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에 관한 한자 모두 211

  • 無何之症 획순 無何之症(무하지증) : 병명을 몰라서 고칠 수 없는 병.
    無: 없을 何: 어찌 之: 症: 증세

  • 華官膴職 획순 華官膴職(화관무직) : 이름이 높고 봉록이 많은 벼슬.
    華: 빛날 官: 벼슬 膴: 職: 벼슬

  • 草木俱朽 획순 草木俱朽(초목구후) : 초목과 함께 썩는다는 뜻으로, 세상에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草: 木: 나무 俱: 함께 朽: 썩을

  • 提耳面命 획순 提耳面命(제이면명) : 귀에 입을 가까이하고 얼굴을 맞대고 가르쳐 명함. 또는 간곡히 타이르고 가르침.
    提: 耳: 面: 命: 목숨

  • 明鏡不疲 획순 明鏡不疲(명경불피) : 맑은 거울은 아무리 사람을 비추어도 피로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맑은 지혜와 슬기는 아무리 많이 써도 손상되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
    明: 밝을 鏡: 거울 不: 아니 疲: 피곤할

  • 良二千石(양이천석) : 선정(善政)을 베푸는 지방 장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한(漢)나라 때에 태수(太守)의 연봉이 이천 석이었던 데서 유래한다.
    二: 千: 일천 石:

  • 通姓名(통성명) : 처음으로 인사할 때 서로 성과 이름을 알려 줌.
    通: 통할 姓: 名: 이름

  • 竹馬故友(죽마고우) : 대말을 타고 놀던 벗이라는 뜻으로, 어릴 때부터 같이 놀며 자란 벗.
    竹: 馬: 故: 友:

  • 城狐社鼠(성호사서) : 성안에 사는 여우와 사당에 사는 쥐라는 뜻으로, 임금의 곁에 있는 간신의 무리나 관청의 세력에 기대어 사는 무리를 이르는 말.
    城: 狐: 여우 社: 토지신 鼠:

  • 力透紙背(역투지배) : 힘이 종이 뒤로 뚫린다는 뜻으로, 필력(筆力)이 사무친다는 의미로 필법(筆法)이 날카롭고 힘찬 것을 비유하거나 시(詩)의 내용이 근엄하고 고결함을 비유하여 이름.
    透: 통할 紙: 종이 背:

  • 垂于竹帛(수우죽백) : 대나무와 비단에 드리운다는 뜻으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죽간(竹簡)이나 비단에 글을 써서 기록으로 남긴 것에서 이름을 역사에 남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垂: 드리울 于: 어조사 竹: 帛: 비단

  • 虛名無實(허명무실) : 헛된 이름뿐이고 실속이 없음.
    虛: 名: 이름 無: 없을 實: 열매

  • 山盡水窮(산진수궁) : 산이 막히고 물줄기가 끊어져 더 갈 길이 없다는 뜻으로, 막다른 경우에 이름을 이르는 말.
    山: 盡: 다할 水: 窮: 다할

  • 埋骨不埋名(매골불매명) : 뼈는 묻어도 이름은 묻을 수 없다는 뜻으로, 몸은 죽어 뼈를 묻지만, 그 이름은 영원히 전해짐을 이르는 말.
    埋: 묻을 骨: 不: 아니 埋: 묻을 名: 이름

  • 人傑地靈(인걸지령) : 뛰어난 인재는 땅의 신령스러움에서 난다는 뜻으로, 위대한 인물이 난 곳에 이름이 나는 것처럼 사람의 운명은 그가 태어나 자란 산천의 기운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는 견해임. [= 地靈人傑 ].
    人: 사람 傑: 뛰어날 地: 靈: 신령

  • 名望天下(명망천하) : 이름이 세상에 널리 퍼짐.
    名: 이름 望: 바랄 天: 하늘 下: 아래

  • 轉迷開悟(전미개오) : 어지러운 번뇌에서 벗어나 열반의 깨달음에 이름.
    轉: 구를 迷: 미혹할 開: 悟: 깨달을

  • 伏龍鳳雛(복룡봉추) : 엎드린 용과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아직 드러나지 않은 우수한 인재를 이르는 말. ≪촉지≫의 <제갈량전(諸葛亮傳)> 주(注)에 나오는 말이다.
    伏: 엎드릴 龍: 鳳: 봉새 雛: 병아리

