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능 에 관한 한자 모두 61

  • 濫竽 획순 濫竽(남우)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竽: 피리

  • 牛刀割鷄 획순 牛刀割鷄(우도할계) : (1)소 잡는 칼로 닭을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에 어울리지 아니하게 큰 도구를 씀을 이르는 말. (2)지나치게 과장된 표현이나 몸짓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牛: 刀: 割: 나눌 鷄:

  • 述者之能 획순 述者之能(술자지능) : (1)글이 잘되고 못 되는 것은 쓴 사람의 능력에 달렸음을 이르는 말. (2)일이 잘되고 안되는 것은 그 사람의 수단에 달렸음을 이르는 말.
    述: 지을 者: 之: 能: 능할

  • 淺學菲才 획순 淺學菲才(천학비재) : 학문이 얕고 재주가 변변치 않다는 뜻으로, 자기 학식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淺: 얕을 學: 배울 菲: 엷을 才: 재주

  • 穎脫 획순 穎脫(영탈) : 주머니 속의 송곳 끝이 밖으로 튀어나와 있다는 뜻으로, 뛰어나고 훌륭한 재능이 밖으로 드러나는 데가 있음을 이르는 말.
    穎: 이삭 脫: 벗을

  • 七步才(칠보재)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七: 일곱 步: 걸을 才: 재주

  • 韜光(도광) : (1)빛을 감추어 밖에 비치지 않도록 함. (2)재능이나 학식 따위를 숨겨 감춤.
    韜: 감출 光:

  • 知者不言(지자불언) : 지자는 깊이 재능을 감추고 함부로 말을 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노자(老子)≫ 56장에 나오는 말이다.
    知: 者: 不: 아니 言: 말씀

  • 江郞才盡(강랑재진) : 강엄의 재주가 다했다는 뜻으로, 어떤 분야에 뛰어났던 재능이 차차 쇠퇴하여 더 이상 두각을 나타내지 못함을 이르는 말.
    江: 郞: 사내 才: 재주 盡: 다할

  • 方圓可施(방원가시) : 方形(방형)에나 원형(圓形)에나 다 잘 들어맞다는 뜻으로, 갖가지 재능(才能)이 있어서 어떤 일에도 적합(適合)함을 이르는 말.
    方: 圓: 둥글 可: 옳을 施: 베풀

  • 才子多病(재자다병) : 재주 있는 사람은 병이 잦음.
    才: 재주 子: 아들 多: 많을 病:

  • 韜光養晦(도광양회) : 자신의 재능(才能)이나 명성(名聲)을 드러내지 않고 참고 기다린다는 뜻으로, 1980년대 중국(中國)의 대외(對外) 정책(政策)을 일컫는 용어(用語).
    韜: 감출 光: 養: 기를 晦: 그믐

  • 七步詩(칠보시) : 일곱 걸음을 걷는 사이에 지어진 시. 또는 즉석에서 읊은 시나 그러한 재능을 지닌 시인. 이 말은 중국 위나라 초대 황제인 문제 조비가 사이가 좋지 않은 그의 동생 조식에게 일곱 걸음을 걷는 사이에 시를 짓지 못하면 벌을 내리겠다고 하자, 조식이 즉석에서 오언 고시를 지어냈다는 데서 비롯된 말이다.
    七: 일곱 步: 걸을 詩:

  • 土牛木馬(토우목마) : 흙으로 만든 소와 나무로 만든 말이라는 뜻으로, 겉은 훌륭하나 실속이 없는 것처럼, 가문이 좋을 뿐 아무 재능이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土: 牛: 木: 나무 馬:

  • 角逐(각축) : 서로 이기려고 다투며 덤벼듦.
    角: 逐: 쫓을

  • 蓋世英雄(개세영웅) : 기상이나 위력, 재능 따위가 세상을 뒤덮을 만큼 뛰어난 영웅.
    蓋: 덮을 世: 인간 英: 꽃부리 雄: 수컷

  • 甘泉先竭(감천선갈) : 물맛이 좋은 샘은 먼저 마른다는 뜻으로, 재능(才能) 있는 사람이 일찍 쇠폐(衰廢)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甘: 泉: 先: 먼저 竭: 다할

