  • 望雲 획순 望雲(망운) :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어버이를 생각함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적인걸(狄仁傑)이 타향에서 부모가 계신 쪽의 구름을 바라보고 어버이를 그리워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望: 바랄 雲: 구름

  • 雨露之澤 획순 雨露之澤(우로지택) : 이슬과 비의 덕택이라는 뜻으로, 왕의 넓고 큰 은혜를 이르는 말.
    雨: 露: 이슬 之: 澤:

  • 溫凊定省 획순 溫凊定省(온정정성) : 자식이 효성을 다하여 부모를 섬기는 도리. 겨울에는 따뜻하게 하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하며, 저녁에는 자리를 편히 마련하고, 아침에는 안부를 여쭙는 일을 이른다.
    溫: 따뜻할 凊: 서늘할 定: 정할 省: 살필

  • 當代發福 획순 當代發福(당대발복) : 풍수지리에서, 부모를 좋은 묏자리에 장사 지낸 덕으로 그 아들 대에서 부귀를 누리게 됨.
    當: 마땅할 代: 대신 發: 福:

  • 抱痛西河(포통서하) : 서하에서 고통을 품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제자 자하(子夏)가 서하에 있을 때, 그의 아들을 잃고 너무 비통한 나머지 실명한 고사에서 유래되어 자식을 잃고 슬퍼하는 일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抱: 안을 痛: 아플 西: 서녘 河: 강 이름

  • 拜家慶(배가경) : 오래도록 떠나 있던 자식(子息)이 귀가(歸嫁)해서 부모(父母)를 뵙는 일.
    拜: 家: 慶: 경사

  • 養志(양지) : (1)부모님을 즐겁게 해 드림. (2)뜻을 기름. 자기가 마음먹은 뜻을 이루기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함을 이른다.
    養: 기를 志:

  • 孝子愛日(효자애일) : 효자는 날을 아낀다는 뜻으로, 될 수 있는 한 오래 부모에게 효성을 다하여 섬기고자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孝: 효도 子: 아들 愛: 사랑 日:

  • 篤老侍下(독로시하) : 일흔 살이 넘은 부모를 모시고 있는 처지.
    篤: 도타울 老: 늙을 侍: 모실 下: 아래

  • 反哺之孝(반포지효) :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孝)라는 뜻으로, 자식이 자란 후에 어버이의 은혜를 갚는 효성을 이르는 말.
    反: 돌이킬 哺: 먹일 之: 孝: 효도

  • 仰事俯育(앙사부육) : 어버이를 섬기고 처자를 보살핌.
    仰: 우러를 事: 俯: 구부릴 育: 기를

  • 父母臥命俯首聽之(부모와명부수청지) : 부모(父母)님께서 누워서 명하시더라도 고개를 숙이고 들음.
    父: 아비 母: 어미 臥: 누울 命: 목숨 俯: 구부릴 首: 머리 聽: 들을 之:

  • 層層侍下(층층시하) : 부모, 조부모 등의 어른들을 모시고 사는 처지.
    層: 層: 侍: 모실 下: 아래

  • 定省溫淸(정성온청) : 아침 저녁으로 부모(父母)의 이부자리를 보살펴 안부(安否)를 묻고, 따뜻하고 서늘하게 한다는 뜻으로, 자식(子息)이 부모(父母)를 섬기는 도리(道理)를 이르는 말.
    定: 정할 省: 살필 溫: 따뜻할 淸: 맑을

  • 父慈子孝(부자자효) : 부모는 자애롭고 자식은 효도한다는 뜻으로, 어버이는 자녀에게 자애로운 사랑을 베풀고 자녀는 어버이에게 효성스러워야 한다는 의미.
    父: 아비 慈: 사랑 子: 아들 孝: 효도

  • 鴇羽之嗟(보우지차) : 느시 깃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백성이 전쟁터에 나가 있어 그 어버이를 봉양하지 못하는 슬픈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경≫에서 유래한다.
    鴇: 능에 羽: 之: 嗟: 탄식할

