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레 에 관한 한자 모두 49

  • 兩輪 획순 兩輪(양륜) : 수레의 두 바퀴라는 뜻으로, 서로 떨어져서는 제구실을 못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輪: 바퀴

  • 駟不及舌 획순 駟不及舌(사불급설) : 아무리 빠른 사마(駟馬)라도 혀를 놀려서 하는 말을 따르지 못한다는 뜻으로, 소문은 순식간에 퍼지는 것이므로 말을 조심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駟: 사마 不: 아니 及: 미칠 舌:

  • 車同軌 획순 車同軌(거동궤) : 여러 지방의 수레의 너비를 같게 하고 글은 같은 글자를 쓰게 한다는 뜻으로, 천하가 통일된 상태를 이르는 말.
    車: 수레 同: 한가지 軌:

  • 杯水車薪 획순 杯水車薪(배수거신) : 한 잔의 물로 수레의 장작불에 끼얹는다는 뜻으로, 아무 소용없는 짓을 비유하는 말.
    杯: 水: 車: 수레 薪: 섶나무

  • 鮮車怒馬 획순 鮮車怒馬(선거노마) : 좋은 수레와 힘센 말을 아울러 이르는 말.
    鮮: 고울 車: 수레 怒: 성낼 馬:

  • 輕車熟路(경거숙로) : 가볍고 빠른 수레를 타고 익숙한 길을 간다는 뜻으로, 일에 숙달하여 조금도 막힘이나 머뭇거림이 없음을 이르는 말.
    輕: 가벼울 車: 수레 熟: 익을 路:

  • 閉門造車(폐문조거) : 문을 닫고 수레를 만든다는 뜻으로, 실제 상황에 부합하는지를 고려하지 않고 자기 고집이나 생각대로만 일을 처리하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閉: 닫을 門: 造: 지을 車: 수레

  • 取轄投井(취할투정) : 수레의 비녀장을 빼어 우물에 던진다는 뜻으로, 손님이 떠나지 못하도록 억지로 만류함을 이르는 말.
    取: 취할 轄: 비녀장 投: 던질 井: 우물

  • 男兒須讀五車書(남아수독오거서) : 남자(男子)는 모름지기 다섯수레에 실을 만큼의 책을 읽으라는 말.
    男: 사내 兒: 아이 須: 모름지기 讀: 읽을 五: 다섯 車: 수레 書:

  • 車同軌書同文(거동궤서동문) : 여러 지방의 수레의 너비를 같게 하고 글은 같은 글자를 쓰게 한다는 뜻으로, 천하가 통일된 상태를 이르는 말.
    車: 수레 同: 한가지 軌: 書: 同: 한가지 文: 글월

  • 輔車(보거) : 수레의 덧방나무와 바퀴라는 뜻으로, 뗄 수 없을 정도로 긴밀한 관계에 있음을 이르는 말.
    輔: 도울 車: 수레

  • 懸車(현거) : (1)수레를 건다는 뜻으로, 나이가 들어 벼슬을 그만둠을 이르는 말. 중국 한나라의 설광덕(薛廣德)이 관직을 그만두고 은거할 때, 임금이 내린 안거(安車)를 매달아 놓고 자손에게 전한 고사에서 유래한다. (2)일흔 살의 나이를 이르는 말. (3)해 질 무렵.
    懸: 매달 車: 수레

  • 螳臂當車(당비당거) : 사마귀의 팔뚝이 수레를 당(當)하다라는 뜻으로, 용감(勇敢) 무쌍(無雙)한 것을 뜻함.
    螳: 버마재비 臂: 當: 마땅할 車: 수레

  • 千乘之國(천승지국) : 병거(兵車) 천 대를 갖출 힘이 있는 나라라는 뜻으로, 제후가 다스리는 나라를 이르는 말.
    千: 일천 乘: 之: 國: 나라