  • 伯樂一顧(백낙일고) : (1)명마가 백낙을 만나 세상에 알려진다는 뜻으로, 자기의 재능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 대접을 잘 받음을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백낙일고’이다. (2)명마가 백낙을 만나 세상에 알려진다는 뜻으로, 자기의 재능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 대접을 잘 받음을 이르는 말.
    伯: 樂: 즐거울 一: 顧: 돌아볼

  • 濫竽充數(남우충수) : 무능(無能)한 사람이 재능(才能)이 체하는 것이나 또는 외람되이 높은 벼슬을 차지하는 것을 말함.
    竽: 피리 充: 數:

  • 多才多藝(다재다예) : 재능(才能)과 기예(技藝)가 많음.
    多: 많을 才: 재주 多: 많을 藝: 재주

  • 才氣煥發(재기환발) : 사리(事理) 판단(判斷)이 날카롭고 재능(才能)이 빛난다는 뜻으로, 재주와 슬기가 불 일어나듯이 나타남을 이르는 말.
    才: 재주 氣: 기운 煥: 불꽃 發:

  • 天縱之大聖(천종지대성) : 하늘이 재능(才能)을 충분(充分)히 발휘(發揮)하게 점지한 성인(聖人)이라는 뜻으로, 공자(孔子)를 두고 이르는 말.
    天: 하늘 縱: 늘어질 之: 大: 聖: 성스러울

  • 才色兼備(재색겸비) : 어떤 여자가 재주와 아름다운 용모를 두루 갖춤.
    才: 재주 色: 兼: 겸할 備: 갖출

  • 老鼠燒尾(노서소미) : 재능(才能)이 없으면서 과거(科擧)에 급제(及第)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鼠: 燒: 사를 尾: 꼬리

  • 駑馬十駕(노마십가) : 느리고 둔한 말도 준마의 하룻길을 열흘에는 갈 수 있다는 뜻으로, 둔하고 재능이 모자라는 사람도 열심히 하면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駑: 둔할 馬: 十: 駕: 멍에

  • 鳳麟芝蘭(봉린지란) : 봉황과 기린과 지초와 난초라는 뜻으로, 봉황과 기린처럼 재능이 빼어난 남자와 지초와 난초처럼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해 젊은 남녀의 빼어나고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말.
    鳳: 봉새 麟: 기린 芝: 지초 蘭: 난초

  • 孤陋寡聞(고루과문) : 하등(下等)의 식견(識見)도 재능(才能)도 없음.
    孤: 외로울 陋: 좁을 寡: 적을 聞: 들을

  • 騰蛟起鳳(등교기봉) : 뛰어오르는 교룡(蛟龍)과 날아오르는 봉황이라는 뜻으로, 재능이 뛰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騰: 오를 蛟: 교룡 起: 일어날 鳳: 봉새

  • 角者無齒(각자무치) : 뿔이 있는 짐승은 이가 없다는 뜻으로, 한 사람이 여러 가지 재주나 복을 다 가질 수 없다는 말.
    角: 者: 無: 없을 齒:

  • 天下有三危(천하유삼위) : 세상(世上)에 세 가지 위험(危險)한 일이 있다는 뜻으로, 덕이 적은 사람이 총애(寵愛)를 받고, 재능(才能)이 없는 사람이 높은 지위(地位)에 있으며, 큰공이 없는 사람이 녹을 많이 받는 일.
    天: 하늘 下: 아래 有: 있을 三: 危: 위태할

  • 道遠知驥(도원지기) : 먼 길을 달린 후(後)에야 천리마(千里馬)의 재능(才能)을 안다는 뜻으로, 난세(亂世)를 당해서야 비로소 그 인물(人物)의 진가(眞價)를 알 수 있음을 이르는 말.
    道: 遠: 知: 驥: 천리마

  • 錐處囊中(추처낭중) : 송곳이 주머니에 있으면 그 끝이 밖으로 뚫고 나오는 것과 같이 재능 있는 사람은 머지않아 그 재능이 알려지기 마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錐: 송곳 處: 머무를 囊: 주머니 中: 가운데

  • 聞一知十(문일지십) : 하나를 듣고 열 가지를 미루어 안다는 뜻으로, 지극히 총명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공야장편(公冶長篇)>에 나오는 말이다.
    聞: 들을 一: 知: 十:

  • 妬賢嫉能(투현질능) : 어질고 재주 있는 사람을 시기하며 미워함.
    妬: 강새암할 賢: 어질 嫉: 미워할 能: 능할

  • 無才無能(무재무능) : 재주도 능력도 없음.
    無: 없을 才: 재주 無: 없을 能: 능할

  • 美人薄命(미인박명) : 미인은 불행하거나 병약하여 요절하는 일이 많음.
    美: 아름다울 人: 사람 薄: 엷을 命: 목숨

  • 精敏强幹(정민강간) : 사리(事理)에 밝고, 판단(判斷)에 민첩(敏捷)하며, 역량(力量)과 재능(才能)이 뛰어남.
    精: 정미할 敏: 재빠를 强: 굳셀 幹: 줄기

  • 多能鄙事(다능비사) : 낮고 속(俗)된 일에 재능(才能)이 많음을 이르는 말.
    多: 많을 能: 능할 鄙: 시골 事:

  • 曠世英雄(광세영웅) : 세상에 보기 드문 영웅.
    曠: 밝을 世: 인간 英: 꽃부리 雄: 수컷

  • 天下奇才(천하기재) : (1) 세상(世上)에서 가장 뛰어난 재능(才能) (2) 또는, 그 재능(才能)을 가진 사람.
    天: 하늘 下: 아래 奇: 기이할 才: 재주

  • 甘井先竭(감정선갈) : 물맛이 좋은 우물은 빨리 마른다는 뜻으로, 재주가 뛰어난 사람이 일찍 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甘: 井: 우물 先: 먼저 竭: 다할

  • 明珠闇投(명주암투) : 명주를 어둠 속에서 남에게 던져 준다는 뜻으로, 귀중한 물건도 남에게 잘못 주면 오히려 원망을 듣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明: 밝을 珠: 구슬 闇: 닫힌 문 投: 던질

  • 老驥伏櫪(노기복력) : 늙은 준마가 헛간의 널빤지 위에서 잠을 잔다는 뜻으로, 빼어난 사람이 늙도록 세상에 뜻을 펴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驥: 천리마 伏: 엎드릴 櫪: 마판

  • 能士匿謀(능사익모) : 재능(才能)이 있는 자는 계책(計策)을 숨기고 남에게 알리지 않음.
    能: 능할 士: 선비 謀: 꾀할

  • 適材適所(적재적소) : 알맞은 인재를 알맞은 자리에 씀. 또는 그런 자리.
    適: 材: 재목 適: 所:

  • 犬羊之質(견양지질) : 개나 양과 같은 소질이라는 뜻으로, 재능이 없이 태어난 바탕을 이르는 말.
    犬: 羊: 之: 質: 바탕

  • 男效才良(남효재량) : 남자(男子)는 재능(才能)을 닦고 어진 것을 본받아야 함을 말함.
    男: 사내 效: 본받을 才: 재주 良: 좋을

  • 輔弼之才(보필지재) : 임금을 보좌할 만한 재능. 또는 그런 사람.
    輔: 도울 弼: 도울 之: 才: 재주

  • 剛戾自用(강려자용) : 성품이 억세고 비꼬여서 스스로의 지혜와 재주만 쓴다는 뜻으로, 남의 말을 듣지 않고 자기 멋대로 행동함을 이르는 말.
    剛: 굳셀 戾: 어그러질 自: 스스로 用:

  • 穎脫而出(영탈이출) : 뾰족한 송곳 끝이 주머니를 뚫고 나온다는 뜻으로, 뛰어나고 훌륭한 재능(才能)이 밖으로 드러남을 이르는 말.
    穎: 이삭 脫: 벗을 而: 말 이을 出:

  • 鴻漸之翼(홍점지익) : 큰 기러기의 날개는 한 번 날갯짓을 해서 천 리를 날아갈 수 있을 만큼 강력한 것이라는 뜻으로, 뛰어난 재능이나 위대한 능력 또는 그런 재능을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
    鴻: 큰기러기 漸: 점점 之: 翼: 날개

  • 良弓難張(양궁난장) : 좋은 활은 당기기가 어렵다는 뜻으로, 좋은 활도 힘을 들여 당겨야 쓸 수 있는 것처럼 아무리 좋은 것도 그것을 쓸 수 있는 재능을 가진 사람을 만나야 효력이 나타난다는 의미.
    弓: 難: 어려울 張: 베풀