  • 寢苫枕草(침점침초) : 저락자리를 깔고 풀을 베게 삼아 눕는다는 뜻으로, 부모(父母)의 상중(喪中)에 자식(子息)된 자는 어버이가 흙속에 묻혀 있음을 슬퍼하여 아주 검소(儉素)해야 함을 이르는 말.
    寢: 잠잘 苫: 이엉 枕: 베개 草:

  • 大義滅親(대의멸친) : 큰 도리를 지키기 위하여 부모나 형제도 돌아보지 않음.
    大: 義: 옳을 滅: 멸망할 親: 친할

  • 吹恐飛執恐虧(취공비집공휴) : 불면 날아갈까 쥐면 터질까 걱정한다는 뜻으로, 부모(父母)가 자식(子息)을 애지중지함을 이르는 말.
    吹: 恐: 두려울 飛: 執: 잡을 恐: 두려울 虧: 이지러질

  • 父母出入每必起立(부모출입매필기립) : 부모(父母)님께서 나가시거나 들어오시면 매양 반드시 일어나 서야 함.
    父: 아비 母: 어미 出: 入: 每: 매양 必: 반드시 起: 일어날 立:

  • 覆巢破卵(복소파란) : 둥지를 뒤엎고 알을 깬다는 뜻으로, 부모의 재난에 자식도 화를 당한다는 뜻이나, 근본(根本)이 망하면 지엽(枝葉)도 따라 망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覆: 뒤집힐 巢: 보금자리 破: 깨뜨릴 卵:

  • 三不去(삼불거) : 유교에서, 칠거지악을 범한 아내일지라도 버리지 못하는 세 가지 경우. 부모의 삼년상을 같이 치렀거나, 장가들 때 가난했다가 나중에 부자가 되었거나, 아내가 돌아가도 의지할 데가 없는 경우이다.
    三: 不: 아니 去:

  • 昏定晨省(혼정신성) : 밤에는 부모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의 밤새 안부를 묻는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고 효성을 다함을 이르는 말.
    昏: 어두울 定: 정할 晨: 새벽 省: 살필

  • 綱常罪人(강상죄인) : 예전에, 삼강오상(三綱五常)에 어긋나는 행위를 한 죄인을 이르던 말. 부모나 남편을 죽인 자, 노비로서 주인을 죽인 자, 또는 관노(官奴)로서 관장(官長)을 죽인 자 등을 이른다.
    綱: 벼리 常: 항상 罪: 허물 人: 사람

  • 事君之道與父一體(사군지도여부일체) : 임금을 섬기는 도리(道理)는 부모(父母)를 섬기는 것과 똑같음.
    事: 君: 임금 之: 道: 與: 父: 아비 一: 體:

  • 冬溫夏凊(동온하정) :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서늘하게 한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어 효도함을 이르는 말.
    冬: 겨울 溫: 따뜻할 夏: 여름 凊: 서늘할

  • 我欺兄弟如欺父母(아기형제여기부모) : 내가 형제(兄弟)를 속이는 것은 부모(父母)님을 속이는 것과 같음.
    我: 欺: 속일 兄: 弟: 아우 如: 같을 欺: 속일 父: 아비 母: 어미

  • 莫知其子之惡(막지기자지악) : 자기 자식의 잘못을 모른다는 뜻으로,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이 맹목적임을 이르는 말.
    莫: 없을 知: 其: 子: 아들 之: 惡: 악할

  • 怙恃(호시) : 믿고 의지한다는 뜻으로, ‘부모’를 이르는 말.
    怙: 믿을 恃: 믿을

  • 奸臣賊子(간신적자) : 간사한 신하와 부모를 거스르는 자식.
    奸: 범할 臣: 신하 賊: 도둑 子: 아들

  • 孝當竭力(효당갈력) : 부모(父母)를 섬길 때에는 마땅히 힘을 다하여야 함.
    孝: 효도 當: 마땅할 竭: 다할 力:

  • 鰥寡孤獨(환과고독) : (1)늙어서 아내 없는 사람, 늙어서 남편 없는 사람, 어려서 어버이 없는 사람, 늙어서 자식 없는 사람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외롭고 의지할 데 없는 처지.
    鰥: 홀아비 寡: 적을 孤: 외로울 獨: 홀로

