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에 관한 한자 모두 107

  • 實事求是 획순 實事求是(실사구시) :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공리공론을 떠나서 정확한 고증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ㆍ객관적 학문 태도를 이른 것으로, 중국 청나라 고증학의 학문 태도에서 볼 수 있다. 조선 시대 실학파의 학문에 큰 영향을 주었다.
    實: 열매 事: 求: 구할 是: 옳을

  • 絃歌不輟 획순 絃歌不輟(현가불철) : 거문고 타고 노래하는 것을 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고사에서 유래되어 어려움을 당해도 학문을 계속함을 이르는 말.
    絃: 악기줄 歌: 노래 不: 아니 輟: 그칠

  • 廓然大公 획순 廓然大公(확연대공) :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廓: 然: 그러할 大: 公: 공변될

  • 琢磨 획순 琢磨(탁마) : (1)옥이나 돌 따위를 쪼고 갊. (2)학문이나 덕행 따위를 닦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琢: 磨:

  • 鼻祖 획순 鼻祖(비조) : (1)나중 것의 바탕이 된 맨 처음의 것. (2)한 겨레나 가계의 맨 처음이 되는 조상. (3)어떤 학문이나 기술 따위를 처음으로 연 사람.
    鼻: 祖: 할아비

  • 淺學菲才(천학비재) : 학문이 얕고 재주가 변변치 않다는 뜻으로, 자기 학식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淺: 얕을 學: 배울 菲: 엷을 才: 재주

  • 同門同學(동문동학) : 한 스승 밑에서 함께 학문을 배우거나 수업을 받음.
    同: 한가지 門: 同: 한가지 學: 배울

  • 博學多識(박학다식) : 학식이 넓고 아는 것이 많음.
    博: 넓을 學: 배울 多: 많을 識:

  • 冊床兩班(책상양반) : (1)‘책상양반’의 북한어. (2)평민이지만 학문과 덕행(德行)이 있어서 양반이 된 사람.
    冊: 床: 班: 나눌

  • 多岐亡羊(다기망양) : (1)갈림길이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지 못한다는 뜻으로, 두루 섭렵하기만 하고 전공하는 바가 없어 끝내 성취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열자(列子)≫<설부(雪符)>에 나오는 말이다. (2)방침이 많아서 도리어 갈 바를 모름.
    多: 많을 岐: 갈림길 亡: 잃을 羊:

  • 能言鸚鵡(능언앵무) : 말은 잘하나 실제 학문은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
    能: 능할 言: 말씀 鸚: 앵무새 鵡: 앵무새

  • 樞路之鄕(추로지향) : 공맹(孔孟)의 고향(故鄕)이란 뜻으로, 예절(禮節)을 알고 학문(學文)이 왕성(旺盛)한 곳을 이르는 말.
    樞: 지도리 路: 之: 鄕: 시골

  • 晝夜力學(주야역학) : 밤낮으로 학문에 힘쓴다는 뜻으로, 밤낮을 가리지 않고 학문에 힘쓴다는 의미.
    晝: 夜: 學: 배울

  • 讀書不求甚解(독서불구심해) : 책을 읽는 데 이해(理解)하기 어려운 것은 그대로 접어두고 그 뜻을 깊이 연구(硏究)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1) 독서(讀書)는 즐겨 하나 참된 학문(學文)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2) 되풀이하여 몇 번이고 숙독(熟讀)하면 뜻이 통(通)하지 않던 곳도 저절로 알게 됨. 숙독(熟讀)을 권(勸)하는 것.
    讀: 읽을 書: 不: 아니 求: 구할 甚: 심할 解:

  • 斷機之戒(단기지계) : 학문을 중도에서 그만두면 짜던 베의 날을 끊는 것처럼 아무 쓸모 없음을 경계한 말. ≪후한서≫의 <열녀전(列女傳)>에 나오는 것으로, 맹자가 수학(修學) 도중에 집에 돌아오자, 그의 어머니가 짜던 베를 끊어 그를 훈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斷: 끊을 機: 베틀 之: 戒: 경계할

