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1,120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31개 세 글자:320개 네 글자:286개 다섯 글자:145개 여섯 글자 이상:237개 🐩모든 글자: 1,120개

  • 자문수 : (1)암아미라우전좌락(唵阿味羅吽傳佐洛)의 여덟 글자를 진언(眞言)으로 하는 문수보살. 천변이나 병난 따위를 물리치기 위하여 이를 본존으로 삼는다.
  • 자미 : (1)‘팔자춘산’의 북한어. (2)몹시 성내어 얼굴을 일그러뜨렸을 때의 눈썹을 이르는 말.
  • 자서기 : (1)태껸에서, 두 발끝을 안으로 오므리거나 밖으로 벌린 채, 발을 어깨너비만큼 벌리고 서 있는 자세.
  • 자세 : (1)주식을 팔려는 기세.
  • 자소관 : (1)타고난 운수로 인하여 어쩔 수 없이 당하는 일.
  • 자수염 : (1)코 밑에 ‘八’ 자 모양으로 난 수염.
  • 자에 없다 : (1)분수에 넘쳐 어울리지 아니하다.
  • 자 열풍 : (1)중국에 자본주의 물결이 밀어닥치면서 중국인들이 횡재를 이끈다고 생각하는 숫자 8을 선호하는 현상.
  • 자오림대대기 : (1)미장할 벽체의 밑바탕을 만들기 위하여 오림대를 ‘八’ 자 모양으로 대는 일.
  • 자율 신경얼기 : (1)상완 동맥의 자율 신경얼기.
  • 자 주름 : (1)입가의 양옆에 팔자(八字) 모양으로 생긴 주름.
  • 자 주문 : (1)특정 조건에서 주문한 증권을 팔기 위하여 고객이나 위임받은 대리인이 하는 주문.
  • 자청산 : (1)여덟 팔 자 모양의 푸른 산이라는 뜻으로, 미인의 눈썹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자춘산 : (1)여덟 팔 자 모양의 봄 산이라는 뜻으로, 미인의 눈썹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자춤 : (1)꿀벌들이 근처에 꽃밭이 있다고 알릴 때 추는 춤.
  • 자치리 : (1)좋은 팔자를 타고 남
  • 자침 : (1)안쪽 면에만 ‘八’ 자 모양의 실뜸이 나타나고 겉면에는 나타나지 않는 재봉뜸. 깃 가공에서 부풂과 곡면을 얻기 위하여 쓰며, 뜸의 방향은 45도 정도이며 뜸의 길이는 0.5~0.7cm이다.
  • 자타령 : (1)불행한 자신의 운명을 한탄하거나 원망하는 일.
  • 자 특성 : (1)양지향성 마이크의 특성. 마이크로폰의 정면과 뒷면의 감도는 높고, 바로 옆의 감도는 낮다. 지향 특성의 패턴이 ‘8’ 자 모양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다.
  • 자형 붕대 : (1)관절의 위와 아래에서, 대개 팔다리의 두 부분에 교대로 적용하는 8자 모양의 붕대. 빗장뼈 골절을 치료하기 위한 특수한 붕대이다.
  • 작가 : (1)네 귀에 모두 추녀를 달아 지은 집.
  • 작 기와집 : (1)팔작지붕을 얹은 기와집.
  • 작지붕 : (1)위 절반은 박공지붕으로 되어 있고 아래 절반은 네모꼴로 된 지붕.
  • 작집 : (1)네 귀에 모두 추녀를 달아 지은 집.
  • 잡가 : (1)경기 좌창에 속하는 십이 잡가 가운데 잡잡가를 뺀 여덟 잡가. <유산가>, <적벽가>, <제비가>, <소춘향가>, <집장가>, <형장가>, <평양가>, <선유가> 따위가 있다.
  • 잡아 돌리기 : (1)씨름에서, 상대편의 몸이나 다리를 받쳐서 앞으로 기울이거나 쓰러뜨리는 기술.
  • : (1)두 손을 각각 다른 쪽 소매 속에 마주 넣거나, 두 팔을 마주 끼어 손을 두 겨드랑이 밑으로 각각 두는 일. ⇒규범 표기는 ‘팔짱’이다.