  • 奉養(봉양) : 부모나 조부모와 같은 웃어른을 받들어 모심.
    奉: 받들 養: 기를

  • 三綱五倫(삼강오륜) :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과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통틀어 이른다.
    三: 綱: 벼리 五: 다섯 倫: 인륜

  • 事親以孝(사친이효) : 세속 오계의 하나. 어버이를 섬기기를 효도로써 함을 이른다.
    事: 親: 친할 以: 孝: 효도

  • 奉檄之喜(봉격지희) : 부모가 살아 있는 동안에 그 고을의 수령으로 임명되는 기쁨.
    奉: 받들 檄: 격문 之: 喜: 기쁠

  • 倚門而望(의문이망) : 어머니가 대문에 기대어 서서 자식이 돌아오기를 기다림. 또는 그런 어머니의 마음.
    倚: 의지할 門: 而: 말 이을 望: 바랄

  • 父母責之勿怒勿答(부모책지물노물답) : 부모(父母)님께서 꾸짖으실지라도 성내지 말고 말대답(-對答)을 하지말아야 함.
    父: 아비 母: 어미 責: 꾸짖을 之: 勿: 怒: 성낼 勿: 答: 대답할

  • 父母衣服勿踰勿踐(부모의복물유물천) : 부모(父母)님의 의복(衣服)은 넘어다니지 말고 밟지 않음.
    父: 아비 母: 어미 衣: 服: 勿: 踰: 넘을 勿: 踐: 밟을

  • 子欲養而親不待(자욕양이친부대) : 자식(子息)이 부모(父母)에게 봉양(奉養)하고자 하나 부모(父母)는 기다려 주지 않는다는 뜻으로, 효도(孝道)를 다하지 못한 채 부모(父母)를 잃은 자식(子息)의 슬픔을 가리키는 말로 부모(父母)가 살아계실 때 효도(孝道)를 다하라는 뜻.
    子: 아들 欲: 하고자 할 養: 기를 而: 말 이을 親: 친할 不: 아닌가 待: 기다릴

  • 慘慽之變(참척지변) : 자손(子孫)이 부모나 조부모(祖父母)보다 일찍 죽는 변고(變故).
    慘: 참혹할 慽: 근심할 之: 變: 변할

  • 同氣連枝(동기연지) : 형제(兄弟)는 부모(父母)의 기운(氣運)을 같이 받았으니 나무의 가지와 같음.
    同: 한가지 氣: 기운 枝: 가지

  • 父母遺體(부모유체) : 부모가 남긴 몸이라는 뜻으로, 자식이 된 몸을 이르는 말.
    父: 아비 母: 어미 遺: 남길 體:

  • 仰事父母(앙사부모) : 어버이를 우러러 섬김.
    仰: 우러를 事: 父: 아비 母: 어미

  • 父母有疾捨置他事(부모유질사치타사) : 부모(父母)님이 병환(病患)을 앓으시면 다른 일은 버려둠.
    父: 아비 母: 어미 有: 있을 疾: 捨: 버릴 置: 他: 다를 事:

  • 親候(친후) : 주로 편지글에서, 부모의 기거나 건강 상태 따위를 이르는 말.
    親: 친할 候:

  • 早喪父母(조상부모) : 어려서 부모를 여읨.
    早: 일찍 喪: 복입을 父: 아비 母: 어미

  • 戴星之行(대성지행) : 타향에서 부모의 부음(訃音)을 받고 밤을 새워 돌아가는 길.
    戴: 星: 之: 行:

  • 父母有命府首聞之(부모유명부수문지) : 부모(父母)님께서 명하심이 있으면 머리를 숙이고 들어야 함.
    父: 아비 母: 어미 有: 있을 命: 목숨 府: 곳집 首: 머리 聞: 들을 之:

  • 養子息知親力(양자식지친력) : 자식을 길어야봐야 어버이의 힘든 것을 안다는 뜻으로, 부모가 되어보아야 지고지순(至高至純)한 부모의 사랑을 깨달을 수 있다는 의미.
    養: 기를 子: 아들 息: 숨쉴 知: 親: 친할 力:

  • 孝衰於妻子(효쇠어처자) : 효는 처자식에게서 쇠퇴해진다는 뜻으로, 사람은 처자를 가지면 부모를 섬기는 효심이 쇠해짐을 비유함.
    孝: 효도 衰: 쇠할 於: 어조사 妻: 아내 子: 아들

