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식 에 관한 한자 모두 104

  • 風木之悲 획순 風木之悲(풍목지비)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風: 바람 木: 나무 之: 悲: 슬플

  • 前妻所生 획순 前妻所生(전처소생) : 전처의 몸에서 난 자식.
    前: 妻: 아내 所: 生:

  • 明珠出老蚌 획순 明珠出老蚌(명주출로방) : 오래 묵은 조개에서 명주(明珠)가 나온다는 뜻으로, 보잘것없는 어버이가 뛰어난 자식(子息)을 낳은 것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明: 밝을 珠: 구슬 出: 老: 늙을 蚌: 방합

  • 是父是子 획순 是父是子(시부시자) : 이 아비에 이 아들이라는 뜻으로, 그 아비를 닮은 그 자식이라는 의미에서 부자(父子)가 모두 훌륭함을 이르는 말.
    是: 옳을 父: 아비 是: 옳을 子: 아들

  • 溫凊定省 획순 溫凊定省(온정정성) : 자식이 효성을 다하여 부모를 섬기는 도리. 겨울에는 따뜻하게 하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하며, 저녁에는 자리를 편히 마련하고, 아침에는 안부를 여쭙는 일을 이른다.
    溫: 따뜻할 凊: 서늘할 定: 정할 省: 살필

  • 無似(무사) : 어진 사람을 닮지 못함이라는 뜻으로, 주로 편지에서 글쓴이가 아버지나 할아버지에게 자기를 못난 사람이라고 낮추어 이르는 일인칭 대명사.
    無: 없을 似: 같을

  • 抱痛西河(포통서하) : 서하에서 고통을 품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제자 자하(子夏)가 서하에 있을 때, 그의 아들을 잃고 너무 비통한 나머지 실명한 고사에서 유래되어 자식을 잃고 슬퍼하는 일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抱: 안을 痛: 아플 西: 서녘 河: 강 이름

  • 拜家慶(배가경) : 오래도록 떠나 있던 자식(子息)이 귀가(歸嫁)해서 부모(父母)를 뵙는 일.
    拜: 家: 慶: 경사

  • 反哺之孝(반포지효) :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孝)라는 뜻으로, 자식이 자란 후에 어버이의 은혜를 갚는 효성을 이르는 말.
    反: 돌이킬 哺: 먹일 之: 孝: 효도

  • 慈母(자모) : (1)자식에 대한 사랑이 깊다는 뜻으로 ‘어머니’를 이르는 말. (2)팔모(八母)의 하나. 어머니를 여읜 뒤 자신을 길러 준 아버지의 첩을 이르는 말이다.
    慈: 사랑 母: 어미

  • 推燥居濕(추조거습) : {아이는} 마른 곳으로 밀고, {자기는} 젖은 자리에 앉는다는 뜻으로, 자식을 기르는 어머니의 노고(勞苦)를 마다하지 않는 사랑을 이르는 말.
    推: 옮을 燥: 마를 居: 있을 濕: 축축할

  • 梅妻鶴子(매처학자) :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梅: 매화나무 妻: 아내 鶴: 子: 아들

  • 定省溫淸(정성온청) : 아침 저녁으로 부모(父母)의 이부자리를 보살펴 안부(安否)를 묻고, 따뜻하고 서늘하게 한다는 뜻으로, 자식(子息)이 부모(父母)를 섬기는 도리(道理)를 이르는 말.
    定: 정할 省: 살필 溫: 따뜻할 淸: 맑을

  • 父慈子孝(부자자효) : 부모는 자애롭고 자식은 효도한다는 뜻으로, 어버이는 자녀에게 자애로운 사랑을 베풀고 자녀는 어버이에게 효성스러워야 한다는 의미.
    父: 아비 慈: 사랑 子: 아들 孝: 효도

  • 妻城子獄(처성자옥) : 아내는 성(城)이고 자식은 감옥이라는 뜻으로, 처자가 있는 사람은 거기에 얽매여 자유롭게 활동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妻: 아내 城: 子: 아들 獄:

  • 寢苫枕草(침점침초) : 저락자리를 깔고 풀을 베게 삼아 눕는다는 뜻으로, 부모(父母)의 상중(喪中)에 자식(子息)된 자는 어버이가 흙속에 묻혀 있음을 슬퍼하여 아주 검소(儉素)해야 함을 이르는 말.
    寢: 잠잘 苫: 이엉 枕: 베개 草:

  • 吹恐飛執恐虧(취공비집공휴) : 불면 날아갈까 쥐면 터질까 걱정한다는 뜻으로, 부모(父母)가 자식(子息)을 애지중지함을 이르는 말.
    吹: 恐: 두려울 飛: 執: 잡을 恐: 두려울 虧: 이지러질

  • 覆巢破卵(복소파란) : 둥지를 뒤엎고 알을 깬다는 뜻으로, 부모의 재난에 자식도 화를 당한다는 뜻이나, 근본(根本)이 망하면 지엽(枝葉)도 따라 망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覆: 뒤집힐 巢: 보금자리 破: 깨뜨릴 卵:

  • 昏定晨省(혼정신성) : 밤에는 부모의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이른 아침에는 부모의 밤새 안부를 묻는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고 효성을 다함을 이르는 말.
    昏: 어두울 定: 정할 晨: 새벽 省: 살필

  • 慈母有敗子(자모유패자) : 자애(慈愛)가 지나친 어머니의 슬하에서는 도리어 방자(放恣)하고 버릇없는 자식(子息)이 나옴을 이르는 말.
    慈: 사랑 母: 어미 有: 있을 敗: 패할 子: 아들

  • 冬溫夏凊(동온하정) : 겨울에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서늘하게 한다는 뜻으로, 부모를 잘 섬기어 효도함을 이르는 말.
    冬: 겨울 溫: 따뜻할 夏: 여름 凊: 서늘할

  • 莫知其子之惡(막지기자지악) : 자기 자식의 잘못을 모른다는 뜻으로, 부모의 자식에 대한 사랑이 맹목적임을 이르는 말.
    莫: 없을 知: 其: 子: 아들 之: 惡: 악할

  • 事親如此可謂人子(사친여차가위인자) : 어버이 섬기기를 이와 같이 하면 가히 사람의 자식(子息)이라 이를 것임.
    事: 親: 친할 如: 같을 此: 可: 옳을 謂: 이를 人: 사람 子: 아들

  • 奸臣賊子(간신적자) : 간사한 신하와 부모를 거스르는 자식.
    奸: 범할 臣: 신하 賊: 도둑 子: 아들

  • 鰥寡孤獨(환과고독) : (1)늙어서 아내 없는 사람, 늙어서 남편 없는 사람, 어려서 어버이 없는 사람, 늙어서 자식 없는 사람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외롭고 의지할 데 없는 처지.
    鰥: 홀아비 寡: 적을 孤: 외로울 獨: 홀로

  • 嗣續之望(사속지망) : 대(代)를 이을 희망. 곧 대를 이을 자식을 바라는 것을 이른다.
    嗣: 이을 續: 이을 之: 望: 바랄

  • 風樹之感(풍수지감)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風: 바람 樹: 나무 之: 感: 느낄

  • 子爲父隱(자위부은) : 아들이 아버지를 위해서 숨긴다는 뜻으로, 자식이 타인을 위해 아비의 나쁜 일을 숨기는 것처럼 부자간의 천륜(天倫)을 일컫는 말. <論語>.
    子: 아들 爲: 父: 아비 隱: 숨을

  • 父子有親(부자유친) : 오륜(五倫)의 하나. 아버지와 아들 사이의 도리는 친애에 있음을 이른다.
    父: 아비 子: 아들 有: 있을 親: 친할

  • 倚門而望(의문이망) : 어머니가 대문에 기대어 서서 자식이 돌아오기를 기다림. 또는 그런 어머니의 마음.
    倚: 의지할 門: 而: 말 이을 望: 바랄

  • 愛子之情(애자지정) : 자식을 사랑하는 정.
    愛: 사랑 子: 아들 之: 情:

  • 子欲養而親不待(자욕양이친부대) : 자식(子息)이 부모(父母)에게 봉양(奉養)하고자 하나 부모(父母)는 기다려 주지 않는다는 뜻으로, 효도(孝道)를 다하지 못한 채 부모(父母)를 잃은 자식(子息)의 슬픔을 가리키는 말로 부모(父母)가 살아계실 때 효도(孝道)를 다하라는 뜻.
    子: 아들 欲: 하고자 할 養: 기를 而: 말 이을 親: 친할 不: 아닌가 待: 기다릴

