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0,598개

한 글자:1개 두 글자:514개 세 글자:2,248개 네 글자:2,997개 다섯 글자:1,831개 여섯 글자 이상:3,007개 💘모든 글자: 10,598개

  • 공삼공 세대 : (1)20대에서 30대에 해당하는 세대.
  • 공수 : (1)고려 공민왕 때의 문신(1308~1366). 호는 남촌(南村). 공민왕 10년(1361) 홍건적이 침입하자 왕의 남행(南行)을 수행하였고, 원나라가 공민왕을 폐위하고 덕흥군(德興君)을 세우려 하자 이를 미리 대비하게 하였다.
  • 공오공 세대 : (1)20대에서 50대에 해당하는 세대.
  • 공이 : (1)맹인(盲人)의 은어로, ‘귀’를 이르는 말. (2)맹인(盲人)의 은어로, ‘배’를 이르는 말.
  • 공좌 : (1)중국 당나라의 소설가(?~?). 자는 전몽(顓蒙). 9세기 전반에 주로 활동을 했으며, 강회(江淮)와 종릉(鐘陵)의 종사(從事)를 비롯하여 양부녹사참군(揚府祿事參軍) 등을 지냈다. 주요 작품으로는 ≪남가태수전(南柯太守傳)≫, ≪사소아전(謝小娥傳)≫ 따위가 있다.
  • 공탄 : (1)두 개의 구멍이 뚫린 연탄.
  • 공팔공 법칙 : (1)80%의 결과가 20%의 원인에 따라 결정되는 현상. 대체로 핵심적인 소수가 대부분의 결과를 만들어 낸다는 것으로 이해되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 : (1)소승 불교에서, 수혹의 구품 가운데 상육품을 끊은 성자. 남은 하삼품의 수혹 때문에 반드시 인간계와 천상계를 한 번 왕래한 뒤 열반에 드는 성문(聲聞)의 두 번째 지위이다. (2)조선 초기에, 서리(胥吏)를 뽑기 위한 시험. 세종 때부터는 녹사(錄事) 등 상급 서리를 뽑는 것으로 한정되었다. (3)귀에 생기는 병을 진찰하고 치료하는 의학 분야. (4)다육과(多肉果)의 하나. 씨방은 응어리가 되고 그 바깥쪽을 다육부가 둥글게 둘러싸고 있다. 배, 사과 따위가 있다. (5)자연계의 원리나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 물리학, 화학, 동물학, 식물학, 생리학, 지질학, 천문학 따위가 있다. (6)세금 따위를 다른 사람에게 부과함.
  • 과계 : (1)자연계의 원리나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의 계통.
  • 과대 : (1)수학, 물리학 따위의 자연 과학 부문을 전공하는 단과 대학.
  • 과 대학 : (1)수학, 물리학 따위의 자연 과학 부문을 전공하는 단과 대학.
  • 과반 : (1)이과와 관련된 교과목의 수업 시수가 더 많고 그 교과목을 깊이 있게 배우는 반.
  • 과생 : (1)이과와 관련된 교과목이나 분야를 공부하는 학생.
  • 과의 : (1)귓병을 전문으로 고치는 의사.
  • 과지사 : (1)이미 지나간 일.
  • 과 취재 : (1)조선 시대에, 서리(胥吏)를 뽑던 특별 채용 시험.
  • 과탑 : (1)세 층으로 된 수타원(須陀洹)과 사타함(斯陀含)의 성문 탑(聲聞塔).
  • 과하다 : (1)세금 따위를 다른 사람에게 부과하다.
  • 과학 : (1)귀와 그 기능 및 귀에 생기는 병을 연구하는 학문.
  • : (1)중국 은나라 이윤(伊尹)과 한(漢)나라의 곽광(霍光)을 함께 이르는 말. (2)‘귓바퀴’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 곽지사 : (1)나라를 위하여 왕을 내쫓거나 맞아들이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은나라의 명상(名相) 이윤이 태갑(太甲)을 동궁(桐宮)에서 내쫓아 악행을 고치게 하고, 전한(前漢)의 곽광이 창읍왕(昌邑王) 하(賀)를 폐하고 효선제(孝宣帝)를 옹립한 데에서 유래한다.