  • 下氣怡聲(하기이성) : 기를 낮추고 음성을 부드럽게 한다는 뜻으로, 자식이 부모님을 섬기는 도리를 이르는 말.
    下: 아래 氣: 기운 怡: 기뻐할 聲: 소리

  • 陟岵之情(척호지정) : 고향에 있는 부모를 그리워하는 마음.
    陟: 오를 岵: 之: 情:

  • 我打我兄猶打父母(아타아형유타부모) : 내가 나의 형을 때리는 것은 부모(父母)님을 때리는 것과 같음.
    我: 打: 我: 兄: 猶: 오히려 打: 父: 아비 母: 어미

  • 兄弟和睦父母喜之(형제화목부모희지) : 형과 아우가 화목(和睦)하면 부모(父母)님이 기뻐하심.
    兄: 弟: 아우 和: 고를 睦: 화목할 父: 아비 母: 어미 喜: 기쁠 之:

  • 早失父母(조실부모) : 어려서 부모를 여읨.
    早: 일찍 失: 잃을 父: 아비 母: 어미

  • 祖父(조부) : (1)아버지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2)부모의 아버지와 한 항렬에 있는 남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祖: 할아비 父: 아비

  • 定省(정성) : 밤에는 부모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의 밤새 안부를 묻는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고 효성을 다함을 이르는 말.
    定: 정할 省: 살필

  • 亂臣賊子(난신적자) : (1)‘난신적자’의 북한어. (2)나라를 어지럽히는 불충한 무리.
    臣: 신하 賊: 도둑 子: 아들

  • 風樹之嘆(풍수지탄) : 바람 맞는 나무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효도를 다하지 못하고 어버이를 여윈 자식의 슬픈 탄식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
    風: 바람 樹: 나무 之: 嘆: 탄식할

  • 父母呼我唯而趨之(부모호아유이추지) : 부모(父母)님께서 나를 부르시면 '예'하고 대답(對答)하고 빨리 달려가야 함.
    父: 아비 母: 어미 呼: 부를 我: 唯: 오직 而: 말 이을 趨: 달릴 之:

  • 風樹之歎(풍수지탄) : 부모(父母)에게 효도(孝道)를 다하려고 생각할 때에는 이미 돌아가셔서 그 뜻을 이룰 수 없음을 이르는 말.
    風: 바람 樹: 나무 之: 歎: 탄식할

  • 老牛舐犢之愛(노우지독지애) : 늙은 소가 송아지를 핥아주는 사랑이라는 뜻으로, 부모(父母)의 자식(子息)에 대(對)한 사랑이 깊음을 이르는 말.
    牛: 舐: 핥을 犢: 송아지 之: 愛: 사랑

  • 反哺(반포) : 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는 일.
    反: 돌이킬 哺: 먹일

  • 菽水之供(숙수지공) : 콩과 물로 드리는 공양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중에도 검소한 음식으로 정성을 다하여 부모를 봉양하는 일을 이르는 말.
    菽: 水: 之: 供: 이바지할

  • 仰事俯畜(앙사부휵) : 우러러 섬기고 굽어서 기른다는 뜻으로, 위로는 부모를 봉양하고 아래로는 처자식을 기른다는 의미.
    仰: 우러를 事: 俯: 구부릴 畜: 기를

  • 不同戴天(부동대천) : 같이 하늘을 이지 못한다는 뜻으로, 이 세상을 같이 살아갈 수 없다는 부모의 원수를 이르는 말.
    不: 아닌가 同: 한가지 戴: 天: 하늘

  • 老萊之戱(노래지희) : 자식(子息)이 나이가 들어도 부모(父母)의 자식(子息)에 대(對)한 마음은 똑같으니 변(變)함없이 효도(孝道)를 해야 한다는 말.
    萊: 명아주 之: 戱:

  • 趨庭(추정) : 자식이 부모의 가르침을 받음.
    趨: 달릴 庭:

  • 父母俱存(부모구존) : 부모님이 모두 생존하신다는 뜻으로, 맹자의 군자삼락(君子三樂) 가운데 한 가지.
    父: 아비 母: 어미 俱: 함께 存: 있을