  • 장사 : (1)병자호란 때에 봉림대군이 볼모로 중국 청나라에 갈 적에 랴오양(遼陽)까지 따라간 여덟 사람. 김지웅(金志雄), 박기성(朴起星), 박배원(朴培元), 신진익(申晉翼), 오효성(吳孝誠), 장사민(張士敏), 장애성(張愛聲), 조양(趙壤)이다.
  • 장신 : (1)음양가가 모시는, 길흉의 방위를 맡아본다는 여덟 신. 태세(太歲), 대장군(大將軍), 태음(太陰), 세형(歲刑), 세파(歲破), 세살(歲煞), 황번(黃幡), 표미(豹尾)이다.
  • : (1)선정(禪定)을 방해하는 여덟 가지 법(法). 희(喜), 우(憂), 고(苦), 낙(樂), 심(尋), 사(伺), 출식(出息), 입식(入息)이다. (2)‘팔자’의 방언
  • 재간 : (1)씨름에서, 팔을 쓰는 기술.
  • 재걸음 : (1)‘팔자걸음’의 방언
  • 재계 : (1)속세에 있으면서 불교를 믿는 남자와 여자가 육재일에 지켜야 하는 여덟 가지 계행(戒行). 중생을 죽이지 말 것, 훔치지 말 것, 음행(淫行)하지 말 것, 거짓말하지 말 것, 술 먹지 말 것, 꽃다발을 쓰거나 몸에 향을 바르고 구슬로 된 장식물을 하지 말며 노래하고 춤추지 말 것, 높고 넓으며 잘 꾸민 평상에 앉지 말 것, 때가 아니면 먹지 말 것이다.
  • 재땜 : (1)‘팔자땜’의 방언
  • 재쎄미 : (1)‘팔자수염’의 방언
  • 재쒜미 : (1)‘팔자수염’의 방언
  • 재쒬지 : (1)‘팔자수염’의 방언
  • 재타령 : (1)‘팔자타령’의 방언
  • : (1)임자(壬子)에서 계해(癸亥)까지의 12일 중에서 축(丑), 진(辰), 오(午), 술(戌)의 나흘을 뺀 여드레 동안을 이르는 말. 임(壬), 계(癸)는 다 물의 뜻으로, 이 동안에 비가 많이 온다고 하며 한 해 동안에 여섯 차례가 있다.
  • 전자군 : (1)원자 또는 이온 가운데 여덟 개 원자가(原子價) 전자의 집합. 최외각(最外角) 전자가 s 전자나 p 전자인 경우에 가장 안정된 배치를 형성한다.
  • 전자 규칙 : (1)전형 원소들이 가장 바깥의 전자 껍질에 여덟 개의 전자를 가지는 상태로 반응을 진행하려고 하는 경향. 화합물을 형성할 때 원자는 전자를 얻거나 잃거나 공유하여 생성물이 가정 안정될 수 있는 상태가 되려 한다.
  • : (1)여덟 번 꺾은 것이라는 뜻으로, 전지(全紙)를 세 번 접어서 여덟 장으로 나눔을 이르는 말. (2)한 해 동안에 있는 이십사절기 가운데 여덟 절기(節氣). 입춘, 춘분, 입하, 하지, 입추, 추분, 입동, 동지를 이른다. (3)동학의 창시자인 최제우가 도를 닦는 데에 중요한 여덟 가지를 설명한 글. 한시 형태의 여덟 구절로 된 글이다. 여덟 가지는 사물을 밝게 아는 길, 덕을 아는 길, 생명이 어디에서 온 것인지를 아는 길, 도를 깨닫는 길, 지극한 정성을 아는 길, 공경을 하는 방법, 두려움을 멀리하는 길, 참다운 마음을 가지는 길로, 자기 성찰과 수행을 통하여 참다운 인간이 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 절일 : (1)팔절(八節)에 해당하는 날.
  • 절지 : (1)전지(全紙)를 세 번 접어 자른 크기의 종이.
  • 절판 : (1)가로 22cm, 세로 16.5cm 크기인 사진판.
  • 점박이먼지벌레 : (1)먼지벌렛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1cm 정도이며, 몸빛은 광택이 있는 누런 갈색이고 딱지날개에 여덟 개의 둥근 점이 있다.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점보라맵시벌 : (1)맵시벌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2cm 정도이며, 몸빛은 대체로 검은색이고 누런 흰색의 점이 많이 있으며 배는 남빛 광택이 난다. 한국, 일본,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 접근 거리 : (1)팔을 벌리어 닿을 수 있는 거리.