  • 곽파 : (1)중국 화파의 하나. 북송의 이성과 곽희의 산수화 양식을 총합하여 계승한 화가들을 이른다. 한림평원을 대관적(大觀的) 구도로 잡으며, 나뭇가지는 게의 발톱처럼 보이도록 그리는 해조묘가 특징이다.
  • : (1)가운데귀와 코인두를 연결하는 길이 약 3.5cm의 관. 고실과 바깥의 기압을 같게 조절하는 구실을 한다. (2)고려 시대에, 법률ㆍ소송ㆍ형옥(刑獄)ㆍ노예 따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3)조선 시대에, 법률ㆍ소송ㆍ형옥ㆍ노예 따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 (4)대승 불교에서, 진여(眞如)ㆍ실상(實相)ㆍ불성(佛性) 따위의 이치를 관찰하는 일. (5)천태종에서, 사물을 초월하여 바로 진여의 본체로 들어가는 일. (6)색다른 경치. (7)아주 좋은 경치. (8)본관을 떠나서 타향에다 적(籍)을 옮김. (9)관할을 옮김. 또는 옮기어 관할함. (10)받은 공문이나 통첩을 다른 부서로 다시 보내어 알림. 또는 그 공문이나 통첩.
  • 관 개방증 : (1)이관이 지속적으로 너무 열려 있는 증상. 자신의 소리가 크게 들리는 증상이다.
  • 관 고실구 : (1)고실의 앞 벽에 귀관이 열리는 구멍.
  • 관 관제 기관 : (1)업무의 이관을 행하는 관제 기관. 관제사를 포함한다.
  • 관 관제 기구 : (1)업무의 이관을 행하는 관제 기관. 관제사를 포함한다.
  • 관 관제사 : (1)한 항공기가 관제 영역에서 벗어나면 항공 교통관제 업무를 다른 관제 기관에게 이양하는 관제사.
  • 관구 : (1)나비뼈의 가시부 안쪽에 위치한 고랑. 이관 연골부의 일부가 들어 있다.
  • 관 구개 주름 : (1)이관 입구의 앞쪽 가장자리부터 입천장까지 이어진 점막성의 주름.
  • 관규천 : (1)대롱으로 하늘을 엿본다는 뜻으로, 사람의 견문(見聞)이 매우 좁음을 이르는 말.
  • 관 기구 관제사 : (1)한 항공기가 관제 영역에서 벗어나면 항공 교통관제 업무를 다른 관제 기관에게 이양하는 관제사.
  • 관 농루 : (1)귀관으로부터 나오는 삼출액.
  • 관되다 : (1)관할이 옮겨지다. 또는 옮겨져 관할이 되다.
  • 관명 : (1)조선 영조 때의 문신(1661~1733). 자는 자빈(子賓). 호는 병산(屛山). 경종 때 아우 이건명이 신임사화로 극형에 처하여지자, 이에 연좌되어 덕천에 귀양 갔다가 영조 때에 풀려나 좌의정이 되었다. 저서에 ≪병산집≫이 있다.
  • 관염 : (1)이관에 일어나는 염증. 상인두염(上咽頭炎)의 파급이 원인이 되어 난청 또는 귓속 가려움증 따위를 일으킨다.
  • 관왕 : (1)운동 경기에서, 두 종목 또는 두 부문을 모두 우승하거나 수위를 차지한 사람.
  • 관 인두구 : (1)이관이 코 인두로 열리는 구멍.
  • 관 인두근 : (1)이관 연골 부분에서 일어나 인두의 세로 근육층으로 닿는 근육. 인두를 올리는 작용을 한다.
  • 관 인두 주름 : (1)이관 융기의 아래쪽 끝부터 인두 벽을 따라 뻗어 있는 점막 주름. 깊은 곳에 이관 인두근이 있다.
