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안 에 관한 한자 모두 93

  • 京華巨族 획순 京華巨族(경화거족) : 번화한 서울에서 권력 있고 번성한 집안.
    京: 서울 華: 빛날 巨: 族: 겨레

  • 傾家破産 획순 傾家破産(경가파산) : 재산을 모두 털어 없애어 집안이 형편없이 기울어짐.
    傾: 기울 家: 破: 깨뜨릴 産: 낳을

  • 瓊枝玉葉 획순 瓊枝玉葉(경지옥엽) : (1)옥으로 된 가지와 잎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가족을 높여 이르는 말. (2)귀한 자손을 이르는 말.
    瓊: 枝: 가지 玉: 구슬 葉:

  • 自手成家 획순 自手成家(자수성가) : 물려받은 재산이 없이 자기 혼자의 힘으로 집안을 일으키고 재산을 모음.
    自: 스스로 手: 成: 이룰 家:

  • 室家之樂 획순 室家之樂(실가지락) : 부부 사이의 화목한 즐거움.
    室: 家: 之: 樂: 즐거울

  • 將門有將(장문유장) : 장수(將帥) 집안에서 장수(將帥)가 남.
    將: 장수 門: 有: 있을 將: 장수

  • 修身齊家(수신제가) : 몸과 마음을 닦아 수양하고 집안을 다스림.
    修: 닦을 身: 齊: 가지런할 家:

  • 內無主張(내무주장) : 집안 살림을 맡아 할 안주인이 없음.
    內: 無: 없을 主: 주인 張: 베풀

  • 家徒四壁(가도사벽) : 집안이 네 벽 뿐이라는 뜻으로, 집안 형편(形便)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
    家: 徒: 무리 四: 壁:

  • 家父(가부) : 집안의 아버지라는 뜻으로, 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이르는 말.
    家: 父: 아비

  • 赤手成家(적수성가) : 몹시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제 스스로의 힘으로 노력하여 가산(家産)을 이룸.
    赤: 붉을 手: 成: 이룰 家:

  • 妻城子獄(처성자옥) : 아내는 성(城)이고 자식은 감옥이라는 뜻으로, 처자가 있는 사람은 거기에 얽매여 자유롭게 활동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妻: 아내 城: 子: 아들 獄:

  • 赫世公卿(혁세공경) : 대대로 지내는 높은 벼슬. 또는 그 벼슬아치.
    赫: 빛날 世: 인간 公: 공변될 卿: 벼슬

  • 家徒壁立(가도벽립) : 가난한 집이라서 집 안에 세간살이는 하나도 없고 네 벽만 서 있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하다는 말. ≪한서≫의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에 나오는 말이다.
    家: 徒: 무리 壁: 立:

  • 治家敎子(치가교자) : 집안을 다스리고 자손을 가르침.
    治: 다스릴 家: 敎: 가르칠 子: 아들

  • 忘身忘家(망신망가) : 자신(自身)과 집안의 일을 잊는다는 뜻으로, 사(私)를 돌보지 않고 오직 나라와 공(公)을 위(爲)해 헌신(獻身)함을 이르는 말.
    忘: 잊을 身: 忘: 잊을 家:

  • 內紛(내분) : 특정 조직이나 단체의 내부에서 자기편끼리 일으킨 분쟁.
    內: 紛: 어지러울

  • 家和萬事成(가화만사성) :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 이루어짐.
    家: 和: 고를 萬: 일만 事: 成: 이룰

  • 積屍在床(적시재상) : 집안이 몹시 가난하여 죽은 사람은 장사(葬事)지내지 못함.
    積: 쌓을 屍: 주검 在: 있을 床:

  • 兄弟爭鬪滿堂不樂(형제쟁투만당불락) : 형과 아우가 다투고 싸우면 온 집안이 즐겁지 않게 됨.
    兄: 弟: 아우 爭: 다툴 鬪: 싸움 滿: 堂: 不: 아니 樂: 즐거울

  • 家無二主(가무이주) : 한 집안에 주인(主人)이 둘이 있을 수 없다는 뜻으로, 군신(君臣)의 다름을 이르는 말.
    家: 無: 없을 二: 主: 주인