  • 父母遺體(부모유체) : 부모가 남긴 몸이라는 뜻으로, 자식이 된 몸을 이르는 말.
    父: 아비 母: 어미 遺: 남길 體:

  • 養子息知親力(양자식지친력) : 자식을 길어야봐야 어버이의 힘든 것을 안다는 뜻으로, 부모가 되어보아야 지고지순(至高至純)한 부모의 사랑을 깨달을 수 있다는 의미.
    養: 기를 子: 아들 息: 숨쉴 知: 親: 친할 力:

  • 下氣怡聲(하기이성) : 기를 낮추고 음성을 부드럽게 한다는 뜻으로, 자식이 부모님을 섬기는 도리를 이르는 말.
    下: 아래 氣: 기운 怡: 기뻐할 聲: 소리

  • 三從之托(삼종지탁) : 예전에, 여자가 몸이나 마음을 의지하여 맡길 세 가지 대상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三: 從: 좇을 之: 托:

  • 杵孫(저손) : 딸이 낳은 자식. 외손자와 외손녀를 이른다.
    杵: 공이 孫: 손자

  • 三從依托(삼종의탁) : 예전에, 여자가 몸이나 마음을 의지하여 맡길 세 가지 대상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三: 從: 좇을 依: 의지할 托:

  • 亂臣賊子(난신적자) : (1)‘난신적자’의 북한어. (2)나라를 어지럽히는 불충한 무리.
    臣: 신하 賊: 도둑 子: 아들

  • 風樹之嘆(풍수지탄) : 바람 맞는 나무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효도를 다하지 못하고 어버이를 여윈 자식의 슬픈 탄식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
    風: 바람 樹: 나무 之: 嘆: 탄식할

  • 截髮易酒(절발역주) : 머리를 잘라 술과 바꾼다는 뜻으로, 자식(子息)에 대(對)한 모정(母情)의 지극(至極)함을 이르는 말.
    截: 끊을 髮: 터럭 易: 바꿀 酒:

  • 下育妻子(하육처자) : 아래로 아내와 자식을 기름.
    下: 아래 育: 기를 妻: 아내 子: 아들

  • 老牛舐犢之愛(노우지독지애) : 늙은 소가 송아지를 핥아주는 사랑이라는 뜻으로, 부모(父母)의 자식(子息)에 대(對)한 사랑이 깊음을 이르는 말.
    牛: 舐: 핥을 犢: 송아지 之: 愛: 사랑

  • 反哺(반포) : 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는 일.
    反: 돌이킬 哺: 먹일

  • 老萊之戱(노래지희) : 자식(子息)이 나이가 들어도 부모(父母)의 자식(子息)에 대(對)한 마음은 똑같으니 변(變)함없이 효도(孝道)를 해야 한다는 말.
    萊: 명아주 之: 戱:

  • 趨庭(추정) : 자식이 부모의 가르침을 받음.
    趨: 달릴 庭:

  • 虎父犬子(호부견자) : 아비는 범인데 새끼는 개라는 뜻으로, 훌륭한 아버지에 비하여 자식은 그렇지 못함을 이르는 말.
    虎: 父: 아비 犬: 子: 아들

  • 父精母血(부정모혈) : 아버지의 정수(精髓)와 어머니의 피란 뜻으로, 자식은 부모의 뼈와 피를 물려받음을 이르는 말.
    父: 아비 精: 정미할 母: 어미 血:

  • 風樹之悲(풍수지비)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風: 바람 樹: 나무 之: 悲: 슬플

  • 偏親侍下(편친시하) : 홀로된 어버이를 모시고 있는 처지.
    偏: 치우칠 親: 친할 侍: 모실 下: 아래

  • 西河之痛(서하지통) : 서하의 고통이라는 뜻으로, 공자(孔子)의 제자인 자하(子夏)가 서하(西河)에 있을 때 자식을 잃고 너무 슬픈 나머지 소경이 된 고사에서 온 말에서 자식을 잃은 슬픔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西: 서녘 河: 강 이름 之: 痛: 아플