  • 관점 : (1)관자뼈 바위 부분의 아래쪽 끝 점.
  • 관지 : (1)가운데귀와 코 인두를 연결하는 관에 분포하는 감각 신경 가지.
  • 관징 : (1)조선 숙종 때의 문신(1618~1695). 자는 국빈(國賓). 호는 근옹(芹翁)ㆍ근곡(芹谷). 현종 1년(1660) 제일 차 복상 문제로 쫓겨난 허적 등을 구제하려다 전라도 도사로 좌천되고, 숙종 즉위 후 신임을 얻어 경연관, 예조 판서, 이조 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관청 : (1)시나위 대금의 중심 음. 대금 여섯 구멍 가운데 제1ㆍ제2 구멍을 막고 나머지는 열고 내는 소리.
  • 관 팔성 : (1)일본 율령 체제하의 기본적인 중앙 관제. 신기관(神祇官)ㆍ태정관(太政官)의 이관(二官)과 중무성(中務省)ㆍ식부성(式部省)ㆍ치부성(治部省)ㆍ민부성(民部省)ㆍ대장성(大蔵省)ㆍ형부성(刑部省)ㆍ궁내성(宮内省)ㆍ병부성(兵部省)을 통틀어 이르던 말이다.
  • 관 편성 : (1)관현악의 악기 편성에서, 목관 악기군을 편성할 때 목관 악기를 각각 두 개씩 배치하는 일.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각각 두 개에 금관 악기와 현악기 들로 편성된다.
  • 관하다 : (1)본관을 떠나서 타향에다 적(籍)을 옮기다. (2)관할을 옮기다. 또는 옮기어 관할하다. (3)받은 공문이나 통첩을 다른 부서로 다시 보내어 알리다.
  • 관 협착증 : (1)이관 폐색과 고막 내함이 나타나는 증상. 비인두염, 아데노이드 따위가 원인이 되어 이관이 좁아진 상태를 말한다. 고실의 공기는 흡수되고 음압을 위하여 고막은 내함되며, 전음성 난청을 수반한다.
  • : (1)조선 인조 때의 무신ㆍ반란자(1587~1624). 자는 백규(白圭). 인조반정에 공을 세웠는데, 김유와 반목하여 평안 병사(兵使)로 좌천되자 이에 불만을 품고 인조 2년(1624)에 서울로 쳐들어와 흥안군(興安君)을 새로운 왕으로 추대하였으나, 불과 하루 만에 관군에게 패하여 도망치다가 부하에게 피살되었다. (2)중국 당나라의 제9대 황제인 ‘덕종’의 본명.
  • 괄의 난 : (1)조선 인조 2년(1624) 정월에 이괄이 주동이 되어 일으킨 반란. 인조반정 때 공을 세운 이괄이 논공(論功)에서 우대받지 못하고 평안 병사(兵使) 겸 부원수로 좌천되자 이에 불만을 품고 난을 일으켰다가, 반란이 실패하자 일부가 후금(後金)으로 도망하여 국내의 불안한 정세를 알리며 남침을 종용하였는데, 이것이 인조 5년(1627)에 정묘호란의 원인이 되었다.
  • : (1)조선 인조 때의 서예가(1589~1645). 자는 장중(藏中). 호는 기천(杞泉). 봉명(封名)은 의창군(義昌君). 선조의 여덟째 아들로 해자(楷字)에 뛰어나서 그의 편액과 금석문은 국보급으로 친다. (2)중국 한나라 때의 무장(?~B.C.119). 활을 잘 쏘고 병사를 아끼어 병사들로부터 칭송을 받았다. 흉노와의 전쟁에서 큰 공을 세워 사람들이 비장군(飛將軍)이라 불렀다. 흉노를 공격하던 도중 길을 잃었다는 죄목으로 문책을 받아 자살하였다.
