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에 관한 한자 모두 43

  • 太平天國 획순 太平天國(태평천국) : (1)근심이나 걱정이 없는 편안한 이상국. (2)1851년에 홍수전과 농민 반란군이 중국 광시성(廣西省)에 세운 나라. 청나라의 지배에 항거하고, 기독교의 평등사상과 토지의 균등 분배 따위를 바탕으로 한 이상 국가를 세우고자 하였으나, 1864년에 내부의 분열과 증국번ㆍ이홍장 등이 이끄는 한인 의용군, 외국 의용군의 힘을 빌린 청나라에 의하여 망하였다.
    太: 平: 평평할 天: 하늘 國: 나라

  • 金聲玉振 획순 金聲玉振(금성옥진) : (1)시가(詩歌)나 음악의 아름다운 가락. (2)사물을 집대성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은 종(鐘), 옥은 경(磬)을 뜻하는 것으로, 팔음(八音)을 합주할 때에 종을 쳐서 시작하고 마지막에 경을 치는 데서 유래한다. (3)지(智)와 덕(德)을 아울러 갖춘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사상이나 언론이 세상에 널리 알려져 존중받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金: 聲: 소리 玉: 구슬 振: 떨칠

  • 桃源境 획순 桃源境(도원경) : (1)이 세상이 아닌 무릉도원처럼 아름다운 경지. (2)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최선의 상태를 갖춘 완전한 사회.
    桃: 복숭아나무 源: 근원 境: 지경

  • 復古思想 획순 復古思想(복고사상) : 복고적인 경향이 있는 사상.
    復: 회복할 古: 思: 생각할 想: 생각

  • 修己治人 획순 修己治人(수기치인) :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닦은 후에 남을 다스림.
    修: 닦을 己: 治: 다스릴 人: 사람

  • 思如湧泉(사여용천) : 사상(思想)이 솟아 나오는 샘물처럼 그치지 아니함.
    思: 생각할 如: 같을 湧: 샘솟을 泉:

  • 氾愛兼利(범애겸리) : 두루 사랑하고 이익을 겸한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을 골고루 사랑하고 이익을 같이 하는 일을 의미. 묵자(墨子)가 제창한 사상임. [汎愛(범애), 博愛(박애)로도 표현함].
    氾: 넘칠 愛: 사랑 兼: 겸할 利: 날카로울

  • 無爲自然(무위자연) : 사람의 힘을 더하지 않은 그대로의 자연. 또는 그런 이상적인 경지.
    無: 없을 爲: 自: 스스로 然: 그러할

  • 樂而不淫(낙이불음) : 즐거우나 음탕하지 않다는 뜻으로, 즐기되 도를 넘지 않는다는 유가사상의 중용의 가치를 표현하는 의미로 볼 수 있는데, 어떠한 상황에서도 최소한의 기본적인 선을 지킨다는 의미로 활용됨. [ = 樂而不荒 (낙이불황) ].
    而: 말 이을 不: 아니 淫: 음란할

  • 輪廻轉生(윤회전생) : 수레바퀴가 끊임없이 구르는 것과 같이, 중생이 번뇌와 업에 의하여 삼계 육도(三界六道)의 생사 세계를 그치지 아니하고 돌고 도는 일.
    廻: 轉: 구를 生:

  • 天地開闢(천지개벽) : (1)원래 하나의 혼돈체였던 하늘과 땅이 서로 나뉘면서 이 세상이 시작되었다는 중국 고대의 사상에서 나온 말로, 천지가 처음으로 열림을 이르는 말. (2)자연계에서나 사회에서 큰 변혁이 일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天: 하늘 地: 開: 闢:

  • 去者必反(거자필반) : 가버린 사람은 반드시 돌아온다는 뜻으로, 불교의 윤회 사상에 의거해 '會者定離(회자정리)와 함께 만물의 운명은 계속해서 돌고 돈다는 의미.
    去: 者: 必: 반드시 反: 돌이킬

  • 灰色分子(회색분자) : 소속, 정치적 노선, 사상적 경향 따위가 뚜렷하지 아니한 사람.
    灰: 色: 分: 나눌 子: 아들

  • 寂兮寥兮(적혜요혜) : 형체(形體)도 소리도 다 없다는 뜻으로, 무위자연(無爲自然)을 주장(主張)한 노자(老子)의 중심(中心) 사상(思想)을 이르는 말.
    寂: 고요할 兮: 어조사 兮: 어조사

  • 四方響應(사방향응) : 어떤 주의나 사상에 응하여 사방에서 모두 힘차게 일어남.
    四: 方: 響: 울림 應: 응할

  • 開化思想(개화사상) : 낡은 제도나 풍습 등을 없애고 외국의 발전된 문화를 받아들이려는 생각.
    開: 化: 화할 思: 생각할 想: 생각

  • 敬天思想(경천사상) : 하늘을 공경하는 종교적 사상.
    敬: 공경 天: 하늘 思: 생각할 想: 생각

  • 事大思想(사대사상) : 주체성 없이 세력이 강한 나라나 사람을 받들어 섬기는 사상.
    事: 大: 思: 생각할 想: 생각

  • 一切唯心造(일체유심조) : (1)불교에서,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고 여기는 사상. (2)모든 것은 오직 마음이 지어낸다는 뜻으로, 모든 일에 마음가짐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一: 切: 모두 唯: 오직 心: 마음 造: 지을

