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성 ㅅ ㅍ ㄱ 단어: 112개
-
사표국
:
司𥔰局
조선 시대에, 염초(焰硝) 굽는 일을 맡아보던 임시 관아. 세종 27년(1445)에 대궐 안의 내사복사(內司僕司) 남쪽에 두었다가 단종 3년(1455)에 없앴다. -
산파공
:
散播工
대단위 면적에 식물의 종자를 여기저기 흩어지도록 뿌리는 방법. -
산파기
:
散播機
입자 상태의 비료, 약제, 종자 등을 압력에 의해 살포하거나 뿌리는 기계. -
산포군
:
山砲軍
예전에, 산악 작전을 위하여 경포병(輕砲兵)으로 구성된 부대. -
산포기
:
산布器
가루나 액체 따위를 흩어 뿌리는 데 쓰는 기구. ⇒규범 표기는 ‘살포기’이다. -
살파기
:
撒播器
씨를 뿌리는 기구. -
살포기
:
撒布器/撒布機
가루나 액체 따위를 흩어 뿌리는 데 쓰는 기구. -
살풍경
:
1
殺風景
보잘것없이 메마르고 스산한 풍경. 2殺風景
매몰차고 흥취가 없음. 3殺風景
살기를 띤 광경. - 살피개 : ‘눈’의 방언
-
삼포군
:
蔘圃군
인삼을 재배하는 밭에서 일하는 일꾼. ⇒남한 규범 표기는 ‘삼포꾼’이다. -
상평곡
:
常平穀
상평청에 보관하여 두던 곡식. 봄에 풀고 가을에 거두어들여 물가 조절을 꾀하였다. -
상포계
:
喪布契
초상 때 드는 비용을 서로 도와 마련하기 위하여 모은 계. -
상포기
:
喪布기
‘상포계’의 방언 -
상표권
:
商標權
공업 소유권의 하나. 특허청에 등록한 상표를 지정 상품에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이다. -
상품가
:
商品價
사고파는 물품의 값. -
상품값
:
商品값
사고파는 물품의 값. -
상품군
:
商品群
종류에 따른 상품의 묶음. -
상품권
:
商品券
액면 가격에 상당한 상품과 교환할 수 있는 표. 백화점이나 기타 상점이 발행하는 무기명 유가 증권의 하나이다. - 새피기 : ‘억새’의 방언
-
색표계
:
色表系
여러 가지 색을 합리적으로 질서 있게 색표로 나타낼 수 있는 체계. -
샘플값
:
sample값
영상 표본 내의 영상 정보를 나타내는 0 또는 양의 정수. -
생표고
:
生표고
가공하지 않은 표고. -
서평가
:
書評家
책의 내용에 대해 전문적으로 평하는 사람. -
서피계
:
黍皮契
조선 시대에, 담비 가죽을 공물로 바치던 계. -
선페금
:
先幣金
‘선폐금’의 북한어. -
선편광
:
旋偏光
편광면이 빛의 진행과 함께 회전하는 편광. 빛의 전기장 벡터의 끝이 빛의 진행 방향에 수직인 면 안에서 원을 그리는 원편광과 타원을 그리는 타원 편광이 있다. -
선폐금
:
先幣金
예전에, 신랑 집에서 신부 집에 선채의 몫으로 보내던 돈. -
선포권
:
宣布權
세상에 널리 알릴 수 있는 권리. -
선풍게
:
扇風게
‘선풍기’의 방언 -
선풍기
:
扇風機
회전축에 붙은 날개를 전동기로 돌려 바람을 일으키는 장치. -
설포기
:
sulfo基
황산 분자에서 하이드록시기가 떨어져 나간 구조의 원자단. 한 개의 수소 원자, 한 개의 유황 원자, 세 개의 산소 원자로 이루어진 일가(一價)의 원자단이다. 화학식은 SO3H. -
세폐계
:
歲幣契
조선 시대에, 세폐에 쓸 무명을 공물로 바치던 계. -
세포계
:
細胞系
초대 배양을 한 후부터 첫 번째 계대 배양을 하기 전까지 증식한 세포 집단. 이 세포들은 계대 배양을 거듭하여 분리해 낼 수 있는 많은 세포 계보를 지니고 있다. -
세포구
:
細胞口
단세포로 이루어진 원생동물에서 입과 같은 구실을 하는 세포의 분화된 한 부분. -
세포군