  • 能孝能悌莫非師恩(능효능제막비사은) : 부모(父母)님께 효도(孝道)하고 어른을 공경(恭敬)할 수 있음은 스승의 은혜(恩惠)가 아님이 없음.
    能: 능할 孝: 효도 能: 능할 悌: 공경할 莫: 없을 非: 아닐 師: 스승 恩: 은혜

  • 嘗糞(상분) : (1)부모의 병세를 살피려고 그 대변을 맛봄. 지극한 효행을 이르는 말이다. (2)몹시 아첨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嘗: 맛볼 糞:

  • 養志之孝(양지지효) : 기른 뜻으로 효를 행한다는 뜻으로, 항상 부모의 뜻을 따라서 부모를 기쁘게 해 드리는 효행을 이르는 말.
    養: 기를 志: 之: 孝: 효도

  • 父母愛之喜而勿忘(부모애지희이물망) : 부모(父母)님께서 사랑해 주시면 기뻐하여 잊지 않음.
    父: 아비 母: 어미 愛: 사랑 之: 喜: 기쁠 而: 말 이을 勿: 忘: 잊을

  • 朝夕定省(조석정성) : 밤에는 부모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의 밤새 안부를 묻는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고 효성을 다함을 이르는 말.
    朝: 아침 夕: 저녁 定: 정할 省: 살필

  • 父精母血(부정모혈) : 아버지의 정수(精髓)와 어머니의 피란 뜻으로, 자식은 부모의 뼈와 피를 물려받음을 이르는 말.
    父: 아비 精: 정미할 母: 어미 血:

  • 勞而不怨(노이불원) : 효자(孝子)는 부모(父母)를 위(爲)해 어떤 고생(苦生)을 하더라도 결코 부모(父母)를 원망(怨望)하지 않음.
    而: 말 이을 不: 아니 怨: 원망할

  • 天崩(천붕) : (1)하늘이 무너짐. (2)임금이 세상을 떠남.
    天: 하늘 崩: 무너질

  • 莫登高樹父母憂之(막등고수부모우지) : 높은 나무에 올라가지 않음, 부모(父母)님께서 근심하심.
    莫: 없을 登: 오를 高: 높을 樹: 나무 父: 아비 母: 어미 憂: 근심 之:

  • 哀毁骨立(애훼골립) : 부모의 죽음을 슬퍼하여 몸이 몹시 여윔.
    哀: 슬플 毁: 骨: 立:

  • 我身能善譽及父母(아신능선예급부모) : 내 몸이 능히 착하면 명예(名譽)가 부모(父母)님께 미침.
    我: 身: 能: 능할 善: 착할 譽: 기릴 及: 미칠 父: 아비 母: 어미

  • 呼父呼母(호부호모) : 아버지라고 부르고 어머니라고 부름. 곧 부모로 모심을 이르는 말이다.
    呼: 부를 父: 아비 呼: 부를 母: 어미

  • 無告之民(무고지민) : (1)의지할 데 없는 늙은이나 어린이. (2)어디다 호소할 데가 없는 어려운 백성.
    無: 없을 告: 알릴 之: 民: 백성

  • 西河之痛(서하지통) : 서하의 고통이라는 뜻으로, 공자(孔子)의 제자인 자하(子夏)가 서하(西河)에 있을 때 자식을 잃고 너무 슬픈 나머지 소경이 된 고사에서 온 말에서 자식을 잃은 슬픔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西: 서녘 河: 강 이름 之: 痛: 아플

  • 嚴親(엄친) : (1)엄한 어버이. 주로 바깥부모를 이른다. (2)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嚴: 엄할 親: 친할

  • 養生送死(양생송사) : 부모를 생전에는 잘 봉양하고 사후에는 후하게 장사를 지냄.
    養: 기를 生: 送: 보낼 死: 죽을

  • 血肉(혈육) : (1)피와 살을 아울러 이르는 말. (2)부모, 자식, 형제 따위의 한 혈통으로 맺어진 육친.
    血: 肉: 고기

  • 白雲孤飛(백운고비) : (1) 타향(他鄕)에서 고향(故鄕)에 계신 부모(父母)를 생각함 (2) 멀리 떠나온 자식(子息)이 어버이를 사모(思慕)하여 그리는 정.
    白: 雲: 구름 孤: 외로울 飛:

  • 身體髮膚(신체발부) : 몸과 머리털과 피부라는 뜻으로, 몸 전체를 이르는 말.
    身: 體: 髮: 터럭 膚: 살갗

  • 老親侍下(노친시하) : (1)‘노친시하’의 북한어. (2)늙은 부모를 모시고 있는 처지.
    親: 친할 侍: 모실 下: 아래

  • 辱及父兄(욕급부형) : 자식의 잘못이 부모까지 욕되게 함.
    辱: 욕될 及: 미칠 父: 아비 兄:

  • 爲親之道(위친지도) : 부모를 섬기는 도리.
    爲: 親: 친할 之: 道:

  • 直系尊屬(직계존속) : 조상으로부터 직계로 내려와 자기에 이르는 사이의 혈족. 부모, 조부모 등을 이른다.
    直: 곧을 系: 이을 尊: 높을 屬: 무리

  • 慈烏反哺(자오반포) : 자애로운 까마귀의 돌이켜 먹임이라는 뜻으로, 까마귀가 다 자란 후에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준다는 데서 자식이 부모의 은혜를 갚음을 비유하는 말.
    慈: 사랑 烏: 까마귀 反: 돌이킬 哺: 먹일

  • 父生母育(부생모육) : 부모가 낳고 기름.
    父: 아비 生: 母: 어미 育: 기를

  • 犬馬之養(견마지양) : 개나 말의 봉양(奉養)이라는 뜻으로, (1) 부모(父母)를 봉양(奉養)만 하고 경의(敬意)가 없음 (2) 봉양(奉養)만 하는 것은 효도(孝道)가 아니라는 뜻.
    犬: 馬: 之: 養: 기를

  • 罔極(망극) : (1)한이 없는 슬픔. 보통 임금이나 어버이의 상사(喪事)에 쓰는 말이다. (2)‘망극하다’의 어근.
    罔: 그물 極: 다할

  • 出告反面(출곡반면) : 나갈 때는 아뢰고 돌아와서 대면한다는 뜻으로, 자식 된 도리로 외출과 귀가 시에 부모님께 아뢰고 인사를 드린다는 의미. [出必告反必面(출필곡반필면)].
    出: 告: 청할 反: 돌이킬 面:

  • 愛親敬長(애친경장) : 어버이를 사랑하고 어른을 공경함.
    愛: 사랑 親: 친할 敬: 공경 長:

2
#방법 59 #재주 82 #무리 64 #경계 56 #여자 101 #생활 82 #상태 110 #벼슬 88 #노력 69 #근심 65 #속담 63 #마음 496 #의지 69 #학문 107 #중국 253 #소리 96 #나무 166 #어려움 105 #목숨 58 #세상 339 #인간 65 #모양 142 #이치 67 #천하 94 #표현 88 #고사 108 #모습 66 #아내 81 #죽음 73 #나이 97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395개) : 바마, 바모, 박막, 박만, 박매, 박멸, 박명, 박모, 박무, 박문, 박물, 박미, 박민, 밖목, 반마, 반말, 반매, 반맥, 반맹, 반면, 반명, 반모, 반목, 반몫, 반몸, 반묘, 반무, 반문, 반물, 반믈, 반미, 반민, 발마, 발막, 발만, 발맛, 발매, 발맹, 발머, 발멩, 발명, 발모, 발목, 발몽, 발묘, 발묵, 발문, 발미, 발민, 발밋, 발밑, 밤말, 밤물, 밥맛, 밥물, 밥밑, 밧모, 밧목, 방만, 방말, 방망, 방매, 방맹, 방멱, 방면, 방명, 방모, 방목, 방묵, 방문, 방물, 방미, 방민, 방밑, 밭막, 밭모, 밭물, 배막, 배맡, 배맹, 배면, 배명, 배목, 배몸, 배묘, 배무, 배문, 배물, 배뭍, 배미, 배민, 백마, 백막, 백만, 백말, 백망, 백매, 백먹, 백메, 백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