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562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28개 세 글자:206개 네 글자:93개 다섯 글자:52개 여섯 글자 이상:82개 🐬모든 글자: 562개

  • 화개 : (1)의장(儀仗)으로 쓰던 황룡을 그린 일산(日傘).
  • 하다 : (1)세력이 있는 사람의 도움으로 출세하다. 용의 비늘을 끌어 잡는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 지연 : (1)‘용지연’의 북한어.
  • 화되다 : (1)(비유적으로) 규모가 매우 커지다.
  • 천검 : (1)‘용천검’의 북한어.
  • 단지 : (1)주로 호남에서 모시는 가신(家神)의 신체(神體). 쌀이나 한지(韓紙)를 넣고 주저리를 덮어 집 뒤꼍의 나무 밑에 묻는다.
  • 차 치고 포 치고 의 알 뽑아서 볶아 먹는다 : (1)장기에서 차를 치고 잇따라 포를 쳐서 잡듯이, 이리 치고 저리 치고 하면서 용의 알을 뽑아 볶아 먹을 만큼 몹시 재빠르고 약은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1)평안북도 구장군 용문산 남쪽에 있는 종유굴. 종유와 석순이 갖가지 모양을 이루는데, 금강산과 비교하여 지하 금강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카르스트 지형의 대표적인 것이다. 길이는 4~5km.
  • 익수 : (1)중생대에 살던, 날개가 있고 꼬리는 없는 익룡류의 화석 동물. 쥐라기 후기와 백악기 후기에 걸쳐 많이 번성하였고, 대표적인 것으로 프테로닥틸루스와 프테라노돈이 있다.
  • 동방 토 : (1)조선 시대에, 오방 토룡제를 지내던 제단의 하나. 서울 동대문 밖 선농단의 옆에 있었다.
  • 마케팅 : (1)2012년 흑룡의 해를 맞이하여 흑룡 무늬나 검은색이 포함된 제품이나 광고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
  • 한상 : (1)금융인(1880~?). 1909년 한국은행 설립 위원이 되어 금융계에 종사하였으며, 한성 은행의 지배인, 동양 척식 주식회사의 고문 등을 역임하였다. 일제 강점기에 각종 정치, 사회단체의 임원으로 친일 행각을 하였다.
  • 공원 : (1)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공원. 서울 성곽 부근에 조성된 공원으로, 1984년에 개장하였다. 테니스장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인근에 삼청 공원, 창덕궁이 있다.
  • : (1)‘용차’의 북한어.
  • 림군 : (1)광복 이후 북한이 신설한 군의 하나. 자강도에 속해 있으며 1952년 12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전천군에서 갈라져 나와 신설되었다. ⇒남한 규범 표기는 ‘용림군’이다.
  • : (1)삼국 시대 이전에, 평안남도 용강군 지역에 있던 부족 국가. 뒤에 고구려에 합병되었다.
  • 봉추 : (1)엎드린 용과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아직 드러나지 않은 우수한 인재를 이르는 말. ≪촉지≫의 <제갈량전(諸葛亮傳)> 주(注)에 나오는 말이다.
  • : (1)신라 때에, 내성에 속한 관서. 경덕왕 때에 병촌궁전을 현룡정으로 개칭하였다가, 뒤에 원래 이름으로 환원하였다.
  • : (1)‘용향’의 북한어.
  • : (1)송나라 때 황룡사에서 혜남(慧南)이 크게 일으킨 선종의 분파.
  • : (1)현삼과에 속한 냉초(冷草)의 생약명. 전초(全草)를 약용하며 거풍, 제습, 해독, 지통에 효능이 있어 근육통, 감기, 방광염 따위를 치료하는 데 쓴다.
  • : (1)한자 부수의 하나. ‘龔’, ‘龕’ 따위에 쓰인 ‘龍’을 이른다.
  • 고반 : (1)중국 명나라의 학자(1562~1626). 자는 운종(雲從)ㆍ존지(存之). 호는 경일(景逸). 동림당(東林黨)의 대표적 인물로, 위충현(魏忠賢)등이 조직한 엄당(閹黨)과 대립하다 모함을 받아 자살하였다. 저서로 ≪춘추공의(春秋孔義)≫, ≪이정절록(二程節錄)≫, ≪주역이간설(周易易簡說)≫, ≪고자유서(高子遺書)≫ 등이 있다.