  • 出天烈女(출천열녀) : 하늘이 낸 열녀라는 뜻으로, 매우 절개가 굳은 열녀를 이르는 말.
    出: 天: 하늘 女: 여자

  • 草根木皮(초근목피) : (1)풀뿌리와 나무껍질이라는 뜻으로, 맛이나 영양 가치가 없는 거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한약의 재료를 이르는 말.
    草: 根: 뿌리 木: 나무 皮: 가죽

  • 時機尙早(시기상조) : 어떤 일을 하기에 아직 때가 이름.
    時: 機: 베틀 尙: 오히려 早: 일찍

  • 人死留名(인사유명) :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뜻으로, 사람의 삶이 헛되지 아니하면 그 이름이 길이 남음을 이르는 말.
    人: 사람 死: 죽을 名: 이름

  • 砲煙彈雨(포연탄우) : 총포의 연기와 비 오듯 하는 탄알이라는 뜻으로, 치열한 전투를 이르는 말.
    砲: 돌쇠뇌 煙: 연기 彈: 탄환 雨:

  • 燕雀之徒(연작지도) : 소인(小人)의 무리를 이름.
    燕: 제비 雀: 참새 之: 徒: 무리

  • 山盡海渴(산진해갈) : 산이 막히고 물줄기가 끊어져 더 갈 길이 없다는 뜻으로, 막다른 경우에 이름을 이르는 말.
    山: 盡: 다할 海: 바다 渴: 목마를

  • 雪中君子(설중군자) : 눈 속의 군자라는 뜻으로, 사군자(四君子)의 하나인 매화의 딴 이름임.
    雪: 中: 가운데 君: 임금 子: 아들

  • 魚鱗鶴翼(어린학익) : 어린진과 학익진을 아울러 이르는 말.
    魚: 고기 鱗: 비늘 鶴: 翼: 날개

  • 隔靴搔(격화소) : 신(靴)을 신은 채 발바닥을 긁는다는 뜻으로, (1) 뜻한 바의 효과(效果)를 얻지 못하여 안타까운 일의 비유(比喩) (2) (어떤 일을 함에 있어)그 정통(正統)을 찌르지 못하고 겉돌기만 하는 안타까움을 이름.
    隔: 사이 뜰 靴: 가죽신 搔: 긁을

  • 灞橋折柳(파교절류) : 파교에서 버들가지를 꺾는다는 뜻으로, 灞橋는 장안 동쪽 파수에 걸린 다리 이름인데, 옛날 사람들이 이 다리에 이르러 버들가지를 꺾어 송별의 뜻을 전했던 것에서 유래하여 시상을 떠올리기 가장 좋은 곳의 의미로 사용됨.
    灞: 물 이름 橋: 다리 折: 꺾을 柳: 버들

  • 納粟加資(납속가자) : 조선 시대에, 흉년이 들거나 병란이 있을 때 많은 곡식을 바친 사람에게 공명첩을 주던 일.
    納: 들일 粟: 加: 더할 資: 재물

  • 許由掛瓢(허유괘표) : 허유가 나뭇가지에 표주박을 걸었다가 시끄러워서 떼어버렸다는 뜻으로, 속세(俗世)를 떠나 청렴(淸廉)하게 살아가는 모양(模樣)을 이름.
    許: 허락할 由: 말미암을 掛: 瓢:

  • 桃源(도원) :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말로, 이상향, 별천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때 호남(湖南) 무릉의 한 어부가 배를 저어 복숭아꽃이 아름답게 핀 수원지로 올라가 굴속에서 진(秦)나라의 난리를 피하여 온 사람들을 만났는데, 그들은 하도 살기 좋아 그동안 바깥세상의 변천과 많은 세월이 지난 줄도 몰랐다고 한다.
    桃: 복숭아나무 源: 근원

  • 垂名竹帛(수명죽백) : 이름을 죽간과 비단에 드리운다는 뜻으로, 입신양명(立身揚名)하여 이름을 역사에 남긴다는 의미.
    垂: 드리울 名: 이름 竹: 帛: 비단

  • 無上正覺(무상정각) :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부처의 깨달음.
    無: 없을 上: 正: 바를 覺: 깨달을

  • 反掖之寇(반액지구) : 겨드랑이 밑에서 모반(謀叛)하는 적이라는 뜻으로, 내란(內亂)을 이름.
    反: 돌이킬 掖: 겨드랑이 之: 寇: 도둑