  • 三從之德(삼종지덕) :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덕을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三: 從: 좇을 之: 德:

  • 血肉(혈육) : (1)피와 살을 아울러 이르는 말. (2)부모, 자식, 형제 따위의 한 혈통으로 맺어진 육친.
    血: 肉: 고기

  • 夫死從子(부사종자) : 남편이 죽으면 자식을 따라야 한다는 뜻으로, 과거 중세 아녀자의 도리에 대한 표현.
    夫: 지아비 死: 죽을 從: 좇을 子: 아들

  • 白雲孤飛(백운고비) : (1) 타향(他鄕)에서 고향(故鄕)에 계신 부모(父母)를 생각함 (2) 멀리 떠나온 자식(子息)이 어버이를 사모(思慕)하여 그리는 정.
    白: 雲: 구름 孤: 외로울 飛:

  • 奴輩(노배) : ‘놈들’, ‘자식들’이라는 뜻으로, 남들을 낮잡아 이르는 말.
    奴: 輩: 무리

  • 撻楚(달초) : (1)어버이나 스승이 자식이나 제자의 잘못을 징계하기 위하여 회초리로 볼기나 종아리를 때림. (2)닦달하거나 문초함.
    撻: 매질할 楚: 모형

  • 七出(칠출) : 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七: 일곱 出:

  • 辱及父兄(욕급부형) : 자식의 잘못이 부모까지 욕되게 함.
    辱: 욕될 及: 미칠 父: 아비 兄:

  • 爲親之道(위친지도) : 부모를 섬기는 도리.
    爲: 親: 친할 之: 道:

  • 舐犢之愛(지독지애) : 어미 소가 송아지를 핥는 사랑이란 뜻으로, 자식에 대한 어버이의 지극한 사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舐: 핥을 犢: 송아지 之: 愛: 사랑

  • 慈烏反哺(자오반포) : 자애로운 까마귀의 돌이켜 먹임이라는 뜻으로, 까마귀가 다 자란 후에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준다는 데서 자식이 부모의 은혜를 갚음을 비유하는 말.
    慈: 사랑 烏: 까마귀 反: 돌이킬 哺: 먹일

  • 父生母育(부생모육) : 부모가 낳고 기름.
    父: 아비 生: 母: 어미 育: 기를

  • 父母妻子(부모처자) : 어버이와 아내와 자식을 아울러 이르는 말.
    父: 아비 母: 어미 妻: 아내 子: 아들

  • 出告反面(출곡반면) : 나갈 때는 아뢰고 돌아와서 대면한다는 뜻으로, 자식 된 도리로 외출과 귀가 시에 부모님께 아뢰고 인사를 드린다는 의미. [出必告反必面(출필곡반필면)].
    出: 告: 청할 反: 돌이킬 面:

  • 顧復之恩(고복지은) : 늘 돌보시는 은혜라는 뜻으로, 자나 깨나 자식을 걱정하는 부모의 은혜를 이르는 말.
    顧: 돌아볼 復: 회복할 之: 恩: 은혜

  • 望雲之懷(망운지회) : 자식이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어버이를 생각하는 마음.
    望: 바랄 雲: 구름 之: 懷: 품을

  • 虎父無犬子(호부무견자) : 아비가 범인데 새끼는 개일 수 없다는 뜻으로, 훌륭한 아버지 밑에 못난 자식이 없음을 이르는 말.
    虎: 父: 아비 無: 없을 犬: 子: 아들

  • 悖子逆孫(패자역손) : 사람으로서 마땅히 하여야 할 도리에 어긋나고 순리를 거역하는 자손.
    悖: 어그러질 子: 아들 逆: 거스를 孫: 손자

  • 無子鬼神(무자귀신) : 자손을 두지 못한 사람이 죽어서 된다는 귀신. 원귀(冤鬼)로서, 사람에게 해를 끼친다.
    無: 없을 子: 아들 鬼: 귀신 神:

  • 寸草心(촌초심) : 보잘것없는 마음이라는 뜻으로, 부모(父母)의 은혜(恩惠)에 보답(報答)하려는 자식(子息)의 마음을 이르는 말.
    寸: 마디 草: 心: 마음