  • 脣齒輔車(순치보거) : 입술과 이 중에서 또는 수레의 덧방나무와 바퀴 중에서 어느 한쪽만 없어도 안 된다는 뜻으로, 서로 없어서는 안 될 깊은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脣: 입술 齒: 輔: 도울 車: 수레

  • 善行無鐵迹(선행무철적) : 길을 잘 가는 사람은 수레 자국이나 발자국을 남기지 않는다는 뜻으로, 참된 선행은 남의 눈에 잘 띄지 않는다는 의미.
    善: 착할 行: 無: 없을 鐵: 迹: 자취

  • 篳路藍縷(필로남루) : 거친 수레와 누더기 옷이라는 뜻으로, 섶나무로 거칠게 만든 허술한 수레를 타고 누더기 옷을 입는 것처럼 천신만고를 참으며 노력하는 일의 의미하거나, 일을 처음으로 창시(創始)하는 어려움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篳: 사립문 路: 縷:

  • 同一轍(동일철) : 똑같은 수레바퀴의 자취라는 뜻으로, 사물의 똑같은 경과를 이르는 말. 특히 나쁜 쪽으로 이르는 경로를 이른다.
    同: 한가지 一: 轍: 바퀴 자국

  • 擲果滿車(척과만거) : 던진 과일이 수레에 가득하다는 뜻으로, 여성(女性)이 남성(男性)에게 사랑을 고백(告白)함을 이르는 말.
    擲: 던질 果: 실과 滿: 車: 수레

  • 千里命駕(천리명가) : 천 리나 되는 먼 곳에 있는 친구(親舊)들 방문(訪問)하기 위(爲)해서 아랫사람에게 수레 준비(準備)를 시킴.
    千: 일천 里: 마을 命: 목숨 駕: 멍에

  • 駑馬十駕(노마십가) : 느리고 둔한 말도 준마의 하룻길을 열흘에는 갈 수 있다는 뜻으로, 둔하고 재능이 모자라는 사람도 열심히 하면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駑: 둔할 馬: 十: 駕: 멍에

  • 兵車之會(병거지회) : 전쟁할 때에 쓰는 수레를 거느리고 무력으로 제후를 회합시키는 일. 또는 그런 회합.
    兵: 군사 車: 수레 之: 會: 모일

  • 前車可鑑(전거가감) : 앞수레가 엎어진 것을 보고 뒷수레가 경계(警戒)하여 넘어지지 않도록 한다는 말로, 전인(前人)의 실패(失敗)를 보고 후인(後人)은 이를 경계(警戒)로 삼아야 한다는 의미.
    前: 車: 수레 可: 옳을 鑑: 거울

  • 讀五車書(독오거서) : 다섯 대의 수레에 가득히 실을 만큼 많은 책을 읽음.
    讀: 읽을 五: 다섯 車: 수레 書:

  • 前覆後戒(전복후계) : 앞에서 전복되면 뒤에서 경계한다는 뜻으로, 앞 수레의 전복이 뒷 수레의 경계가 되듯이 앞사람의 실패를 보고 뒷사람은 경계를 삼아야 한다는 의미.
    前: 覆: 뒤집힐 後: 戒: 경계할

  • 前車覆轍(전거복철) : 앞에 간 수레가 뒤집힌 바퀴 자국이라는 뜻으로, 앞의 실패를 본보기 삼아 주의함을 이르는 말.
    前: 車: 수레 覆: 뒤집힐 轍: 바퀴 자국

  • 前車覆後車戒(전차복후차계) : 앞에 가는 수레가 엎어지면 뒤에 가는 수레는 그것을 보고 교훈(敎訓)을 삼는다는 뜻으로, 앞 사람의 실패(失敗)를 교훈(敎訓)으로 삼는다는 뜻.
    前: 車: 수레 覆: 뒤집힐 後: 車: 수레 戒: 경계할