  • 破家縣令(파가현령) : 집안을 부수는 현령이라는 뜻으로, 백성들에게 가렴주구(苛斂誅求)의 횡포를 부리는 지방 관리를 이르는 말.
    破: 깨뜨릴 家: 縣: 고을 令: 하여금

  • 滅門之禍(멸문지화) : 한 집안이 다 죽임을 당하는 끔찍한 재앙.
    滅: 멸망할 門: 之: 禍: 재난

  • 內助之賢(내조지현) : 아내가 집안 일을 잘 다스려 남편(男便)을 돕는 일을 말함.
    內: 助: 도울 之: 賢: 어질

  • 百代之親(백대지친) : 먼 조상 때부터 가까이 지내 온 집안 사이의 친분.
    百: 일백 代: 대신 之: 親: 친할

  • 蕩敗家産(탕패가산) : 집안의 재산을 모두 써서 없애 버림.
    蕩: 쓸어없앨 敗: 패할 家: 産: 낳을

  • 戶庭出入(호정출입) : 병자나 노인이 겨우 마당 안에서만 드나듦.
    戶: 지게 庭: 出: 入:

  • 堂構之樂(당구지락) : 집안의 사업을 하는 즐거움이라는 뜻으로, 아들이 아버지의 사업을 계승하여 이루는 즐거움을 이르는 말.
    堂: 構: 얽을 之: 樂: 즐거울

  • 蓬蒿滿宅(봉호만택) : 쑥이 집안에 가득하다는 뜻으로, 조금도 세상의 명리(名利)에 개의하지 않는다는 의미.
    蓬: 蒿: 滿: 宅:

  • 蕩盡家産(탕진가산) : 집안의 재산을 모두 써서 없애 버림.
    蕩: 쓸어없앨 盡: 다할 家: 産: 낳을

  • 士大夫(사대부) : (1)사(士)와 대부(大夫)를 아울러 이르는 말. 문무 양반(文武兩班)을 일반 평민층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2)벼슬이나 문벌이 높은 집안의 사람.
    士: 선비 大: 夫: 지아비

  • 蕩産(탕산) : 집안의 재산을 모두 써서 없애 버림.
    蕩: 쓸어없앨 産: 낳을

  • 大姓家門(대성가문) : 후손이 번성하고 세력이 있는 집안.
    大: 姓: 家: 門:

  • 名門巨族(명문거족) : 이름나고 크게 번창한 집안.
    名: 이름 門: 巨: 族: 겨레

  • 無男獨女(무남독녀) : 아들이 없는 집안의 외동딸.
    無: 없을 男: 사내 獨: 홀로 女: 여자

  • 立春大吉(입춘대길) : 입춘을 맞이하여 길운을 기원하며 벽이나 문짝 따위에 써 붙이는 글귀.
    春: 大: 吉: 길할

  • 孫康映雪(손강영설) : 어려운 가운데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손강(孫康)이 몹시 가난하여 겨울밤에는 눈빛으로 공부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孫: 손자 康: 편안할 映: 비칠 雪:

  • 名門子弟(명문자제) : 이름난 집안의 자제.
    名: 이름 門: 子: 아들 弟: 아우

  • 棟梁之材(동량지재) : 기둥과 들보로 쓸 만한 재목이라는 뜻으로, 한 집안이나 한 나라를 떠받치는 중대한 일을 맡을 만한 인재를 이르는 말.
    棟: 용마루 梁: 들보 之: 材: 재목

  • 諸姑伯叔(제고백숙) : 고모(姑母), 백부(伯父), 숙부(叔父) 등(等) 집안 내의 친척(親戚) 등(等)을 말함.
    諸: 모든 姑: 시어미 伯: 叔: 아재비

  • 便同一室(변동일실) : 사이가 아주 가까워 한 가족 같음.
    便: 똥오줌 同: 한가지 一: 室:

  • 充棟(충동) : 쌓으면 들보에까지 찬다는 뜻으로, 장서(藏書)가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充: 棟: 용마루

  • 游閑公子(유한공자) : 한가하게 노는 공자라는 뜻으로, 의식 걱정이 없이 한가롭게 노는 사람이나 부귀한 집안의 자제를 일컫는 말로 사용됨.
    游: 閑: 한가할 公: 공변될 子: 아들