  • 젓기 : (1)체조 따위에서, 팔을 일정하게 규정된 동작에 따라 흔들거나 접었다 펴는 동작.
  • : (1)색계(色界)의 사선정(四禪定)과 무색계(無色界)의 사공정(四空定).
  • 정도 : (1)깨달음과 열반으로 이끄는 올바른 여덟 가지 길. 정견(正見), 정사유(正思惟), 정어(正語), 정업(正業), 정명(正命), 정정진(正精進), 정념(正念), 정정(正定)이다.
  • 정맥 : (1)팔에 분포하는 모든 정맥을 통틀어 이르는 말.
  • 정자비 : (1)팔정도의 실천에서 자비를 행함.
  • : (1)칠조 중 여섯 번째 가락. 평조와 계면조에서 청황종을 으뜸음으로 한다.
  • 조목 : (1)≪대학(大學)≫의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여덟 조목. 격물(格物), 치지(致知), 성의(誠意), 정심(正心), 수신(修身),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이다.
  • 조법 : (1)고조선 때에 시행한 여덟 가지의 금법(禁法). 살인자는 죽이고, 남을 다치게 한 자는 곡물로 배상하며, 도둑질을 한 자는 종으로 삼는다는 따위의 세 조항이 전한다.
  • 조법금 : (1)고조선 때에 시행한 여덟 가지의 금법(禁法). 살인자는 죽이고, 남을 다치게 한 자는 곡물로 배상하며, 도둑질을 한 자는 종으로 삼는다는 따위의 세 조항이 전한다.
  • 조지교 : (1)고조선 때에 시행한 여덟 가지의 금법(禁法). 살인자는 죽이고, 남을 다치게 한 자는 곡물로 배상하며, 도둑질을 한 자는 종으로 삼는다는 따위의 세 조항이 전한다.
  • 조지금법 : (1)고조선 때에 시행한 여덟 가지의 금법(禁法). 살인자는 죽이고, 남을 다치게 한 자는 곡물로 배상하며, 도둑질을 한 자는 종으로 삼는다는 따위의 세 조항이 전한다.
  • 족시 : (1)여럿이 모여 한시를 지을 때에, 아무 글자나 여덟 자를 골라 그 가운데 한 글자씩을 머리 글자로 하여 네 자로 된 구와 세 자로 된 구를 지은 뒤에, 각 사람이 지은 것을 모아 칠언 절구로 만든 한시. 오언 절구로 할 때에는 두 자로 된 구와 세 자로 된 구를 짓는다. 시회(詩會)에서 하는 일종의 놀이이다.
  • 졸림사 : (1)팔로 목이 졸려 사망함.
  • 종성 : (1)종성으로 쓰인 여덟 자의 자음을 이르는 말.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이다.
  • 종성가족용법 : (1)훈민정음 해례의 종성해에서 종성에 쓰는 글자는 팔종성으로 충분하다는 원리.
  • 종성법 : (1)받침으로 여덟 개의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을 쓰는 표기법. 훈민정음 창제 이후 16세기까지 이어오던 받침 표기법으로, 칠종성법의 등장으로 사라진다.
  • 종성 체계 : (1)종성으로 팔종성을 사용한 표기 체계. 휴지(休止)나 자음 앞에서 ‘ㅅ’, ‘ㅈ’, ‘ㅊ’, ‘ㅿ’은 ‘ㅅ’이 되고, ‘ㅋ’은 ‘ㄱ’, ‘ㅌ’은 ‘ㄷ’, ‘ㅍ’은 ‘ㅂ’으로 되며, ‘ㅇ’은 음가가 없어 종성에 쓰이지 않으므로 종성에는 결국 여덟 자만 나타난다.
  • 종시 : (1)남에게 보시하는 여덟 가지. 수지시, 포외시, 보은시, 구보시, 습선시, 희천시, 요명시, 위장엄심등시이다.
  • : (1)중국 후한ㆍ진(晉)나라 때에, 육조의 상서(尙書) 및 일령(一令), 일복야(一僕射)를 통틀어 이르던 말. (2)중국 위(魏)나라ㆍ송나라ㆍ제(齊)나라 때에, 오조(五曹)ㆍ일령ㆍ이복야를 통틀어 이르던 말. (3)중국 수나라ㆍ당나라 때에, 좌우 복야와 영(令)과 육상서를 통틀어 이르던 말.