  • 流芳百世(유방백세) : (1)‘유방백세’의 북한어. (2)꽃다운 이름이 후세에 길이 전함.
    芳: 꽃다울 百: 일백 世: 인간

  • 劍號巨闕(검호거궐) : 거궐(巨闕)은 칼 이름이고, 구야자가 지은 보검(寶劍)임.
    劍: 號: 부를 巨: 闕: 대궐

  • 形役(형역) : 정신이 물질의 지배를 받음. 또는 공명과 잇속에 얽매임.
    形: 형상 役: 부릴

  • 伐齊爲名(벌제위명) : 겉으로는 어떤 일을 하는 체하고 속으로는 딴짓을 함을 이르는 말. 중국의 전국 시대에 연나라 장수 악의(樂毅)가 제나라를 칠 때에 제나라의 장수 전단(田單)이 악의가 제나라를 정복한 뒤에 제나라의 왕이 되려고 한다는 헛소문을 퍼뜨리자, 연왕이 의심하여 악의를 불러들이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伐: 齊: 가지런할 爲: 名: 이름

  • 三益之友(삼익지우) : 사귀어 이로운 세 부류(部類)의 벗으로서, 정직(正直)한 사람과 성실(誠實)한 사람과 견문(見聞)이 넓은 사람을 이름.
    三: 益: 더할 之: 友:

  • 名譽毁損(명예훼손) : 다른 사람의 이름이나 인격, 신분 등의 사회적 평가에 해를 끼쳐 손해를 입히는 일.
    名: 이름 譽: 기릴 毁: 損:

  • 輕車熟路(경거숙로) : 가볍고 빠른 수레를 타고 익숙한 길을 간다는 뜻으로, 일에 숙달하여 조금도 막힘이나 머뭇거림이 없음을 이르는 말.
    輕: 가벼울 車: 수레 熟: 익을 路:

  • 硯北(연북) : 편지(便紙) 봉투(封套)에 벼루에 북쪽, 곧 '앞에'의 뜻으로, 받는 사람의 이름 밑에 쓰는 말.
    硯: 벼루 北: 북녘

  • 三鐘懺法(삼종참법) : 죄악(罪惡)을 참회(懺悔)하는 세 가지 방법(方法). 곧 작법참(作法懺)ㆍ취상참(取相懺)ㆍ무생참(無生懺)을 이름.
    三: 鐘: 懺: 뉘우칠 法:

  • 南箕北斗(남기북두) : 남쪽 하늘의 키와 북쪽 하늘의 말이라는 뜻으로, 기성(箕星)은 그 이름에 쌀을 까부는 ‘키’를 뜻하는 ‘箕’ 자가 있지만 쌀을 까불지 못하고, 북두성은 그 이름에 쌀을 되는 ‘말’을 뜻하는 ‘斗’ 자가 있지만 쌀을 되지 못하는 것처럼 이름뿐이고 아무 쓸모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南: 남녘 箕: 北: 북녘 斗:

  • 虎死留皮(호사유피) :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는 뜻으로, 사람은 죽어서 명예를 남겨야 함을 이르는 말.
    虎: 死: 죽을 皮: 가죽

  • 名存實無(명존실무) : 이름만 있고 실상은 없음.
    名: 이름 存: 있을 實: 열매 無: 없을

  • 名滿天下(명만천하) : 이름이 세상에 널리 퍼짐.
    名: 이름 滿: 天: 하늘 下: 아래

  • 南方之强(남방지강) : 중국(中國) 남쪽 지방(地方) 사람들의 강(强)함이라는 뜻으로, (1) 관용(寬容)과 인내(忍耐)로 남에게 이기는 것 (2) 전(傳)하여 '군자(君子)의 용기(勇氣)'를 이름.
    南: 남녘 方: 之: 强: 굳셀

  • 知名之士(지명지사) : 이름이 세상에 널리 알려진 사람.
    知: 名: 이름 之: 士: 선비

  • 百八煩惱(백팔번뇌) : (1)최남선이 지은 시조집. 우리나라 최초의 개인 시조집으로, 1926년에 간행하였다. (2)사람이 지닌 108가지의 번뇌. 6근(根)에 각기 고(苦), 낙(樂), 불고불락(不苦不樂)이 있어 18가지가 되고, 이에 탐(貪)과 무탐(無貪)이 있어 36가지가 되며, 이것을 다시 과거, 현재, 미래로 각각 풀면 108가지가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마음속에 있는 엄청난 번뇌를 이른다.
    百: 일백 八: 여덟 煩: 번거로울 惱: 괴로워할

