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67

  • 同惡相助 획순 同惡相助(동악상조) : 인(惡人)도 (惡)한 일을 이루기 위(爲)해서는 서로 돕는다는 뜻으로, 동류(同類)끼리 서로 도움을 이르는 말.
    同: 한가지 惡: 악할 相: 서로 助: 도울

  • 大惡無道 획순 大惡無道(대악무도) : 대단히 독하고 사람의 도리에 어긋나 있음.
    大: 惡: 악할 無: 없을 道:

  • 刺客奸人 획순 刺客奸人(자객간인) : 남을 몰래 찔러 죽이는 사람과 남을 헐뜯고 이간질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마음씨가 몹시 모질고 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刺: 찌를 客: 奸: 범할 人: 사람

  • 善惡相半 획순 善惡相半(선악상반) : 선과 이 서로 반씩 섞여 있음.
    善: 착할 惡: 악할 相: 서로 半:

  • 淸濁倂呑 획순 淸濁倂呑(청탁병탄) : 맑은 것과 탁한 것을 함께 삼킨다는 뜻으로, (1) 선(善惡)을 가리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임 (2) 도량(度量)이 큼을 이르는 말.
    淸: 맑을 濁: 흐릴 倂: 아우를 呑: 삼킬

  • 助桀爲虐(조걸위학) : 폭군 걸(桀)을 도와 백성을 못살게 군다는 뜻으로, 못된 사람을 부추기어 한 짓을 더 하게 함을 이르는 말.
    助: 도울 桀: 횃대 爲: 虐: 모질

  • 草根木皮(초근목피) : (1)풀뿌리와 나무껍질이라는 뜻으로, 맛이나 영양 가치가 없는 거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한약의 재료를 이르는 말.
    草: 根: 뿌리 木: 나무 皮: 가죽

  • 善惡不二(선악불이) : 선은 모두 인연에 의하여 생긴 것으로 각각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평등 무차별한 하나의 이치로 돌아간다는 말.
    善: 착할 惡: 악할 不: 아니 二:

  • 三不去(삼불거) : 유교에서, 칠거지을 범한 아내일지라도 버리지 못하는 세 가지 경우. 부모의 삼년상을 같이 치렀거나, 장가들 때 가난했다가 나중에 부자가 되었거나, 아내가 돌아가도 의지할 데가 없는 경우이다.
    三: 不: 아니 去:

  • 尙有良心(상유양심) : 한 일을 한 사람에게도 양심은 남아 있다는 뜻으로, 바르게 인도할 여지가 있음을 이르는 말.
    尙: 오히려 有: 있을 心: 마음

  • 福善禍淫(복선화음) : 착한 사람에게는 복을 주고 한 사람에게는 재앙을 줌.
    福: 善: 착할 禍: 재난 淫: 음란할

  • 伐齊爲名(벌제위명) : 겉으로는 어떤 일을 하는 체하고 속으로는 딴짓을 함을 이르는 말. 중국의 전국 시대에 연나라 장수 의(樂毅)가 제나라를 칠 때에 제나라의 장수 전단(田單)이 의가 제나라를 정복한 뒤에 제나라의 왕이 되려고 한다는 헛소문을 퍼뜨리자, 연왕이 의심하여 의를 불러들이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伐: 齊: 가지런할 爲: 名: 이름

  • 積惡餘殃(적악여앙) : 남에게 한 짓을 많이 하여 그 죄에 따르는 재앙이 자손에게 미침.
    積: 쌓을 惡: 악할 餘: 남을 殃: 재앙

  • 善惡之報(선악지보) : 선에 대한 응보(應報).
    善: 착할 惡: 악할 之: 報: 갚을

  • 天網恢恢疎而不失(천망회회소이불실) : 하늘이 친 그물은 눈이 성기지만 그래도 굉장히 넓어서 인(惡人)에게 벌(罰)을 주는 일을 빠뜨리지 않음.
    天: 하늘 網: 그물 恢: 넓을 恢: 넓을 疎: 트일 而: 말 이을 不: 아니 失: 잃을

  • 自作自受(자작자수) : 자기가 저지른 죄로 자기가 그 과(惡果)를 받음.
    自: 스스로 作: 지을 自: 스스로 受: 받을

  • 爲虎傅翼(위호부익) : 호랑이에게 날개를 붙여준다는 뜻으로, 위세(威勢) 있는 인(惡人)에게 힘을 더해주어 더욱 맹위(猛威)를 떨치게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爲: 虎: 傅: 스승 翼: 날개

