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1,468

  • 天方地方 획순 天方地方(천방지방)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天: 하늘 方: 地: 方:

  • 可與樂成 획순 可與樂成(가여낙성)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可: 옳을 與: 成: 이룰

  • 濫竽 획순 濫竽(남우)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竽: 피리

  • 喜出望外 획순 喜出望外(희출망외) : 기대하지 아니하던 기쁜 이 뜻밖에 생김.
    喜: 기쁠 出: 望: 바랄 外: 바깥

  • 感懷 획순 感懷(감회) : 지난 을 돌이켜 볼 때 느껴지는 회포.
    感: 느낄 懷: 품을

  • 輕事重報(경사중보) : 조그마한 에 후한 답례(答禮)를 함.
    輕: 가벼울 事: 重: 무거울 報: 갚을

  • 同惡相助(동악상조) : 악인(惡人)도 악(惡)한 을 이루기 위(爲)해서는 서로 돕는다는 뜻으로, 동류(同類)끼리 서로 도움을 이르는 말.
    同: 한가지 惡: 악할 相: 서로 助: 도울

  • 多事多端(다사다단) : 여러 가지 이나 까닭이 서로 뒤얽혀 복잡함.
    多: 많을 事: 多: 많을 端: 바를

  • 堂內至親(당내지친) : 팔촌 안의 가까운 가붙이.
    堂: 內: 至: 이를 親: 친할

  • 頭東尾西(두동미서)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생선 따위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 .
    頭: 머리 東: 동녘 尾: 꼬리 西: 서녘

  • 割鷄牛刀(할계우도) : 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닭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論語(논어)> ].
    割: 나눌 鷄: 牛: 刀:

  • 刻骨憤恨(각골분한) : 뼈에 사무칠 만큼 분하고 한스러움. 또는 그런 .
    刻: 새길 骨: 憤: 결낼 恨: 한할

  • 雪上加霜(설상가상) :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이나 불행한 이 잇따라 어남을 이르는 말.
    雪: 上: 加: 더할 霜: 서리

  • 樂爲之事(낙위지사) : 즐거워서 하는 . 또는 즐거움으로 삼는 .
    爲: 之: 事:

  • 好事不出門惡事行千里(호사불출문악사행천리) : 좋은 은 좀체로 세상(世上)에 알려지지 않으나, 나쁜 은 이내 널리 알려짐.
    好: 좋을 事: 不: 아니 出: 門: 惡: 악할 事: 行: 千: 일천 里: 마을

  • 門外漢(문외한) : (1)어떤 에 직접 관계가 없는 사람. (2)어떤 에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
    門: 外: 바깥 漢: 한수

  • 積善之家(적선지가) : 착한 을 많이 한 집.
    積: 쌓을 善: 착할 之: 家:

  • 可痛之事(가통지사) : 통탄할 만한 .
    可: 옳을 痛: 아플 之: 事:

  • 梟首警衆(효수경중) : 죄인의 목을 베어 높은 곳에 매달아 놓아 뭇사람을 경계하던 .
    梟: 올빼미 首: 머리 警: 경계할 衆: 무리

  • 精神一到何事不成(정신일도하사불성) : 정신(精神)을 한 곳으로 하면 무슨 인들 이루어지지 않으랴라는 뜻으로,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여 노력(努力)하면 어떤 어려운 이라도 성취(成就)할 수 있다는 말.
    精: 정미할 神: 一: 到: 이를 何: 어찌 事: 不: 아니 成: 이룰

  • 牛刀割鷄(우도할계) : (1)소 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에 어울리지 아니하게 큰 도구를 씀을 이르는 말. (2)지나치게 과장된 표현이나 몸짓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牛: 刀: 割: 나눌 鷄:

  • 圓孔方木(원공방목) : 둥근 구멍에 모난 막대기라는 뜻으로, 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圓: 둥글 孔: 구멍 方: 木: 나무

  • 懸權而動(현권이동) : 저울추를 매달아 움직인다는 뜻으로, 추를 저울에 걸어 무게를 달듯이, 의 경중을 잘 헤아린 뒤에 행동함.
    懸: 매달 權: 저울추 而: 말 이을 動: 움직일

  • 無爲無事(무위무사) : (1)하는 이 없어서 탈도 없음. (2)하는 도 없고 할 도 없음.
    無: 없을 爲: 無: 없을 事:

  • 實事求是(실사구시) :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 공리공론을 떠나서 정확한 고증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ㆍ객관적 학문 태도를 이른 것으로, 중국 청나라 고증학의 학문 태도에서 볼 수 있다. 조선 시대 실학파의 학문에 큰 영향을 주었다.
    實: 열매 事: 求: 구할 是: 옳을

  • 狐疑未決(호의미결) : 여우가 의심이 많아 결단을 내리지 못한다는 뜻으로, 어떤 에 대하여 의심이 많아 결행(決行)하지 못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狐: 여우 疑: 의심할 未: 아닐 決:

  • 天地之平(천지지평) : 천지가 공평한 .
    天: 하늘 地: 之: 平: 평평할

  • 辟邪進慶(벽사진경) : 나쁜 귀신을 쫓고 경사스러운 로 나아감을 이르는 말.
    辟: 임금 邪: 간사할 進: 나아갈 慶: 경사

  • 專心致之(전심치지) : 오직 한마음을 가지고 한길로만 나아감.
    專: 오로지 心: 마음 致: 이룰 之:

  • 得兎忘蹄(득토망제) : 토끼를 잡고는 올무를 잊는다는 뜻으로, 바라던 을 달성하고는 그에 소용되었던 것을 잊는다는 의미.
    得: 얻을 兎: 토끼 忘: 잊을 蹄:

  • 彰往察來(창왕찰래) : 이미 지난 을 분명하게 밝혀서 장차 올 의 득실을 살핌.
    彰: 밝힐 往: 察: 살필 來:

  • 顔面不知(안면부지) : 얼굴을 모름. 또는 얼굴도 모르는 사람.
    顔: 얼굴 面: 不: 아닌가 知:

  • 社鼠(사서) : 사람이 함부로 손댈 수 없는 사당에 숨어 사는 쥐라는 뜻으로, 어떤 기관이나 세력가에 의지하여 간사한 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社: 토지신 鼠:

  • 望雲(망운) :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어버이를 생각함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적인걸(狄仁傑)이 타향에서 부모가 계신 쪽의 구름을 바라보고 어버이를 그리워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望: 바랄 雲: 구름

  • 農不失時(농불실시) : 농사에서 제때를 놓치지 않음.
    農: 농사 不: 아니 失: 잃을 時:

  • 自手成家(자수성가) : 물려받은 재산이 없이 자기 혼자의 힘으로 집안을 으키고 재산을 모음.
    自: 스스로 手: 成: 이룰 家:

  • 仁者安仁(인자안인) : 어진 사람은 천명을 알아 인(仁)에 만족하고 마음이 흔들리지 아니함.
    仁: 어질 者: 安: 편안할 仁: 어질

  • 安心決定(안심결정) : 확실한 안심을 얻어서 마음이 흔들리지 아니하는 경지를 정하는 .
    安: 편안할 心: 마음 決: 定: 정할

  • 百千萬事(백천만사) : 온갖 .
    百: 일백 千: 일천 萬: 일만 事:

  • 多發將吏(다발장리) : 조선 시대에, 수령이 죄인을 잡으려고 많은 수의 포교(捕校)와 사령(使令)을 보내던 .
    多: 많을 發: 將: 장수 吏: 벼슬아치

  • 晴耕雨讀(청경우독) : 날이 개면 논밭을 갈고 비가 오면 글을 읽는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하며 공부함을 이르는 말.
    晴: 耕: 雨: 讀: 읽을

  • 徑先處斷(경선처단) : 범인의 진술을 기다리지 않고 처단하는 .
    徑: 지름길 先: 먼저 處: 머무를 斷: 끊을

  • 草木俱朽(초목구후) : 초목과 함께 썩는다는 뜻으로, 세상에 이름을 남기지 못하고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草: 木: 나무 俱: 함께 朽: 썩을

  • 擧覺(거각) : 스승이 들어 보여서 학인(學人)이 깨닫는다는 뜻으로, 스승과 학인이 만나는 을 이르는 말.
    擧: 覺: 깨달을

  • 啞然失色(아연실색) : 뜻밖의 에 얼굴빛이 변할 정도로 놀람.
    啞: 벙어리 然: 그러할 失: 잃을 色:

  • 嘗膽(상담) :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을 이루기 위하여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嘗: 맛볼 膽: 쓸개