  • 無識君子(무식군자) : 배우지 못하여 지식이나 식견이 없어도 말과 품행이 올바른 사람.
    無: 없을 識: 君: 임금 子: 아들

  • 口耳之學(구이지학) : 들은 것을 자기 생각 없이 그대로 남에게 전하는 것이 고작인 학문.
    口: 耳: 之: 學: 배울

  • 學海(학해) : (1)학문의 바다라는 뜻으로, 학문의 세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냇물이 끊임없이 흘러 바다에 들어가듯이, 사람도 꾸준히 학문에 힘써서 끝내 대성함을 이르는 말.
    學: 배울 海: 바다

  • 不恥下問(불치하문) : 손아랫사람이나 지위나 학식이 자기만 못한 사람에게 모르는 것을 묻는 일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함.
    不: 아니 恥: 부끄러워할 下: 아래 問: 물을

  • 三十而立(삼십이립) : 서른 살이 되어 자립을 한다는 뜻으로, 서른 살을 달리 이르는 말. ≪논어≫의 <위정편(爲政篇)>에 나오는 말이다.
    三: 十: 而: 말 이을 立:

  • 學而不思則罔(학이불사즉망) : 학문(學問)을 닦아도 마음에 생각하는 바가 없으면 사물(事物)의 이치(理致)를 환히 깨닫지 못함.
    學: 배울 而: 말 이을 不: 아니 思: 생각할 則: 罔: 그물

  • 江郞才盡(강랑재진) : 강엄의 재주가 다했다는 뜻으로, 어떤 분야에 뛰어났던 재능이 차차 쇠퇴하여 더 이상 두각을 나타내지 못함을 이르는 말.
    江: 郞: 사내 才: 재주 盡: 다할

  • 忘年之交(망년지교) : 나이에 거리끼지 않고 허물없이 사귄 벗.
    忘: 잊을 年: 之: 交: 사귈

  • 學如穿井(학여천정) : 학문은 우물을 파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학문은 하면 할수록 어려워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學: 배울 如: 같을 穿: 뚫을 井: 우물

  • 學不可已(학불가이) : 학문은 그만 둘 수 없다는 뜻으로, 배움은 끝없는 정진을 해야 함을 이르는 말.
    學: 배울 不: 아니 可: 옳을 已: 그칠

  • 同文受學(동문수학) : 한 스승 밑에서 같이 학문을 닦고 배운다는 의미.
    同: 한가지 文: 글월 受: 받을 學: 배울

  • 三冬文史(삼동문사) : 가난한 사람은 농사(農事) 짓느라고 여가(餘暇)가 없어 다만 삼동에 학문(學問)을 닦는다는 뜻으로, 자기(自己)를 겸손(謙遜)히 이르는 말.
    三: 冬: 겨울 文: 글월 史: 사기

  • 志學之年(지학지년) : 학문에 뜻을 둔 나이라는 뜻으로, <논어(論語)>에서 공자(孔子)가 15세 때 학문에 뜻을 두었다는 데서 연유한 15세를 의미하는 말.
    志: 學: 배울 之: 年:

  • 居敬窮理(거경궁리) : 주자학에서 중시하는, 학문 수양의 두 가지 방법. 거경은 내적 수양법으로 항상 몸과 마음을 삼가서 바르게 가지는 일이고, 궁리는 외적 수양법으로 널리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여 정확한 지식을 얻는 일이다.
    居: 있을 敬: 공경 窮: 다할 理: 다스릴

  • 蛾子時術(아자시술) : 나방의 새끼는 작은 벌레이지만 때로는 그 어미가 하는 일을 배워 흙을 물어다 작은 개미둑을 이루고 나중에는 큰 개미둑을 이룬다는 뜻으로, 학자(學者)가 쉼 없이 학문(學問)을 닦아 큰 도(道)를 성취(成就)함을 이르는 말.
    蛾: 나방 子: 아들 時: 術:

  • 修學務早(수학무조) : 학업을 닦는 일은 어릴 때 힘써야 한다는 뜻으로, 학문의 수행은 기억력이 왕성한 소년시절에 해야 한다는 의미.
    修: 닦을 學: 배울 務: 힘쓸 早: 일찍

  • 隨病投藥(수병투약) : 병에 따라 약을 쓴다는 뜻으로, 상대방의 학문이나 교양 등의 정도에 따라 설법(說法)을 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
    隨: 따를 病: 投: 던질 藥:

  • 亡羊歎(망양탄) : 갈림길이 매우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을 길이 없음을 탄식한다는 뜻으로, 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얻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亡: 잃을 羊: 歎: 탄식할

  • 冥行擿植(명행적식) : 명행(冥行)은 캄캄한 곳을 간다는 뜻이고, 적식(擿植)은 장님이 지팡이를 두드리면서 간다는 뜻으로, 학문(學文)을 하는 데 그 방도를 모름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冥: 어두울 行: 擿: 들출 植: 심을

  • 記問之學(기문지학) : 남의 물음에 대답하기 위해 익혀 두는 학문. 참된 깨달음이 없는 학문을 이른다.
    記: 적을 問: 물을 之: 學: 배울

  • 傳不習乎(전불습호) : ‘전해 받은 것을 익히지 못했는가?’라는 뜻으로, 스승에게 전수 받은 학문 수양을 게을리 하지 않았는가를 반성한다는 뜻으로 보거나, 아직 익숙하지 못한 것을 남에게 전해 가르치는 일은 없었는가를 반성하는 것으로도 해석함.
    傳: 전할 不: 아니 習: 익힐 乎:

  • 金玉滿堂(금옥만당) : (1)금관자나 옥관자를 붙인 높은 벼슬아치들이 방 안에 가득함. (2)현명한 신하가 조정에 가득함.
    金: 玉: 구슬 滿: 堂:

  • 學如不及(학여불급) : 학문은 미치지 못하는 것처럼 한다는 뜻으로, 학문을 연마하는 것은 마치 달아나는 사람을 뒤쫓되 늘 미치지 못하는 것 같다는 의미. 곧 끈질긴 노력을 거듭하여도 학문의 오묘한 진리에 도달하기가 어려우므로, 한결 더 분발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의미.
    學: 배울 如: 같을 不: 아니 及: 미칠

  • 切磨(절마) : 옥이나 돌 따위를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학문과 덕행을 닦음을 이르는 말.
    切: 끊을 磨:

  • 切磋(절차) : 옥이나 돌을 갈고 닦는다는 뜻으로, 학문과 덕행을 닦음을 이르는 말.
    切: 끊을 磋:

  • 識字憂患(식자우환) : 학식이 있는 것이 오히려 근심을 사게 됨.
    識: 字: 글자 憂: 근심 患: 근심

  • 秀而不實(수이부실) : 자라났으나 열매를 맺지 못했다는 뜻으로, 학문은 진보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중도에서 그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秀: 빼어날 而: 말 이을 不: 아닌가 實: 열매

  • 爲己之學(위기지학) : 자기 자신의 인격 수양을 위한 학문.
    爲: 己: 之: 學: 배울

  • 好學不倦(호학불권) : 배움을 좋아하여 게으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즐겨 배우며 노력한다는 학문에 열중함을 이르는 말.
    好: 좋을 學: 배울 不: 아니 倦: 게으를

  • 亡羊之嘆(망양지탄) : 여러 갈래 길에서 양을 잃고 탄식(歎息)한다는 뜻으로, 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얻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亡: 잃을 羊: 之: 嘆: 탄식할

  • 藏修遊息(장수유식) : 학문(學問)을 전심으로 닦음. 공부(工夫)할 때는 물론 쉴 때에도 학문(學問)을 닦는 것을 항상(恒常) 마음에 둠.
    藏: 감출 修: 닦을 遊: 息: 숨쉴