  • : (1)태봉(泰封)에서, 말(馬)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 절치 : (1)파충류의 화석 동물.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쥐라기에 생존하였다.
  • 김삼ㆍ이주하 사건 : (1)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전후하여, 남한 정부 전복을 기도하던 김삼룡과 이주하가 1950년 3월에 체포된 사건. 북한은 조만식과 이들을 교환하자고 제안하였으나 성사되지 못하였고, 김삼룡과 이주하는 육이오 전쟁 발발 직후 처형되었다.
  • : (1)풍수지리에서, 높았다 낮았다 하며 멀리 뻗어 나간 산맥.
  • 정기 장군 유물 : (1)경상북도 상주시 사벌면 상주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중기의 무신 정기룡의 유물. 교서 두 축, 유서 한 매, 교지 한 매 따위의 고문서 세 점과 옥대(玉帶) 한 개, 신패 한 폭 따위의 유물 두 점이 일괄 지정되었다. 보물 정식 명칭은 ‘정기룡 유물’이다.
  • 사 대웅전 : (1)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관룡사에 있는 조선 시대의 불전. 앞면 세 칸, 옆면 세 칸으로 되어 있으며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안쪽은 우물천장으로 장식하였는데, 불단 위쪽은 한 단을 높인 점이 독특하다. 태종 1년(1401)에 지었으나 임진왜란 때 불탔고, 광해군 9년(1617)에 고쳐 이듬해에 완성하였다. 보물 정식 명칭은 ‘창녕 관룡사 대웅전’이다.
  • 익지 : (1)중생대에 살던, 날개가 있고 꼬리는 없는 익룡류의 화석 동물. 쥐라기 후기와 백악기 후기에 걸쳐 많이 번성하였고, 대표적인 것으로 프테로닥틸루스와 프테라노돈이 있다.
  • 청자 구형 주전자 : (1)고려 시대에 제작된, 연꽃 받침 위에 앉은 거북의 형상을 한 청자 물병. 12세기 전반기에 만들어진 격조 높은 공예 조각품이다. 높이는 17cm. 국보 제96호. (2)고려 시대에 제작된, 연꽃 받침 위에 앉은 거북의 형상을 한 청자 주전자. 거북의 머리가 전형적인 고려 시대의 양식을 보이고 있다. 높이는 17.2cm. 보물 제452호.
  • 담초 : (1)‘용담초’의 북한어.
  • 김상 : (1)무용가(1916~2004). 중요 무형 문화재 제68호로, 밀양 백중놀이 오북춤 예능 보유자이다.
  • 이봉 : (1)대중가요 작곡가(1914~1987). 아명은 이봉용(李鳳用). 목포 출생이다. 대표곡으로는 <가거라 똑딱선>, <여수야화>, <낙화유수>, <목포는 항구다> 등이 있다.
  • 운종풍종호 : (1)용 가는 데 구름 가고 범 가는 데 바람 간다는 뜻으로, 뜻과 마음이 맞는 사람끼리 서로 좇음을 이르는 말.
  • 양위 : (1)‘용양위’의 북한어.
  • 분청사기 상감 운문 항아리 : (1)조선 시대에 제작된 분청사기 항아리. 인화 기법과 상감 기법을 이용하여 무늬를 찍었다. 15세기 전반에 제작된 분청사기 항아리의 전형적인 형태를 보인다. 국립 중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국보 제259호.
  • 울음 : (1)‘용울음’의 북한어.
  • : (1)‘용날’의 북한어.
  • : (1)‘용띠’의 북한어.
  • 양호시 : (1)‘용양호시’의 북한어.
  • : (1)‘용상’의 북한어. (2)‘용상’의 북한어. (3)‘용상’의 북한어.