  • 광래 : (1)극작가(1908~1968). 본명은 흥근(興根). 호는 온재(溫齋). 극예술 연구회에 참가하고, 극단 신협(新協)과 극협(劇協) 따위에서 활약하였다. 1935년에 <촌선생(村先生)>으로 극작에 입문하였으며, <대수양(大首陽)>, <고도(孤島) 있는 인간 광장> 따위의 작품을 남겼다.
  • 광리 : (1)중국 전한의 무장(?~B.C.90). 기원전 104년에 대완(大宛)에 원정하여 서역 여러 나라를 복속시킨 공으로 해서후(海西侯)에 봉해졌다. 뒤에 흉노 토벌에 실패하고 선우(單于)에게 피살되었다.
  • 광사 : (1)조선 후기의 서예가ㆍ양명학자(陽明學者)(1705~1777). 자는 도보(道甫). 호는 원교(員㠐)ㆍ수북(壽北). 영조 31년(1755) 나주의 벽서 사건에 연좌되어 회령과 진도에 유배되었다. 정제두에게서 양명학을 배워 아들 영익(令翊)에게 전수하였으며, 민족적인 서풍(書風)을 수립한, 조선 시대 서법 예술의 공로자이다. 저서에 ≪원교서결≫, ≪원교집선≫이 있다.
  • 광사 초상 : (1)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 국립 중앙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시대 서예가 이광사의 초상화. 노년의 모습을 우아하면서도 섬세한 필묘와 은근한 요철감으로 표현하였다. 신윤복의 아버지인 신한평(申漢枰)이 그린 초상화 가운데 유일하게 전해지는 것이다. 보물 제1486호.
  • 광사 필적 원교법첩 : (1)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 국립 중앙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서첩. 18세기의 명필인 이광사가 쓴 것으로, 만든 시기와 받는 사람이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전형적인 작첩(作帖) 방식을 보여 준다. 보물 제1677-2호.
  • 광사 행서 화기 : (1)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 국립 중앙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시대의 화기(畵記). 영조 22년(1746)에 이광사가 쓴 것으로, 왕희지의 행서에 바탕을 두면서도 자신의 개성적 필치를 드러내고 있다. 운원(運元)이라는 사람이 쓴 관기(觀記)가 딸려 있으며,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보물 제1677-1호.
  • 광수 : (1)소설가(1892~1950). 호는 춘원(春園). 1917년에 장편 소설 <무정>을 ≪매일신보≫에 연재하여 근대 문학의 개척자가 되었다. 1919년에 중국 상하이로 가서 임시 정부에서 활동하였으나, 일제 강점기 말기에 친일 행위를 하여 많은 사람의 지탄을 받기도 하였으며 6ㆍ25 전쟁 때 납북되었다. 작품에 <개척자>, <흙>, <유정>, <사랑> 따위가 있다.
  • 광자 과정 : (1)광자 두 개가 동시에 상호 작용을 하는 과정. 양자의 합의 주파수에서 흡수 효과가 나타난다.
  • 광정 : (1)조선 중기의 문신(1552~1627).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덕휘(德輝). 호는 해고(海皐). 임진왜란 때에 선조를 호위하여 따랐고, 정유재란 때는 접반사로 명나라 사신인 부사 심유경(沈惟敬)을 접대하였다. 정묘호란 때는 인조를 강화도에 모시고 갔으나 병으로 사망하였다. (2)조선 후기의 학자(1674~1756).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천상(天祥). 호는 눌은(訥隱). 조정에서 여러 차례 출사하기를 권했지만 사양하고 후학 양성에 전념하였다. 저서로는 ≪눌은문집(訥隱文集)≫ㆍ≪칠공자전(七公子傳)≫이 있다.
  • 광좌 : (1)조선 후기의 대신(1674~1740). 자는 상보(尙輔). 호는 운곡(雲谷). 소론으로, 경종 3년(1723)에 우의정, 영조 원년(1725)에 영의정에 올랐다가 노론의 등장으로 파직되었다. 영조 3년 정미환국으로 다시 영의정에 올랐다. 저서에 ≪운곡실기≫가 있다.
