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106

  • 芝焚蕙嘆 획순 芝焚蕙嘆(지분혜탄) : 지초가 불타니 혜초가 탄식한다는 뜻으로, 동류(同類)가 은 재앙이 자기에게도 근심이 되는 것처럼 안타까워함.
    芝: 지초 焚: 불사를 蕙: 향풀 이름 嘆: 탄식할

  • 杜口呑聲 획순 杜口呑聲(두구탄성) : 을 닫고 소리를 삼킨다는 뜻으로, 다물고 말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
    杜: 팥배나무 口: 呑: 삼킬 聲: 소리

  • 熟柿主義 획순 熟柿主義(숙시주의) : 감이 익기를 기다리는 주의라는 뜻으로, 홍시(紅柿)가 저절로 떨어져 에 들어오기를 기다리듯이 호기(好期)가 오기를 앉아서 기다리는 주의.
    熟: 익을 柿: 감나무 主: 주인 義: 옳을

  • 提耳面命 획순 提耳面命(제이면명) : 귀에 을 가까이하고 얼굴을 맞대고 가르쳐 명함. 또는 간곡히 타이르고 가르침.
    提: 耳: 面: 命: 목숨

  • 屠門大嚼 획순 屠門大嚼(도문대작) : 조선 시대에, 허균이 전국 팔도의 식품과 명산지에 관하여 적은 책.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식품 전문서이다. 1권.
    屠: 잡을 門: 大: 嚼: 씹을

  • 綠衣使者(녹의사자) : 푸른 옷을 은 사자(使者)라는 뜻으로, 앵무새의 다른 명칭.
    衣: 使: 부릴 者:

  • 糊口之策(호구지책) : 가난한 살림에서 그저 겨우 먹고살아 가는 방책.
    糊: 口: 之: 策:

  • 不道之說(부도지설) : 에 담지 못할 소리.
    不: 아닌가 道: 之: 說: 말씀

  • 虎口之厄(호구지액) : 호랑이 의 액운이라는 뜻으로, 호랑이의 을 맞대함과 같은 대단한 위험이라는 의미.
    虎: 口: 之: 厄: 재앙

  • 出口入耳(출구입이) : 갑의 에서 나온 말이 을의 귀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당사자 이외에는 아는 사람이 없으므로 비밀이 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出: 口: 入: 耳:

  • 吮疽之仁(연저지인) : 장군이 부하를 지극히 사랑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오기라는 장수가 자기 부하의 종기를 으로 빨아서 낫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손자오기열전(孫子吳起列傳)>에 나오는 말이다.
    吮: 疽: 등창 之: 仁: 어질

  • 萬口傳播(만구전파) : 많은 사람의 을 통하여 온 세상에 널리 퍼짐.
    萬: 일만 口: 傳: 전할 播: 뿌릴

  • 陋塵吹影(누진취영) : 먼지에 새기고 그림자를 으로 분다는 뜻으로, 쓸데없는 헛된 노력(努力)을 이르는 말.
    塵: 티끌 吹: 影: 그림자

  • 浪說藉藉(낭설자자) : 터무니없는 말이 퍼지다는 뜻으로, 헛된 소문이 여러 사람의 에 오르내림을 이르는 말.
    說: 말씀 藉: 깔개 藉: 깔개

  • 黃口乳臭(황구유취) : 젖내 나는 어린아이같이 어려서 아직 젖비린내가 난다는 뜻으로, 어리고 하잘것없음을 비난조로 이르는 말.
    黃: 누를 口: 乳: 臭: 냄새

  • 口耳之學(구이지학) : 들은 것을 자기 생각 없이 그대로 남에게 전하는 것이 고작인 학문.
    口: 耳: 之: 學: 배울

  • 緘口勿說(함구물설) : 을 다물고 말을 하지 아니하게 함.
    緘: 봉할 口: 勿: 說: 말씀

  • 綠衣紅裳(녹의홍상) : (1)‘녹의홍상’의 북한어. (2)연두저고리와 다홍치마. (3)곱게 차려은 젊은 여자의 옷차림을 이르는 말.
    衣: 紅: 붉을 裳: 치마

  • 萬口成碑(만구성비) : 많은 사람의 말이 비석을 이룬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의 칭찬은 송덕비를 세우는 것과 같음을 이르는 말.
    萬: 일만 口: 成: 이룰 碑: 비석

  • 禍從口生(화종구생) : 원래 화(禍)란 으로부터 나온다는 뜻으로, 말을 삼가야 함을 이르는 말.
    禍: 재난 從: 좇을 口: 生:

  • 信口開合(신구개합) : 말이 나오는 대로 따라서 을 열었다 닫았다한다는 뜻으로, 말을 할 때 주의하지 않고 되는 대로 지껄여댐을 이르는 말. [=信口開河(신구개하)].
    信: 믿을 口: 開: 合: 합할

  • 伐齊爲名(벌제위명) : 겉으로는 어떤 일을 하는 체하고 속으로는 딴짓을 함을 이르는 말. 중국의 전국 시대에 연나라 장수 악의(樂毅)가 제나라를 칠 때에 제나라의 장수 전단(田單)이 악의가 제나라를 정복한 뒤에 제나라의 왕이 되려고 한다는 헛소문을 퍼뜨리자, 연왕이 의심하여 악의를 불러들이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伐: 齊: 가지런할 爲: 名: 이름

  • 有服之親(유복지친) : 복제(服制)에 따라 상복을 어야 하는 가까운 친척.
    有: 있을 服: 之: 親: 친할

  • 入國問俗(입국문속) : 나라에 들어가면 풍속을 묻는다는 뜻으로, 그 나라에 들어가면 그 나라 풍속을 따라서 좇아야 함을 이르는 말. [ = 入境問俗(경문속) ].
    入: 國: 나라 問: 물을 俗: 풍속

  • 蛇心佛口(사심불구) : 뱀의 마음에 부처의 이라는 뜻으로, 속으로는 간악한 마음을 품고 있으면서 으로는 착한 말을 하는 행동이나 그런 행동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蛇: 心: 마음 佛: 부처 口:

  • 三密相應(삼밀상응) : 밀교에서, 행자(行者)의 몸ㆍㆍ뜻의 삼밀이 부처의 삼밀과 상응하여 융합함을 이르는 말.
    三: 密: 빽빽할 相: 서로 應: 응할

  • 布衣寒士(포의한사) : 베옷을 은 가난한 선비라는 뜻으로, 벼슬이 없는 가난한 선비를 이르는 말.
    布: 衣: 寒: 士: 선비

  • 衆口一辭(중구일사) : 여러 사람의 에서 하나의 말을 한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의 하는 말이 일치함을 이르는 말.
    衆: 무리 口: 一: 辭: 말씀

  • 目容必端口容必止(목용필단구용필지) : 눈의 모습은 반드시 단정(端正)하게 하고 의 모습은 반드시 다물고 있는 듯이 함.
    目: 容: 얼굴 必: 반드시 端: 바를 口: 容: 얼굴 必: 반드시 止: 그칠

  • 稱之不容口(칭지불용구) : 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稱讚)함.
    稱: 일컬을 之: 不: 아니 容: 얼굴 口:

  • 率口而發(솔구이발) : 에서 나오는 대로 경솔하게 함부로 말함.
    率: 거느릴 口: 而: 말 이을 發:

  • 適口充腸(적구충장) : 훌륭한 음식(飮食)이 아니라도 에 맞으면 배를 채움.
    適: 口: 充: 腸: 창자

  • 傷弓之鳥(상궁지조) : 한 번 화살에 맞은 새는 구부러진 나무만 보아도 놀란다는 뜻으로, 한 번 혼이 난 일로 늘 의심과 두려운 마음을 품는 것을 이르는 말.
    傷: 다칠 弓: 之: 鳥:

  • 白衣同胞(백의동포) : 흰옷을 은 민족이라는 뜻으로, ‘한민족’을 이르는 말. 예로부터 우리 민족이 흰옷을 즐겨 은 데서 유래한다.
    白: 衣: 同: 한가지 胞: 태보

  • 國泰民安(국태민안) : 나라가 태평하고 백성이 편안함.
    國: 나라 泰: 民: 백성 安: 편안할

  • 上下脣舌(상하순설) : 남의 에 자꾸 오르내림.
    上: 下: 아래 脣: 입술 舌:

  • 螳螂在後(당랑재후) : 눈앞의 이익에만 정신이 팔려 뒤에 닥친 위험을 깨닫지 못함을 이르는 말.
    螳: 버마재비 螂: 버마재비 在: 있을 後:

  • 口禍之門(구화지문) : 화는 으로부터 생기므로 말을 삼가야 함.
    口: 禍: 재난 之: 門:

  • 空念佛(공염불) : (1)신심(信心)이 없이 으로만 외는 헛된 염불. (2)실천이나 내용이 따르지 않는 주장이나 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空: 佛: 부처

  • 背恩忘德(배은망덕) : 남에게 은 은덕을 저버리고 배신하는 태도가 있음.
    背: 恩: 은혜 忘: 잊을 德:

  • 呫囁耳語(첩섭이어) : 다른 사람의 귀에다 을 대고 소곤거리며 하는 귓속말.
    呫: 소곤거릴 囁: 소곤거릴 耳: 語: 말씀

  • 緘口無言(함구무언) : 을 다물고 아무 말도 하지 아니함.
    緘: 봉할 口: 無: 없을 言: 말씀

  • 踔厲風發(탁려풍발) : 논변(論辯)이 탁절(卓絶)하고 날카로워 바람처럼 세차게 에서 나온다는 뜻으로, 재기(才氣)가 뛰어나 다른 것과는 비교가 안 되는 상태(狀態)를 이르는 말.
    踔: 厲: 사나울 風: 바람 發:

  • 有口不言(유구불언) : 사정이 거북하거나 따분하여 말을 하지 않음.
    有: 있을 口: 不: 아니 言: 말씀

  • 無口匏(무구포) : 아가리가 없는 박이라는 뜻으로, 을 꼭 다물고 아무 말도 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無: 없을 口: 匏:

  • 赤口毒舌(적구독설) : 남을 몹시 저주하는 말.
    赤: 붉을 口: 毒: 舌:

  • 人相着衣(인상착의) : 사람의 생김새와 옷차림.
    人: 사람 相: 서로 着: 붙을 衣:

  • 吐哺握髮(토포악발) : 민심을 잡고 국가 행정에 관계되는 사무를 보살피기에 잠시도 편안함이 없음을 이르는 말.
    吐: 토할 哺: 먹일 握: 髮: 터럭

  • 飯來開口(반래개구) : 밥이 오면 을 벌린다는 뜻으로, 심한 게으름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飯: 來: 開: 口:

  • 書不盡言(서부진언) : 글로는 생각을 충분히 다 표현할 수 없음.
    書: 不: 아닌가 盡: 다할 言: 말씀

  • 良藥苦口(양약고구) : 좋은 약은 에 쓰다는 뜻으로, 충언(忠言)은 귀에 거슬리나 자신에게 이로움을 이르는 말. ≪공자가어≫의 <육본편(六本篇)>과 ≪설원(說苑)≫의 <정간편(正諫篇)>에 나오는 말이다.
    藥: 苦: 口:

  • 創痍未瘳(창이미추) : 칼에 맞아 은 상처가 아직 낫지 아니하였다는 뜻으로, 전란(戰亂)의 피해나 해독이 아직 회복되지 않았음을 이르는 말.
    創: 비롯할 痍: 상처 未: 아닐 瘳: 나을

  • 適口之餠(적구지병) : 에 맞는 떡.
    適: 口: 之: 餠:

  • 耳目口鼻(이목구비) : 귀ㆍ눈ㆍㆍ코를 아울러 이르는 말. 또는 귀ㆍ눈ㆍㆍ코를 중심으로 한 얼굴의 생김새.
    耳: 目: 口: 鼻:

  • 紅衣童子(홍의동자) : 붉은 옷을 은 어린아이라는 뜻으로, 곱게 차려은 어린아이를 이르는 말.
    紅: 붉을 衣: 童: 아이 子: 아들

  • 悅口之物(열구지물) : 에 맞는 음식.
    悅: 기쁠 口: 之: 物: 만물

  • 一口二言(일구이언) : 한 으로 두 말을 한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일에 대하여 말을 이랬다저랬다 함을 이르는 말.
    一: 口: 二: 言: 말씀

  • 默默無言(묵묵무언) : 을 다문 채 말이 없음.
    默: 잠잠할 默: 잠잠할 無: 없을 言: 말씀

  • 虎口餘生(호구여생) : 여러 차례 죽을 고비를 겪고 겨우 살아남은 목숨.
    虎: 口: 餘: 남을 生:

  • 巷說(항설) : 여러 사람의 에서 으로 옮겨지는 말.
    巷: 거리 說: 말씀

  • 有口無言(유구무언) : 은 있어도 말은 없다는 뜻으로, 변명할 말이 없거나 변명을 못함을 이르는 말.
    有: 있을 口: 無: 없을 言: 말씀

  • 讀書三到(독서삼도) : 독서를 하는 세 가지 방법. 으로 다른 말을 아니 하고 책을 읽는 구도(口到), 눈으로 다른 것을 보지 않고 책만 잘 보는 안도(眼到), 마음속에 깊이 새기는 심도(心到)를 이른다.
    讀: 읽을 書: 三: 到: 이를