  • 조자이 헌 창[칼] 쓰듯 : (1)돈이나 물건을 헤프게 쓰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조 : (1)왕세자와 세자빈의 예복(禮服) 양쪽 어깨와 가슴, 등에 붙이던 헝겊 조각. 네 개의 발톱을 가진 용을 수놓았다.
  • 수석 : (1)‘용수석’의 북한어.
  • 연향 : (1)‘용연향’의 북한어.
  • 왕제 : (1)‘용왕제’의 북한어.
  • 기우제 : (1)북방 토룡단에서 북쪽을 맡은 흑룡에게 비를 빌던 제사.
  • : (1)함경북도 종성군, 경원군 등지를 거쳐 두만강으로 흘러드는 내. 두만강의 하류부에 흘러 들어가는 지류 가운데 남쪽의 아오지천(阿吾地川)과 함께 주요한 하천이다. 길이는 66km.
  • : (1)‘용몽’의 북한어.
  • 토수 : (1)석가모니가 탄생할 때 아홉 마리의 용이 물을 뿜어 목욕을 시킨 일.
  • 굿 : (1)장독에 축원을 드리는 굿.
  • : (1)‘산용담’의 북한어.
  • : (1)중국의 증양일(曾楊一)이 편찬한, 풍수지리학에 관한 술서(術書). 조선 시대에는 지리학 과거 과목 가운데 하나였다.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 광양 옥사지 : (1)전라남도 광양시 백계산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절터. 옥룡사는 경문왕 4년(864)에 승려 도선이 세운 절로, 조선 후기에 화재로 폐사되었다. 이 유적에서 발견된 유물들을 통하여 당시 고승들의 장례 풍습을 알 수 있다. 사적 제407호.
  • 언월도 : (1)보병이나 기병(騎兵)이 쓰던 긴 칼을 이르던 말. 날은 반달 모양이고, 칼등의 중간에 딴 갈래가 있어서 이중(二重)의 상모를 달도록 구멍이 있으며, 밑은 용의 아가리를 물렸다. 중국식과 우리나라식의 두 가지가 있는데, 우리나라 것의 전체 길이는 일곱 자로 중국 것보다 조금 길다.
  • 경주 황사지 : (1)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에 있는, 신라 때의 절터. 신라 진흥왕 때에 착공하여 선덕 여왕 14년(645)에 완성한 것으로, 신라 호국 신앙의 중심지였다. 고려 고종 때에 몽골군의 침입으로 소실되어 지금은 터만 남아 있다. 사적 제6호.
  • 자연 휴양림 : (1)전라북도 장수군 천천면에 있는 자연 휴양림. 1996년에 개장하였다. 팔공산에 위치하며, 맑은 계곡물이 흐르는 곳으로 한옥 체험관, 야영장, 물썰매장, 수영장, 잔디 구장 따위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총면적은 86만 4000㎡.
  • : (1)풍수지리에서, 으뜸이 되는 산줄기를 찾는 일.
  • 김원 : (1)고고 미술사학자(1922~1993). 호는 삼불(三佛). 공주 무령왕릉과 전곡리 구석기 유적의 발굴을 주관하였다. 저서에 ≪한국 고고학 개론≫, ≪한국 미술사≫ 따위가 있다.
  • 강올보리 : (1)겉보리에 속하는 조생종의 봄보리. 생육 기간이 짧은 이모작 지대에서 앞그루로 심는 데 알맞다. ⇒남한 규범 표기는 ‘용강 올보리’이다.
  • 거치 : (1)협룡류(頰龍類)의 화석 동물. 몸의 길이는 2.5미터 이상이며, 고생대 이첩기에서 중생대 삼첩기에 번성하였던 파충류이다. 남아프리카 및 러시아의 북부에서 완전한 골격이 발견되었다.
  • 서방 토 : (1)조선 시대에, 오방 토룡제를 지내던 제단의 하나. 서울 마포 부근에 설치하였다가 뒤에 양화도 옆으로 옮겼다.
  • : (1)‘용가’의 북한어.
  • : (1)고려 시대에, 대궐을 지키던 경비 장교.
  • 김창 : (1)판소리의 명창(1872~1935). 김정근의 아들로, 이날치(李捺致)를 스스으로 섬기어 판소리로 독자적인 경지를 이루었다.