  • 車駕肥輕(거가비경) : 수레의 말은 살찌고 몸의 의복(衣服)은 가볍게 차려져 있음.
    車: 수레 駕: 멍에 肥: 살찔 輕: 가벼울

  • 車轍馬跡(거철마적) : 수레바퀴 자국과 말 발자국이라는 뜻으로, 수레나 말을 타고 천하를 두루 돌아다니며 노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車: 수레 轍: 바퀴 자국 馬: 跡: 자취

  • 百乘之家(백승지가) : 전쟁이 일어나면 수레 백 대를 내놓을 수 있는 집이라는 뜻으로, 경대부의 집을 이르던 말.
    百: 일백 乘: 之: 家:

  • 快犢破車(쾌독파거) : 기세 좋은 송아지가 수레를 깨뜨린다는 뜻으로, 기세 좋은 송아지는 흔히 끄는 수레를 부서뜨리는 것처럼 장래에 큰일을 하려는 젊은이는 스스로를 경계해야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快: 쾌할 犢: 송아지 破: 깨뜨릴 車: 수레

  • 舍車而徒(시거이도) : 수레를 버리고 걸어간다는 뜻으로, 불의(不義)의 지위를 버리고 청빈(淸貧)에 만족함을 이르는 말.
    車: 수레 而: 말 이을 徒: 무리

  • 杯水輿薪(배수여신) : 잔의 물로 수레에 가득 실린 땔나무에 붙은 불을 끄려 한다는 뜻으로, 능력이 도저히 미치지 않아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어리석은 짓을 한다는 말.
    杯: 水: 輿: 수레 薪: 섶나무

  • 覆轍(복철) : 엎어진 수레바퀴라는 뜻으로, 앞서 가던 사람이 실패한 자취를 이르는 말.
    覆: 뒤집힐 轍: 바퀴 자국

  • 懸輿(현여) : 수레를 건다는 뜻으로, 나이가 들어 벼슬을 그만둠을 이르는 말.
    懸: 매달 輿: 수레

  • 輔車相依(보거상의) : 수레에서 덧방나무와 바퀴처럼 뗄 수 없다는 뜻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으면서 서로 돕고 의지함을 이르는 말.
    輔: 도울 車: 수레 相: 서로 依: 의지할

  • 杯水救車(배수구거) : 한 잔의 물로 수레에 가득 실린 땔나무에 붙은 불을 끄려 한다는 뜻으로, 능력이 도저히 미치지 않아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어리석은 짓을 한다는 말.
    杯: 水: 救: 건질 車: 수레

  • 鶴乘軒(학승헌) : 학이 수레를 탄다는 뜻으로, 산에서 살면서 날아다녀야 할 학이 수레를 탄다는 것은 의(宜: 마땅함)를 잃었음을 이르는 말.
    鶴: 乘: 軒: 처마

  • 車水馬龍(거수마룡) : 수레들은 흐르는 물과 같고 말의 움직임은 하늘을 오르는 용과 같다는 뜻으로, 수레와 말의 왕래(往來)가 많아 매우 떠들석한 상황. 즉, 행렬(行列)이 성대(盛大)한 모양(模樣)을 말함.
    車: 수레 水: 馬: 龍:

  • 同文同軌(동문동궤) : 천하가 통일된 상태를 이르는 말.
    同: 한가지 文: 글월 同: 한가지 軌:

  • 汗牛充棟(한우충동) : 짐으로 실으면 소가 땀을 흘리고, 쌓으면 들보에까지 찬다는 뜻으로, 가지고 있는 책이 매우 많음을 이르는 말.
    汗: 牛: 充: 棟: 용마루

  • 傾蓋如舊(경개여구) : 처음 만나 잠깐 사귄 것이 마치 오랜 친구 사이처럼 친함.
    傾: 기울 蓋: 덮을 如: 같을 舊:

  • 束馬懸車(속마현거) : 말을 묶고 수레를 매달아 놓는다는 뜻으로, 험난한 산길을 갈 때를 비유하는 말.
    束: 묶을 馬: 懸: 매달 車: 수레

