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에 관한 한자 모두 79

  • 海陸珍味 획순 海陸珍味(해륙진미) :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海: 바다 陸: 珍: 보배 味:

  • 朝夕供養 획순 朝夕供養(조석공양) : 아침저녁으로 웃어른께 음식을 드림.
    朝: 아침 夕: 저녁 供: 이바지할 養: 기를

  • 膏粱珍味 획순 膏粱珍味(고량진미) : 기름진 고기와 좋은 곡식으로 만든 맛있는 음식.
    膏: 기름 粱: 기장 珍: 보배 味:

  • 簞食瓢飮 획순 簞食瓢飮(단사표음) :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簞: 대광주리 食: 瓢: 飮: 마실

  • 飽飫烹宰 획순 飽飫烹宰(포어팽재) : 배 부를 때에는 아무리 좋은 음식(飮食)이라도 그 맛을 모름.
    飽: 배부를 飫: 포식할 烹: 삶을 宰: 벼슬아치

  • 酒囊飯袋(주낭반대) : 술을 담는 부대와 밥을 담는 주머니라는 뜻으로, 술과 음식을 축내며 일은 아니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酒: 囊: 주머니 飯: 袋: 자루

  • 珍味佳肴(진미가효) : 진귀한 맛과 좋은 안주라는 뜻으로, 진귀한 요리의 썩 좋은 맛과 맛 좋은 안주와 같은 잘 차려진 좋은 음식을 이르는 말.
    珍: 보배 味: 佳: 아름다울 肴: 안주

  • 晩食當肉(만식당육) : 배가 고플 때는 무엇을 먹든지 고기 맛과 같음.
    晩: 늦을 食: 當: 마땅할 肉: 고기

  • 草根木皮(초근목피) : (1)풀뿌리와 나무껍질이라는 뜻으로, 맛이나 영양 가치가 없는 거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한약의 재료를 이르는 말.
    草: 根: 뿌리 木: 나무 皮: 가죽

  • 減膳撤樂(감선철악) : 나라에 갑작스러운 재앙이나 사고가 있을 때에 임금이 몸소 근신하는 뜻으로 수라상의 음식 가짓수를 줄이고 노래와 춤을 가까이하지 아니하던 일.
    減: 膳: 반찬 撤: 거둘 樂: 풍류

  • 大衆供養(대중공양) : 신자(信者)가 여러 승려에게 음식을 차려 대접하는 일.
    大: 衆: 무리 供: 이바지할 養: 기를

  • 糟糠(조강) : (1)지게미와 쌀겨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 먹는 변변치 못한 음식을 이르는 말. (2)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3)교만한 승려나 거친 교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糟: 지게미 糠:

  • 殘杯冷肴(잔배냉효) : 마시다 남은 술과 다 식은 구운 고기라는 뜻으로, 보잘것없는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殘: 해칠 杯: 肴: 안주

  • 無錢取食(무전취식) : 값을 치를 돈도 없이 남이 파는 음식을 먹음.
    無: 없을 錢: 取: 취할 食:

  • 齋戒沐浴(재계목욕) : 신불(神佛)에게 제사(祭祀)를 드리기 전(前)에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기 위(爲)하여 음식(飮食)이나 행동(行動)을 삼가고 몸을 깨끗이 씻음을 이르는 말.
    齋: 재계할 戒: 경계할 沐: 머리감을 浴: 목욕할

  • 對案不食思得良饌(대안불식사득량찬) : 밥상을 대하고서 잡수시지 않으면 좋은 음식(飮食) 얻을 것을 생각함.
    對: 대답할 案: 책상 不: 아니 食: 思: 생각할 得: 얻을 良: 좋을 饌: 반찬

  • 半生半熟(반생반숙) : (1)음식이 반쯤은 설고 반쯤은 익은 상태. (2)어떤 기예가 아직 완숙하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半: 生: 半: 熟: 익을

