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나라 에 관한 한자 모두 6

  • 梅妻鶴子 획순 梅妻鶴子(매처학자) :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梅: 매화나무 妻: 아내 鶴: 子: 아들

  • 墨守 획순 墨守(묵수) : 제 의견이나 생각, 또는 옛날 습관 따위를 굳게 지킴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송나라의 묵자(墨子)가 성을 잘 지켜 초나라의 공격을 아홉 번이나 물리쳤다는 데서 유래한다.
    墨: 守: 지킬

  • 朝三暮四 획순 朝三暮四(조삼모사) : (1)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저공(狙公)의 고사로, 먹이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원숭이들이 적다고 화를 내더니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좋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2)‘생계’의 북한어.
    朝: 아침 三: 暮: 저물 四:

  • 朝三 획순 朝三(조삼) : 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저공(狙公)의 고사로, 먹이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원숭이들이 적다고 화를 내더니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좋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朝: 아침 三:

  • 百川學海 획순 百川學海(백천학해) : 중국 송나라 때에, 좌규(左圭)가 편집한 총서. 수필, 서화, 시문, 시화, 박물 따위에 관한 단편의 글이 100여 종의 책에 수록되어 있다. 1273년에 완성하였다. 177권.
    百: 일백 川: 學: 배울 海: 바다

  • 宋襄之仁(송양지인) : 하찮은 인정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송나라 양공(襄公)이 초나라를 칠 때, 공자(公子) 목이(目夷)가 적이 포진하기 전에 치자고 청하였으나, 양공이 받아들이지 않고 적이 포진하기를 기다리다가 오히려 대패하여 세상 사람들이 비웃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宋: 송나라 襄: 도울 之: 仁: 어질

#임금 189 #경우 64 #구름 67 #나이 97 #물건 136 #자신 208 #나라 392 #싸움 61 #태도 72 #이익 89 #백성 105 #하늘 251 #사이 200 #예전 60 #바람 136 #잘못 93 #얼굴 99 #관계 90 #신하 62 #표현 88 #중국 253 #의지 69 #죽음 73 #생각 236 #머리 141 #천하 94 #시대 114 #서로 71 #모습 66 #의미 1817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53개) : 사노리, 사느래, 산나리, 산내룡, 산내림, 산노래, 산눌림, 살나래, 살내림, 상나라, 샛노리, 생난리, 생남례, 샤넬룩, 서느리, 섬나라, 섬나리, 섬누룩, 성년례, 세나라, 소나르, 소년련, 손난로, 손노릇, 손놀림, 솔나리, 송나라, 쇠너러, 쇠노리, 수나라, 수난로, 수년래, 수노로, 수노루, 수뇌류, 수누렁, 술난리, 술누룩, 쉰나리, 스낵류, 슴나라, 시네린, 신나라, 신내림, 신놀량, 신놀린, 실념론, 싯나락, 새 노래, 성 능력, 셀 논리, 스냅 롤, 스냅 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