  • 白衣勇士(백의용사) : 전투나 군사상 공무 중에 몸을 다친 군인.
    白: 衣: 勇: 날랠 士: 선비

  • 堯舜時代(요순시대) : 요임금과 순임금이 덕으로 천하를 다스리던 태평한 시대. 치세(治世)의 모범으로 삼는다.
    堯: 요임금 舜: 순임금 時: 代: 대신

  • 頓悟漸修(돈오점수) : 고려 시대에, 지눌이 주장한 불교의 선(禪) 수행 방법. 무인 정권 시기에 불교 교단을 개혁하기 위하여 주장한 사상 가운데 하나이다. 부처가 되려면 진심을 깨닫고, 점진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頓: 조아릴 悟: 깨달을 漸: 점점 修: 닦을

  • 斯文亂賊(사문난적) : 성리학에서, 교리를 어지럽히고 사상에 어긋나는 언행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斯: 文: 글월 賊: 도둑

  • 知雄守雌(지웅수자) : 강함을 알면서 유연함을 지킨다는 뜻으로, 굳센 사나이다운 적극적인 태도를 이해하면서 연약한 여자 같은 소극적인 태도를 지키는 것인데, 유약(柔弱)한 도를 지켜 이기기를 원하지 않는 노자(老子)의 사상을 이르는 말.
    知: 雄: 수컷 守: 지킬 雌: 암컷

  • 上善若水(상선약수) :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는 뜻으로, 노자의 사상에서, 물을 이 세상에서 으뜸가는 선의 표본으로 여기어 이르던 말.
    上: 善: 착할 若: 같을 水:

  • 社會思想(사회사상) : (1)사회 문제에 관한 이론 체계. (2)사회에 대한 인간의 태도 및 사상.
    社: 토지신 會: 모일 思: 생각할 想: 생각

  • 男女有別(남녀유별) : 유교 사상에서, 남자와 여자 사이에 분별이 있어야 함을 이르는 말.
    男: 사내 女: 여자 有: 있을 別: 나눌

  • 坑儒焚書(갱유분서) : 중국 진(秦)나라의 시황제가 학자들의 정치적 비판을 막기 위하여 민간의 책 가운데 의약(醫藥), 복서(卜筮), 농업에 관한 것만을 제외하고 모든 서적을 불태우고 수많은 유생을 구덩이에 묻어 죽인 일.
    坑: 구덩이 儒: 선비 焚: 불사를 書:

  • 百家爭鳴(백가쟁명) : (1)많은 학자나 문화인 등이 자기의 학설이나 주장을 자유롭게 발표하여, 논쟁하고 토론하는 일. (2)1956년에 중국 공산당이 정치 투쟁을 위하여 내세운 슬로건. 마르크스주의는 다른 사상과 경쟁하면서 지도적 위치를 차지하여야 하며, 처음부터 절대적 유일사상은 없다고 주장하였다. 문화 혁명 기간 중에는 이 운동이 사라졌다가, 1976년에 문화 혁명 세력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문예ㆍ학술 분야에서 장려되기도 했다.
    百: 일백 家: 爭: 다툴 鳴:

  • 形而上學(형이상학) : (1)사물의 본질,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에 의하여 탐구하는 학문. 명칭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물의 제목에서 유래한다. (2)헤겔ㆍ마르크스 철학에서, 비변증법적 사고를 이르는 말. (3)초경험적인 것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을, 형이하 또는 경험적 대상의 학문인 자연 과학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4)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일 철학이라고 하는 이름으로 다룬 여러 문제의 연구를 후세에 정리한 것으로, 플라톤의 이데아론을 비판하고 실재론을 설명하였다. 스콜라 철학을 통하여 중세의 유럽 사상에 큰 영향을 끼쳤다. 14장(章).
    形: 형상 而: 말 이을 上: 學: 배울

  • 高踏主義(고답주의) : 속세에 초연하며 현실과 동떨어진 것을 고상하게 여기는 사상이나 태도.
    高: 높을 踏: 밟을 主: 주인 義: 옳을

  • 莊周之夢(장주지몽) : 나와 외물(外物)은 본디 하나이던 것이 현실에서 갈라진 것에 불과하다는 이치를 비유적으로 설명하는 말.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되었다가 깬 뒤에 자기가 꿈속에서 나비가 되었는지 원래 나비였던 자기가 꿈속에서 장주가 되었는지 알 수 없게 되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장자 사상의 으뜸을 이룬다.
    莊: 엄숙할 周: 두루 之: 夢:

  • 百花齊放(백화제방) : (1)많은 꽃이 일제히 핌. (2)온갖 학문이나 예술, 사상 따위가 함께 성(盛)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의 예술 정책으로 한때 고창되던 말이다.
    百: 일백 花: 齊: 가지런할 放: 놓을