  • 衝口而出(충구이출) : 을 꿰뚫고 나온다는 뜻으로, 자신의 마음에 떠오르는 대로 척척 말하는 것처럼 말이 술술 나옴을 이르는 말.
    衝: 찌를 口: 而: 말 이을 出:

  • 守口如甁(수구여병) : 을 병마개 막듯이 꼭 막는다는 뜻으로, 비밀을 다른 사람이 알지 못하도록 함을 이르는 말.
    守: 지킬 口: 如: 같을 甁:

  • 萬口一談(만구일담) : 많은 사람의 의견이 일치함.
    萬: 일만 口: 一: 談: 말씀

  • 三顧草廬(삼고초려) : 인재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함. 중국 삼국 시대에, 촉한의 유비가 난양(南陽)에 은거하고 있던 제갈량의 초옥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데서 유래한다.
    三: 顧: 돌아볼 草: 廬: 오두막

  • 利用厚生(이용후생) : (1)‘이용후생’의 북한어. (2)기구를 편리하게 쓰고 먹을 것과 을 것을 넉넉하게 하여, 국민의 생활을 나아지게 함.
    用: 厚: 두터울 生:

  • 百拜致恩(백배치은) : 거듭 절을 하며 은 은혜를 고마워함.
    百: 일백 拜: 致: 이룰 恩: 은혜

  • 口中荊棘(구중형극) : 안의 가시라는 뜻으로, 남을 중상(中傷)하는 언론(言論)의 음험(陰險)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口: 中: 가운데 荊: 모형나무 棘: 가시나무

  • 良藥苦於口(양약고어구) : 좋은 약은 에 쓰다는 뜻으로, 에 쓴 약이 병을 잘 고치듯이 충고하는 말은 듣기엔 거북하지만, 자기 몸엔 이로움을 비유한 말.
    藥: 苦: 於: 어조사 口:

  • 吐哺(토포) : (1)씹던 음식을 뱉어 냄. (2)에 든 것을 토함.
    吐: 토할 哺: 먹일

  • 默默不答(묵묵부답) : 잠자코 아무 대답도 하지 않음.
    默: 잠잠할 默: 잠잠할 不: 아닌가 答: 대답할

  • 刻骨難忘(각골난망) : 남에게 은 은혜가 뼈에 새길 만큼 커서 잊히지 아니함.
    刻: 새길 骨: 難: 어려울 忘: 잊을

  • 飯噴(반분) : 속에 있는 밥을 내뿜는다는 뜻으로, 참을 수가 없어서 웃음이 터져 나옴을 이르는 말.
    飯: 噴: 뿜을

  • 衆口難防(중구난방) : 뭇사람의 말을 막기가 어렵다는 뜻으로, 막기 어려울 정도로 여럿이 마구 지껄임을 이르는 말.
    衆: 무리 口: 難: 어려울 防:

  • 衆口鑠金(중구삭금) : 뭇사람의 말은 쇠도 녹인다는 뜻으로, 여론의 힘이 큼을 이르는 말.
    衆: 무리 口: 鑠: 녹일 金:

  • 量入計出(량입계출) : (1)수을 헤아려 보고 지출을 계획함. (2)‘양계출’의 북한어.
    入: 計: 出:

  • 糊口(호구) : 호구(餬口). 에 풀 칠이나 한다는 뜻으로, '겨우 끼니를 이어가는 일'을 이르는 말.
    糊: 口:

  • 膾炙(회자) : 회와 구운 고기라는 뜻으로, 칭찬을 받으며 사람의 에 자주 오르내림을 이르는 말.
    膾: 炙: 고기구울

  • 口尙乳臭(구상유취) : 에서 아직 젖내가 난다는 뜻으로, 말이나 행동이 유치함을 이르는 말.
    口: 尙: 오히려 乳: 臭: 냄새

  • 禍家餘生(화가여생) : 죄화(罪禍)를 은 집안의 자손.
    禍: 재난 家: 餘: 남을 生:

  • 囊頭(낭두) : 주머니나 자루를 머리에 뒤집어 쓴다는 뜻으로, 을 다물고 머리가 땅에 닿도록 절을 함을 이르는 말.
    囊: 주머니 頭: 머리

  • 滿城風雨(만성풍우) : 성내에 바람과 비가 가득하다는 뜻으로, 일이 여러 사람의 에 오르내리고 의견이 분분함을 이르는 말.
    滿: 城: 風: 바람 雨:

  • 巷談(항담) : 여러 사람의 에서 으로 옮겨지는 말.
    巷: 거리 談: 말씀

  • 長頸烏喙(장경오훼) : 관상에서, 목이 길고 이 뾰족한 상(相). 참을성이 많아 고생을 이겨 내지만 잔인하고 욕심이 많으며 남을 의심하는 마음이 강하여 안락을 누리기 어렵다고 한다.
    長: 頸: 烏: 까마귀 喙: 부리

  • 說三道四(설삼도사) : 삼을 말했다가 사를 말한다는 뜻으로, 에 나오는 대로 무엇이든지 제멋대로 지껄인다는 의미.
    說: 말씀 三: 道: 四:

  • 不酒草肉(부주초육) : 승려가 술, 담배, 고기를 에 대지 아니하는 일.
    不: 아닌가 酒: 草: 肉: 고기

  • 膾炙人口(회자인구) : 사람의 에 날고기 회나 구운 고기가 맛있게 여겨진다는 뜻으로, 명성(名聲)이나 좋은 평판(評判)이 여러 사람의 에 오르내리는 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膾: 炙: 고기구울 人: 사람 口:

  • 三到(삼도) : 독서를 하는 세 가지 방법. 으로 다른 말을 아니 하고 책을 읽는 구도(口到), 눈으로 다른 것을 보지 않고 책만 잘 보는 안도(眼到), 마음속에 깊이 새기는 심도(心到)를 이른다.
    三: 到: 이를

  • 家給人足(가급인족) : 집집마다 먹고사는 것에 부족함이 없이 넉넉함.
    家: 給: 넉넉할 人: 사람 足:

  • 如出一口(여출일구) : 한 에서 나오는 것처럼 여러 사람의 말이 같음을 이르는 말.
    如: 같을 出: 一: 口:

  • 異口同聲(이구동성) : 은 다르나 목소리는 같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의 말이 한결같음을 이르는 말.
    異: 다를 口: 同: 한가지 聲: 소리

  • 生口不網(생구불망) : 산 에 거미줄을 치지는 아니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곤궁하여도 그럭저럭 먹고살 수 있음을 이르는 말.
    生: 口: 不: 아니 網: 그물

  • 象齒焚身(상치분신) : 코끼리는 상아가 있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죽임을 당한다는 뜻으로, 재물이 많으면 화를 기 쉬움을 이르는 말.
    象: 코끼리 齒: 焚: 불사를 身:

  • 箝口枯腸(겸구고장) : 에 재갈을 물리고 창자를 말린다는 뜻으로, 궁지에 빠져 말을 못 함을 이르는 말.
    箝: 재갈먹일 口: 枯: 마를 腸: 창자

  • 結草報恩(결초보은) :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진나라의 위과(魏顆)가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에 아버지의 첩을 개가시켜 순사(殉死)하지 않게 하였더니, 그 뒤 싸움터에서 그 서모 아버지의 혼이 적군의 앞길에 풀을 묶어 적을 넘어뜨려 위과가 공을 세울 수 있도록 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結: 맺을 草: 報: 갚을 恩: 은혜

  • 入耳出口(입이출구) : 귀로 들어와서 으로 나간다는 뜻으로, 귀로 듣고 으로 바로 말하는 것처럼 말을 금방 옮기거나, 남의 말을 자신의 견해(見解)처럼 말한다는 의미.
    入: 耳: 出: 口:

  • 借廳入室(차청입실) : 대청을 빌려 쓰다가 점점 안방까지 들어간다는 뜻으로, 처음에는 남에게 의지하다가 점차 그의 권리까지 침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借: 廳: 관청 入: 室:

  • 時和年豊(시화연풍) : 때가 화하여 해가 풍요롭다는 뜻으로, 기후가 순조로워 풍년이 든다는 의미. 보통 나라가 태평하고 풍년이 든다는 의미의 춘첩(立春帖)으로 많이 사용됨.[= 時和歲豊].
    時: 和: 고를 豊: 풍년

  • 口蜜腹劍(구밀복검) : 에는 꿀이 있고 배 속에는 칼이 있다는 뜻으로, 말로는 친한 듯하나 속으로는 해칠 생각이 있음을 이르는 말.
    口: 蜜: 腹: 劍:

2
#모양 142 #자연 73 #때문 58 #사람 1461 #머리 141 #훌륭 85 #군자 56 #학문 107 #사랑 91 #나무 166 #어머니 72 #음식 79 #표현 88 #경계 56 #경우 64 #정도 153 #형제 68 #하늘 251 #신하 62 #이름 211 #의지 69 #바람 136 #비유 1177 #조금 96 #관계 90 #벼슬 88 #형용 67 #나이 97 #은혜 70 #서로 71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