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64

  • 泮蛙 획순 泮蛙(반와) : 성균관 개구리라는 뜻으로, 자나 깨나 만 읽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泮: 반궁 蛙: 개구리

  • 晴耕雨讀 획순 晴耕雨讀(청경우독) : 날이 개면 논밭을 갈고 비가 오면 글을 읽는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일하며 공부함을 이르는 말.
    晴: 耕: 雨: 讀: 읽을

  • 開卷有得 획순 開卷有得(개권유득) : 을 열면 소득이 있다는 뜻으로, 을 읽게 되면 항상 유익함을 얻게 된다는 의미.
    開: 卷: 有: 있을 得: 얻을

  • 屠門大嚼 획순 屠門大嚼(도문대작) : 조선 시대에, 허균이 전국 팔도의 식품과 명산지에 관하여 적은 .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식품 전문서이다. 1권.
    屠: 잡을 門: 大: 嚼: 씹을

  • 權謀術數 획순 權謀術數(권모술수) :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아니하는 온갖 모략이나 술.
    權: 저울추 謀: 꾀할 術: 數:

  • 讀書不求甚解(독서불구심해) : 을 읽는 데 이해(理解)하기 어려운 것은 그대로 접어두고 그 뜻을 깊이 연구(硏究)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1) 독서(讀書)는 즐겨 하나 참된 학문(學文)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2) 되풀이하여 몇 번이고 숙독(熟讀)하면 뜻이 통(通)하지 않던 곳도 저절로 알게 됨. 숙독(熟讀)을 권(勸)하는 것.
    讀: 읽을 書: 不: 아니 求: 구할 甚: 심할 解:

  • 暗衢明燭(암구명촉) : 어두운 거리에 밝은 등불이라는 뜻으로, 삶의 가르침을 주는 을 이르는 말.
    暗: 어두울 衢: 네거리 明: 밝을 燭: 촛불

  • 萬卷詩書(만권시서) : 아주 많은 .
    萬: 일만 卷: 詩: 書:

  • 三十六計走爲上計(삼십육계주위상계) : 36가지 계(計策) 중(中)에서 줄행랑이 상이라는 뜻으로, 곤란(困難)할 때에는 기회(機會)를 보아 피함으로써 몸의 안전(安全)을 지키는 것이 최상(最上)의 방법(方法)이라는 말.
    三: 十: 計: 走: 달릴 爲: 上: 計:

  • 借人典籍勿毁必完(차인전적물훼필완) : 남의 을 빌려 오면 훼손(毁損)시키지 말고 반드시 온전(穩全)하게 함.
    借: 人: 사람 典: 籍: 문서 勿: 毁: 必: 반드시 完: 완전할

  • 目不之書(목불지서) : 눈으로 을 알지 못함.
    目: 不: 아니 之: 書:

  • 殘編斷簡(잔편단간) : 손상된 과 끊어진 죽간이라는 뜻으로, 이지러지고 흩어져 온전하지 못한 이나 글발.
    殘: 해칠 編: 엮을 斷: 끊을 簡: 대쪽

  • 糊口策(호구책) : 가난한 살림에서 그저 겨우 먹고살아 가는 방.
    糊: 口: 策:

  • 千方百計(천방백계) : 천 가지 방과 백 가지 계략이라는 뜻으로, 온갖 꾀를 이르는 말.
    千: 일천 方: 百: 일백 計:

  • 書不借人(서불차인) : 은 남에게 빌려주지 않는다는 말.
    書: 不: 아니 借: 人: 사람

  • 男兒須讀五車書(남아수독오거서) : 남자(男子)는 모름지기 다섯수레에 실을 만큼의 을 읽으라는 말.
    男: 사내 兒: 아이 須: 모름지기 讀: 읽을 五: 다섯 車: 수레 書:

  • 一目十行(일목십행) : 한 번 보고 열 줄을 읽는다는 뜻으로, 독서력이 매우 뛰어남을 이르는 말.
    一: 目: 十: 行:

  • 輔弼之任(보필지임) : 임금을 보좌하는 임. 또는 그런 직임.
    輔: 도울 弼: 도울 之: 任: 맡길

  • 讀書三昧(독서삼매) : 다른 생각은 전혀 아니 하고 오직 읽기에만 골몰하는 경지.
    讀: 읽을 書: 三: 昧: 어두울

  • 讀書亡羊(독서망양) : 글을 읽는 데 정신이 팔려서 먹이고 있던 양을 잃었다는 뜻으로, 하는 일에는 뜻이 없고 다른 생각만 하다가 낭패를 봄을 이르는 말.
    讀: 읽을 書: 亡: 잃을 羊:

  • 糊口之計(호구지계) : 가난한 살림에서 그저 겨우 먹고살아 가는 방.
    糊: 口: 之: 計:

  • 十行俱下(십행구하) : 열 줄의 글을 단번에 읽어 내려간다는 뜻으로, 읽는 속도가 매우 빠름을 이르는 말.
    十: 行: 俱: 함께 下: 아래

  • 書不盡言(서부진언) : 글로는 생각을 충분히 다 표현할 수 없음.
    書: 不: 아닌가 盡: 다할 言: 말씀

  • 挺身出戰(정신출전) : 앞장서서 나가 싸운다는 뜻으로, 위급(危急)할 때 과감히 나서 모든 임(責任)을 다함을 이르는 말.
    挺: 身: 出: 戰: 싸움

  • 經史百子(경사백자) : 경서(經書)와 사서(史書), 제자(諸子) 백가(百家)의 서(書)라는 뜻으로, 많은 을 이르는 말.
    經: 지날 史: 사기 百: 일백 子: 아들

  • 三餘(삼여) : 을 읽기에 적당한 세 가지 한가한 때. 겨울, 밤, 비가 올 때를 이른다.
    三: 餘: 남을

  • 好學不倦(호학불권) : 배움을 좋아하여 게으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즐겨 배우며 노력한다는 학문에 열중함을 이르는 말.
    好: 좋을 學: 배울 不: 아니 倦: 게으를

  • 孫康映雪(손강영설) : 어려운 가운데 열심히 공부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손강(孫康)이 몹시 가난하여 겨울밤에는 눈빛으로 공부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孫: 손자 康: 편안할 映: 비칠 雪:

  • 自滅之計(자멸지계) : 잘한다는 것이 도리어 잘못되어 제가 망하게 되는 꾀.
    自: 스스로 滅: 멸망할 之: 計:

  • 出於何典(출어하전) : 어느 에 나왔냐는 뜻으로, 근거가 되는 출전(出典)이 무엇이냐고 묻는 말.
    出: 於: 어조사 何: 어찌 典:

  • 借書一瓻(차서일치) : 을 빌리면 술 한 병(甁). 옛날에 을 빌릴 때와 돌려보낼 때의 사례(謝禮)로 술 한 병(甁)을 보낸 것을 이르는 말.
    借: 書: 一: 瓻: 술 단지

  • 洛陽紙價貴(낙양지가귀) : 낙양의 종이 값이 올랐다는 뜻으로, 이 널리 세상에 퍼져 애독된다는 의미.
    陽: 紙: 종이 價: 貴: 귀할

  • 糊口之方(호구지방) : 가난한 살림에서 그저 겨우 먹고살아 가는 방.
    糊: 口: 之: 方:

  • 讀五車書(독오거서) : 다섯 대의 수레에 가득히 실을 만큼 많은 을 읽음.
    讀: 읽을 五: 다섯 車: 수레 書:

  • 讀書三到(독서삼도) : 독서를 하는 세 가지 방법. 입으로 다른 말을 아니 하고 을 읽는 구도(口到), 눈으로 다른 것을 보지 않고 만 잘 보는 안도(眼到), 마음속에 깊이 새기는 심도(心到)를 이른다.
    讀: 읽을 書: 三: 到: 이를

  • 過目成誦(과목성송) : 어떤 이든 한번 보기만 하면 곧 왼다는 뜻으로, 기억력이 좋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過: 지날 目: 成: 이룰 誦:

  • 映雪讀書(영설독서) : 눈(雪)빛에 비쳐 을 읽는다는 뜻으로, 가난을 무릅쓰고 학문(學問)함을 이르는 말.
    映: 비칠 雪: 讀: 읽을 書:

  • 黃券赤軸(황권적축) : 누른 종이와 붉은 갑이라는 뜻으로, '불경(佛經)'을 이르는 말.
    黃: 누를 券: 문서 赤: 붉을 軸: 굴대

  • 讀破萬卷(독파만권) : 만 권의 을 막힘없이 읽음.
    讀: 읽을 破: 깨뜨릴 萬: 일만 卷:

  • 讀書尙友(독서상우) : 을 읽음으로써 옛날의 현인들과 벗이 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讀: 읽을 書: 尙: 오히려 友:

  • 手不釋卷(수불석권) : 손에서 을 놓지 아니하고 늘 글을 읽음.
    手: 不: 아니 釋: 卷:

  • 專任責成(전임책성) : 오로지 남에게 맡겨서 임을 지게 함.
    專: 오로지 任: 맡길 責: 꾸짖을 成: 이룰

  • 讀書三餘(독서삼여) : 을 읽기에 적당한 세 가지 한가한 때. 겨울, 밤, 비가 올 때를 이른다.
    讀: 읽을 書: 三: 餘: 남을

  • 掩卷輒忘(엄권첩망) : 을 덮자마자 곧 그 내용을 잊어버린다는 뜻으로, 학문에 큰 뜻이 없거나 기억력이 부족함을 이르는 말.
    掩: 가릴 卷: 輒: 문득 忘: 잊을

  • 賦役黃冊(부역황책) : 중국 명나라 때, 조세 대장을 겸한 호적부. 1381년에 이갑제의 실시와 함께 전국적으로 만들게 하였으며, 리(里)를 단위로 10년에 한 번씩 작성하였는데, 황색 표지로 만들었기 때문에 이렇게 불렸다.
    賦: 구실 役: 부릴 黃: 누를 冊:

  • 棟樑之臣(동량지신) : 한 나라의 중요(重要)한 임(責任)을 맡아 수행(遂行)할 만한 신하(臣下).
    棟: 용마루 樑: 들보 之: 臣: 신하

  • 可考文獻(가고문헌) : 참고해 볼 만한 문헌.
    可: 옳을 考: 상고할 文: 글월 獻: 바칠

  • 負芨從師(부급종사) : 상자(箱子)를 지고 스승을 좇는다는 뜻으로, 먼 곳으로 유학(留學)감을 이르는 말.
    負: 芨: 말오줌나무 從: 좇을 師: 스승

  • 高文大冊(고문대책) : (1)문장이 뛰어나고 내용이 웅대한 글. (2)임금의 명령에 따라 지은 국가적인 귀중한 저술.
    高: 높을 文: 글월 大: 冊:

  • 田單列傳(전단열전) : 중국(中國) 한(漢)나라의 사마천(司馬遷)이 상고(上古)의 黃帝(황제)부터 漢武帝(한무제)까지의 역사(歷史)를 기록(記錄)한 . 田單列傳(전단열전)은 사기의 70편의 列傳(열전) 중(中)의 하나.
    田: 單: 傳: 전할

  • 任重道遠(임중도원) : 맡은 임은 무겁고 이를 수행할 길은 멂.
    任: 맡길 重: 무거울 道: 遠:

  • 朋友責善(붕우책선) : 벗끼리 서로 좋은 일을 하도록 권함.
    朋: 友: 責: 꾸짖을 善: 착할

  • 尸位素餐(시위소찬) : 재덕이나 공로가 없어 직을 다하지 못하면서 자리만 차지하고 녹(祿)을 받아먹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한서≫ <주운전(朱雲傳)>에 나오는 말이다.
    尸: 주검 位: 자리 素: 餐: 먹을

  • 狐假虎威(호가호위) : 남의 권세를 빌려 위세를 부림. ≪전국≫의 <초(楚策)>에 나오는 말로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려 호기를 부린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狐: 여우 假: 거짓 虎: 威: 위엄