  • 광지 : (1)중국 청나라 때의 정치가(1642~1718). 삼번(三藩)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이 있었다. ≪성리정의(性理精義)≫와 ≪주자대전(朱子大全)≫ 등을 편찬하는 데 참여하였다. 정주학(程朱學)을 추숭하여 총애를 받았으나 관직에만 연연했다는 평가도 있다.
  • 광철 : (1)이상한 빛을 내는 철이라는 뜻으로, ‘양철’을 달리 이르는 말.
  • 광필 : (1)고려 명종 때의 화가(?~?). 화가 영(寧)의 아들. 명종과 함께 종일 그림에 열중하여 명종으로 하여금 국사(國事)까지 잊게 하였다. 작품에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가 있다. (2)중국 당 숙종 때의 장수(708~764). ‘안사의 난’을 진압하는 데 큰 공이 있었다. 명장으로 지략이 뛰어나 ‘곽자의’와 함께 이름을 떨쳤다. 환관 정원진(程元振)의 견제를 받다 죽었다.
  • : (1)육십사괘의 하나. 건괘와 태괘가 거듭된 것으로 위는 하늘, 아래는 못을 상징한다. (2)육십사괘의 하나. 간괘와 진괘가 거듭된 것으로 위는 산, 아래는 우레를 상징한다. (3)팔괘(八卦)의 하나. 상형은 ‘’으로 불을 상징한다. (4)육십사괘의 하나. 상형은 ‘’ 둘을 포갠 것으로, 밝음이 거듭됨을 상징한다.
  • : (1)고양이나 도둑을 쫓을 때 지르는 소리.
  • 괴석 : (1)한 사람이 한 번에 두 덩이를 질 수 있을 만한 크기의 돌덩이. 대개 돌담이나 벽을 쌓는 데 쓴다.
  • : (1)교설 내용, 실천 방법, 설법 형식 따위에 따라 나눈 불교의 두 갈래. 소승과 대승, 돈교와 점교, 현교와 밀교, 화교와 제교, 성도교와 정토교 따위이다. (2)불교와 도교의 두 가지 교화(敎化). (3)중국 삼국 시대에, 재색을 겸비한 것으로 유명한 오나라의 대교(大喬)와 소교(小喬) 자매. 대교는 손책(孫策)의, 소교는 주유의 아내가 되었다. (4)조선 시대에, 서리와 장교를 통틀어 이르던 말. 중인 신분으로 양반과 양민의 중간을 차지하였다. (5)중국 장쑤성(江蘇省)에 있던 흙다리. 장양이 황석공(黃石公)으로부터 태공(太公)의 병법을 전수받은 곳이다. (6)‘이교하다’의 어근. (7)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사람을 사귐. (8)중국 당나라의 시인(645~714?). 자는 거산(巨山). 당나라 초기의 근체시의 창시자이며, ≪삼교주영(三敎珠英)≫ 1,300권의 편찬을 주관하였다. 시집으로 ≪이교잡영(李嶠雜詠)≫이 있다. (9)천태종에서, 본체인 원리와 현상인 사실이 다른 것이라 하지 않고, 차별의 사실 그대로가 평등의 원리라고 이르는 가르침. (10)이단의 가르침. (11)자기가 믿는 종교 이외의 종교. (12)기독교 이외의 종교. (13)가톨릭교에서 갈라져 나간 교회. 교리는 비슷하나 예전(禮典)이 다르다.
  • 교국 : (1)이교(異敎)를 받들고 믿는 나라. (2)기독교 이외의 종교를 받들고 믿는 나라.
  • 교노령 : (1)조선 시대에, 지방 관아에 속한 서리ㆍ장교ㆍ관노ㆍ사령을 아울러 이르던 말.
  • 교대 : (1)일을 할 때에, 두 조로 나누어 일정한 시간마다 서로 교대함. 또는 그런 일.