  • 易姓革命(역성혁명) : (1)왕조가 바뀌는 일. (2)중국에 있었던 유교 정치사상의 기본 관념의 하나. 제왕이 부덕하여 민심을 잃으면, 덕이 있는 다른 사람이 천명을 받아 왕조를 바꾸고 새로운 왕조를 세워도 좋다고 하는 사상이다.
    易: 바꿀 姓: 革: 가죽 命: 목숨

  • 洪範九疇(홍범구주) : ≪서경≫의 홍범에 기록되어 있는, 우(禹)가 정한 정치 도덕의 아홉 원칙. 오행, 오사, 팔정(八政), 오기, 황극, 삼덕, 계의, 서징(庶徵) 및 오복과 육극이다.
    洪: 넓을 範: 九: 아홉 疇: 두둑

  • 格物致知(격물치지) : 실제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여 지식을 완전하게 함. ≪대학≫에 나오는 말이다.
    格: 바로잡을 物: 만물 致: 이룰 知:

  • 夷蠻戎狄(이만융적) : 동쪽의 이(夷), 남쪽의 만(蠻), 서쪽의 융(戎), 북쪽의 적(狄)이라는 뜻으로, 모든 오랑캐를 이르는 말. 중국인의 중화사상에서 생겨난 말로 외국인을 달리 이르는 말이다.
    夷: 오랑캐 蠻: 오랑캐 戎: 狄: 오랑캐

  • 人乃天(인내천) : 사람이 곧 한울이라는 천도교의 기본 사상. 사람이 한울을 믿어 마침내 하나가 되는 경지를 이른다.
    人: 사람 乃: 이에 天: 하늘

  • 哀而不傷(애이불상) : 슬퍼하되 정도를 넘지 아니함.
    哀: 슬플 而: 말 이을 不: 아니 傷: 다칠

  • 推己及人(추기급인) : 자기를 미루어 남에게 미친다는 뜻으로, 자기의 처지에 비추어 다른 사람의 형편을 헤아림을 이르는 말.
    推: 옮을 己: 及: 미칠 人: 사람

  • 虛無恬淡(허무염담) : 허무의 경지에서 마음이 편안하고 맑다는 뜻으로, 유무(由無) 상태를 초월한 경지에서 사심이 없고 사물에 얽매이지 않는 일. 곧 스스로를 공하하게 하여 마음에 품는 바가 없고 담박무위(淡泊無爲)한 일로 노장사상(老莊思想)의 근본을 이르는 것. 「=虛靜恬淡(허정염담)」.
    虛: 無: 없을 淡: 묽을

  • 焚書坑儒(분서갱유) : 중국 진(秦)나라의 시황제가 학자들의 정치적 비판을 막기 위하여 민간의 책 가운데 의약(醫藥), 복서(卜筮), 농업에 관한 것만을 제외하고 모든 서적을 불태우고 수많은 유생을 구덩이에 묻어 죽인 일.
    焚: 불사를 書: 坑: 구덩이 儒: 선비

  • 易世革命(역세혁명) : 중국에 있었던 유교 정치사상의 기본 관념의 하나. 제왕이 부덕하여 민심을 잃으면, 덕이 있는 다른 사람이 천명을 받아 왕조를 바꾸고 새로운 왕조를 세워도 좋다고 하는 사상이다.
    易: 바꿀 世: 인간 革: 가죽 命: 목숨

#나이 97 #유래 280 #어머니 72 #재앙 64 #부모 136 #이치 67 #근본 66 #상태 110 #방법 59 #지위 65 #소리 96 #물건 136 #머리 141 #행동 137 #관계 90 #생각 236 #백성 105 #어버이 60 #학문 107 #사람 1461 #벼슬 88 #자식 104 #사물 172 #의지 69 #가난 90 #생활 82 #은혜 70 #경계 56 #여자 101 #인간 65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35개) : 사사, 사산, 사살, 사삼, 사삽, 사상, 사색, 사생, 사서, 사석, 사선, 사설, 사성, 사세, 사셈, 사셍, 사소, 사속, 사손, 사송, 사수, 사숙, 사순, 사술, 사숨, 사스, 사슬, 사슴, 사습, 사승, 사시, 사식, 사신, 사실, 사심, 사십, 삭사, 삭삭, 삭삼, 삭서, 삭선, 삭설, 삭수, 삭시, 삭신, 삯소, 산사, 산삭, 산산, 산삼, 산상, 산새, 산색, 산샘, 산생, 산서, 산석, 산선, 산설, 산성, 산세, 산소, 산속, 산송, 산수, 산숙, 산술, 산슨, 산승, 산시, 산식, 산신, 산실, 산심, 산십, 살사, 살산, 살살, 살상, 살색, 살생, 살서, 살성, 살소, 살속, 살손, 살수, 살신, 살심, 삼사, 삼산, 삼살, 삼삼, 삼상, 삼색, 삼생, 삼서, 삼석, 삼선, 삼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