:
1
細浦郡
광복 이후 북한이 신설한 군의 하나. 강원도에 속하여 있으며 1952년 12월 행정 구역 개편 때 평강군의 세포면ㆍ유진면 전부와 회양군의 탄곡면 및 안변군의 신고산면 일부를 합하여 신설하였다. 2細胞群
해리되었던 세포가 서로 달라붙어 모여 있는 집합. -
소파공
:
消波工
항구 안으로 들이치는 파도나 항구 안에서 발생된 파동 에너지를 줄이기 위한 공사. -
소편급
:
小片級
개체당 중량이 3.0~4.5그램 이하이며 600그램을 포장한 단위가 120편 이하인 백삼(白蔘). -
소폭기
:
小幅機
폭이 좁은 천을 짜는 기계. -
소품곡
:
小品曲
작은 규모의 곡. -
소풍경
:
소風磬
소의 턱 밑에 다는 방울. 풍경 모양으로 생겼다. - 속패기 : ‘속고갱이’의 방언
-
손풍구
:
1
손風具
손으로 돌려서 쓰는 풍구. 2손風具
‘손풀무’의 북한어. -
손풍금
:
손風琴
악기의 하나. 주름상자를 신축시키고 건반을 눌러 연주하며 경음악에 쓴다. -
손풍기
:
손風機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벼운 휴대용 선풍기. - 솔포기 : 가지가 다보록하게 퍼진 작은 소나무.
-
송파기
:
送波機
음향 탐지기에서 음파를 내보내는 장치. -
송풍공
:
送風工
송풍기를 제작, 유지, 보수하는 따위의 일을 맡아보는 사람. -
송풍관
:
1
送風管
송풍기에서 일으킨 바람을 보내는 관. 2送風管
용광로나 야금로에 바람을 불어 넣는 주둥이 모양의 관. -
송풍구
:
送風口
기계 따위로 바람을 일으켜 공기를 내보내는 구멍. -
송풍기
:
送風機
바람을 일으켜 보내는 기계. 갱(坑)이나 실내의 환기, 용광로와 같은 화로의 통풍을 위하여 쓰며 압력식, 회전식, 원심식 따위가 있다. -
쇄파고
:
碎波高
쇄파가 발생하는 지점에서의 파고. -
쇠풍경
:
쇠風磬
소의 턱 밑에 다는 방울. 풍경 모양으로 생겼다. -
쇼핑가
:
shopping街
백화점이나 상점들이 밀집하여 있는 곳. -
쇼핑객
:
shopping客
물건을 사러 백화점이나 상점을 돌아다니는 고객. -
쇼핑계
:
shopping界
쇼핑에 관련된 일에 종사하는 조직체나 개인의 활동 분야. -
쇼핑광
:
shopping狂
쇼핑을 열광적으로 즐기는 병적인 버릇. 또는 그런 버릇을 가진 사람. -
수파기
:
受波機
음향 탐지기에서, 송파기가 발사한 음파를 받아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 -
수평각
:
水平角
각의 두 변이 다 수평면 위에 있는 각. -
수평갱
:
水平坑
광산이나 탄광에서, 수평으로 파 내려간 갱도. -
수평경
:
水平鏡
선박용 육분의(六分儀)의 수평선을 관측하는 거울. 반면(半面)이 투시용으로 되어 있다. -
수평계
:
水平計
면이 평평한가 아닌가를 재거나 기울기를 조사하는 데 쓰는 기구. 양 끝을 막고 큰 원호(圓弧)의 일부를 이룬 유리관 속에 일정한 기포를 남겨 두고 에테르 또는 알코올을 넣어서 만든다. 기계를 수평으로 놓았을 때의 기포의 위치를 0점으로 하는 눈금이 새겨져 있다. -
수평굴
:
水平窟
횡단면의 경사도가 작거나 없는 굴. -
수평기
:
水平器
면이 평평한가 아닌가를 재거나 기울기를 조사하는 데 쓰는 기구. 양 끝을 막고 큰 원호(圓弧)의 일부를 이룬 유리관 속에 일정한 기포를 남겨 두고 에테르 또는 알코올을 넣어서 만든다. 기계를 수평으로 놓았을 때의 기포의 위치를 0점으로 하는 눈금이 새겨져 있다. -
수포군
:
守鋪軍
밤에 궁궐의 문을 지키던 군사. - 수포기 : 수꽃이 피는 포기.