  • : (1)팔방(八方)의 지역에서 하늘을 받치고 있다고 하는 상상의 기둥. 쿤룬산(崑崙山) 아래에 있다고 한다.
  • 주령 : (1)여덟 방향으로 갈라진 가지 끝에 방울이 달린 청동기 시대의 유물. 제의(祭儀)에 관련된 것으로 본다. 국보 제255-1호.
  • 주름 : (1)‘팔짱’의 방언
  • 주비전 : (1)조선 후기에, 서울에 둔 백각전(百各廛) 가운데 여덟 가지 가게. 선전(縇廛), 면포전(綿布廛), 면주전(綿紬廛), 지전(紙廛), 저포전(苧布廛), 포전(布廛), 내어물전, 외어물전을 이른다.
  • 죽지 : (1)어깻죽지에서 팔꿈치 사이의 부분. (2)‘죽지’의 북한어.
  • : (1)조선 태조 이성계가 가졌던 여덟 마리의 준마. 횡운골(橫雲鶻), 유린청(遊麟靑), 추풍오(追風烏), 발전자(發電赭), 용등자(龍騰紫), 응상백(凝霜白), 사자황(獅子黃), 현표(玄豹)를 이른다.
  • 준마 : (1)중국 주나라 때에, 목왕이 사랑하던 여덟 마리의 준마. 화류(華騮), 녹이(綠耳), 적기(赤驥), 백의(白義), 유륜(踰輪), 거황(渠黃), 도려(盜驪), 산자(山子)를 이르며 역사적으로 유명하다.
  • 준마라도 주인을 못 만나면 삯마로 늙는다 : (1)힘이나 재능, 기술 따위가 있을지라도 그것을 발휘할 수 있게 이끌어 주는 사람을 만나지 못하면 아무런 쓸모도 없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중극 : (1)네 개의 전기 양극과 네 개의 전기 음극, 혹은 네 개의 자기 엔(N) 극과 네 개의 자기 에스(S) 극이 대칭적인 모양으로 배치된 다중극자.
  • 중극 내비침 : (1)팔중극자의 진동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파.
  • 중극 모멘트 : (1)양전하와 음전하가 각각 네 개씩 대칭적으로 배열된 전하 분포.
  • 중극 복사 : (1)팔중극자의 진동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파.
  • 중극자 : (1)네 개의 전기 양극과 네 개의 전기 음극, 혹은 네 개의 자기 엔(N) 극과 네 개의 자기 에스(S) 극이 대칭적인 모양으로 배치된 다중극자.
  • 중극자 모멘트 : (1)양전하와 음전하가 각각 네 개씩 대칭적으로 배열된 전하 분포.
  • 중극 자석 : (1)여덟 개의 극이 대칭되도록 배열한 자석. 여덟 개의 자석을 서로 마주 보도록 하고, 엔(N) 극과 에스(S) 극을 번갈아 가면서 배열한다. 입자선을 모으거나 특정 에너지를 갖는 입자만을 골라낼 때 사용한다.
  • 중대나마 : (1)신라 때에 둔, 십칠 관등의 대나마 가운데 둘째 등급.
  • 중 슬립 : (1)디지털 신호에서, 여덟 개의 연속된 디지트 시간 슬롯에서 발생하는 정보 손실이나 이득. 팔중 슬롯의 손실이나 이득은 수정할 수 없다.
  • 중열 보전 : (1)디지털 신호의 전송을 위하여 열 펄스 신호에서 전송 채널, 회로, 접속의 특성이 변화 없이 유지되는 일.
  • 중주 : (1)여덟 개의 독주 악기가 어울리는 연주. 주로 실내악의 하나로, 현악 팔중주ㆍ관악 팔중주ㆍ관현악 팔중주 따위가 있다.
  • 중주곡 : (1)팔중주를 위한 소나타 형식의 악곡(樂曲).
  • 중창 : (1)여덟 사람이 각각의 성부(聲部)를 맡아서 함께 부르는 노래.
  • 중항 : (1)원자가 이론의 하나. 원자가의 설명 모형으로 정육면체를 생각하여 원자가 전자가 그 여덟 꼭짓점을 채우고 희유 기체형의 안정한 전자 배치를 취하여 화학 결합이 이루어진다고 한다. 미국의 물리 화학자 루이스가 주장하였다.