  • : (1)파충강, 쌍궁아강, 조반목 가운데 하목 또는 아목을 포함하는 공룡류. 백악기에 생존하였다.
  • 린벽려 : (1)‘담쟁이덩굴’의 북한어. ⇒남한 규범 표기는 ‘용린벽려’이다.
  • : (1)이십팔수 가운데 동쪽에 있는 일곱 별. 각(角), 항(亢), 저(氐), 방(房), 심(心), 미(尾), 기(箕)를 통틀어 이른다. (2)사신(四神)의 하나. 동쪽 방위를 지키는 신령을 상징하는 짐승이다. 용 모양으로 무덤 속과 관의 왼쪽에 그렸다. (3)풍수지리에서, 주산(主山)에서 왼쪽으로 갈려 나간 산줄기. 여럿일 때는 내청룡과 외청룡으로 나누어 이른다. (4)중국 삼국 시대 위(魏)나라 명황제 때의 두 번째 연호(233~237). (5)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후연(後燕) 난한(蘭汗) 때의 연호(398). 398년 4월부터 3개월 동안 사용하였다. (6)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후조(後趙) 의양왕(義陽王) 때의 연호(350). 350년 정월부터 3개월 동안 사용하였다.
  • 기업 : (1)규모가 매우 큰 기업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고기 : (1)‘산갈치’의 북한어. ⇒남한 규범 표기는 ‘용고기’이다.
  • : (1)가운데가 높고 세로로 골이 진, 말총으로 만든 관(冠). 중국 삼국 시대에 제갈량이 이런 관을 썼다고 한다.
  • 독안 : (1)애꾸눈의 용이라는 뜻으로, 애꾸눈을 가진 영웅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희종(僖宗) 말년(873), 황소의 난 때 애꾸눈인 이극용이 황소의 부대를 맹렬히 공격하여 장안에서 몰아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 이해 : (1)조선 선조 때의 서예가(?~?). 자는 해수(海叟). 호는 북악(北嶽). 임진왜란 때 역관(譯官)으로 활약하였고, 해서(楷書)에 뛰어나 한호(韓濩)에 필적하는 명필이라는 격찬을 받았다.
  • : (1)‘용좌’의 북한어. (2)‘용좌’의 북한어.
  • 호방 : (1)‘용호방’의 북한어.
  • 과산 : (1)꼭두서닛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줄기는 높이가 1미터 정도이며, 모가 지고 속이 비어 있다. 잎은 4개씩 돌려나며 콩팥 모양 또는 긴 달걀 모양이다. 7~8월에 노란 꽃이 많이 피고 둥근 모양의 장과(漿果)는 검게 익는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물감의 원료나 진통제로 쓴다. 산과 들에 자라고 한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분해세 : (1)거문고 연주에서, 창룡이 바다를 뒤흔드는 듯한 기운으로 연주하라는 말.
  • : (1)임금이 입던 정복. 누런 빛이나 붉은 빛의 비단으로 지었으며, 가슴과 등 및 어깨에는 용의 무늬를 수놓았다.
  • 호상박 : (1)‘용호상박’의 북한어.
  • : (1)러시아와 중국의 국경 부근을 흐르는 강. 몽골 북부의 오논강에서 나와 동쪽으로 흘러 타타르 해협으로 들어간다. 길이는 4,352km. (2)한국의 극작가인 유치진이 쓴 희곡. 친일 희곡 작품으로, 일제가 만주를 점령한 후 한국 농민들을 그곳으로 이주시킨 뒤 만주를 개간하여 옥토로 만들어 보려는 의지를 작품화한 것이다.
  • 삼각 : (1)화석 생물로 파충강 공룡목 각룡하목의 일속. 머리뼈가 몸길이의 1/3에 달하고, 세 개의 뿔이 있다.
  • : (1)한 쌍의 용을 그린 무늬.