  • 血肉之親(혈육지친) : 부모, 자식, 형제 따위 한 혈통으로 맺어진 육친.
    血: 肉: 고기 之: 親: 친할

  • 賣子(매자) : (1)아이를 파는 행위. (2)자손이 귀하거나 자식이 있어도 허약하여 키우기 힘든 집에서, 아이의 장수(長壽)를 비는 뜻으로 불상, 큰 바위, 나무 따위에 장수에 관한 글자를 새기는 일.
    賣: 子: 아들

  • 反哺報恩(반포보은) :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 까마귀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어 보답한다는 뜻으로, 자식이 자라서 어버이의 은혜에 보답함으로써 효를 행함을 이르는 말.
    反: 돌이킬 哺: 먹일 報: 갚을 恩: 은혜

  • 三從之禮(삼종지례) :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三: 從: 좇을 之: 禮: 예도

  • 獅孫(사손) : 딸이 낳은 자식. 외손자와 외손녀를 이른다.
    獅: 사자 孫: 손자

  • 三從之法(삼종지법) :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三: 從: 좇을 之: 法:

  • 炊骨易子(취골역자) : 뼈로 밥을 짓고 자식과 바꾼다는 뜻으로, 전시에 성 안에 갇혀 식량이 다 떨어져 시체로 밥을 짓고 차마 자식을 먹을 수 없어 자식을 바꾼다는 참혹한 상황을 형용한 말.
    炊: 불땔 骨: 易: 바꿀 子: 아들

  • 七去之惡(칠거지악) : (1)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2)독일 출생의 미국 작곡가 바일의 작품. 샹젤리제의 파리 극장에서 1933년 6월 7일에 초연되었다.
    七: 일곱 去: 之: 惡: 악할

  • 三不孝(삼불효) : 세 가지의 큰 불효. 부모를 불의(不義)에 빠지게 하는 일, 부모가 늙고 집이 가난하여도 벼슬하지 않는 일, 자식이 없어 조상의 제사를 끊어지게 하는 일을 이른다.
    三: 不: 아니 孝: 효도

  • 三從(삼종) : (1)팔촌이 되는 관계. (2)팔촌이 되는 형제. 재종숙의 자녀를 이른다. (3)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三: 從: 좇을

  • 易子敎之(역자교지) : 나의 자식(子息)과 남의 자식(子息)을 바꾸어 교육(敎育)한다는 뜻으로, 부자(父子) 사이엔 잘못을 꾸짖기 어렵다는 뜻으로 쓰임.
    易: 바꿀 子: 아들 敎: 가르칠 之:

  • 游必有方(유필유방) : 놀 때에는 반드시 방향이 있어야 한다는 뜻으로, 먼 곳으로 놀러 갈 때는 반드시 자신의 행방을 부모에게 알려야 한다는 자식의 도리.
    游: 必: 반드시 有: 있을 方:

  • 三從之義(삼종지의) :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三: 從: 좇을 之: 義: 옳을

  • 父父子子(부부자자) :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자식자식답다는 뜻으로, 자신의 직분을 충실하게 행할 때, 모든 사회 구성원의 바른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는 공자(孔子)의 정명론(正名論) 내용.
    父: 아비 父: 아비 子: 아들 子: 아들

  • 擇子莫如父(택자막여부) : 자식을 가려내는 데에는 아버지만 함이 없다는 뜻으로, 아버지는 누구보다도 아들의 현명함과 어리석음을 잘 알아 가려낼 수 있다는 의미.
    擇: 가릴 子: 아들 莫: 없을 如: 같을 父: 아비

  • 色難(색난) : (1)자식이 늘 부드러운 얼굴빛으로 부모를 섬기기는 어려움을 이르는 말. (2)자식이 부모의 얼굴빛을 보고 그 뜻에 맞게 봉양하기는 어려움을 이르는 말.
    色: 難: 어려울

  • 七去(칠거) : 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七: 일곱 去:

  • 陟岵陟屺(척호척기) : 타향(他鄕)에 있는 자식(子息)이 고향(故鄕)의 부모(父母)를 그리워하여 자주 산에 올라가 고향(故鄕) 쪽을 바라봄.
    陟: 오를 岵: 陟: 오를 屺: 민둥산