  • 勞謙謹勅(노겸근칙) : 근로(勤勞)하고 겸손(謙遜)하며 삼가고 신칙(申飭)하면 중용(中庸)의 도(道)에 이름.
    謙: 겸손할 謹: 삼갈 勅: 조서

  • 和氏之璧(화씨지벽) : 화씨의 구슬이라는 뜻으로, 천하의 명옥(名玉)을 이르는 말. 초나라 화씨가 옥돌 원석을 여왕(厲王)에게 바쳤으나 돌로 판정되어 왼쪽 다리와 오른발을 잘려 사흘 밤낮을 운다는 소문을 문왕이 듣고 그 원석을 다듬게 하여 천하에 둘도 없는 보물이 된 데서 유래한다.
    和: 고를 氏: 之: 璧: 둥근 옥

  • 張冠李戴(장관이대) : 장(張)가의 모자를 이(李)가가 썼다는 뜻으로, 이름과 실상이 일치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張: 베풀 冠: 戴:

  • 怒氣騰騰(노기등등) : ‘노기등등하다’의 어근.
    怒: 성낼 氣: 기운 騰: 오를 騰: 오를

  • 虛名自累(허명자루) : 헛된 이름을 구(求)하여 스스로 재난(災難)을 초래(招來)함.
    虛: 名: 이름 自: 스스로 累: 묶을

  • 綿裏藏針(면리장침) : 솜 속에 바늘을 감추어 꽂는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부드러운 체하나 속으로는 아주 흉악함을 이르는 말.
    綿: 裏: 藏: 감출 針: 바늘

  • 訥言敏行(눌언민행) : 말은 느려도 실제 행동은 재빠르고 능란함.
    訥: 말더듬을 言: 말씀 敏: 재빠를 行:

  • 益者三友(익자삼우) :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益: 더할 者: 三: 友:

  • 破天荒(파천황) : (1)이전에 아무도 하지 못한 일을 처음으로 해냄을 이르는 말. ≪북몽쇄언(北夢瑣言)≫에 나오는 말로, 중국 당나라의 형주(荊州) 지방에서 과거의 합격자가 없어 천지가 아직 열리지 않은 혼돈한 상태라는 뜻으로 천황(天荒)이라고 불리었는데 유세(劉蛻)라는 사람이 처음으로 합격하여 천황을 깼다는 데서 유래한다. (2)양반이 없는 시골이나 인구수가 적은 성씨에 인재가 나서 본래의 미천한 상태를 벗어남.
    破: 깨뜨릴 天: 하늘 荒: 거칠

  • 蒲鞭之罰(포편지벌) : 부들 채찍의 형벌이라는 뜻으로, 겉으로는 형벌을 내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제제가 거의 없는 솜방망이 처벌을 이르는 말. 곧 지나치게 관후(寬厚)한 정치를 이름.
    蒲: 부들 鞭: 채찍 之: 罰:

  • 名祖之孫(명조지손) : 이름난 조상의 자손.
    名: 이름 祖: 할아비 之: 孫: 손자

  • 東家丘(동가구) : (1)‘공자’의 다른 이름. 공자의 서쪽 이웃에 사는 사람이 공자가 훌륭한 인물임을 모르고 ‘동쪽 이웃인 구(丘)’라고 불렀다는 데서 유래한다. (2)사람을 알아볼 줄 모르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東: 동녘 家: 丘: 언덕

  • 草木同腐(초목동부) : 초목과 함께 썩는다는 뜻으로, 세상에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草: 木: 나무 同: 한가지 腐: 썩을

  • 蕩盡家産(탕진가산) : 집안의 재산을 모두 써서 없애 버림.
    蕩: 쓸어없앨 盡: 다할 家: 産: 낳을

  • 遺臭萬年(유취만년) : 더러운 이름을 후세에 오래도록 남김.
    遺: 남길 臭: 냄새 萬: 일만 年:

  • 梟木(효목) : 죄인의 목을 베어 높이 매달던 나무.
    梟: 올빼미 木: 나무

  • 覆水不收(복수불수) : (1) 엎질러진 물은 다시 담지 못한다는 뜻 (2) 한 번 저지른 일은 다시 어찌 할 수 없음을 이름(3) 다시 어떻게 수습(收拾)할 수 없을 만큼 일이 그릇됨.
    覆: 뒤집힐 水: 不: 아니 收: 거둘

