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단어의 의미를 아시나요?
다루리
: ‘다리미’의 방언
확정지
(確定地)
: 어떤 목적을 위해 확실하게 정한 장소.
낭지두
(낭지頭)
: 궁중에서, ‘낭자머리’를 이르던 말.
드레스 해트
(dress hat)
: 남자가 쓰는 정장용 서양 모자. 모자의 산 부분이 높고 둥글며 딱딱한 원통 모양에 윤기가 있는 견으로 싸여 있다.
무위 대안
(無爲代案)
: 아무것도 하지 않는 대안. 경제 성공학에서는 대개 가용 자금을 고려 대상이 되는 사업에 투자하지 않을 때, 그 자금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대안에 투자한다고 가정한다. 무위 대안이라고 해서 자금을 그대로 사장하여 수익률이 0이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투자가가 검토 중인 사업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지만 가용 자금을 최저 요구 수익률과 동일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다른 곳에 투자한다는 것을 뜻한다.
구문 분석
(構文分析)
: 컴퓨터 언어 또는 자연 언어에서, 일련의 심벌과 기호를 공식적인 문법 규칙에 따라 분석하는 과정. 특히 컴퓨터 언어학에서 문장이나 일련의 단어를 컴퓨터로 연산자, 피연산자, 블록, 식과 같은 구성 성분으로 분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떠니리가다
: ‘떠내려가다’의 방언
일고삼장하다
(日高三丈하다)
: 날이 밝아 해가 벌써 높이 뜨다. 해가 세 길이나 떠올랐다는 뜻에서 나온 말이다.
네뿔
: 윷판에서 날밭의 네 번째 자리.
스핀 분극
(spin分極)
: 스핀의 고유 상태의 분포 비가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 있는 현상.
표준어의 수용성
(標準語의受容性)
: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고 즐겨 사용하는 것을 표준어로 정해야 한다는 표준어 설정 기준.
긴수면증
(긴睡眠症)
: 지나치게 긴 수면 시간을 갖고, 낮 시간에도 심한 졸음을 억제하지 못하는 증상.
삐따닥하다
: 물체가 한쪽으로 조금 기울어져 있다.
구전영사
(九轉靈沙)
: 수은에 황을 넣어서 가열하여 승화하는 과정을 아홉 번 반복하여 만든 약. 주성분은 황화 수은으로, 진정(鎭靜)ㆍ진경(鎭痙)ㆍ이뇨(利 尿) 작용이 있다.
전투복
(戰鬪服)
: 본래 전투할 때 입기 위하여 만든 옷.
콩가
(conga)
: 콩가 장단에 맞추어 줄을 지어서 추는 쿠바의 민속 무용.
콩가
(conga)
: 쿠바의 민속악에서 사용하는 타악기. 손으로 두드리면 힘찬 소리가 난다.
윤기정
(尹基鼎)
: 소설가ㆍ비평가(1903~?). 서울 출생으로 염군사, 조선 프로 예맹, 카프(KAPF) 등에 가담하여 활동하였으며, 광복 후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 동맹에서 활동하다가 월북하였다. 카프에서 활동하던 시절 아나키스트 논쟁에 참여한 바 있다. 그의 소설은 계급 문학 운동의 이념을 반영하며, 노동자들의 고통스러운 현실을 비판적으로 형상화하였다.
옆 무릎 치기
: 씨름에서, 손으로 상대편의 왼쪽 무릎을 옆에서 치는 기술.
서적원
(書籍院)
: 고려 시대에, 서적을 번역ㆍ주석하여 출판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공양왕 4년(1392)에 서적점을 고친 것으로, 조선 태조 때까지 존속하였다.
삼각 시차
(三角視差)
: 삼각 측량법으로 천체(天體)의 시차를 잴 때 생기는 시차. 이 시차에 의하여 가까운 별의 거리를 잰다.
일별삼춘
(一別三春)
: 작별한 지 삼 년이나 되었다는 뜻으로, 그리운 정을 이르는 말.
뒤폭
(뒤幅)
: 옷의 뒤쪽에 대는 헝겊.
뒤폭
(뒤幅)
: 나무로 짜는 물건의 뒤쪽에 대는 널조각.
뒤폭
(뒤幅)
: 물건의 뒤쪽 너비.
태그 아웃
(tag out)
: 야구에서, 수비수가 공이 든 글러브나 공을 주자에게 대어 주자가 자격을 잃는 일.
적화 중량 톤수표
(積貨重量ton數表)
: 흘수와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중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표.