  • 傾囷倒廩(경균도름) : (1)어떤 을 하기 위하여 모든 재산을 내놓음. (2)마음에 품은 생각을 숨김없이 드러내어 말함.
    傾: 기울 囷: 곳집 倒: 넘어질 廩: 곳집

  • 夜以繼晝(야이계주) : 어떤 에 몰두하여 조금도 쉴 사이 없이 밤낮을 가리지 아니함.
    夜: 以: 繼: 이을 晝:

  • 開物成務(개물성무) : 만물의 뜻을 깨달아 모든 을 이룸.
    開: 物: 만물 成: 이룰 務: 힘쓸

  • 自力回向(자력회향) : 자신이 얻은 수행의 공덕을 남에게 베풀어서 과보(果報)를 얻으려는 .
    自: 스스로 力: 回: 向: 향할

  • 無爲之治(무위지치) : 성인의 덕이 지극히 커서 아무 을 하지 않아도 천하가 저절로 잘 다스려짐.
    無: 없을 爲: 之: 治: 다스릴

  • 溫凊定省(온정정성) : 자식이 효성을 다하여 부모를 섬기는 도리. 겨울에는 따뜻하게 하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하며, 저녁에는 자리를 편히 마련하고, 아침에는 안부를 여쭙는 을 이른다.
    溫: 따뜻할 凊: 서늘할 定: 정할 省: 살필

  • 花鳥使(화조사) : 남녀 사이의 애정에 관계되는 을 심부름하여 주는 사람.
    花: 鳥: 使: 부릴

  • 畵虎不成(화호불성) : 범을 그리려다가 강아지를 그린다는 뜻으로, 서투른 솜씨로 남의 언행(言行)을 흉내내려 하거나, 어려운 특수(特殊)한 을 하려다가 도리어 잘못됨의 비유(比喩).
    畵: 그림 虎: 不: 아니 成: 이룰

  • 前代未聞(전대미문) : 이제까지 들어 본 적이 없음.
    前: 代: 대신 未: 아닐 聞: 들을

  • 如履薄氷(여리박빙) : 살얼음을 밟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아슬아슬하고 위험한 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如: 같을 履: 밟을 薄: 엷을 氷: 얼음

  • 漆者不畵(칠자불화) : 옻칠을 하는 사람은 그림을 그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한 사람이 두 가지 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곧 분업을 의미함.
    漆: 者: 不: 아니 畵: 그림

  • 百計無策(백계무책) : 어려운 을 당하여 온갖 계교를 다 써도 해결할 방도를 찾지 못함.
    百: 일백 計: 無: 없을 策:

  • 月滿則虧(월만즉휴) : 달이 차면 반드시 이지러진다는 뜻으로, 무슨 이든지 성하면 반드시 쇠하게 됨을 이르는 말.
    月: 滿: 則: 虧: 이지러질

  • 大馬不死(대마불사) : 바둑에서, 대마가 결국은 살길이 생겨 쉽게 죽지 않는 .
    大: 馬: 不: 아니 死: 죽을

  • 稱體裁衣(칭체재의) : 몸에 맞추어서 옷을 만든다는 뜻으로, 사람에 따라 그 경우에 맞도록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稱: 일컬을 體: 裁: 마를 衣:

  • 言有召禍(언유소화) : 말은 화를 부름이 있다는 뜻으로, 말은 이따금 화단(禍端)을 불러올 수 있음을 이르는 말.
    言: 말씀 有: 있을 召: 부를 禍: 재난

  • 探囊取物(탐낭취물) : 주머니 속에서 물건을 꺼내듯이 아주 손쉽게 얻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探: 찾을 囊: 주머니 取: 취할 物: 만물

  • 權謀術數(권모술수) :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아니하는 온갖 모략이나 술책.
    權: 저울추 謀: 꾀할 術: 數:

  • 笑啼兩難(소제양난) : 웃거나 울기가 둘 다 어렵다는 뜻으로,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모를 정도로 기쁜 과 슬픈 이 함께 닥치는 상황을 이르는 말.
    笑: 웃을 啼: 難: 어려울

  • 思慮分別(사려분별) : 깊게 생각해 다른 이나 사물을 구별하여 가름.
    思: 생각할 慮: 생각할 分: 나눌 別: 나눌

  • 謀事在人(모사재인) : 을 꾸미는 것은 사람에게 달렸다는 뜻으로, 결과는 하늘에 맡기고 을 힘써 꾀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謀: 꾀할 事: 在: 있을 人: 사람