-
수표교
:
水標橋
조선 세종 때에, 서울의 청계천에 놓은 다리. 육각형의 큰 화강암으로 된 다리 기둥 위에 길게 모난 횃대를 걸치고 돌을 깐 매우 진기한 수법의 다리로, 기둥에 새긴 경(庚)ㆍ진(辰)ㆍ지(地)ㆍ평(平)의 수위표(水位標)로 물의 깊이를 재어 홍수에 대비하였다. 청계천 복개 공사 당시 장충단 공원에 옮겨졌다. - 수풀가 : 수풀의 가장자리.
-
수풍금
:
手風琴
악기의 하나. 주름상자를 신축시키고 건반을 눌러 연주하며 경음악에 쓴다. -
수필가
:
隨筆家
수필로 일가(一家)를 이룬 사람. -
수필계
:
隨筆界
수필을 쓰거나 연구하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활동 분야. -
순포관
:
巡捕官
조선 후기에, 경무청에 속해 있던 판임관 벼슬의 하나. 지금의 순경과 같으며, 각 지방의 관아에 30명씩 두었다. - 술페기 : ‘수풀’의 방언
-
술포기
:
sulfo基
황산 분자에서 하이드록시기가 떨어져 나간 구조의 원자단. 한 개의 수소 원자, 한 개의 유황 원자, 세 개의 산소 원자로 이루어진 일가(一價)의 원자단이다. 화학식은 SO3H. -
술폰기
:
sulfone基
‘설포기’의 북한어. -
슈퍼균
:
super菌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어 기존 항생제로 치료할 수 없는 세균. -
스팽글
:
spangle
반짝거리는 얇은 장식 조각. 금속, 플라스틱, 합성수지 따위로 만들며 무대 의상이나 야회복, 핸드백, 구두, 광고 간판 따위에 붙인다. -
스피것
:
spigot
소켓 이음 접합부에 삽입하는 부분. 파이프의 한쪽 끝이 다른 파이프의 끝에 들어가 맞게 되어 있다. -
스핀값
:
spin값
입자의 스핀이 가질 수 있는 크기. 플랑크 상수의 정수배 또는 반정수배만이 가능하다. -
승평계
:
昇平契
조선 고종 때, 박효관ㆍ안민영 등의 평민 가객들이 조직하여 시조를 부르며 즐기던 단체. -
승평균
:
乘平均
n개의 양수에 대하여 이들 전부의 곱의 n 제곱근. 예를 들면 a, b의 기하 평균은이다.