  • 金枝玉葉(금지옥엽) : (1)금으로 된 가지와 옥으로 된 잎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가족을 높여 이르는 말. (2)매우 소중하고 귀한 자식을 이르는 말. (3)구름의 아름다운 모양을 이르는 말.
    金: 枝: 가지 玉: 구슬 葉:

  • 破麥剖梨(파맥부리) : 보리를 찧고 배를 가른다는 뜻으로, 보리를 찧으면 기울(麩(부):속껄질)이 생기고 배를 쪼개면 씨(종자(種子))가 나오는 것처럼 부(麩)와 부(夫), 종(種)과 子(자)를 연결하여 잃거나 헤어졌던 남편과 자식을 다시 만나는 일을 일컫는 말로 사용됨.
    破: 깨뜨릴 麥: 보리 剖: 쪼갤 梨: 배나무

  • 胡奴子息(호노자식) : 배운 데 없이 막되게 자라 교양이나 버릇이 없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胡: 오랑캐 奴: 子: 아들 息: 숨쉴

  • 三從之道(삼종지도) : 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리를 이르던 말.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하였다. ≪예기≫의 의례(儀禮) <상복전(喪服傳)>에 나오는 말이다.
    三: 從: 좇을 之: 道:

  • 任子之典(임자지전) : 나라에 공로를 세운 신하의 자손에게 벼슬을 주던 특전(特典).
    任: 맡길 子: 아들 之: 典:

  • 良知良能(양지양능) : 교육이나 경험에 의하지 않고 선천적으로 사물을 판단하고 행할 수 있는 마음의 작용.
    知: 能: 능할

  • 上奉下率(상봉하솔) : 위로는 부모님을 모시고 아래로는 처자식을 거느림.
    上: 奉: 받들 下: 아래 率: 거느릴

  • 三遷之敎(삼천지교) :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것으로,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하였음을 이르는 말.
    三: 遷: 옮길 之: 敎: 가르칠

  • 掌中寶玉(장중보옥) : 손안에 있는 보배로운 구슬이란 뜻으로, 귀하고 보배롭게 여기는 존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掌: 손바닥 中: 가운데 寶: 보배 玉: 구슬

  • 亡子計齒(망자계치) : 죽은 자식 나이 세기라는 뜻으로, 이미 그릇된 일은 생각하여도 아무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
    亡: 잃을 子: 아들 計: 齒:

  • 望雲之情(망운지정) : 자식이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어버이를 생각하는 마음.
    望: 바랄 雲: 구름 之: 情:

2
#지위 65 #사람 1461 #세월 71 #바람 136 #실패 56 #유래 280 #사랑 91 #형제 68 #물건 136 #재앙 64 #아래 86 #아침 72 #속담 63 #나라 392 #상태 110 #모습 66 #시대 114 🌏 #자식에 관한 104개의 한자어 #행동 137 #신하 62 #부부 76 #방법 59 #이름 211 #태도 72 #어려움 105 #문장 59 #근심 65 #천하 94 #조금 96 #모양 14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882개) : 자사, 자삭, 자산, 자살, 자삼, 자상, 자새, 자색, 자생, 자서, 자석, 자선, 자설, 자성, 자세, 자소, 자속, 자손, 자송, 자수, 자숙, 자순, 자술, 자스, 자슥, 자슬, 자습, 자승, 자시, 자식, 자신, 자실, 자심, 자싱, 작사, 작살, 작상, 작새, 작색, 작석, 작선, 작설, 작성, 작세, 작소, 작속, 작손, 작송, 작수, 작숙, 작술, 작쉬, 작스, 작시, 작식, 작신, 작심, 잔사, 잔산, 잔살, 잔상, 잔생, 잔서, 잔선, 잔설, 잔섬, 잔성, 잔셈, 잔속, 잔손, 잔솔, 잔수, 잔술, 잔승, 잔식, 잔심, 잘새, 잠사, 잠삼, 잠상, 잠서, 잠섭, 잠세, 잠소, 잠수, 잠습, 잠시, 잠식, 잠신, 잠실, 잠심, 잡사, 잡상, 잡색, 잡서, 잡석, 잡설, 잡세, 잡소, 잡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