  • 行常帶經(행상대경) : 나다닐 때 늘 경서를 가진다는 뜻으로, 학문에 열심히 노력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行: 常: 항상 帶: 經: 지날

  • 先禮後學(선례후학) : 먼저 예의를 배우고 나중에 학문을 배우라는 뜻으로, 예의가 우선임을 이르는 말.
    先: 먼저 禮: 예도 後: 學: 배울

  • 仲尼之徒(중니지도) : 공자의 제자. 또는 공자의 학문을 받드는 사람.
    仲: 버금 尼: 신중 之: 徒: 무리

  • 事上磨鍊(사상마련) : 개념(槪念)을 통(通)해서가 아니고, 실제(實際)로 일을 하면서 정신(精神)을 단련(鍛鍊)함. 중국(中國) 명(明)나라의 유학자(儒學者) 왕양명(王陽明)이 학문(學問)을 설명(說明)한 말.
    事: 上: 磨: 鍊: 불릴

  • 向學之誠(향학지성) : 학문에 온 마음을 기울이는 정성.
    向: 향할 學: 배울 之: 誠: 정성

  • 螢窓雪案(형창설안) : 반딧불이 비치는 창과 눈에 비치는 책상(冊床)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가운데서도 학문(學問)에 힘씀을 비유(比喩)한 말.
    螢: 개똥벌레 窓: 雪: 案: 책상

  • 博學多才(박학다재) : 학식이 넓고 재주가 많음.
    博: 넓을 學: 배울 多: 많을 才: 재주

  • 生而知之(생이지지) : 삼지(三知)의 하나. 도(道)를 스스로 깨달음을 이른다.
    生: 而: 말 이을 知: 之:

  • 曲學阿世(곡학아세) : 바른길에서 벗어난 학문으로 세상 사람에게 아첨함.
    曲: 굽을 學: 배울 阿: 언덕 世: 인간

  • 切磋琢磨(절차탁마) : 옥이나 돌 따위를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학문과 덕행을 닦음을 이르는 말. ≪시경≫의 <위풍(衛風)> <기오편(淇澳篇)>과 ≪논어≫의 <학이편(學而篇)>에 나오는 말이다.
    切: 끊을 磋: 琢: 磨:

  • 映雪讀書(영설독서) : 눈(雪)빛에 비쳐 책을 읽는다는 뜻으로, 가난을 무릅쓰고 학문(學問)함을 이르는 말.
    映: 비칠 雪: 讀: 읽을 書:

  • 投筆從戎(투필종융) : 붓을 던지고 창을 쫓는다는 뜻으로, 학문(學問)을 포기(抛棄)하고 전쟁터로 나아감을 비유(比喩)하는 말.
    投: 던질 筆: 從: 좇을 戎:

  • 學原於思(학원어사) : 학문은 생각에 근원을 둔다는 뜻으로, 학문은 생각하는 데서 비롯되는 것처럼 사색(思索)이 학문의 근본임을 이르는 말.
    學: 배울 原: 언덕 於: 어조사 思: 생각할

  • 百世之師(백세지사) : 후세(後世)까지 모든 사람의 스승으로 존경을 받을 만한 훌륭한 사람.
    百: 일백 世: 인간 之: 師: 스승

  • 固窮讀書(고궁독서) : 어려운 처지에도 기꺼이 글을 읽음.
    固: 굳을 窮: 다할 讀: 읽을 書:

  • 螢雪(형설) : 차윤취형(車胤聚螢)과 손강영설(孫康映雪)을 아울러 이르는 말.
    螢: 개똥벌레 雪:

  • 朝益暮習(조익모습) : 아침에 더하고 저녁에 익힌다는 뜻으로, 아침에 가르침을 받아 지식을 더하고 저녁에 그것을 익히는 것처럼 학문 연마에 열중함을 이르는 말.
    朝: 아침 益: 더할 暮: 저물 習: 익힐

