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44

  • 似夢非夢 획순 似夢非夢(사몽비몽) : 완전히 이 들지도 에서 깨어나지도 않은 어렴풋한 상태.
    似: 같을 夢: 非: 아닐 夢:

  • 圓木警枕 획순 圓木警枕(원목경침) : 둥근 나무로 만든 경계하는 베개라는 뜻으로, 둥근 목침으로 베개가 굴러 에서 깨도록 만든 것인데, 고학(苦學)을 비유해서 이르는 말로 사용됨.
    圓: 둥글 木: 나무 警: 경계할 枕: 베개

  • 似夢非夢間 획순 似夢非夢間(사몽비몽간) : 완전히 이 들지도 에서 깨어나지도 않은 어렴풋한 순간.
    似: 같을 夢: 非: 아닐 夢: 間:

  • 采菊東籬下 획순 采菊東籬下(채국동리하) : 동쪽 울타리 밑의 국화를 따다는 뜻으로, 은자(隱者)의 생활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도(陶潛)의 시 고사에서 연유함.
    采: 菊: 국화 東: 동녘 籬: 울타리 下: 아래

  • 高眠 획순 高眠(고면) : 베개를 높이 베고 잔다는 뜻으로, 마음 편히 을 이르는 말.
    高: 높을 眠:

  • 止於止處(지어지처) : (1)일정하게 머무르는 곳이 없고 정처 없이 어디든지 이르는 곳에서 머물러 . (2)일이나 행동을 마땅히 그쳐야 할 자리에서 알맞게 그침.
    止: 그칠 於: 어조사 止: 그칠 處: 머무를

  • 女子善懷(여자선회) : 여자(女子)는 무슨 생각에 기기를 잘함.
    女: 子: 아들 善: 착할 懷: 품을

  • 輾轉反側(전전반측) : 누워서 몸을 이리저리 뒤척이며 을 이루지 못함.
    輾: 轉: 구를 反: 돌이킬 側:

  • 半睡半醒(반수반성) : 자는 둥 마는 둥 아주 얕은 .
    半: 睡: 半: 醒:

  • 寢不安食不安(침불안식불안) : 자도 걱정 먹어도 걱정이라는 뜻으로, 몹시 걱정이 많음을 이르는 말.
    寢: 잠잘 不: 아니 安: 편안할 食: 不: 아니 安: 편안할

  • 枕戈待旦(침과대단) : 전투태세를 철저히 갖춘 군인의 자세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장수 유곤이 매일 창을 베개 삼아 을 자고 아침을 기다리면서 적을 물리칠 태세를 준비했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枕: 베개 戈: 待: 기다릴 旦: 아침

  • 夢寐間(몽매간) : 을 자며 꿈을 꾸는 동안.
    夢: 寐: 잠잘 間:

  • 醉飽淫臥(취포음와) : 취하도록 배불리 먹고 음탕하게 누워잔다는 뜻으로, 술과 음식을 배불리 먹고 음탕하게 을 자듯 문란한 생활을 이르는 말.
    醉: 취할 飽: 배부를 淫: 음란할 臥: 누울

  • 花落憐不掃月明愛無眠(화락연불소월명애무면) : 꽃이 떨어지니 가엾어 쓸지를 못하고, 달이 밝으니 사랑스러워 을 못 이룸.
    花: 落: 떨어질 不: 아니 掃: 月: 明: 밝을 愛: 사랑 無: 없을 眠:

  • 夢寐之間(몽매지간) : 을 자며 꿈을 꾸는 동안.
    夢: 寐: 잠잘 之: 間:

  • 反首拔舍(반수발사) : 머리는 헝클어지고 옷은 해어진 초라한 모습으로 한데서 .
    反: 돌이킬 首: 머리 拔: 舍:

  • 海棠睡未足(해당수미족) : 해당화가 아직 이 부족하다는 뜻으로, 갓 깨어난 미인이 아직 에 취한 듯 하늘하늘 가냘프게 보이는 모양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海: 바다 棠: 아가위나무 睡: 未: 아닐 足:

  • 南柯之夢(남가지몽) :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南: 남녘 柯: 가지 之: 夢:

  • 邯鄲之枕(한단지침) :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邯: 땅 이름 鄲: 조나라 서울 之: 枕: 베개

  • 獨宿空房(독숙공방) : 아내가 남편 없이 혼자 지내는 것.
    獨: 홀로 宿: 묵을 空: 房:

  • 非夢似夢(비몽사몽) : 완전히 이 들지도 에서 깨어나지도 않은 어렴풋한 상태.
    非: 아닐 夢: 似: 같을 夢:

  • 顔面妨害(안면방해) : 남이 을 잘 때에 요란(擾亂)스럽게 굴어서 을 이루지 못하게 함.
    顔: 얼굴 面: 妨: 방해할 害: 해칠

  • 輾轉不寐(전전불매) : 누워서 몸을 이리저리 뒤척이며 을 이루지 못함.
    輾: 轉: 구를 不: 아니 寐: 잠잘

  • 曲肱之樂(곡굉지락) : 베개가 없어서 팔을 구부려 베고 잘 정도로 가난하지만 그러한 삶에 만족하는 즐거움을 이르는 말.
    曲: 굽을 肱: 之: 樂: 즐거울