  • 교대 근무 : (1)일을 할 때에, 근무자를 두 조로 나누어 일정한 시간마다 서로 교대하여 일을 함. 또는 그런 방식.
  • 교대 근무제 : (1)일을 할 때에, 근무자를 두 조로 나누어 일정한 시간마다 서로 교대하여 일을 하도록 정한 제도.
  • 교대제 : (1)작업을 제정된 시간만큼씩 두 교대로 하는 제도.
  • 교도 : (1)이교(異敎)를 받들고 믿는 사람. 또는 그런 무리. (2)기독교 이외의 종교를 받들고 믿는 사람. 또는 그런 무리.
  • 교도적 : (1)이교(異敎)를 받들고 믿는 사람의 성격을 가진. 또는 그런 것. (2)기독교 이외의 종교를 받들고 믿는 사람의 성격을 가진. 또는 그런 것.
  • 교익 : (1)조선 후기의 화가(1807~?). 자는 사문(士文). 호는 송석(松石). 산수화 및 꽃과 나비 그림을 잘 그렸다. 작품에 <노승소요도(老僧逍遙圖)>, <군접도(群蝶圖)> 따위가 있다.
  • 교적 : (1)이교에 관계된. 또는 그런 것.
  • 교절 아치 : (1)교절이 두 개의 지점에만 있는 아치.
  • 교주의 : (1)이교(異敎)를 믿는 입장이나 그 주의. 특히 다신교ㆍ우상 숭배와 같은 이교를 믿는 일을 기독교도의 입장에서 이르는 말이다.
  • 교차 : (1)상동 염색체에서 서로 대응하는 부분의 교환이 두 곳에서 일어나는 현상.
  • 교하다 : (1)관찰이나 판단이 날카롭고 뛰어나다. (2)이익을 취하는 데 약빠르고 간교하다.
  • 교회 : (1)가톨릭교에서 갈라져 나간 교회. 교리는 비슷하나 예전(禮典)이 다르다.
  • : (1)즐거움을 얻으려는 득구(得求)와 오래 살기를 바라는 명구(命求)의 두 가지 욕구. (2)오도(悟道)를 구하는 성구(聖求)와 세속적인 즐거움을 얻으려는 비성구(非聖求)의 두 가지 욕구. (3)‘이구하다’의 어근. (4)귓구멍 속에 낀 때. (5)말을 재치 있고 그럴듯하게 잘함. (6)이화산에서 내뿜어진 진흙이 분화구의 주위에 쌓여서 된 원뿔 모양의 언덕. (7)흙탕물이 흐르는 도랑. (8)더럽고 흐린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9)‘이구폐타’를 줄여 이르는 말. (10)만유의 본체를 이르는 말. 본체는 일체의 현상을 갖추었다는 뜻이다. (11)여러 사람의 입. (12)여러 사람의 말. (13)번뇌의 때를 벗어나는 일.
  • 구곡 : (1)송별할 때 부르는 노래 곡조.
  • 구년 : (1)중국 당나라의 궁중 악사(?~?). 악기 연주와 작곡(作曲)에 뛰어나 현종(玄宗)의 신임을 받았다. 안사(安史)의 난 이후 유랑 생활을 하다가 죽었다. 저서에 ≪위주곡(渭州曲)≫ 따위가 있다.
  • 구데칸다이온 : (1)데칸다이온의 이성질체로, 데칸의 두 번째와 아홉 번째 탄소 원자에 수소 대신 산소가 붙어 두 개의 케톤기를 가지는 사슬형 화합물. 케톤기를 가지지 않는 나머지 탄소에는 수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다. 화학식은 Math Image .
  • 구데칸다이올 : (1)데칸다이올의 이성질체로, 두 번째 탄소 원자와 결합된 수소 원자 가운데 하나와 아홉 번째 탄소 원자와 결합된 수소 원자 가운데 하나가 각각 하이드록실기로 치환되어 두 개의 하이드록실기를 가지는 사슬형 화합물. 하이드록실기가 결합되지 않은 나머지 자리에는 수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다. 화학식은 Math Image .