  • 博文約禮(박문약례) : 널리 학문을 닦아 사리에 밝고 예절을 잘 지킴.
    博: 넓을 文: 글월 約: 묶을 禮: 예도

  • 孟母斷機(맹모단기) : 맹자가 학업을 중단하고 돌아왔을 때에, 그 어머니가 짜던 베를 잘라서 학문을 중도에 그만둔 것을 훈계한 일을 이르는 말.
    孟: 母: 어미 斷: 끊을 機: 베틀

  • 手不釋卷(수불석권) : 손에서 책을 놓지 아니하고 늘 글을 읽음.
    手: 不: 아니 釋: 卷:

  • 掩卷輒忘(엄권첩망) : 책을 덮자마자 곧 그 내용을 잊어버린다는 뜻으로, 학문에 큰 뜻이 없거나 기억력이 부족함을 이르는 말.
    掩: 가릴 卷: 輒: 문득 忘: 잊을

  • 下學上達(하학상달) : 아래를 배워 위에 도달한다는 뜻으로, 쉬운 지식을 배워 어려운 이치를 깨달음을 이르는 말.
    下: 아래 學: 배울 上: 達: 통할

  • 稽古之力(계고지력) : 옛일을 자세히 살피어 공부하는 노력이라는 뜻으로, 학문이 넓고 지식이 많음을 이르는 말.
    稽: 생각할 古: 之: 力:

  • 博學審問(박학심문) : 널리 배우고 깊이 묻는다는 뜻으로, 널리 배우고 상세하게 묻는 <中庸(중용)>에 서술된 학문 연구 방법.
    博: 넓을 學: 배울 審: 살필 問: 물을

  • 學貫天人(학관천인) : 학문이 하늘과 사람을 꿰뚫었다는 뜻으로, 학문을 하여 하늘의 이치와 사람의 도리를 꿰뚫을 정도로 정통함을 이르는 말.
    學: 배울 貫: 天: 하늘 人: 사람

  • 白首空歸(백수공귀) : 흰머리로 헛되이 돌아간다는 뜻으로, 늙음에 이르러도 학문을 이루지 못함을 한탄하는 말.
    白: 首: 머리 空: 歸: 돌아갈

  • 水到渠成(수도거성) : 물이 흐르면 도랑이 이루어진다는 뜻으로, 학문을 깊이 닦으면 저절로 도가 이루어진다는 의미나, 때가 되면 일이 저절로 이루어진다는 의미로 사용됨.
    水: 到: 이를 渠: 도랑 成: 이룰

  • 才學識三長(재학식삼장) : 재주와 학문과 식견 세 방면에 빼어나다는 뜻으로, 훌륭한 역사를 쓰는 데는 이 세 가지가 모두 필요하다는 말에서 유래됨.
    才: 재주 學: 배울 識: 三: 長:

  • 以文會友(이문회우) : 학문으로써 친구를 모은다는 뜻으로, 학문을 매개로 서로가 공유할 수 있는 진정한 벗을 만들고 관계를 이어가야 한다는 의미.
    以: 文: 글월 會: 모일 友:

  • 靑雲之士(청운지사) : (1)학문과 덕행을 함께 갖춘 고결한 사람. (2)높은 지위나 벼슬에 오른 사람.
    靑: 푸를 雲: 구름 之: 士: 선비

  • 末學膚受(말학부수) : 말단의 학문을 피부로만 받아들인다는 뜻으로, 근본을 배우지 않고 겉껍질만을 배우는 학문의 천박함을 이르는 말.
    末: 學: 배울 膚: 살갗 受: 받을

  • 無學無識(무학무식) : 배운 것이 없고 아는 것이 없음.
    無: 없을 學: 배울 無: 없을 識:

  • 章句之學(장구지학) : 글의 장과 구의 풀이에만 치우쳐 전체 대의(大意)에는 통하지 않는 학문이라는 뜻으로, 중국 한(漢)나라의 훈고학을 이르는 말.
    章: 문채 句: 글귀 之: 學: 배울