  • 同工異曲(동공이곡) : 재주나 솜씨는 같지만 표현된 내용이나 맛이 다름을 이르는 말. 한유(韓愈)의 ≪진학해(進學解)≫에 나오는 말이다.
    同: 한가지 工: 장인 異: 다를 曲: 굽을

  • 英雄豪傑(영웅호걸) : 영웅과 호걸을 아울러 이르는 말.
    英: 꽃부리 雄: 수컷 豪: 호걸 傑: 뛰어날

  • 明珠暗投(명주암투) : 명주를 어둠 속에서 남에게 던진다는 뜻으로, (1) 어떠한 귀한 선물도 벗어난 짓으로 주면 도리어 원망을 산다는 것을 비유하거나, (2) 재능이 있는데도 지기(知己)를 만나지 못하는 상황을 비유하기도 함.
    明: 밝을 珠: 구슬 暗: 어두울 投: 던질

  • 濫吹(남취)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吹:

  • 大器小用(대기소용) : 유능한 사람을 능력에 걸맞지 않은 낮은 자리에 앉히고 부림.
    大: 器: 그릇 小: 작을 用:

  • 囊中之錐(낭중지추) : 주머니 속의 송곳이라는 뜻으로,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저절로 사람들에게 알려짐을 이르는 말.
    囊: 주머니 中: 가운데 之: 錐: 송곳

  • 錐囊(추낭) : 송곳이 든 주머니라는 뜻으로, 재능이 뛰어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錐: 송곳 囊: 주머니

  • 椽大之筆(연대지필) : (1)서까래만 한 큰 붓이라는 뜻으로, 뛰어난 대문장(大文章)이나 대논문(大論文)을 이르는 말. 중국 남조 시대의 감엄(江淹)이 꿈에 곽박(郭璞)에게 서까래만 한 큰 붓을 받은 후 훌륭한 문장을 남겼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2)훌륭한 문장을 짓는 재능. (3)다른 사람의 문장을 칭송하여 이르는 말.
    椽: 서까래 大: 之: 筆:

  • 一龍一蛇(일룡일사) : 용이 되어 하늘로 올라가거나 뱀이 되어 못 속에 숨는다는 뜻으로, 태평한 시대에는 세상에 나와 일을 하고 난세에는 은거하여 재능을 나타내지 아니하고 시대에 잘 순응함을 이르는 말.
    一: 龍: 一: 蛇:

#싸움 61 #백성 105 #자식 104 #속담 63 #여자 101 #시대 114 #사람 1461 #얼굴 99 #세상 339 🍕 #재능에 관한 61개의 한자어 #고사 108 #벼슬 88 #재앙 64 #중국 253 #모양 142 #가운데 104 #세월 71 #부부 76 #어려움 105 #가난 90 #정도 153 #음식 79 #형용 67 #집안 93 #의지 69 #노력 69 #따위 228 #생각 236 #마음 496 #물건 136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309개) : 자나, 자낙, 자남, 자낭, 자내, 자냥, 자네, 자녀, 자년, 자념, 자녜, 자농, 자누, 자눈, 자눔, 자는, 자니, 자닝, 작나, 작난, 작납, 작년, 작농, 작뇌, 작뇨, 잔나, 잔납, 잔년, 잔녈, 잔뇨, 잔눈, 잔니, 잔님, 잠내, 잠네, 잠녀, 잠녜, 잠농, 잠뇨, 잠눈, 잠닉, 잡낭, 잡내, 잡년, 잡념, 잡놈, 잣녓, 잣눈, 장난, 장날, 장남, 장낫, 장낭, 장내, 장냔, 장냥, 장널, 장녀, 장년, 장녹, 장농, 장뇌, 장뉴, 장니, 장닉, 장님, 재난, 재낫, 재내, 재녀, 재년, 재눔, 재늄, 재늠, 재능, 재님, 잰놈, 잰님, 잿날, 잿놈, 저낙, 저낭, 저냐, 저냑, 저냥, 저너, 저넉, 저널, 저네, 저녁, 저년, 저념, 저놈, 저눔, 저늠, 저능, 저니, 저닉, 적난, 적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