  • : (1)금으로 만들거나 금빛을 칠한 용. (2)중생대 백악기에 성하였던 파충류. 몸의 길이는 10미터 정도이다. 앞다리는 주로 먹이를 쥐는 데 사용하고, 뒷다리로는 걸으며 긴 꼬리로 몸의 균형을 잡은 것으로 추정된다. 초식성이며, 벨기에의 탄광에서 완전한 골격이 다수 발견되었다.
  • 사비등 : (1)‘용사비등’의 북한어.
  • 이명 : (1)3ㆍ1 운동 때 민족 대표 33인의 한 사람(1873~1956). 호는 춘헌(春軒). 105인 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치르고 1919년 기독교 대표로 독립운동을 지도하였다. 1945년 광복 후 평양에서 조선 민주당 조직에 참여하고, 후에 월남하여 여러 단체의 장을 지냈다.
  • 상주 복동 유적 : (1)경상북도 상주시 복룡동 일대에 있는 생활 유적. 통일 신라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는 생활 유구가 전 지역에 분포하여 옛 서민 생활상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사적 제477호.
  • 뇌향 : (1)‘용뇌향’의 북한어.
  • : (1)‘용안’의 북한어. (2)‘용안’의 북한어.
  • : (1)‘용작’의 북한어.
  • 신굿 : (1)‘용신굿’의 북한어.
  • : (1)돌조갯과의 하나. 껍데기에는 부챗살마루가 있다. 9~10월에 산란하며 모래 진흙 속에 사는데, 요리에 많이 쓰인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트림하다 : (1)‘용트림하다’의 북한어.
  • : (1)‘용총’의 북한어.
  • : (1)풍수지리에서, 묘지 뒤의 내룡(來龍)을 찾아보는 일. 내룡이 어떠한가에 따라 산소의 복되고 복되지 않음이 결정된다. (2)풍수지리에서, 종산(宗山)에서 내려온 산줄기.
  • 우복 : (1)조선 중기의 문신(1547~1613). 자는 현길(見吉). 호는 구암(懼庵)ㆍ동계(東溪). 임진왜란 때 용궁현감(龍宮縣監)으로서 끝까지 고을을 지킨 공이 인정되어 안동 부사에 올랐다. 저서에 ≪구암집≫, ≪동계잡록≫ 따위가 있다.
  • : (1)바닷속에 산다는 용왕.
  • 고성 공 세계 엑스포 : (1)경상남도 고성군에서 공룡을 주제로 3년마다 열리던 박람회. 2006년에 처음 개최되었으며 2016년에 폐장되었다.
  • : (1)용틀임을 그린 밀초.
  • 막시 : (1)중국 명나라 말기의 서화가(1539?~1586?). 자는 운경(雲卿)ㆍ정한(廷韓). 한림원 대조(待詔) 벼슬을 사양하고, 생애를 평민으로 마쳤다. 그가 제창한 남북이종론(南北二宗論)은 후에 남종화의 우위를 결정짓는 근본이 되었다. 저서에 ≪화설(畫說)≫, ≪석수재집≫ 따위가 있다.
1 2 3 5 6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4개) : 라, 락, 란, 랄, 람, 랍, 랑, 래, 랙, 랜, 램, 랩, 랬, 랭, 랴, 략, 량, 러, 럭, 런, 럼, 레, 렌, 렘, 렙, 렛, 려, 력, 련, 렴, 령, 례, 로, 록, 론, 롤, 롬, 롱, 롸, 뢰, 룀, 료, 룡, 루, 룩, 룬, 룰, 룸, 룹, 류, 륙, 륜, 률, 르, 륵, 를, 릉, 리, 릭, 린, 릴, 림, 립, 링

실전 끝말 잇기

룡으로 시작하는 단어 (149개) : 룡, 룡가, 룡가봉생, 룡각석, 룡갈기, 룡강기나리, 룡강올보리, 룡거, 룡고, 룡고기, 룡골, 룡골꼬마수레벌레, 룡골돌기, 룡골버들잎벌, 룡교의, 룡궁, 룡궁당, 룡권, 룡규, 룡기, 룡꿈, 룡날, 룡녀, 룡뇌, 룡뇌나무, 룡뇌소합원, 룡뇌향, 룡다리, 룡담, 룡담건위산 ...
룡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149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룡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562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