-
시판가
:
市販價
시장에서 일반에게 판매되는 가격. -
시필기
:
始畢期
처음과 끝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식판기
:
植版機
활자를 원고에 따라 꽂는 것처럼 작은 판을 지시에 따라 한 판에 여러 장 짜 맞추는 기계. 평판(平版)에 직접 하는 방법과 필름으로 만드는 방법이 있다. -
식품계
:
食品界
식품업에 관련된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활동 분야. -
식품군
:
食品群
비슷한 영양소를 함유하는 식품끼리 묶어 분류한 것. -
신파극
:
新派劇
191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 우리나라에서 유행하였던 연극 형태. 우리 정서에 맞지 않는 일본의 신파극을 모방하기도 하였으나, 점차 고유한 대중적 정서를 위주로 하였다. -
신파기
:
新派氣
가식적이고 과장된 연기 방식. 저속한 행동과 억지로 만든 조잡한 목소리가 특징이다. -
신평가
:
新平價
본위 화폐의 순금 분량을 변경하였을 때 새로운 화폐가 갖는 금의 가치. -
신평군
:
新坪郡
광복 이후 북한이 신설한 군의 하나. 황해북도에 속하여 있으며 1952년 12월 행정 구역 개편 때 곡산군의 화초면, 상도면, 하도면, 이녕면, 멱미면, 동촌면 일부를 분리하여 신설하였다. -
신품권
:
神品權
신품 성사를 행하는 주교의 권리. -
실파공
:
實播工
종자를 단독으로 파종하거나 비료, 토양, 재 따위와 혼합하여 파종한 종자로 식생을 조성하는 공법. -
실패감
:
失敗感
일을 잘못하여 뜻한 대로 되지 아니하거나 그르치는 데서 오는 감정. -
실패공
:
失敗孔
조사를 잘못하여 그릇되게 뚫은 구멍. - 실패기 : ‘실패’의 방언
- 실팽기 : ‘실패’의 방언
-
심판공
:
審判공
‘점프 볼’의 북한어. -
심판관
:
1
審判官
군사 법원을 구성하는 재판관의 한 직위. 법에 소양이 있고 재판관으로서의 인격과 학식을 구비한 장교 가운데 관할관이 임명한다. 2審判官
예전에, 가정 법원에서 가사 심판법이 정한 사항을 처리하던 법관. 3審判官
행정 기관에 소속되어 특허 심판이나 해난 심판을 담당하는 사람. ... (총 4개의 의미) -
심판권
:
審判權
사건을 심리하여 판결할 수 있는 권한. 소송에서의 심판권 이외에 행정 기관이 분쟁을 심리하여 판단할 수 있는 권한을 이르기도 한다. -
심포경
:
心包經
가슴 속에서 시작하여 심포(心包)에 속하고 가로막을 지나 삼초(三焦)에 속하는 경맥. -
십팔계
:
十八界
인간 및 모든 존재를 인식 관계로 파악한 열여덟 가지의 범주. 감각 기관 또는 그 기능인 육근(六根), 그 대상이 되는 육경(六境) 그리고 인식 주관(主觀)인 육식(六識)을 통틀어 이른다.
▹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
ㅅ
ㅍ
(총 387 개의 단어) 👍
-
사파
沙波/砂波
: 퇴적층 위쪽에 파도 모양으로 모래가 쌓인 곳. 큰 지붕 모양이다. -
사판
仕版
: 벼슬아치의 명부(名簿). - 사팔 : 양쪽 눈의 시각축이 명확하게 평행하지 못한 것.
-
사패
賜牌
: 고려ㆍ조선 시대에, 궁가(宮家)나 공신(功臣)에게 나라에서 산림ㆍ토지ㆍ노비 따위를 내려 주며 그 소유에 관한 문서를 주던 일. 또는 그 문서. -
사페
瀉肺
: 폐에 열이 몰리는 것을 없애는 치료법. ⇒남한 규범 표기는 ‘사폐’이다. -
사평
史評
: 역사에 관한 평론. - 사폐 : 개인의 사사로운 정.
- 사포 : ‘전립’을 속되게 이르는 말.
-
사폭
邪幅
: 남자의 한복 바지나 고의에서, 허리와 마루폭 사이에 잇대어 붙이는 네 쪽의 헝겊. 큰사폭과 작은사폭의 구별이 있다.