  • 聰明好學(총명호학) : 재주가 있고 영리하며 학문을 좋아함.
    聰: 귀밝을 明: 밝을 好: 좋을 學: 배울

  • 木從繩則正(목종승즉정) : 나무도 먹줄을 따르면 바로 된다는 뜻으로, 굽은 나무도 먹줄을 놓아서 깎으면 바르게 되는 거처럼 학문을 하거나 충고를 따르면 훌륭한 사람이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木: 나무 從: 좇을 繩: 노끈 則: 正: 바를

  • 無形學(무형학) : 사물의 본질,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에 의하여 탐구하는 학문. 명칭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물의 제목에서 유래한다.
    無: 없을 形: 형상 學: 배울

  • 寫字此是學(사지차시학) : 글자를 베끼는 것이 바로 배움이라는 뜻으로, 경건한 마음으로 글자를 베껴 쓰면 그 베껴 쓰는 일 자체가 이미 갈고 닦는 학문이라는 의미.
    寫: 베낄 此: 是: 옳을 學: 배울

  • 林下儒門(임하유문) : 초야에 묻혀 학문에만 힘을 쏟는 선비.
    下: 아래 儒: 선비 門:

  • 後生可畏(후생가외) : 젊은 후학들을 두려워할 만하다는 뜻으로, 후진들이 선배들보다 젊고 기력이 좋아, 학문을 닦음에 따라 큰 인물이 될 수 있으므로 가히 두렵다는 말. ≪논어≫의 <자한편(子罕篇)>에 나오는 말이다.
    後: 生: 可: 옳을 畏: 두려워할

  • 升堂入室(승당입실) : (1)마루에 오른 다음 방으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일에는 차례가 있음을 이르는 말. (2)학문이 점점 깊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升: 堂: 入: 室:

  • 好學近乎知(호학근호지) : 배움을 좋아하면 앎에 가깝다는 뜻으로, 학문은 격물치지(格物致知)하는 길이므로, 학문 좋아하는 것 자체가 벌써 ‘知’에 가까움을 이르는 말.
    好: 좋을 學: 배울 近: 가까울 乎: 知:

  • 經世致用(경세치용) : 학문은 세상을 다스리는 데에 실질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유교의 한 주장.
    經: 지날 世: 인간 致: 이룰 用:

  • 泰山北斗(태산북두) : (1)태산(泰山)과 북두칠성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세상 사람들로부터 존경받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泰: 山: 北: 북녘 斗:

  • 博學而詳說之(박학이상설지) : 군자(君子)가 박학함으로써 상세(詳細)히 풀이하는 것은 世人(세인)에게 학문(學問)을 자랑하려 함이 아니라, 요점(要點)을 알아듣도록 설명(說明)하기 위함이라는 말.
    博: 넓을 學: 배울 而: 말 이을 詳: 자세할 說: 말씀 之:

  • 登峰造極(등봉조극) : 산에 올라 정상에 도달한다는 뜻으로, 학문이나 기술이 심오한 경지에 도달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登: 오를 峰: 봉우리 造: 지을 極: 다할

  • 寶學之人(보학지인) : 학문을 보배로 여기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학문을 보배롭게 여기는 사람을 의미하거나 상아탑에 들어박혀 있는 사람의 의미로 사용됨.
    寶: 보배 學: 배울 之: 人: 사람

  • 亡羊(망양) : (1)독서를 하다가 양을 잃고 노름을 하다가 양을 잃었다는 뜻으로, 하는 일은 달라도 한 가지 일에 전념하지 아니하고 이것저것 하면 실패함을 이르는 말. ≪장자≫ <병무편(騈拇篇)>에 나오는 말이다. (2)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여서 한 갈래의 진리도 얻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갈림길이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지 못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설부(雪符)>에 나오는 말이다.
    亡: 잃을 羊:

  • 百川學海(백천학해) : 중국 송나라 때에, 좌규(左圭)가 편집한 총서. 수필, 서화, 시문, 시화, 박물 따위에 관한 단편의 글이 100여 종의 책에 수록되어 있다. 1273년에 완성하였다. 177권.
    百: 일백 川: 學: 배울 海: 바다

  • 形而上學(형이상학) : (1)사물의 본질,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에 의하여 탐구하는 학문. 명칭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물의 제목에서 유래한다. (2)헤겔ㆍ마르크스 철학에서, 비변증법적 사고를 이르는 말. (3)초경험적인 것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을, 형이하 또는 경험적 대상의 학문인 자연 과학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4)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일 철학이라고 하는 이름으로 다룬 여러 문제의 연구를 후세에 정리한 것으로, 플라톤의 이데아론을 비판하고 실재론을 설명하였다. 스콜라 철학을 통하여 중세의 유럽 사상에 큰 영향을 끼쳤다. 14장(章).
    形: 형상 而: 말 이을 上: 學: 배울

  • 百花齊放(백화제방) : (1)많은 꽃이 일제히 핌. (2)온갖 학문이나 예술, 사상 따위가 함께 성(盛)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의 예술 정책으로 한때 고창되던 말이다.
    百: 일백 花: 齊: 가지런할 放: 놓을

  • 玉不磨無光(옥불마무광) : 옥은 갈지 않으면 빛이 나지 않는다는 뜻으로, 뛰어난 소질을 가진 사람이라 하더라도 학문과 수양을 쌓지 않으면 성취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玉: 구슬 不: 아니 磨: 無: 없을 光:

  • 望洋之歎(망양지탄) : 멀리 바다를 바라보는 탄식이라는 뜻으로, 위대한 인물이나 심원(深遠)한 학문 등에 접하여, 자기의 힘이 미치지 못함을 느껴서 하는 탄식의 의미.
    望: 바랄 洋: 바다 之: 歎: 탄식할

  • 優游涵泳(우유함영) : 여유롭고 한가하게 자맥질하듯 깊이 잠긴다는 뜻으로, 한가롭게 학문이나 예술 등의 이치(理致)를 깊이 음미함을 이르는 말.
    優: 부드러울 游: 涵: 젖을 泳: 헤엄칠

  • 格物致知(격물치지) : 실제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여 지식을 완전하게 함. ≪대학≫에 나오는 말이다.
    格: 바로잡을 物: 만물 致: 이룰 知:

2
#군자 56 #자연 73 #벼슬 88 #태도 72 #훌륭 85 #부모 136 #나무 166 #모양 142 #생각 236 #재능 61 #상태 110 #하늘 251 #아내 81 #서로 71 #생활 82 #신하 62 #죽음 73 #은혜 70 #임금 189 #마음 496 #편안 62 #구름 67 #세월 71 #경계 56 #이익 89 #따위 228 #형용 67 #이름 211 #상황 119 #상대 56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442개) : 하마, 하막, 하만, 하매, 하머, 하먼, 하메, 하멜, 하며, 하면, 하명, 하모, 하목, 하몽, 하묘, 하무, 하문, 하물, 하뭇, 하미, 하민, 학망, 학맥, 학명, 학모, 학무, 학문, 학민, 한마, 한만, 한말, 한맘, 한맛, 한망, 한매, 한맹, 한명, 한모, 한목, 한몫, 한뫼, 한묵, 한문, 한물, 한믈, 한미, 한민, 할마, 할막, 할만, 할맘, 할망, 할매, 할맥, 할먄, 할멈, 할멤, 할명, 할몸, 할문, 할뭄, 할미, 함마, 함매, 함메, 함몰, 함묵, 함미, 합맹, 합명, 합목, 합문, 합밀, 항마, 항만, 항맥, 항명, 항모, 항목, 항무, 항문, 항민, 해마, 해막, 해만, 해말, 해망, 해매, 해머, 해먹, 해면, 해명, 해목, 해몽, 해묘, 해무, 해묵, 해문, 해물, 해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