  • 本支百世(본지백세) : 종손(宗孫)과 지손(支孫)의 집안이 백세를 잇는다는 뜻으로, 한 민족이 번성함을 이르는 말.
    本: 支: 가를 百: 일백 世: 인간

  • 牝鷄晨鳴(빈계신명) : 암탉이 새벽에 운다는 뜻으로, 집안에서 여자가 세력을 부리면 집안이 망한다는 식의 잘못된 봉건 중세의 관념으로 변하고 고쳐져야 할 주장.
    牝: 암컷 鷄: 晨: 새벽 鳴:

  • 通家之誼(통가지의) : 절친한 친구 사이에 친척처럼 내외를 트고 지내는 정의.
    通: 통할 家: 之: 誼: 옳을

  • 平地突出(평지돌출) : 평지에 산이 우뚝 솟는다는 뜻으로, 보잘것없는 집안에서 인물이 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平: 평평할 地: 突: 갑자기 出:

  • 豪華子弟(호화자제) : 호화로운 집안에서 자란 젊은이.
    豪: 호걸 華: 빛날 子: 아들 弟: 아우

  • 滅族之禍(멸족지화) : 한 집안이 다 죽임을 당하는 끔찍한 재앙.
    滅: 멸망할 族: 겨레 之: 禍: 재난

  • 破落戶(파락호) : 재산이나 세력이 있는 집안의 자손으로서 집안의 재산을 몽땅 털어먹는 난봉꾼을 이르는 말.
    破: 깨뜨릴 落: 떨어질 戶: 지게

  • 家貧落魄(가빈낙탁) : 집안이 가난하여 혼백(魂魄)이 땅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뜻을 얻지 못하고 실의(失意)에 빠짐.
    家: 貧: 가난할 魄: 영락할

  • 地醜德齊(지추덕제) : 토지의 크기나 덕이 서로 비슷하다는 뜻으로, 서로 조건이 비슷함을 이르는 말. ≪맹자≫의 <공손추하(公孫丑下)>에서 유래한다.
    地: 醜: 더러울 德: 齊: 가지런할

  • 權門勢家(권문세가) : 벼슬이 높고 권세가 있는 집안.
    權: 저울추 門: 勢: 기세 家:

  • 家醜不外揚(가추불외양) : 집안의 부끄러운 일은 밖에 드러내어 말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家: 醜: 더러울 不: 아니 外: 바깥 揚: 오를

  • 傳家寶刀(전가보도) : 대대(代代)로 집안에 전(傳)해지는 보검의 뜻으로, 전가(傳家)는 '조상(祖上) 때부터 대대(代代)로 집안에 전(傳)해지다'의 뜻이고, 보도(寶刀)는 '보배로운 칼'임.
    傳: 전할 家: 寶: 보배 刀:

  • 滅門絶戶(멸문절호) : 집안을 멸망시키고 가문을 끊어지게 한다는 뜻으로, 일문일가(一門一家)를 모두 전멸시킨다는 의미.
    滅: 멸망할 門: 絶: 끊을 戶: 지게

  • 三旬九食(삼순구식) : 삼십 일 동안 아홉 끼니밖에 먹지 못한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함을 이르는 말.
    三: 旬: 열흘 九: 아홉 食:

  • 內助之功(내조지공) : 안에서 돕는 공이란 뜻으로, 아내가 집안 일을 잘 다스려 남편(男便)을 돕는 일을 말함.
    內: 助: 도울 之: 功:

  • 傳家之寶(전가지보) : 대대로 집안에 전하여 내려오는 보물.
    傳: 전할 家: 之: 寶: 보배

  • 好家居(호가거) : 집안에 머무르는 것이 좋다는 뜻으로, 덕이 부족한 어린 나이로 벼슬길에 나아감은 화(禍)를 부르기 때문에 집안에 있으면서 덕을 잘 닦으라는 말.
    好: 좋을 家: 居: 있을

  • 家祖(가조) : (1)한 집안의 조상. (2)남에게 자기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家: 祖: 할아비

  • 名家子弟(명가자제) : 명망이 높은 가문의 자제.
    名: 이름 家: 子: 아들 弟: 아우

  • 內爭(내쟁) : 한 나라나 같은 집단 안에서 서로 싸움. 또는 그렇게 하는 싸움.
    內: 爭: 다툴

  • 百乘之家(백승지가) : 전쟁이 일어나면 수레 백 대를 내놓을 수 있는 집이라는 뜻으로, 경대부의 집을 이르던 말.
    百: 일백 乘: 之: 家:

  • 滅門之患(멸문지환) : 한 집안이 다 죽임을 당하는 끔찍한 재앙.
    滅: 멸망할 門: 之: 患: 근심

  • 永不出世(영불출세) : 집 안에 틀어박히어 영영 세상에 나오지 아니함.
    永: 不: 아니 出: 世: 인간

  • 禍家餘生(화가여생) : 죄화(罪禍)를 입은 집안의 자손.
    禍: 재난 家: 餘: 남을 生:

  • 武斷鄕曲(무단향곡) : 시골에서 세도를 잡은 집안의 사람들이 백성들을 억압하고 수탈하는 일.
    武: 호반 斷: 끊을 鄕: 시골 曲: 굽을

  • 滿室憂患(만실우환) : 집안에 앓는 사람이 많음.
    滿: 室: 憂: 근심 患: 근심

  • 無妹獨子(무매독자) : 딸이 없는 집안의 외아들.
    無: 없을 妹: 누이 獨: 홀로 子: 아들

  • 自皮生蟲(자피생충) : 가죽에 난 좀이 가죽을 먹게 되면 마침내 가죽도 없어지고 좀도 살 수 없게 된다는 뜻으로, 형제나 한집안 사람끼리 싸움을 이르는 말.
    自: 스스로 皮: 가죽 生: 蟲: 벌레

  • 家母(가모) : (1)남에게 자기 어머니를 이르는 말. (2)한 집안의 주부.
    家: 母: 어미

  • 宜家之樂(의가지락) : 부부 사이의 화목한 즐거움.
    宜: 마땅할 家: 之: 樂: 즐거울

  • 繼絶存亡(계절존망) : 대가 끊이게 된 집안에 양자(養子)를 들이어 대를 이음.
    繼: 이을 絶: 끊을 存: 있을 亡: 잃을

  • 巨家大族(거가대족) : 대대로 번창하고 문벌이 좋은 집안.
    巨: 家: 大: 族: 겨레

  • 積善之家必有餘慶(적선지가필유여경) : 적선하는 집안에는 반드시 경복이 남아 있다는 뜻으로, 착한 일을 계속(繼續)해서 하면 복이 자신(自身) 뿐만 아니라 자손(子孫)에까지도 미친다는 말.
    積: 쌓을 善: 착할 之: 家: 必: 반드시 有: 있을 餘: 남을 慶: 경사

  • 人給家足(인급가족) : 사람들이 넉넉하고 집안이 풍족하다는 뜻으로, 집집마다 의식주에 부족함이 없다는 의미.[ = 家給人足].
    人: 사람 給: 넉넉할 家: 足:

  • 內相(내상) : (1)아내가 집안을 잘 다스림. 또는 그런 아내. (2)고려 시대에, 지신사(知申事)와 승선(承宣)을 아울러 이르던 말. (3)조선 시대에, 내무 대신이나 내부대신을 이르던 말. (4)일부 나라에서, 내무성(內務省)의 우두머리를 이르는 말.
    內: 相: 서로

  • 家貧親老(가빈친로) : 집이 가난하고 어버이가 늙었다는 뜻으로, 집안의 사정이 여의치 못하여 마땅치 않은 일이라도 해야 하는 상태를 이르는 말.
    家: 貧: 가난할 親: 친할 老: 늙을

  • 家給人足(가급인족) : 집집마다 먹고사는 것에 부족함이 없이 넉넉함.
    家: 給: 넉넉할 人: 사람 足:

  • 鐘鳴鼎食(종명정식) : 끼니때에 종을 쳐서 식구를 모으고 솥을 늘어놓고 먹는다는 뜻으로, 부귀한 집의 생활을 이르는 말.
    鐘: 鳴: 鼎: 食:

  • 讀書勤儉起家之本(독서근검기가지본) : 글을 읽고 검소(儉素)하게 살기에 힘쓰는 것은 집안을 일으키는 근본(根本)임.
    讀: 읽을 書: 勤: 부지런할 儉: 검소할 起: 일어날 家: 之: 本:

  • 胡越一家(호월일가) : (1)중국 북쪽의 호(胡)와 남쪽의 월(越)이 한집안이라는 뜻으로, 온 천하가 한집안 같음을 이르는 말. (2)멀리 떨어져 있던 사람들이 한곳에 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胡: 오랑캐 越: 넘을 一: 家:

  • 家貧則思良妻(가빈즉사양처) : 집안이 가난해지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집안이 궁해지거나 어려워지면 어진 아내의 내조의 필요성(必要性)을 새삼 생각하게 된다는 말.
    家: 貧: 가난할 則: 思: 생각할 妻: 아내

  • 酌水成禮(작수성례) : 물 한 그릇만 떠 놓고 혼례를 치른다는 뜻으로, 가난한 집안의 혼례를 이르는 말.
    酌: 따를 水: 成: 이룰 禮: 예도

  • 名門世族(명문세족) : (1)이름나고 세력이 있는 집안 일족. (2)대대로 나라의 중요한 벼슬을 하여 집안의 운명과 나라의 운명을 함께하는 집안.
    名: 이름 門: 世: 인간 族: 겨레

  • 四海爲家(사해위가) : 온 세상이 집이 된다는 뜻으로, 천하를 제 집안으로 만든다는 의미로는 제업(帝業)의 광대함을 이르고, 온나라 어느 곳에도 집이 있다는 의미로는 떠돌아다니며 일정한 주거가 없다는 의미로 사용됨.
    四: 海: 바다 爲: 家:

  • 身兼奴僕(신겸노복) : 자기 몸이 노복을 겸하였다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종을 두지 못하고 몸소 궂은일을 함을 이르는 말.
    身: 兼: 겸할 奴: 僕:

  • 三韓甲族(삼한갑족) : 예로부터 대대로 문벌이 높은 집안.
    三: 韓: 나라 이름 甲: 갑옷 族: 겨레

  • 敗家亡身(패가망신) : 집안의 재산을 다 써 없애고 몸을 망침.
    敗: 패할 家: 亡: 잃을 身:

  • 糟糠之妻(조강지처) :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후한서≫의 <송홍전(宋弘傳)>에 나오는 말이다.
    糟: 지게미 糠: 之: 妻: 아내

  • 北堂(북당) : (1)예전에, 중국에서 집의 북쪽에 있는 당집을 이르던 말. 집안의 주부(主婦)가 거처하는 곳이다. (2)남의 어머니를 높여 이르는 말.
    北: 북녘 堂:

  • 充閭之慶(충려지경) : 집안에 가득한 경사라는 뜻으로, 손님이 집안 문설주까지 가득 찰 정도로 집안이 번성했다는 의미로 쓰이거나 득남(得男)을 축하하는 말로도 사용됨.
    充: 閭: 이문 之: 慶: 경사

#이치 67 #사물 172 #관계 90 #사이 200 #임금 189 #사용 312 #나무 166 #서로 71 #아침 72 #백성 105 #때문 58 #방법 59 #근심 65 #근본 66 #예전 60 #상태 110 #지위 65 #사람 1461 #벼슬 88 #여자 101 #이익 89 #훌륭 85 #어버이 60 #노력 69 #속담 63 #상대 56 #모양 142 #따위 228 #세상 339 #고사 108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084개) : 자아, 자안, 자애, 자액, 자야, 자약, 자양, 자어, 자억, 자언, 자에, 자여, 자연, 자염, 자엽, 자영, 자예, 자오, 자옥, 자온, 자옵, 자옹, 자와, 자완, 자왈, 자왜, 자요, 자욕, 자용, 자우, 자욱, 자운, 자움, 자웅, 자원, 자월, 자위, 자유, 자육, 자율, 자융, 자은, 자음, 자의, 자이, 자익, 자인, 자일, 자임, 작악, 작야, 작약, 작어, 작얼, 작업, 작연, 작열, 작옹, 작요, 작용, 작우, 작월, 작위, 작육, 작은, 작음, 작읍, 작의, 작이, 작인, 작일, 잔아, 잔악, 잔암, 잔액, 잔앵, 잔야, 잔약, 잔양, 잔업, 잔여, 잔역, 잔연, 잔열, 잔염, 잔영, 잔왕, 잔용, 잔우, 잔운, 잔원, 잔월, 잔유, 잔음, 잔읍, 잔인, 잔일, 잔입, 잔잎, 잠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