  • 伏魔殿(복마전) : (1)마귀가 숨어 있는 집이나 굴. (2)비밀리에 나쁜 일을 꾸미는 무리들이 모이거나 활동하는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伏: 엎드릴 魔: 마귀 殿: 대궐

  • 賞善罰惡(상선벌악) : 착한 사람에게 상을 주고 한 사람에게 벌을 주는 일. 가톨릭교의 네 가지 기본 교리 가운데 하나이다.
    賞: 상줄 善: 착할 罰: 惡: 악할

  • 萬戮猶輕(만륙유경) : 만 번 죽여도 오히려 가볍다는 뜻으로, 그만큼 죄가 매우 무거움을 이르는 말.
    萬: 일만 戮: 죽일 猶: 오히려 輕: 가벼울

  • 墨子泣絲(묵자읍사) : 묵자가 실을 보고 울었다는 뜻으로, 사람은 습관(習慣)이나 환경(環境)에 따라 그 성품(性品)이 착해지기도 해지기도 함을 이르는 말.
    墨: 子: 아들 泣: 絲:

  • 惡因惡果(악인악과) : 나쁜 일을 하면 반드시 나쁜 결과가 따름.
    惡: 악할 因: 인할 惡: 악할 果: 실과

  • 墨子悲染(묵자비염) : 묵자가 실이 염색되는 것을 보고 슬퍼했다는 뜻으로, 사람이 습성에 따라 성품이 선하게 되거나 하게 될 수 있다는 주장에서 나온 말.
    墨: 子: 아들 悲: 슬플 染: 물들일

  • 凶惡無道(흉악무도) : 성질이 거칠고 사나우며 도의심이 없음.
    凶: 흉할 惡: 악할 無: 없을 道:

  • 去惡就善(거악취선) : (惡)한 것을 버리고 선한 것을 취(取)함.
    去: 惡: 악할 就: 이룰 善: 착할

  • 積惡之家(적악지가) : 한 일을 많이 한 집.
    積: 쌓을 惡: 악할 之: 家:

  • 業感緣起(업감연기) : 세계의 삼라만상과 모든 현상은 중생의 업(業)에 의하여 생겨남. 또는 그런 세계관이나 인생관.
    業: 感: 느낄 緣: 가선 起: 일어날

  • 奸惡無道(간악무도) : 간사하고 독하며 도리에 어긋나는 데가 있음.
    奸: 범할 惡: 악할 無: 없을 道:

  • 禍因惡積(화인악적) : 재앙(災殃)은 (惡)을 쌓음에 인(因)한 것이므로, 재앙(災殃)을 받는 이는 평소(平素)에 (惡)을 쌓았기 때문임.
    禍: 재난 因: 인할 惡: 악할 積: 쌓을

  • 天道不容(천도불용) : 천도(天道)는 공정(公正)해서 인(惡人)을 용서(容恕)하지 않음.
    天: 하늘 道: 不: 아니 容: 얼굴

  • 呑舟之魚(탄주지어) : 배를 삼킬 만한 물고기라는 뜻으로, 큰 인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呑: 삼킬 舟: 之: 魚: 고기

  • 鳴金三聲(명금삼성) : 군을 끝내는 신호로서 징을 세 번 치는 일.
    鳴: 金: 三: 聲: 소리

  • 懸羊頭賣馬脯(현양두매마포) : 양의 머리를 매달아 놓고 말린 말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선을 가장하여 을 행(行)함을 이르는 말.
    懸: 매달 羊: 頭: 머리 賣: 馬: 脯:

  • 勸善懲惡(권선징악) : 착한 일을 권장하고 한 일을 징계함.
    勸: 권할 善: 착할 懲: 혼날 惡: 악할

  • 以血洗血(이혈세혈) : (1)피를 피로 씻는다는 뜻으로, 으로 갚거나 거듭 나쁜 짓을 함을 이르는 말. (2)가까운 혈족끼리 서로 싸움.
    以: 血: 洗: 씻을 血:

  • 刑期于無刑(형기우무형) : 형벌(刑罰)을 만드는 까닭은 인(惡人)을 징계(懲戒)하여 또다시 죄(罪)를 지어 형벌(刑罰)을 받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爲)한 것임.
    刑: 형벌 期: 만날 于: 어조사 無: 없을 刑: 형벌

  • 惡婦破家(악부파가) : 처는 남편(男便)의 일생(一生)을 망칠 뿐 아니라, 가정(家庭)의 평화(平和)를 파괴(破壞)하고, 자손(子孫)에게까지 나쁜 영향(影響)을 미침.
    惡: 악할 婦: 며느리 破: 깨뜨릴 家:

  • 燎原之火(료원지화) : (1)무서운 형세로 타 나가는 벌판의 불이라는 뜻으로, 세력이 매우 대단하여 막을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요원지화’의 북한어.
    原: 언덕 之: 火:

  • 粗衣粗食(조의조식) : 너절하고 조잡한 옷을 입고 맛없는 음식을 먹음. 또는 그 옷이나 음식.
    粗: 거칠 衣: 粗: 거칠 食:

  • 善惡隨緣(선악수연) : 선이 모두 진여(眞如)의 인연에 따라 생김을 이르는 말.
    善: 착할 惡: 악할 隨: 따를 緣: 가선

  • 干將莫邪(간장막사) : 명검도 사람의 손길이 가야만 비로소 빛나듯이 사람의 성품(性品)도 원래(原來)는 하므로 노력(努力)을 기울여야 선하게 될 수 있다는 의미(意味).
    干: 방패 將: 장수 莫: 없을 邪: 간사할

  • 徒善不如惡(도선불여악) : 한갓 착하기만 함은 함 보다도 못하다는 뜻으로, 너무 약해 빠져서 오히려 주변성이 없음을 비웃는 말.
    徒: 무리 善: 착할 不: 아니 如: 같을 惡: 악할

  • 近墨者黑(근묵자흑) : 먹을 가까이하는 사람은 검어진다는 뜻으로, 나쁜 사람과 가까이 지내면 나쁜 버릇에 물들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近: 가까울 墨: 者: 黑: 검을

  • 激濁揚淸(격탁양청) : 탁한 물을 내보내고 맑은 물을 끌어들인다는 뜻으로, 한 것을 없애고 선한 것을 가져옴을 이르는 말.
    激: 부딪쳐흐를 濁: 흐릴 揚: 오를 淸: 맑을

  • 諸惡莫作(제악막작) : 어떠한 도 행하여서는 안 됨.
    諸: 모든 惡: 악할 莫: 없을 作: 지을

  • 粗衣惡食(조의악식) : 너절하고 조잡한 옷을 입고 맛없는 음식을 먹음. 또는 그 옷이나 음식.
    粗: 거칠 衣: 惡: 악할 食:

  • 八珍之味(팔진지미) : 중국에서 성대한 음식상에 갖춘다고 하는 진귀한 여덟 가지 음식의 아주 좋은 맛. 순모(淳母), 순오(淳熬), 포장(炮牂), 포돈(炮豚), 도진(擣珍), 오(熬), 지(漬), 간료(肝膋)를 이르기도 하고 용간(龍肝), 봉수(鳳髓), 토태(兔胎), 이미(鯉尾), 적(鶚炙), 웅장(熊掌), 성순(猩脣), 수락(酥酪)을 이르기도 한다.
    八: 여덟 珍: 보배 之: 味:

  • 吐哺(토포) : (1)씹던 음식을 뱉어 냄. (2)입에 든 것을 토함.
    吐: 토할 哺: 먹일

  • 魔風(마풍) : 마가 일으키는 바람이라는 뜻으로, 무섭게 휩쓸고 지나가는 바람을 이르는 말.
    魔: 마귀 風: 바람

  • 封豕長蛇(봉시장사) : 큰 돼지와 긴 구렁이라는 뜻으로, 먹기를 탐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封: 봉할 豕: 돼지 長: 蛇:

  • 七出(칠출) : 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七: 일곱 出:

  • 阿鼻叫喚(아비규환) : (1)아비지옥과 규환지옥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여러 사람이 비참한 지경에 빠져 울부짖는 참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阿: 언덕 鼻: 叫: 부르짖을 喚: 부를