  • 車在馬前(거재마전) : 수레가 말 앞에 있다는 뜻으로, 처음 말로 마차를 끌게 하려면 다른 수레의 뒤에 말을 매어서 따라오게 한 뒤에 나중에 다른 마차를 끌도록 훈련시킨다는 의미에서, 사람을 훈련시킬 경우에도 기초적인 일부터 훈련을 시킨 뒤에 전문적인 일에 종사하도록 유도한다는 의미.
    車: 수레 在: 있을 馬: 前:

  • 螳螂拒轍(당랑거철) : 제 역량을 생각하지 않고, 강한 상대나 되지 않을 일에 덤벼드는 무모한 행동거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 장공(莊公)이 사냥을 나가는데 사마귀가 앞발을 들고 수레바퀴를 멈추려 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장자≫의 <인간세편(人間世篇)>에 나오는 말이다.
    螳: 버마재비 螂: 버마재비 拒: 막을 轍: 바퀴 자국

  • 車載斗量(차재두량) : (1)수레에 싣고 말로 된다는 뜻으로, 물건이나 인재 따위가 많아서 그다지 귀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2)수레에 싣고 말로 된다는 뜻으로, 물건이나 인재 따위가 많아서 그다지 귀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車: 수레 載: 실을 斗: 量: 헤아릴

  • 覆車之戒(복거지계) : 앞의 수레가 엎어지는 것을 보고 뒤의 수레는 미리 경계하여 엎어지지 않도록 한다는 뜻으로, 남의 실패를 거울삼아 자기를 경계함을 이르는 말.
    覆: 뒤집힐 車: 수레 之: 戒: 경계할

  • 望塵而拜(망진이배) : 먼지가 일어나는 것을 바라보면서 절을 한다는 뜻으로, 귀인이 타고 달리는 수레의 후진(後塵)을 바라보면서 절하는 것처럼 아첨하여 상관을 섬기는 모습을 이르는 말.
    望: 바랄 塵: 티끌 而: 말 이을 拜:

  • 轍環天下(철환천하) : 수레를 타고 천하를 돌아다닌다는 뜻으로, 교화(敎化)를 위하여 세상을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공자가 교화를 위하여 중국 천하를 돌아다닌 데서 유래한다.
    轍: 바퀴 자국 環: 고리 天: 하늘 下: 아래

#목숨 58 #따위 228 #행동 137 #어려움 105 #편안 62 #아래 86 #경우 64 #근심 65 #조금 96 #아침 72 #이름 211 #가운데 104 #상태 110 #이치 67 #잘못 93 #물건 136 #아내 81 #시대 114 #세월 71 #임금 189 #동안 70 #사이 200 #세상 339 #생각 236 #지위 65 #표현 88 #경계 56 #중국 253 #문장 59 #집안 93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60개) : 사라, 사락, 사란, 사람, 사랍, 사랑, 사랖, 사래, 사램, 사략, 사량, 사레, 사려, 사력, 사련, 사렬, 사렴, 사렵, 사령, 사례, 사로, 사록, 사론, 사롬, 사롭, 사롱, 사료, 사룡, 사루, 사룩, 사룻, 사룽, 사류, 사륙, 사륜, 사륵, 사름, 사릅, 사릉, 사릋, 사리, 사린, 사림, 사립, 삭로, 삭료, 삭름, 삭립, 삭릿, 산락, 산란, 산랑, 산략, 산량, 산력, 산령, 산로, 산록, 산뢰, 산료, 산류, 산륜, 산릉, 산리, 산림, 산립, 살랑, 살래, 살략, 살럼, 살레, 살렘, 살렙, 살렴, 살로, 살롤, 살롱, 살륙, 살릭, 살림, 삼라, 삼락, 삼략, 삼량, 삼력, 삼련, 삼렬, 삼령, 삼례, 삼로, 삼록, 삼론, 삼롱, 삼뢰, 삼룡, 삼루, 삼류, 삼륜, 삼릉, 삼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