  • 廢寢忘食(폐침망식) : 을 안 자고, 밥 먹는 것도 잊는다는 뜻으로, 매우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廢: 폐할 寢: 잠잘 忘: 잊을 食:

  • 不眠不休(불면불휴) : 자지도 않고 쉬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조금도 쉬지 않고 힘써 일함을 이르는 말.
    不: 아니 眠: 不: 아니 休:

  • 獨守空房(독수공방) : (1)혼자서 지내는 것. (2)아내가 남편 없이 혼자 지내는 것.
    獨: 홀로 守: 지킬 空: 房:

  • 戒旦(계단) : (1)날이 샘을 알려 을 깨게 함. (2)희미하게 밝아 오는 새벽.
    戒: 경계할 旦: 아침

  • 寢不安席(침불안석) : 걱정이 많아서 을 편히 자지 못함.
    寢: 잠잘 不: 아니 安: 편안할 席: 자리

  • 老驥伏櫪(노기복력) : 늙은 준마가 헛간의 널빤지 위에서 을 잔다는 뜻으로, 빼어난 사람이 늙도록 세상에 뜻을 펴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驥: 천리마 伏: 엎드릴 櫪: 마판

  • 宿西食東(숙서식동) : 은 서에서 자고 음식은 동에서 먹는다는 뜻으로, 욕심이 많음을 이르는 말. [東家食西家息(동가식서가식)].
    宿: 묵을 西: 서녘 食: 東: 동녘

  • 黃粱一炊夢(황량일취몽) :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黃: 누를 粱: 기장 一: 炊: 불땔 夢:

  • 通宵達旦(통소달단) : 밤을 통해 아침에 이르다는 뜻으로, 밤새 을 자지 않고 지새움을 이르는 말.
    通: 통할 宵: 達: 통할 旦: 아침

  • 黃粱夢(황량몽) :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黃: 누를 粱: 기장 夢:

  • 南柯夢(남가몽) :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南: 남녘 柯: 가지 夢:

  • 堯鼓舜木(요고순목) : 요임금의 북과 순임금의 나무라는 뜻으로, 요임금이 성문에 북을 매달아 간할 사람은 북을 처서 알리게 하고, 순임금은 목(箴木)을 세워놓고 경계할 말을 쓰게 한 고사에서 성군(聖君)의 바른 정치의 전형으로 표현됨.
    堯: 요임금 鼓: 舜: 순임금 木: 나무

  • 臥薪嘗膽(와신상담) : 불편한 섶에 몸을 눕히고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온갖 어려움과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기≫의 <월세가(越世家)>와 ≪십팔사략≫ 등에 나오는 이야기로,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가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하여 장작더미 위에서 을 자며 월나라의 왕 구천(句踐)에게 복수할 것을 맹세하였고, 그에게 패배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臥: 누울 薪: 섶나무 嘗: 맛볼 膽: 쓸개

  • 盧生之夢(노생지몽) :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生: 之: 夢:

  • 懸頭刺股(현두자고) : 새끼줄로 상투를 대들보에 걸어 매고 송곳으로 허벅다리를 찌르며 졸음을 쫓는다는 뜻으로, 학업에 매우 힘쓴다는 말.
    懸: 매달 頭: 머리 刺: 찌를 股: 넓적다리

  • 一炊之夢(일취지몽) :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一: 炊: 불땔 之: 夢:

  • 孤枕單衾(고침단금) : 외로운 베개와 홑이불이라는 뜻으로, 젊은 여자가 홀로 쓸쓸히 자는 자리를 이르는 말.
    孤: 외로울 枕: 베개 單: 衾: 이불

  • 邯鄲之夢(한단지몽) : 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에서 나온 말이다.
    邯: 땅 이름 鄲: 조나라 서울 之: 夢:

  • 南柯一夢(남가일몽) :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南: 남녘 柯: 가지 一: 夢:

  • 呂翁枕(여옹침) :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翁: 늙은이 枕: 베개

#따위 228 #가운데 104 #집안 93 #가난 90 #근본 66 #벼슬 88 #나무 166 #조금 96 #잘못 93 #이익 89 #마음 496 #노력 69 #목숨 58 #나라 392 #음식 79 #백성 105 #사물 172 #방법 59 #정도 153 #생각 236 #편안 62 #근심 65 #사용 312 #얼굴 99 #어버이 60 #재주 82 #처음 91 #이름 211 #바람 136 #형제 68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04개) : 자, 작, 잔, 잘, 잙, 잠, 잡, 잣, 장, 잩, 잫, 재, 잭, 잰, 잴, 잼, 잽, 쟁, 쟈, 쟉, 쟐, 쟛, 쟤, 저, 적, 전, 젇, 절, 젉, 점, 접, 젓, 정, 젖, 젙, 제, 젠, 젤, 젬, 젯, 젱, 져, 젹, 젼, 졈, 졍, 졎, 조, 족, 존, 졸, 좀, 좁, 좃, 종, 좆, 좋, 좌, 좍, 좔, 좕, 좨, 좩, 좬, 죄, 죈, 죠, 주, 죽, 준, 줄, 줅, 줌, 중, 줴, 줸, 쥐, 쥔, 쥠, 쥥, 쥬, 쥭, 즈, 즉, 즌, 즐, 즑, 즘, 즙, 즛, 증, 지, 직, 진, 짇, 질, 짉, 짐, 집, 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