  • 구도데칸다이온 : (1)도데칸다이온의 이성질체로, 도데칸의 두 번째와 아홉 번째 탄소 원자에 수소 대신 산소가 붙어 두 개의 케톤기를 가지는 사슬형 화합물. 케톤기를 가지지 않는 나머지 탄소에는 수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다. 화학식은 Math Image .
  • 구동성 : (1)입은 다르나 목소리는 같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의 말이 한결같음을 이르는 말.
  • 구동음 : (1)입은 다르나 목소리는 같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의 말이 한결같음을 이르는 말.
  • 구 동인회 : (1)1961년에 경복 고등학교의 전신인 경성 제2 고등 보통학교 출신 화가 여섯 명이 조직한 국내 서양화 단체. 1964년까지 발표전을 가졌다.
  • 구메나키스 징후 : (1)선천 매독에서, 복장뼈와 빗장뼈 안쪽이 부어오르는 증상.
  • 구백 : (1)이십 대의 구십 퍼센트가 백수라는 뜻으로, 심각한 취업난으로 이십 대의 대부분이 직장을 얻지 못함을 이르는 말.
  • 구실 저 구실 : (1)이리저리 붙이는 구실.
  • 구아나 : (1)이구아나과의 하나. 몸의 길이는 1.5~2미터이고 꼬리가 길며, 잿빛을 띤 녹색에 검은색 얼룩무늬가 있다. 목 밑에는 큰 주머니가 있고 아래턱 뒤쪽에는 큰 비늘이 있다. 머리에서 꼬리에 이르는 등의 정중선에 날카로운 가시 모양의 돌기가 줄지어 있다.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데 과실, 곤충, 지렁이, 새 따위를 먹는다. 땅속에 구멍을 파고 알을 낳는데 멕시코, 미국 중남부 등지에 분포한다.
  • 구아노돈 : (1)중생대 백악기에 성하였던 파충류. 몸의 길이는 10미터 정도이다. 앞다리는 주로 먹이를 쥐는 데 사용하고, 뒷다리로는 걸으며 긴 꼬리로 몸의 균형을 잡은 것으로 추정된다. 초식성이며, 벨기에의 탄광에서 완전한 골격이 다수 발견되었다.
  • 구아수 국립 공원 : (1)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국경에 있는 이구아수 폭포를 중심으로 한 두 나라의 국립 공원을 통틀어 이르는 말. 총길이가 2,700m가 넘는 폭포를 주위로 아열대성 숲이 울창하게 우거져 있으며, 2천여 종이 넘는 관다발 식물을 비롯하여 맥ㆍ재규어ㆍ카이만 등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한다. 아르헨티나 이구아수 국립 공원은 1984년에, 브라질 이구아수 국립 공원은 1986년에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구아수 폭포 : (1)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국경에 있는 폭포. 세계 3대 폭포의 하나로 두 나라의 국립 공원이다. 폭이 4km이고 낙차는 60~82미터이다.
  • 구운데칸다이온 : (1)운데칸다이온의 이성질체로, 운데칸의 두 번째와 아홉 번째 탄소 원자에 수소 대신 산소가 붙어 두 개의 케톤기를 가지는 사슬형 화합물. 케톤기를 가지지 않는 나머지 탄소에는 수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다. 화학식은 Math Image .
1 2 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

실전 끝말 잇기

이로 끝나는 단어 (21,483개) : 보물덩이, 애받이, 코맹녕이, 물찰찰이, 항뚜껑이, 아라이, 즐거이, 평형 모드 분포 길이, 씰데없이, 가붓이, 이디티에이, 메게이, 불이, 벼래이, 재롱장이, 틈틈이, 기테이, 도링이, 주네이, 감탕마디지렁이, 개내이, 피브이, 자동 편이, 곰퉁이, 빱과이, 콘 스냅 타이, 피난살이, 시험 종이, 번득번득이, 친 투 디 아이 ...
이로 끝나는 단어는 21,483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이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0,598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