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64

  • 天不言而信 획순 天不言而信(천불언이신) : 하늘은 말하지 않아도 믿는다는 뜻으로, 하늘은 그 하는 바가 떳떳하여 틀림이 없음을 이르는 말.
    天: 하늘 不: 아니 言: 말씀 而: 말 이을 信: 믿을

  • 樂而忘憂 획순 樂而忘憂(낙이망우) : 즐겨서 시름을 잊는다는 뜻으로, 도(道)를 (行)하기를 즐거워하여 가난 따위의 근심을 잊는다는 말.
    而: 말 이을 忘: 잊을 憂: 근심

  • 琢磨 획순 琢磨(탁마) : (1)옥이나 돌 따위를 쪼고 갊. (2)학문이나 덕 따위를 닦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琢: 磨:

  • 舍己從人 획순 舍己從人(사기종인) : 자기(自己)의 이전(以前) 위(行爲)를 버리고 타인(他人)의 선(善行)을 본떠 (行)함.
    舍: 己: 從: 좇을 人: 사람

  • 禪讓放伐 획순 禪讓放伐(선양방벌) : 덕을 잃고 악정을 하는 임금은 내쳐도 거리낄 바 없다는 중국의 역성혁명관.
    禪: 봉선 讓: 사양할 放: 놓을 伐:

  • 行有餘力(행유여력) : 일을 다 하고도 오히려 힘이 남음.
    行: 有: 있을 餘: 남을 力:

  • 蜀路(촉로) : 촉(蜀)에 이르는 험난한 길이라는 뜻으로, 험난한 세상살이를 이르는 말.
    蜀: 나라 이름 路:

  • 抱炭希涼(포탄희량) : 불을 끼고 있으면서 시원하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하는 일과 바라는 일이 일치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抱: 안을 炭: 希: 바랄 涼: 서늘할

  • 難行苦行(난행고행) : (1)아주 심하게 고생함. (2)몹시 괴로운 수.
    難: 어려울 行: 苦: 行:

  • 興盡悲來(흥진비래) : 즐거운 일이 다하면 슬픈 일이 닥쳐온다는 뜻으로, 세상일은 순환되는 것임을 이르는 말.
    興: 盡: 다할 悲: 슬플 來:

  • 天地之常(천지지상) : 천지 사이에 하여지는 운전(運轉) 및 차고 기울고, 어둡고 밝고 하는 따위의 상도(常道).
    天: 하늘 地: 之: 常: 항상

  • 露蹤(노종) : (1)‘노종’의 북한어. (2)색을 드러낸다는 뜻으로, 어사가 출두함을 이르는 말.
    蹤: 자취

  • 北轅適楚(북원적초) : 나릇을 북쪽으로 향(向)하게 해 놓고 남쪽인 초(楚)나라로 가려 한다는 뜻으로, 의도(意圖)하는 바와 (行)하는 바가 서로 어긋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北: 북녘 轅: 끌채 適: 楚: 모형

  • 彼一時此一時(피일시차일시) : 그때는 그때이고 지금은 지금이다라는 뜻으로, 저때 한 일과 이때 한 일이 서로 사정이 다름을 이르는 말.
    彼: 一: 時: 此: 一: 時:

  • 訥言敏行(눌언민행) : 말은 느려도 실제 동은 재빠르고 능란함.
    訥: 말더듬을 言: 말씀 敏: 재빠를 行:

  • 丹誠無二(단성무이) : 붉은 정성(精誠)이 둘도 없다는 뜻으로, 진심(眞心)을 다해 성심성의(誠心誠意)로 일을 (行)함.
    丹: 붉을 誠: 정성 無: 없을 二:

  • 破天荒(파천황) : (1)이전에 아무도 하지 못한 일을 처음으로 해냄을 이르는 말. ≪북몽쇄언(北夢瑣言)≫에 나오는 말로, 중국 당나라의 형주(荊州) 지방에서 과거의 합격자가 없어 천지가 아직 열리지 않은 혼돈한 상태라는 뜻으로 천황(天荒)이라고 불리었는데 유세(劉蛻)라는 사람이 처음으로 합격하여 천황을 깼다는 데서 유래한다. (2)양반이 없는 시골이나 인구수가 적은 성씨에 인재가 나서 본래의 미천한 상태를 벗어남.
    破: 깨뜨릴 天: 하늘 荒: 거칠