  • 蓬頭垢面(봉두구면) : 흐트러진 머리와 때 묻은 얼굴이라는 뜻으로, 성질이 털털하여 외양에 개의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蓬: 頭: 머리 垢: 面:

  • 易名(역명) : 이름을 바꾼다는 뜻으로, ‘사시’를 달리 이르는 말.
    易: 바꿀 名: 이름

  • 名門巨族(명문거족) : 이름나고 크게 번창한 집안.
    名: 이름 門: 巨: 族: 겨레

  • 投兵息戈(투병식과) : 병기를 던지고 창을 멈춘다는 뜻으로, 전쟁이나 싸움을 그만둠을 이르는 말.
    投: 던질 兵: 군사 息: 숨쉴 戈:

  • 千年一淸(천년일청) : 천 년에 한 번 맑아진다는 황하의 물이 맑아지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가능하지 아니한 일을 바람을 이르는 말.
    千: 일천 年: 一: 淸: 맑을

  • 四時山色(사시산색) : 계절(季節)에 따라 변화(變化)하는 산의 풍경(風景)을 이름.
    四: 時: 山: 色:

  • 親展(친전) : (1)몸소 펴 봄. (2)편지를 받을 사람이 직접 펴 보라고 편지 겉봉에 적는 말.
    親: 친할 展:

  • 豹死留皮人死留名(표사유피인사유명) : 표범은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김.
    豹: 표범 死: 죽을 皮: 가죽 人: 사람 死: 죽을 名: 이름

  • 拜復(배복) : 절하고 회답(回答)한다는 뜻으로, 흔히 친구(親舊) 사이에 답장(答狀)하는 편지(便紙) 첫머리에 또는 편지(便紙) 끝머리의 자기(自己) 이름 아래에 쓰는 말.
    拜: 復: 회복할

  • 俟河淸(사하청) : 언제나 흐려서 누런 황하(黃河)의 물이 맑기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될성부르지 않은 일을 기대(期待)함을 이름.
    俟: 기다릴 河: 강 이름 淸: 맑을

  • 死後藥方文(사후약방문) : 죽은 뒤에 약방의 처방문이라는 뜻으로, 때가 이미 지난 뒤에 대책을 세우거나 후회해도 소용없다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속담과 통용.
    死: 죽을 後: 藥: 方: 文: 글월

  • 朝夕變改(조석변개) : 아침저녁으로 뜯어고친다는 뜻으로, 계획이나 결정 따위를 자주 고침을 이르는 말.
    朝: 아침 夕: 저녁 變: 변할 改: 고칠

  • 名面各知(명면각지) : 같은 사람인 줄 모르고 이름이름대로 얼굴은 얼굴대로 따로따로 앎.
    名: 이름 面: 各: 각각 知:

  • 政如魯衛(정여노위) : 두 나라의 정치가 서로 비슷함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의 시조 주공(周公)과 위나라의 시조 강숙(康叔)이 형제인 데에서 온 말이다.
    政: 정사 如: 같을 衛: 지킬

  • 名從主人(명종주인) : 사물(事物)의 이름은 원래 주인이 붙인 이름을 따른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의 명칭은 현지의 호칭법(號稱法)을 따라야 함을 이르는 말.
    名: 이름 從: 좇을 主: 주인 人: 사람

  • 天涯地角(천애지각) : 하늘의 끝이 닿은 곳과 땅의 한 귀퉁이라는 뜻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음을 이르는 말.
    天: 하늘 涯: 물가 地: 角:

  • 甲男乙女(갑남을녀) : 갑이란 남자와 을이란 여자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들을 이르는 말.
    甲: 갑옷 男: 사내 乙: 女: 여자

  • 白骨徵布(백골징포) : 조선 후기에, 죽은 사람의 이름을 군적과 세금 대장에 올려놓고 군포(軍布)를 받던 일.
    白: 骨: 徵: 부를 布:

  • 面壁九年(면벽구년) : 달마가 중국 쑹산산(嵩山山)의 소림사에서 9년 동안 벽을 보고 좌선하여 도를 깨달은 일을 이르는 말.
    面: 壁: 九: 아홉 年:

  • 杵孫(저손) : 딸이 낳은 자식. 외손자와 외손녀를 이른다.
    杵: 공이 孫: 손자

  • 四大六身(사대육신) : 두 팔, 두 다리, 머리, 몸뚱이라는 뜻으로, 온몸을 이르는 말.
    四: 大: 身:

  • 建安詞人(건안사인) : 중국 후한 건안 때의 문학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建: 세울 安: 편안할 詞: 人: 사람

  • 針小棒大(침소봉대) : 작은 일을 크게 불리어 떠벌림.
    針: 바늘 小: 작을 棒: 몽둥이 大:

  • 半生半死(반생반사) : 거의 죽게 되어 죽을지 살지 모를 지경에 이름.
    半: 生: 半: 死: 죽을

  • 齒髮不長(치발부장) : 젖니를 다 갈지 못하고 머리는 다박머리라는 뜻으로, 아직 나이가 어림을 이르는 말.
    齒: 髮: 터럭 不: 아니 長:

  • 名過其實(명과기실) : 세상의 평판이 실제보다 지나치다는 뜻으로, 이름만 나고 실상은 그렇지 못함을 이르는 말.
    名: 이름 過: 지날 其: 實: 열매

  • 籍甚無竟(적심무경) : 뿐만 아니라 자신(自身)의 명예(名譽)스러운 이름이 길이 전(傳)하여질 것임.
    籍: 문서 甚: 심할 無: 없을 竟: 마칠

  • 案下(안하) : 책상 아래라는 뜻으로, 편지에서 상대편의 이름 밑에 붙여 쓰는 말.
    案: 책상 下: 아래

  • 無名小卒(무명소졸) : 세상에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보잘것없는 사람.
    無: 없을 名: 이름 小: 작을 卒: 군사

  • 自稱(자칭) : (1)자기 자신이나 자기가 한 일을 스스로 칭찬함. (2)자기 자신을 스스로 일컬음. (3)실제로 어떻든지 상관하지 아니하고 집단으로 어떤 신분, 직함, 이름을 가지고 있다고 자기가 스스로 이르는 말. (4)말하는 사람이 자기 또는 자기의 동아리를 이르는 대명사. ‘나’, ‘저’, ‘우리’, ‘저희’ 따위가 있다.
    自: 스스로 稱: 일컬을

  • 老當益壯(노당익장) : (1)‘노당익장’의 북한어. (2)늙었지만 의욕이나 기력은 점점 좋아짐. 또는 그런 상태.
    當: 마땅할 益: 더할 壯: 씩씩할

  • 山中豪傑(산중호걸) : 산속에 사는 호걸이라는 뜻으로, 호랑이나 호랑이의 기상(氣象)을 이르는 말.
    山: 中: 가운데 豪: 호걸 傑: 뛰어날

2 3
#머리 141 #가난 90 #태도 72 #집안 93 #이익 89 #얼굴 99 #근심 65 #세월 71 #아래 86 #바람 136 #아침 72 #신하 62 #목숨 58 #중국 253 #음식 79 #재능 61 #이치 67 #경계 56 #비유 1177 #상대 56 #자신 208 #의미 1817 #상황 119 #표현 88 #사랑 91 💘 #이름에 관한 211개의 한자어 #서로 71 #무리 64 #근본 66 #구름 67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59개) : 아라, 아란, 아람, 아랍, 아랑, 아래, 아량, 아레, 아려, 아련, 아령, 아례, 아록, 아론, 아롬, 아롱, 아류, 아륜, 아르, 아른, 아를, 아름, 아리, 아린, 아림, 아릿, 악랄, 악랑, 악력, 악렬, 악령, 악례, 악로, 악룡, 악루, 악률, 악리, 악립, 안라, 안락, 안력, 안롱, 안뢰, 안료, 안류, 안륜, 안릉, 안리, 알라, 알락, 알란, 알랑, 알래, 알랭, 알량, 알렌, 알력, 알렴, 알록, 알롱, 알류, 알륵, 알른, 알리, 암라, 암락, 암랑, 암려, 암련, 암렬, 암령, 암로, 암록, 암루, 암류, 암리, 암릿, 압량, 압력, 압렵, 압령, 압로, 압롱, 압뢰, 압류, 압리, 앙련, 앙롱, 앙륙, 애라, 애락, 애란, 애략, 애력, 애련, 애렴, 애례, 애로, 애론, 애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