소담지재
(消痰之材)
: 가래를 삭게 하는 약재.
크단허다
: ‘큼직하다’의 방언
후궁
(後宮)
: 제왕(帝王)의 첩.
후궁
(後宮)
: 주되는 궁궐의 뒤쪽에 있는 궁궐.
후궁
(㢿弓)
: 삼사미로부터 도고지까지 뽕나무를 써서 만든 활.
핫 요가
(hot yoga)
: 높은 온도의 환경에서 하는 요가.
장애물 달리기
(障礙物달리기)
: 장애물을 뛰어넘어 달리는 육상 경기. 남자 3,000미터 종목으로, 28개의 허들과 일곱 개의 물웅덩이를 뛰어넘는다.
후두 경축
(喉頭痙縮)
: 액체가 기도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한 방어 기전. 일반적으로 후두 연축으로 인하여 일시적 또는 간헐적으로 발생한다.
개금파리
: ‘까팡이’의 방언
걸군하다
(乞郡하다)
: 조선 시대에, 문과에 합격한 사람이 부모를 공양하기 위하여 고향의 수령 자리를 청하다.
리딩 뱅크
(leading bank)
: 금융 시장에서 금융 상품의 도입을 앞서 결정하는 우량 은행.
전성어
(轉成語)
: 다른 품사로 바뀌어 쓰이는 말.
전성어
(轉成語)
: 외국어가 자기 나라말로 변화한 말. ‘남포’, ‘빵’ 따위가 있다.
숭칙스럽다
: ‘흉측스럽다’의 방언
형 명시식
(型明示式)
: 질의에 있어서 원하는 데이터의 조건을 표현하는 논리 표현.
싸움꾼
: 싸움을 잘하는 사람.
웡웡
: 개가 크게 짖는 소리.
수포성 구내염
(水疱性口內炎)
: 일시적으로 고열이 발생하고 혀와 구강점막, 발굽 둘레, 유두 따위에 소수포 및 궤양성 병변이 나타나는 전염병. 주로 소, 돼지, 말, 노새 따위의 동물들에게 나타난다.
묵허하다
(默許하다)
: 모르는 체 내버려 둠으로써 슬며시 허락하다.
갈도스
(Galdós, Benito Pérez)
: 베니토 페레스 갈도스, 에스파냐의 소설가(1843~1920). 19세기 사실주의 문학의 대표자로, 작품에 <국사 삽화(國史揷話)>, <도냐 페르페크타> 따위가 있다.
주조색
(主調色)
: 배색의 기본이 되는 색. 보통 전체 면적의 60~70%를 차지하는 색을 이른다.
바구이
: ‘바구니’의 방언
날푸
: 하루가 조금 넘는 동안. ⇒규범 표기는 ‘날포’이다.
종결짓다
(終結짓다)
: 일을 끝마치다.
부시부시
: 마른 물건이 잇따라 가볍게 부스러지는 소리. 또는 그 모양. ⇒규범 표기는 ‘부석부석’이다.
초보용
(初步用)
: 학문이나 기술 따위를 익힐 때, 그 처음 단계나 수준에서 쓰임. 또는 그런 것.
육조대맥
(六條大麥)
: 보리의 한 품종. 이모작 앞그루의 조생종으로, 꽃대 마디에는 세 개의 쪽 이삭이 나며, 이삭은 여섯 모의 짧은 통 모양이고 누르스름하다. 가을에 심는다.
허리 태클
(허리tackle)
: 다리에 대한 공격을 금하는 레슬링의 그레코로만형에서, 상대편의 허리를 잡아서 넘기는 태클 기술. 상대편의 허리를 싸잡고 한쪽 무릎을 구부려서 상대편의 가랑이 사이에 넣어 중심을 낮춰 밀어 넘긴다.
금풍
(金風)
: ‘가을바람’을 달리 이르는 말. 오행에 따르면 가을은 금(金)에 해당한다는 데에서 이르는 말이다.
성격 범죄인
(性格犯罪人)
: 성격적 경향으로 인하여 범죄를 저지른 사람.
일이키다
: ‘일으키다’의 방언
지절 감소증
(脂節減少症)
: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뼈마디가 선천적으로 한 개 이상 없는 질환.
마스터 볼륨
(master volume)
: 신호 경로에서의 최종적인 레벨 조정.
소음 노출도
(騷音露出度)
: 하나의 사건으로부터 발생한 소음 에너지의 전체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