  • 溫衣美飯(온의미반) : 따뜻한 옷과 맛좋은 밥이라는 뜻으로, 따뜻한 의복을 입고 맛있는 음식을 먹는 안락한 생활을 한다는 의미.
    溫: 따뜻할 衣: 美: 아름다울 飯:

  • 殘杯冷炙(잔배냉적) : 마시다 남은 술과 다 식은 구운 고기라는 뜻으로, 보잘것없는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殘: 해칠 杯: 炙: 고기구울

  • 適口充腸(적구충장) : 훌륭한 음식(飮食)이 아니라도 입에 맞으면 배를 채움.
    適: 口: 充: 腸: 창자

  • 膏粱(고량) : (1)기름진 고기와 좋은 곡식으로 만든 맛있는 음식. (2)부귀한 가문.
    膏: 기름 粱: 기장

  • 醉飽淫臥(취포음와) : 취하도록 배불리 먹고 음탕하게 누워잔다는 뜻으로, 술과 음식을 배불리 먹고 음탕하게 잠을 자듯 문란한 생활을 이르는 말.
    醉: 취할 飽: 배부를 淫: 음란할 臥: 누울

  • 單食壺漿(단사호장) : 도시락 밥과 병에 담은 음료수(飮料水)라는 뜻으로, 잔소한 음식(飮食)을 마련하여 군대(軍隊)를 환영(歡迎)함을 이르는 말.
    單: 食: 壺: 漿: 미음

  • 炊金饌玉(취금찬옥) : 금으로 밥을 짓고 옥으로 반찬을 만든다는 뜻으로, 좋은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炊: 불땔 金: 饌: 반찬 玉: 구슬

  • 暴飮暴食(폭음폭식) : 음식(飮食)과 술 등(等)을 한꺼번에 많이 먹음.
    暴: 사나울 飮: 마실 暴: 사나울 食:

  • 山珍海錯(산진해착) :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山: 珍: 보배 海: 바다 錯: 섞일

  • 腐腸之藥(부장지약) : 창자를 썩게 하는 약이라는 뜻으로, 좋은 음식과 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腐: 썩을 腸: 창자 之: 藥:

  • 私其飮食禽雖之類(사기음식금수지류) : 형제(兄弟) 간(間)에 음식(飮食)을 사사(私事)로이 한다면 새나 짐승의 무리와 같음.
    私: 사사 其: 飮: 마실 食: 禽: 날짐승 雖: 비록 之: 類: 무리

  • 桂玉之艱(계옥지간) : 계수나무보다 비싼 장작과 옥보다 귀한 쌀로 생활하는 어려움이라는 뜻으로, 물가가 비싼 도회지에서 고학(苦學)하는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桂: 계수나무 玉: 구슬 之: 艱: 어려울

  • 暖衣飽食(난의포식) : 따뜻하게 입고 배불리 먹음.
    暖: 따뜻할 衣: 飽: 배부를 食:

  • 簞食豆羹(단사두갱) : 대그릇 하나에 담은 밥과 한 그릇의 국이라는 뜻으로, 변변치 못한 소량의 음식을 이르는 말.
    簞: 대광주리 食: 豆: 羹:

  • 過火熟食(과화숙식) : 지나가는 불에 음식이 익는다는 뜻으로, 어떤 사람을 위하여 한 것은 아니지만 그 사람에게 은혜가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過: 지날 火: 熟: 익을 食:

  • 嗟來之食(차래지식) : “자, 와서 먹어라.”라고 하며 주는 음식이라는 뜻으로, 무례한 태도로 주는 음식을 이르는 말. 모욕적인 대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嗟: 탄식할 來: 之: 食:

  • 廢寢忘餐(폐침망찬) : 침식을 잊는다는 뜻으로, 일에 몰두함을 이르는 말.
    廢: 폐할 寢: 잠잘 忘: 잊을 餐: 먹을

  • 好衣好食(호의호식) : 좋은 옷을 입고 좋은 음식을 먹음.
    好: 좋을 衣: 好: 좋을 食:

  • 山珍海味(산진해미) :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山: 珍: 보배 海: 바다 味:

  • 病從口入(병종구입) : 원래 병(病)이란 음식을 조심하지 않는 데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지나친 구복(口腹)의 욕심을 삼가야 함을 이르는 말.
    病: 從: 좇을 口: 入:

  • 悅口之物(열구지물) : 입에 맞는 음식.
    悅: 기쁠 口: 之: 物: 만물

  • 折足覆餗(절족복속) : 솥발을 부러뜨려 음식을 엎지른다는 뜻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데 있어서 소인을 쓰면 그 임무를 감당하지 못하여 나라를 위태롭게 만듦을 이르는 말.
    折: 꺾을 足: 覆: 뒤집힐 餗:

  • 藜藿(여곽) : 명아주 잎과 콩잎이라는 뜻으로, 아주 변변치 못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藿: 콩잎

  • 菜飯(채반) : 무 따위의 채소를 섞은 밥이라는 뜻으로, 변변하지 못한 음식을 이르는 말.
    菜: 나물 飯:

  • 仁漿義粟(인장의속) : 어진 음식과 의로운 곡식이라는 뜻으로, 인의(仁義)가 담긴 음식과 곡식의 의미로 자선가(慈善家)가 베푸는 음식물의 의미인데, 의연금(義捐金) 등의 모금함에 많이 쓰여짐.
    仁: 어질 漿: 미음 義: 옳을 粟:

  • 鼎食(정식) : 솥을 좍 벌여 놓고 음식을 먹는다는 뜻으로, 귀한 사람이 밥을 먹는 것을 이르는 말. 또는 그런 진수성찬을 이르는 말.
    鼎: 食:

  • 菽水之供(숙수지공) : 콩과 물로 드리는 공양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중에도 검소한 음식으로 정성을 다하여 부모를 봉양하는 일을 이르는 말.
    菽: 水: 之: 供: 이바지할

  • 粗衣粗食(조의조식) : 너절하고 조잡한 옷을 입고 맛없는 음식을 먹음. 또는 그 옷이나 음식.
    粗: 거칠 衣: 粗: 거칠 食:

  • 山珍海饌(산진해찬) :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山: 珍: 보배 海: 바다 饌: 반찬

  • 滿盤珍羞(만반진수) : 상 위에 가득히 차린 귀하고 맛있는 음식.
    滿: 盤: 소반 珍: 보배 羞: 부끄러울

  • 犬齧枯骨(견설고골) : 개가 말라 빠진 뼈를 핥는다는 뜻으로, 음식이 아무 맛도 없음을 이르는 말.
    犬: 齧: 枯: 마를 骨:

  • 粗衣惡食(조의악식) : 너절하고 조잡한 옷을 입고 맛없는 음식을 먹음. 또는 그 옷이나 음식.
    粗: 거칠 衣: 惡: 악할 食:

  • 八珍之味(팔진지미) : 중국에서 성대한 음식상에 갖춘다고 하는 진귀한 여덟 가지 음식의 아주 좋은 맛. 순모(淳母), 순오(淳熬), 포장(炮牂), 포돈(炮豚), 도진(擣珍), 오(熬), 지(漬), 간료(肝膋)를 이르기도 하고 용간(龍肝), 봉수(鳳髓), 토태(兔胎), 이미(鯉尾), 악적(鶚炙), 웅장(熊掌), 성순(猩脣), 수락(酥酪)을 이르기도 한다.
    八: 여덟 珍: 보배 之: 味:

  • 吐哺(토포) : (1)씹던 음식을 뱉어 냄. (2)입에 든 것을 토함.
    吐: 토할 哺: 먹일

  • 朝夕哭泣(조석곡읍) : 상가에서, 아침저녁으로 궤연(几筵)에 음식을 올릴 때 소리 내어 슬피 우는 일.
    朝: 아침 夕: 저녁 哭: 泣:

  • 食前方丈(식전방장) : 사방 열 자의 상에 잘 차린 음식이란 뜻으로, 호화롭게 많이 차린 음식을 이르는 말.
    食: 前: 方: 丈: 어른

  • 煙火中人(연화중인) : 불에 익힌 음식을 먹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도가에서 속세의 인간을 이르는 말.
    煙: 연기 火: 中: 가운데 人: 사람

  • 勺水不入(작수불입) : 한 모금의 물도 넘기지 못한다는 뜻으로, 음식을 조금도 먹지 못함을 이르는 말.
    勺: 구기 水: 不: 아니 入:

  • 熟不還生(숙불환생) : 한번 익힌 음식은 날것으로 되돌아갈 수 없어 그대로 두면 쓸데없다는 뜻으로, 장만한 음식을 남에게 권할 때 쓰는 말.
    熟: 익을 不: 아니 還: 돌아올 生:

  • 宿西食東(숙서식동) : 잠은 서에서 자고 음식은 동에서 먹는다는 뜻으로, 욕심이 많음을 이르는 말. [東家食西家息(동가식서가식)].
    宿: 묵을 西: 서녘 食: 東: 동녘

  • 齊眉(제미) : 밥상을 눈썹과 가지런하도록 공손히 들어 남편 앞에 가지고 간다는 뜻으로, 남편을 깍듯이 공경함을 이르는 말.
    齊: 가지런할 眉: 눈썹

  • 目食耳視(목식이시) : 눈으로 먹고 귀로 본다는 뜻으로, 맛있는 것보다 보기에 아름다운 음식(飮食)을 좋아하고, 몸에 맞는 것보다 귀로 들은 유행(流行)하는 의복(衣服)을 입음. 곧 외관(外觀)을 위(爲)해서 의식(衣食) 본래(本來)의 목적(目的)을 버리고 사치(奢侈)로 흐름을 두고 이르는 말.
    目: 食: 耳: 視:

  • 珍羞盛饌(진수성찬) : 푸짐하게 잘 차린 맛있는 음식.
    珍: 보배 羞: 부끄러울 盛: 담을 饌: 반찬

  • 熟設次知(숙설차지) : 숙설청의 일을 맡아보던 사람.
    熟: 익을 設: 베풀 次: 버금 知:

  • 乞神(걸신) : (1)빌어먹는 귀신. (2)염치없이 지나치게 탐하는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乞: 神:

  • 百味飮食(백미음식) : 여러 가지 좋은 맛으로 만든 음식. 또는 여러 가지 음식물.
    百: 일백 味: 飮: 마실 食:

  • 含哺鼓腹(함포고복) : 잔뜩 먹고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먹을 것이 풍족하여 즐겁게 지냄을 이르는 말.
    含: 머금을 哺: 먹일 鼓: 腹:

  • 惡衣惡食(악의악식) : 너절하고 조잡한 옷을 입고 맛없는 음식을 먹음. 또는 그 옷이나 음식.
    惡: 악할 衣: 惡: 악할 食:

  • 易衣幷食(역의병식) : 옷을 바꾸어 입고 음식을 쪼개 먹는다는 뜻으로, 한 벌 옷을 바꾸어 입고 하루치의 양식을 이틀 치로 나눈다는 의미에서 아주 가난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易: 바꿀 衣: 幷: 어우를 食:

  • 解衣推食(해의추식) : 옷을 벗어주고 음식(飮食)을 밀어준다라는 뜻으로, 남에게 은혜(恩惠)를 베푸는 것.
    解: 衣: 推: 옮을 食:

  • 膾炙人口(회자인구) : 사람의 입에 날고기 회나 구운 고기가 맛있게 여겨진다는 뜻으로, 명성(名聲)이나 좋은 평판(評判)이 여러 사람의 입에 오르내리는 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膾: 炙: 고기구울 人: 사람 口:

  • 錦衣玉食(금의옥식) : 비단옷과 흰쌀밥이라는 뜻으로, 호화스럽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이르는 말.
    錦: 비단 衣: 玉: 구슬 食:

  • 飢者甘食(기자감식) : 배고픈 사람은 음식을 가리지 않고 달게 먹음을 이르는 말.
    飢: 주릴 者: 甘: 食:

  • 山海珍味(산해진미) :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귀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山: 海: 바다 珍: 보배 味:

  • 飯囊酒袋(반낭주대) : 밥을 담는 주머니와 술을 담는 부대라는 뜻으로, 술과 음식을 축내며 일은 아니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飯: 囊: 주머니 酒: 袋: 자루

  • 食不甘味(식불감미) : 근심과 걱정으로 음식을 먹어도 맛이 없음.
    食: 不: 아니 甘: 味:

  • 龍味鳳湯(용미봉탕) : (1)‘용미봉탕’의 북한어. (2)용과 봉황으로 만든 음식이라는 뜻으로, 맛이 매우 좋은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味: 鳳: 봉새 湯: 끓일

  • 牛飮馬食(우음마식) : 소같이 술을 많이 마시고 말같이 음식을 많이 먹는다는 뜻으로, 많이 마시고 먹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牛: 飮: 마실 馬: 食:

  • 食飮全廢(식음전폐) : 먹고 마시는 것을 완전히 끊는다는 뜻으로, 음식을 전혀 먹지 않는다는 의미.
    食: 飮: 마실 全: 온전할 廢: 폐할

  • 禪悅爲食(선열위식) : 선정(禪定)의 기쁨으로 몸과 마음을 건전하게 하고 지혜로운 생명을 얻는 일. 음식으로 몸을 기르고 목숨을 보존하는 일에 비유한 말이다.
    禪: 봉선 悅: 기쁠 爲: 食:

  • 豊衣飽食(풍의포식) : 넉넉한 옷과 배부른 음식이라는 뜻으로, 의식이 여유 있고 충분하다는 의미.
    豊: 풍년 衣: 飽: 배부를 食:

  • 如物在喉(여물재후) : 음식이 목에 걸려 있는 것 같다는 뜻으로, 마음에 거리끼는 것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如: 같을 物: 만물 在: 있을 喉: 목구멍

#은혜 70 #자식 104 #아침 72 #머리 141 #형제 68 #가난 90 #상대 56 #벼슬 88 #죽음 73 #어버이 60 #재능 61 #가운데 104 #자신 208 #어머니 72 #유래 280 #표현 88 #바람 136 #부모 136 #모양 142 #군자 56 #예전 60 #부부 76 #동안 70 #처음 91 #잘못 93 #나라 392 #문장 59 #방법 59 #편안 62 #어려움 105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71개) : 아사, 아삭, 아산, 아살, 아삼, 아삽, 아상, 아새, 아생, 아서, 아선, 아성, 아세, 아셈, 아셔, 아소, 아속, 아손, 아송, 아숌, 아수, 아순, 아스, 아슬, 아습, 아승, 아시, 아식, 아신, 악사, 악삭, 악산, 악살, 악상, 악새, 악색, 악생, 악서, 악선, 악설, 악성, 악세, 악셀, 악소, 악속, 악송, 악수, 악쉬, 악습, 악승, 악시, 악식, 악신, 악실, 악심, 안사, 안산, 안살, 안상, 안색, 안생, 안서, 안석, 안선, 안섬, 안성, 안섶, 안세, 안셈, 안셕, 안소, 안속, 안손, 안수, 안숙, 안순, 안습, 안승, 안시, 안식, 안신, 안심, 알사, 알살, 알삽, 알새, 알색, 알선, 알섬, 알성, 알소, 알속, 알쇄, 알쇠, 알실, 알심, 암사, 암산, 암살, 암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