  • 千篇一律(천편일률) : (1)여러 시문의 격조(格調)가 모두 비슷하여 개별적 특성이 없음. (2)여럿이 개별적 특성이 없이 모두 엇비슷한 현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千: 일천 篇: 一: 律:

  • 三到(삼도) : 독서를 하는 세 가지 방법. 입으로 다른 말을 아니 하고 을 읽는 구도(口到), 눈으로 다른 것을 보지 않고 만 잘 보는 안도(眼到), 마음속에 깊이 새기는 심도(心到)를 이른다.
    三: 到: 이를

  • 汗牛充棟(한우충동) : 짐으로 실으면 소가 땀을 흘리고, 쌓으면 들보에까지 찬다는 뜻으로, 가지고 있는 이 매우 많음을 이르는 말.
    汗: 牛: 充: 棟: 용마루

  • 坑儒焚書(갱유분서) : 중국 진(秦)나라의 시황제가 학자들의 정치적 비판을 막기 위하여 민간의 가운데 의약(醫藥), 복서(卜筮), 농업에 관한 것만을 제외하고 모든 서적을 불태우고 수많은 유생을 구덩이에 묻어 죽인 일.
    坑: 구덩이 儒: 선비 焚: 불사를 書:

  • 壓卷(압권) : (1)여러 이나 작품 가운데 제일 잘된 이나 작품. 고대 중국의 관리 등용 시험에서 가장 뛰어난 답안지를 다른 답안지 위에 얹어 놓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2)하나의 이나 작품 가운데 가장 잘된 부분. (3)여럿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
    壓: 누를 卷:

  • 百川學海(백천학해) : 중국 송나라 때에, 좌규(左圭)가 편집한 총서. 수필, 서화, 시문, 시화, 박물 따위에 관한 단편의 글이 100여 종의 에 수록되어 있다. 1273년에 완성하였다. 177권.
    百: 일백 川: 學: 배울 海: 바다

  • 開卷有益(개권유익) : 을 펼쳐 놓는 것만으로도 이익이 있다는 뜻으로, 을 읽는 것을 권장하는 말.
    開: 卷: 有: 있을 益: 더할

  • 眼透紙背(안투지배) : 눈빛이 종이의 뒷면까지 꿰뚫는다는 뜻으로, 을 정독하여 그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함을 이르는 말.
    眼: 透: 통할 紙: 종이 背:

  • 焚書坑儒(분서갱유) : 중국 진(秦)나라의 시황제가 학자들의 정치적 비판을 막기 위하여 민간의 가운데 의약(醫藥), 복서(卜筮), 농업에 관한 것만을 제외하고 모든 서적을 불태우고 수많은 유생을 구덩이에 묻어 죽인 일.
    焚: 불사를 書: 坑: 구덩이 儒: 선비

  • 鷄口牛後(계구우후) : 닭의 주둥이와 소의 꼬리라는 뜻으로, 큰 단체의 꼴찌보다는 작은 단체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오히려 나음을 이르는 말. ≪전국(戰國策)≫의 〈한(韓策)〉과 ≪사기≫의 〈소진전(蘇秦傳)〉에 나오는 말이다.
    鷄: 口: 牛: 後:

#소리 96 #어려움 105 #마음 496 #아내 81 #임금 189 #형제 68 #여자 101 #사물 172 #얼굴 99 #비유 1177 #가운데 104 #의미 1817 #싸움 61 #사랑 91 #사람 1461 #구름 67 #실패 56 #재능 61 #재앙 64 #근본 66 #은혜 70 #가난 90 #사용 312 #천하 94 #목숨 58 #물건 136 #경우 64 #예전 60 #머리 141 #사이 200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1개) : 차, 착, 찬, 찰, 참, 찹, 찻, 창, 채, 책, 챌, 챔, 챙, 처, 척, 천, 철, 첨, 첩, 첫, 청, 체, 첵, 첸, 쳇, 쳐, 쳔, 쳘, 초, 촉, 촌, 촐, 촙, 총, 촨, 최, 쵸, 추, 축, 춘, 춝, 춤, 충, 췌, 취, 츠, 측, 츩, 츰, 츳, 층, 츼, 치, 칙, 친, 칠, 칡, 침, 칩, 칭, 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