  • 天道不謟(천도부도) : 하늘이 선한 사람에게는 복을 주고, (惡)한 사람에게는 화(禍)를 주는 것은 조금도 의심할 바 없음.
    天: 하늘 道: 不: 아닌가 謟: 의심할

  • 善惡皆吾師(선악개오사) : 세상에서 일어나는 착한 일이나 한 일이 모두 자기 몸가짐의 거울이 된다는 말.
    善: 착할 惡: 악할 皆: 吾: 師: 스승

  • 惡質分子(악질분자) : 나쁘거나 못된 짓을 하여 다른 사람이나 사회에 해독을 끼치는 사람.
    惡: 악할 質: 바탕 分: 나눌 子: 아들

  • 衝目之杖(충목지장) : 눈을 찌를 막대기라는 뜻으로, 남을 해칠 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衝: 찌를 目: 之: 杖: 지팡이

  • 獻可替否(헌가체부) : 옳은 일을 권하고 한 일을 못하게 한다는 뜻으로, 임금에게 착한 말을 드려 그 잘못을 메우는 임금을 보필하는 도리의 의미.
    獻: 바칠 可: 옳을 替: 바꿀 否: 아닐

  • 積惡之家必有餘殃(적악지가필유여앙) : 함을 쌓는 집에는 반드시 자손(子孫)에게까지 미치는 재앙(災殃)이 있음.
    積: 쌓을 惡: 악할 之: 家: 必: 반드시 有: 있을 餘: 남을 殃: 재앙

  • 彰善懲惡(창선징악) : 착한 일은 찬양하여 드러내고 한 일은 징벌함.
    彰: 밝힐 善: 착할 懲: 혼날 惡: 악할

  • 擇言擇行(택언택행) : 말을 가리고 행동을 가린다는 뜻으로, 선과 을 가려서 해야 할 말이나 행동을 이르는 말.
    擇: 가릴 言: 말씀 擇: 가릴 行:

  • 跖拘吠堯(척구폐요) : 도둑인 척(跖)임금을 보고 짖는다는 뜻으로, (1) 자기(自己) 상전(上典)에게 충실(充實)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2) (惡)한 편에 서서 어진 사람을 미워함을 이르는 말.
    跖: 발바닥 拘: 잡을 吠: 짖을 堯: 요임금

  • 百鬼夜行(백귀야행) : 온갖 잡귀가 밤에 나다닌다는 뜻으로, 괴상한 꼴을 하고 해괴한 짓을 하는 무리가 웅성거리며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百: 일백 鬼: 귀신 夜: 行:

  • 人衆勝天(인중승천) : 사람이 많으면 하늘도 이길 수 있다는 뜻으로, 사람의 수효가 많아서 세가 성할 때는 운이 강해서 하늘도 이를 어찌할 수 없어 천벌도 쉽게 먹히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人: 사람 衆: 무리 勝: 이길 天: 하늘

  • 七去(칠거) : 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七: 일곱 去:

  • 麻中之蓬(마중지봉) : 삼밭 속의 쑥이라는 뜻으로, 곧은 삼밭 속에서 자란 쑥은 곧게 자라게 되는 것처럼 선한 사람과 사귀면 그 감화를 받아 자연히 선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麻: 中: 가운데 之: 蓬:

  • 吐握之勞(토악지로) : 뱉고 움켜쥐던 수고로움이라는 뜻으로, 주나라 주공이 현인(賢人)을 모시기 위해 손님이 찾아오면 먹던 것을 뱉거나 감던 머리도 움켜쥐고 달려 나와 맞이한 것에서 현사(賢士)를 얻으려고 성의를 다하던 정성과 자세.
    吐: 토할 握: 之: 勞: 일할

  • 禍福無門(화복무문) : 화복은 운명적인 것이 아니라 사람이 선한 일을 하거나 한 일을 함에 따라서 각기 받는다는 말.
    禍: 재난 福: 無: 없을 門:

#어려움 105 #동안 70 #가운데 104 #싸움 61 #사이 200 #이름 211 #상대 56 #행동 137 #이익 89 #사람 1461 #재능 61 #편안 62 #고사 108 #가난 90 #실패 56 #이치 67 #시대 114 #정도 153 #은혜 70 #재앙 64 #예전 60 #신하 62 #경우 64 #표현 88 #인간 65 #서로 71 #얼굴 99 #바람 136 #속담 63 #하늘 251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