  • 積善餘慶(적선여경) : 착한 을 많이 한 결과로 경사스럽고 복된 이 자손에게까지 미침. ≪주역≫의 <문언전(文言傳)>에 나오는 말이다.
    積: 쌓을 善: 착할 餘: 남을 慶: 경사

  • 事事不成(사사불성) : 마다 이루어지지 않음. 또는 모든 이 이루어지지 않음.
    事: 事: 不: 아니 成: 이룰

  • 結局原因(결국원인) : 어떤 판국의 결말을 결정하는 데 가장 가까운 원인.
    結: 맺을 局: 原: 언덕 因: 인할

  • 修身齊家(수신제가) : 몸과 마음을 닦아 수양하고 집안을 다스림.
    修: 닦을 身: 齊: 가지런할 家:

  • 信言之瑞(신언지서) : 信은 말의 부절(符節)이라는 뜻으로, 전(前日)에 한 말이 후(後日)의 치함을 이르는 신의(信義)의 소중한 가치를 강조하는 의미. [瑞는 符(부)의 의미].
    信: 믿을 言: 말씀 之: 瑞: 상서

  • 一騎當千(일기당천) : 한 사람의 기병이 천 사람을 당한다는 뜻으로, 싸우는 능력이 아주 뛰어남을 이르는 말.
    一: 騎: 말 탈 當: 마땅할 千: 일천

  • 謀殺未遂(모살미수) : 미리 꾀하여 사람을 죽이려다가 이루지 못하는 .
    謀: 꾀할 殺: 죽일 未: 아닐 遂: 드디어

  • 催枯拉朽(최고납후) : 마른 나무를 꺾고 썩은 나무를 부러뜨린다는 뜻으로, 이 대단히 용이(容易)함을 이르는 말.
    催: 재촉할 枯: 마를 朽: 썩을

  • 悖入悖出(패입패출) : 어그러지게 들어와 어그러지게 나간다는 뜻으로, 부정한 방법으로 번 돈은 또 그렇게 나가는 것처럼 도리에 어긋난 짓을 하면 역시 도리에 어그러진 갚음을 받는다는 말.
    悖: 어그러질 入: 悖: 어그러질 出:

  • 抱痛西河(포통서하) : 서하에서 고통을 품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제자 자하(子夏)가 서하에 있을 때, 그의 아들을 잃고 너무 비통한 나머지 실명한 고사에서 유래되어 자식을 잃고 슬퍼하는 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抱: 안을 痛: 아플 西: 서녘 河: 강 이름

  • 半凶半吉(반흉반길) : 한편으로는 길하고 한편으로는 흉함. 또는 그런 .
    半: 凶: 흉할 半: 吉: 길할

  • 拜家慶(배가경) : 오래도록 떠나 있던 자식(子息)이 귀가(歸嫁)해서 부모(父母)를 뵙는 .
    拜: 家: 慶: 경사

  • 養志(양지) : (1)부모님을 즐겁게 해 드림. (2)뜻을 기름. 자기가 마음먹은 뜻을 이루기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함을 이른다.
    養: 기를 志:

  • 春分(춘분) : 이십사절기의 하나. 경칩(驚蟄)과 청명(淸明)의 사이에 들며 양력 3월 21 무렵이다. 태양이 춘분점에 이르러 적도의 위를 직사(直射)하여 밤과 낮의 길이가 거의 같지만, 빛의 굴절 현상 때문에 낮의 길이가 약간 더 길다.
    春: 分: 나눌

  • 平地落傷(평지낙상) : 평지에서 넘어져 다친다는 뜻으로, 뜻밖에 불행한 을 겪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平: 평평할 地: 傷: 다칠

  • 濟度利生(제도이생) : 중생을 제도하여 이익을 줌.
    濟: 건널 度: 법도 生:

  • 麻姑爬痒(마고파양) : 마고라는 손톱이 긴 선녀가 가려운 데를 긁는다는 뜻으로, 이 뜻대로 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麻: 姑: 시어미 爬: 긁을 痒: 가려울

  • 生民之始萬福之原(생민지시만복지원) : 백성(百姓)을 태어나게 하는 시초(始初)요, 만가지 복의 근원(根源)임.
    生: 民: 백성 之: 始: 처음 萬: 일만 福: 之: 原: 언덕