  • 斷而敢行鬼神避之(단이감행귀신피지) : 과단성(果斷性) 있게 (行)하면 귀신(鬼神)도 이를 피(避)하여 어떠한 일도 성취(成就)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斷: 끊을 而: 말 이을 敢: 감히 行: 鬼: 귀신 神: 避: 피할 之:

  • 冥行擿植(명행적식) : 명(冥行)은 캄캄한 곳을 간다는 뜻이고, 적식(擿植)은 장님이 지팡이를 두드리면서 간다는 뜻으로, 학문(學文)을 하는 데 그 방도를 모름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冥: 어두울 行: 擿: 들출 植: 심을

  • 倒行逆施(도행역시) : 차례나 순서를 바꾸어서 함.
    倒: 넘어질 行: 逆: 거스를 施: 베풀

  • 火旺之節(화왕지절) : 오(五行)에서, 화기(火氣)가 왕성한 절기라는 뜻으로 ‘여름’을 이르는 말.
    火: 旺: 성할 之: 節: 마디

  • 索隱行怪(색은행괴) : 궁벽한 것을 캐내고 괴이한 일을 함.
    索: 찾을 隱: 숨을 行: 怪: 기이할

  • 三獸渡河(삼수도하) : 성문(聲聞), 연각(緣覺), 보살(菩薩)이 수하는 것을, 토끼ㆍ말ㆍ코끼리가 강을 건너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같은 교리를 듣고도 타고난 바탕에 따라 깨달음의 깊이가 다르다는 뜻에서 이렇게 이른다.
    三: 獸: 짐승 渡: 건널 河: 강 이름

  • 冒沒廉恥(모몰염치) : 염치없는 줄 알면서도 이를 무릅쓰고 함.
    冒: 무릅쓸 沒: 빠질 恥: 부끄러워할

  • 天何言哉(천하언재) : 하늘은 아무 말도 하지 않지만 도(道)는 반드시 (行)함.
    天: 하늘 何: 어찌 言: 말씀 哉: 어조사

  • 山上垂訓(산상수훈) : 신약 성경 가운데 <마태복음> 5~7장에 실려 있는 예수의 가르침. 신앙생활의 근본 원리가 간명하게 정리ㆍ기술되어 있다.
    山: 上: 垂: 드리울 訓: 가르칠

  • 懸羊頭賣馬脯(현양두매마포) : 양의 머리를 매달아 놓고 말린 말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선을 가장하여 악을 (行)함을 이르는 말.
    懸: 매달 羊: 頭: 머리 賣: 馬: 脯:

  • 沙門(사문) : 부지런히 모든 좋은 일을 닦고 나쁜 일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뜻으로, 불문에 들어가서 도를 닦는 사람을 이르는 말.
    沙: 모래 門:

  • 德建名立(덕건명립) : 항상(恒常) 덕(德)을 가지고 세상일(世上-)을 (行)하면 자연(自然)스럽게 이름도 서게 됨.
    德: 建: 세울 名: 이름 立:

  • 自行加持(자행가지) : 진언종에서, 자(行者)가 스스로 삼밀가지를 하는 일.
    自: 스스로 行: 加: 더할 持: 가질

  • 幕後交涉(막후교섭) : 겉으로 드러나지 아니하게 은밀히 하는 교섭.
    幕: 後: 交: 사귈 涉: 건널

  • 專修念佛(전수염불) : 오로지 아미타불만을 부르는 일.
    專: 오로지 修: 닦을 佛: 부처

  • 天子之孝(천자지효) : 천자(天子)가 (行)하는 효도(孝道).
    天: 하늘 子: 아들 之: 孝: 효도

  • 景行維賢(경행유현) : 실(行實)을 훌륭하게 하고 당당(堂堂)하게 (行)하면 어진 사람이 된다는 것을 말함.
    景: 行: 維: 밧줄 賢: 어질

  • 木旺之節(목왕지절) : 오(五行)의 목기(木氣)가 성한 때라는 뜻으로, ‘봄철’을 달리 이르는 말.
    木: 나무 旺: 성할 之: 節: 마디

  • 諸惡莫作(제악막작) : 어떠한 악도 하여서는 안 됨.
    諸: 모든 惡: 악할 莫: 없을 作: 지을

  • 耕當問奴(경당문노) : 농사일은 의당 머슴에게 물어보아야 한다는 뜻으로, 모르는 일은 잘 아는 사람에게 상의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耕: 當: 마땅할 問: 물을 奴:

  • 出爾反爾(출이반이) : 너에게서 나와서 너에게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과 좋은 일 나쁜 일이 결국은 모두 자기 자신에 의하여 초래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出: 爾: 反: 돌이킬 爾:

  • 學行一致(학행일치) : 배움과 실천이 하나로 들어맞음. 또는 배운 대로 실함.
    學: 배울 行: 一: 致: 이룰

  • 天下無道(천하무도) : 세상(世上)이 어지러워 도리(道理)가 제대로 (行)해지지 않음.
    天: 하늘 下: 아래 無: 없을 道:

  • 合從連衡(합종연횡) : (1) 전국시대(戰國時代)에 (行)해졌던 외교(外交)방식(方式)으로 합종책(合從策)과 연횡책(連衡策)을 말함 (2) 약자(弱者)끼리 세로로 연합(聯合)하여 강자(强者)에게 대항(對抗)하거나, 약자(弱者)들이 가로로 나란히 서서 강자(强者)와 화해(和解)함.
    合: 합할 從: 좇을 衡: 가로

  • 障盡解脫(장진해탈) : 수을 가로막는 모든 번뇌를 끊고, 자유로운 경지에 이르는 일.
    障: 막을 盡: 다할 解: 脫: 벗을

  • 全知全能(전지전능) : 어떠한 사물이라도 잘 알고, 모든 일을 다 할 수 있음. 또는 그런 능력.
    全: 온전할 知: 全: 온전할 能: 능할

  • 弊絶風淸(폐절풍청) : 폐단이 없어지고 풍습이 맑아진다는 뜻으로, 나라가 잘 다스려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弊: 해어질 絶: 끊을 風: 바람 淸: 맑을

  • 因果應報(인과응보) : 전생에 지은 선악에 따라 현재의 과 불이 있고, 현세에서의 선악의 결과에 따라 내세에서 과 불이 있는 일.
    因: 인할 果: 실과 應: 응할 報: 갚을

  • 慈悲萬行(자비만행) : 자비심을 갖고 하는 갖가지 수.
    慈: 사랑 悲: 슬플 萬: 일만 行:

  • 無方之民(무방지민) : 도를 할 줄 모르는 백성(百姓).
    無: 없을 方: 之: 民: 백성

  • 就有道而正(취유도이정) : 평소(平素) 자기(自己)가 (行)하는 바가 옳은지 그른지를 학덕(學德)이 높은 이에게 물어 바로잡음.
    就: 이룰 有: 있을 道: 而: 말 이을 正: 바를

  • 見義不爲無勇也(견의불위무용야) : 의(義)를 보고 (行)하지 아니하는 것은 용기(勇氣)가 없는 것임.
    見: 義: 옳을 不: 아니 爲: 無: 없을 勇: 날랠 也: 잇기

  • 破邪顯正(파사현정) : 사견(邪見)과 사도(邪道)를 깨고 정법(正法)을 드러내는 일. 삼론종의 근본 교의이다.
    破: 깨뜨릴 邪: 간사할 顯: 나타날 正: 바를

  • 取適非取魚(취적비취어) : 낚시질을 하는 참뜻이 고기 잡는 데에 있지 않고 세상 생각을 잊고자 하는 데에 있다는 뜻으로, 어떤 동의 목적이 거기에 있지 않고 다른 데에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取: 취할 適: 非: 아닐 取: 취할 魚: 고기

  • 馬上奉導(마상봉도) : 임금이 거둥할 때, 임금이 말 위에 오르면 일산(日傘)을 우긋하게 잘 받쳐 들고 편히 모시라고 지휘하고 감독하던 일.
    馬: 上: 奉: 받들 導: 이끌

  • 李下不整冠(이하부정관) : 자두나무 밑에서는 갓을 바루지 않는다는 뜻으로, 자두나무 밑에서 갓을 고쳐 쓰면 도둑으로 오인되기 쉬우니 남에게 의심 살 만한 일은 피하는 것이 좋다는 말. ≪문선(文選)≫의 <군자(君子行)>에 나오는 말이다.
    下: 아래 不: 아닌가 整: 가지런할 冠:

  • 朝聞道夕死可矣(조문도석사가의) : 아침에 천하(天下)가 올바른 정도(正道)로 (行)해지고 있다는 말을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뜻으로, 사람이 참된 이치(理致)를 깨달으면 당장 죽어도 한(恨)이 없다는 뜻으로 쓰이며, 짧은 인생(人生)을 값있게 살아야 한다는 의미(意味).
    朝: 아침 聞: 들을 道: 夕: 저녁 死: 죽을 可: 옳을 矣: 어조사

  • 生知安行(생지안행) : 천성이 총명하여 배우지 아니하고도 사물의 이치를 깨달으며 편안한 마음으로 쉽게 도(道)를 함.
    生: 知: 安: 편안할 行:

  • 乞人憐天(걸인연천) : 거지가 하늘을 불쌍히 여긴다는 뜻으로, 불한 처지에 놓여 있는 사람이 부질없이 복한 사람을 동정함을 이르는 말.
    乞: 人: 사람 天: 하늘

  • 行易知難(행이지난) : 하기는 쉬우나 알기는 어렵다는 뜻으로, 앎을 얻는다는 것은 극히 어려우나, 이미 앎에 이르러서는 그 아는 바에 의해서 이를 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는 의미.
    行: 易: 쉬울 知: 難: 어려울

  • 瓜田不納履(과전불납리) : 오이밭에서는 신을 고쳐 신지 말라는 뜻으로, 의심받기 쉬운 동은 하지 말아야 함을 이르는 말. ≪문선(文選)≫의 <고악부(古樂府)> ‘군자(君子行)’에 나오는 말이다.
    瓜: 오이 田: 不: 아니 納: 들일 履: 밟을

  • 殺身成仁(살신성인) : 자기의 몸을 희생하여 인(仁)을 이룸. ≪논어≫의 <위령공편(衛靈公篇)>에 나오는 말이다.
    殺: 죽일 身: 成: 이룰 仁: 어질

  • 自受用身(자수용신) : 수이 끝나 복덕과 지혜가 원만하고 밝아 늘 진리를 관조하여 스스로 그 법락(法樂)을 받는 불신(佛身).
    自: 스스로 受: 받을 用: 身:

  • 知行合一(지행합일) : 지식과 동이 서로 맞음.
    知: 行: 合: 합할 一:

  • 太平人樂德而惡刑(태평인락덕이오형) : 태평(太平)한 세상(世上) 사람은 덕을 (行)하기는 즐기나, 형법(刑法)에 저촉(抵觸)됨은 몹시 싫어함.
    太: 平: 평평할 人: 사람 樂: 즐거울 德: 而: 말 이을 惡: 미워할 刑: 형벌

  • 令行禁止(령행금지) : (1)명령에 따라 움직이고 멈춤. 사람들이 법령을 잘 따르고 지키는 것을 이른다. (2)‘영금지’의 북한어.
    行: 禁: 금할 止: 그칠

  • 富貴在天(부귀재천) : 부귀를 누리는 일은 하늘의 뜻에 달려 있어 사람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富: 가멸 貴: 귀할 在: 있을 天: 하늘

#마음 496 #세월 71 #정도 153 #이름 211 #조금 96 #중국 253 #의미 1817 #모습 66 #따위 228 #아내 81 #이익 89 #생각 236 #관계 90 #재능 61 #벼슬 88 #음식 79 #사이 200 #자식 104 #바람 136 #때문 58 #상황 119 #서로 71 #근심 65 #문장 59 #아침 72 #지위 65 #방법 59 #태도 72 #잘못 93 #자리 9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8개) : 하, 학, 한, 할, 핡, 함, 합, 핫, 항, 해, 핵, 핸, 햄, 햇, 행, 향, 허, 헉, 헌, 헐, 험, 헛, 헝, 헤, 헥, 헬, 헴, 헵, 헷, 헹, 혀, 혁, 현, 혈, 혐, 협, 형, 혜, 혬, 호, 혹, 혼, 홀, 홈, 홉, 홍, 홑, 화, 확, 환, 활, 황, 홰, 홱, 횅, 회, 획, 횟, 횡, 효, 후, 훅, 훈, 훌, 훍, 훔, 훗, 훙, 훠, 훤, 훨, 훰, 훼, 휀, 휑, 휘, 휙, 휠, 휨, 휭, 휴, 흄, 흉, 흐, 흑, 흔, 흘, 흙, 흠, 흥, 흨, 희, 힁, 히, 힐, 힘, 힝, 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