-
파가
破家
: 집을 헒. -
파각
破却
: 깨어지게 함. -
파간
Pagan
: 미얀마 중부, 이라와디강 동쪽 기슭에 있는 도시. 849년에 건설된 도시로 파간 왕조의 수도이기도 하였다. 불탑(佛塔)이 많이 남아 있다. - 파개 : 배에서 쓰는 두레박.
-
파건
破件
: 깨어지거나 흠이 나서 못 쓰게 된 물건. -
파겁
破怯
: 익숙하여 두려움이나 부끄러움이 없어짐. -
파게
Faguet, Émile
: 에밀 파게, 프랑스의 비평가(1847~1916). 예술의 형식보다 정신을 중시하고 치밀한 분석과 구성에 의한 비평을 하였다. 저서에 ≪19세기의 정론가와 모럴리스트≫가 있다. -
파격
破格
: 일정한 격식을 깨뜨림. 또는 그 격식. -
파견
派遣
: 일정한 임무를 주어 사람을 보냄.
- 사 : 올이 풀리지 아니하도록 단춧구멍이나 꿰맨 솔기 따위의 가장자리를 실로 감치는 일.
- 삭 : 종이나 헝겊 따위를 칼이나 가위로 단번에 베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삮 : ‘삯’의 방언
- 삯 : 일한 데 대한 품값으로 주는 돈이나 물건.
-
산
山
: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땅의 부분. - 살 : 사람이나 동물의 뼈를 싸서 몸을 이루는 부드러운 부분.
- 삵 : 고양잇과의 포유류. 고양이와 비슷한데 몸의 길이는 55~90cm이며, 갈색 바탕에 검은 무늬가 있다. 꼬리는 길고 사지는 짧으며 발톱은 작고 날카롭다. 밤에 활동하고 꿩, 다람쥐, 물고기, 닭 따위를 잡아먹는다. 5월경 2~4마리의 새끼를 낳고 산림 지대의 계곡과 암석층 가까운 곳에 사는데 한국, 인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삶 : 사는 일. 또는 살아 있음.
- 삷 : ‘삽’의 옛말.
- 파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꽃줄기의 높이는 70cm 정도이며, 잎은 둥근기둥 모양으로 속이 비고 끝이 뾰족하다. 여름에 종 모양의 흰 꽃이 줄기 끝에 산형(繖形) 화서로 빽빽하게 모여 피고 씨는 모가 나고 검게 익는다. 특이한 냄새와 맛이 있어 약용하거나 식용한다. 중국 서부가 원산지로 동양과 온대 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 팍 : 갑자기 힘차게 내지르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팎 : ‘팥’의 방언
- 판 : 일이 벌어진 자리. 또는 그 장면.
- 팔 : 어깨와 손목 사이의 부분.
-
팝
pop
: 클래식이나 예술 음악에 대하여 일반 대중이 즐겨 부르는 통속적인 성격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말. - 팟 : ‘팥’의 방언
- 팡 : 풍선이나 폭탄 따위가 갑자기 터지는 소리. ‘빵’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 팣 : ‘팥’의 방언
- 가 : 경계에 가까운 바깥쪽 부분.
-
각
各
: 낱낱의. - 간 : 음식물에 짠맛을 내는 물질. 소금, 간장, 된장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 갇 : 갓. 모자.
- 갈 : 서쪽에서 부는 바람.
- 갉 : ‘가루’의 방언
- 갏 : ‘칼’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갈’로 나타난다.
- 감 : 감나무의 열매. 모양은 둥글거나 둥글넓적하고 빛이 붉다. 익기 전에는 떫은맛이 나지만 익으면 단맛이 나며 그대로 먹기도 하고 껍질을 벗겨 곶감을 만들기도 한다.
- 갑 : 귤 따위의 껍질을 벗긴 열매가 속껍질로 따로따로 싸인 낱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