  • 割剝之政(할박지정) : 예전에, 벼슬아치가 백성의 재물을 강제로 빼앗던 .
    割: 나눌 剝: 벗길 之: 政: 정사

  • 述者之能(술자지능) : (1)글이 잘되고 못 되는 것은 쓴 사람의 능력에 달렸음을 이르는 말. (2)이 잘되고 안되는 것은 그 사람의 수단에 달렸음을 이르는 말.
    述: 지을 者: 之: 能: 능할

  • 鼻祖(비조) : (1)나중 것의 바탕이 된 맨 처음의 것. (2)한 겨레나 가계의 맨 처음이 되는 조상. (3)어떤 학문이나 기술 따위를 처음으로 연 사람.
    鼻: 祖: 할아비

  • 捕風捉影(포풍착영) : 바람을 잡고 그림자를 붙든다는 뜻으로, 믿음직하지 않고 허황한 언행을 이르는 말.
    捕: 잡을 風: 바람 捉: 잡을 影: 그림자

  • 使鷄司夜(사계사야) : 닭으로 하여금 밤을 맡긴다는 뜻으로, 닭에게 밤 시각을 알리는 을 맡기는 것처럼, 알맞은 인재에 적합한 을 맡긴다는 의미.
    使: 부릴 鷄: 司: 맡을 夜:

  • 無事奔走(무사분주) : 하는 없이 공연히 바쁨.
    無: 없을 事: 奔: 달릴 走: 달릴

  • 生殺與奪(생살여탈) : (1)살리고 죽이는 과 주고 빼앗는 . (2)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마음대로 쥐고 흔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生: 殺: 죽일 與: 奪: 빼앗을

  • 淸明(청명) : (1)‘청명하다’의 어근. (2)이십사절기의 하나. 춘분(春分)과 곡우(穀雨)의 사이에 들며, 4월 5 무렵이다.
    淸: 맑을 明: 밝을

  • 四俱一生(사구일생) : (1)넷이 모여 하나를 이룸. 목화 네 근이 솜 한 근이 되고 수삼 네 근이 건삼 한 근이 되는 것 따위를 이른다. (2)이랬다저랬다 하여 걷잡을 수 없는 모양을 이르는 말.
    四: 俱: 함께 一: 生:

  • 好好先生(호호선생) : 좋아하고 기뻐하는 선생이라는 뜻으로, 어떤 이든지 ‘좋아 좋아’하는 사람. 후한의 사마위의 별칭.
    好: 좋을 好: 좋을 先: 먼저 生:

  • 漆身呑炭(칠신탄탄) : 몸에 옻칠을 하고 숯을 삼킨다는 뜻으로, 옻칠을 해서 나병환자처럼 가장하고, 숯을 먹어 벙어리가 되는 것처럼 원수를 갚으려고 용모를 바꾸어 갖은 애를 쓰는 을 이르는 말.
    漆: 身: 呑: 삼킬 炭:

  • 行則思義(행즉사의) : 행하면 의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동(一擧一動)에 예(禮)를 잃지 않으며, 한 가기 을 행함에도 의(義)를 생각한다는 의미.
    行: 則: 思: 생각할 義: 옳을

  • 他弓莫輓(타궁막만) : 남의 활을 당겨 쏘지 말라는 뜻으로, (1) 무익한 은 하지 말라는 말 (2) 자기(自己)가 닦은 것을 지켜 딴 데 마음 쓰지 말 것을 이르는 말.
    他: 다를 弓: 莫: 없을 輓:

  • 見機而作(견기이작) : 낌새를 알아채고 미리 조치함.
    見: 機: 베틀 而: 말 이을 作: 지을

  • 沐露(목로) : (1)이슬에 젖음. (2)모든 에 고생을 이겨 내며 부지런히 노력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沐: 머리감을 露: 이슬

2 3 4
#목숨 58 #마음 496 #인간 65 #재주 82 #실패 56 #천하 94 #속담 63 #의미 1817 #사이 200 #상황 119 #하늘 251 #머리 141 #어려움 105 #노력 69 #학문 107 #나라 392 #물건 136 #처음 91 #사용 312 #방법 59 #나이 97 #근본 66 #재앙 64 #모양 142 #무리 64 #생각 236 #사람 1461 #아내 81 #동안 70 #재능 61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