  • 쥐거리 : (1)‘팔찌’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쥐거리’로도 적는다.
  • : (1)사방(四方)과 사우(四隅)의 여덟 방위. 동, 서, 남, 북, 동북, 동남, 서북, 서남을 이른다.
  • 진고 : (1)쌀과 약재(藥材)로 만든 음식. 묵은쌀과 찹쌀에 백복령(白茯苓), 산약(山藥), 율무, 백변두(白藊豆), 연육(蓮肉), 감인(芡仁) 따위의 약재를 함께 섞고 가루로 만들어 설탕을 치고 버무려서 쪄 낸 다음 다식판에 박아 낸다.
  • 진도 : (1)중군(中軍)을 가운데에 두고 전후좌우에 각각 여덟 가지 모양으로 진을 친 진법(陣法)의 그림.
  • 진두부 : (1)중국요리의 하나로, 살짝 튀긴 두부에 새우, 해삼 따위의 여러 가지 해산물을 넣고 간장으로 간을 하여 끓인 요리.
  • 진미 : (1)중국에서 성대한 음식상에 갖춘다고 하는 진귀한 여덟 가지 음식의 아주 좋은 맛. 순모(淳母), 순오(淳熬), 포장(炮牂), 포돈(炮豚), 도진(擣珍), 오(熬), 지(漬), 간료(肝膋)를 이르기도 하고 용간(龍肝), 봉수(鳳髓), 토태(兔胎), 이미(鯉尾), 악적(鶚炙), 웅장(熊掌), 성순(猩脣), 수락(酥酪)을 이르기도 한다. (2)아주 맛있는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굉장히 잘 차린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진법 : (1)8을 기수(基數)로 한 수의 체계. 숫자는 0~7을 사용하며, 8은 2의 거듭제곱이므로 이진수의 자릿수를 줄일 경우에 흔히 쓴다.
  • 진법 체계 : (1)8을 기수(基數)로 한 수의 체계. 숫자는 0~7을 사용하며, 8은 2의 거듭제곱이므로 이진수의 자릿수를 줄일 경우에 흔히 쓴다.
  • 진법 표기 : (1)팔진수를 사용한 숫자 표기법. 0~7까지의 숫자로 수를 나타내며, 이진수 세 자리, 즉 3비트를 팔진수 한 자리로 표시한다.
  • 진복 : (1)마태복음 5장 3절 이하에 있는 예수의 산상 설교 속의 말. 곧 심령이 가난함, 애통함, 온유함, 의에 주리고 목마름, 긍휼히 여김, 마음이 청결함, 화평케 함, 의를 위하여 핍박을 받음의 여덟 가지로, 이런 사람은 행복하다고 하였다.
  • 진성찬 : (1)여러 가지 진귀하고 맛있는 것을 푸짐하게 잘 차린 음식.
7 8 9 11 1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9개) : 파, 팍, 팎, 판, 팔, 팝, 팟, 팡, 팣, 팤, 팥, 패, 팩, 팬, 팸, 팽, 퍄, 퍅, 퍼, 퍽, 펀, 펄, 펌, 펏, 펑, 펕, 페, 펙, 펜, 펨, 펭, 편, 폄, 평, 폐, 포, 폭, 폰, 폴, 폼, 폽, 폿, 퐁, 퐃, 퐄, 퐅, 푀, 푄, 표, 푱, 푸, 푹, 푼, 풀, 품, 풋, 풍, 퓸, 퓽, 프, 플, 픤, 피, 픽, 핀, 필, 핌, 핍, 핑

실전 끝말 잇기

팔로 끝나는 단어 (133개) : 칠팔, 바른팔, 긴팔, 펜팔, 보팔, 곰배팔, 외팔, 화이트 오팔, 사금팔, 신호나팔, 반팔, 뛰뛰나팔, 모멘트의 팔, 사치팔, 골배팔, 손나팔, 누팔, 윗둔덕 팔, 끈나팔, 아랫둔덕 팔, 왼팔, 폰팔, 팔팔, 균형팔, 곰백팔, 입나팔, 네팔, 무수이팔, 밥팔, 눈까팔 ...
팔로 끝나는 단어는 133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팔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1,120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