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505개

  • 오상악 : 五常樂 아악에서, 네 명이 춤을 추는 평조(平調)의 곡. 서(序)ㆍ파(破)ㆍ급(急)을 완비한 당악으로, 급의 부분은 관현악의 형식이나 단독으로 연주하기도 한다. 당나라 태종이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의 오상(五常)에다 궁(宮), 상(商), 각(角), 치(徵), 우(羽)의 오성(五聲)을 배치하여 만들었다고 한다.
  • 오상원 : 吳尙源 소설가(1930~1985). 6ㆍ25 전쟁이라는 민족 비극의 상황을 배경으로 역경을 이겨 내는 강인한 인간형을 창조하여 전후 작가로서의 지위를 확립하였다. 작품에 <유예(猶豫)>, <증인(證人)>, <모반(謀反)> 따위가 있다.
  • 오색운 : 五色雲 단청에서, 오색으로 칠한 구름무늬.
  • 오세인 : ossein 뼈의 틀을 형성하는 ‘콜라겐’.
  • 오수유 : 吳茱萸 운향과의 낙엽 활엽 교목. 잎은 마주나고 우상 복엽이며, 작은 잎은 타원형이고 뒷면에 털이 있다. 5~6월에 녹색을 띤 누런색의 꽃이 산방(繖房) 화서로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가을에 익는데 향기가 있고 맵다. 열매는 약용한다. 중국 중서부가 원산지로 경상북도 경주에 분포한다.
  • 오슈유 : ‘오수유’의 옛말.
  • 오승은 : 吳承恩 중국 명나라의 문인(1500~1582). 자는 여충(汝忠). 호는 사양산인(射陽山人). 청아하고 유려하면서도 품격이 있는 시문과 해학성이 강한 잡기(雜記)를 잘 썼다. 저서에 ≪서유기≫, ≪사양산인존고(射陽山人存稿)≫ 따위가 있다.
  • 오시안 : Ossian 3세기 무렵 켈트족의 전설적인 시인ㆍ영웅(?~?).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의 고지에 살면서, 음유 시인으로서 낭만적인 서사시를 많이 지었다고 한다.
  • 오시유 : OCU 가입자 선로에서 교환국으로 전달된 신호를 교환국 내부의 데이터로 상호 변환하는 장치.
  • 오심열 : 五心熱 지라에 열이 쌓이거나 허실로 음혈이나 진액이 부족하여 양쪽 손바닥과 발바닥, 가슴의 다섯 곳에 열감을 느끼는 증상.
  • 오십음 : 五十音 일본 글자인 가나(假名)로 표기한 50개의 소리.
  • 옥살이 : 1 獄살이 감옥에 갇히어 지내는 생활. 2 獄살이 행동의 자유를 구속당하는 생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옥상옥 : 屋上屋 지붕 위의 지붕이라는 뜻으로, 불필요한 구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옥섭옥 : 玉鑷玉 ‘섭옥잠’을 은섭옥이나 금섭옥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 옥시염 : oxy鹽 산기(酸基) 외에 금속과 결합하고 있는, 산소 원자를 가진 복염. 염기성염의 하나로 산화 염화 비스무트, 산화 염화 안티모니 따위가 있다.
  • 온세이 : ‘원숭이’의 방언
  • 온셍이 : ‘원숭이’의 방언
  • 온수욕 : 溫水浴 38~39℃의 더운물로 목욕함. 또는 그런 방법.
  • 온시이 : ‘원숭이’의 방언
  • 온신에 : ‘우선’의 방언
  • 온신이 : ‘원숭이’의 방언
  • 옹생원 : 옹生員 성질이 옹졸하고 도량이 좁은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옹생이 : ‘완두콩바구미’의 방언
  • 옹셍이 : ‘새알심’의 방언
  • 옹심이 : ‘새알심’의 방언
  • 옻수육 : 옻수肉 옻나무를 넣은 물에 푹 삶아 내어 물기를 뺀 고기.
  • 와상이 : ‘바싹’의 방언
  • 완사입 : 完仕入 원자재와 부자재, 가공비 일체 비용을 제공하여 완제품을 생산업체에게 만들게 하는 의류 생산 방식.
  • 완산요 : 完山謠 후백제 때의 가요. 견훤과 세 아들이 다투어 나라의 장래가 불길한 것을 백성들이 예언하여 부른 것으로, ≪삼국유사≫에 전한다.
  • 완세이 : ‘원숭이’의 방언
  • 왕산악 : 王山岳 고구려의 국상(國相)ㆍ음악가(?~?). 중국의 진(晉)나라에서 도입한 칠현금을 개조하여 1백여 악곡을 지었으며 지금의 거문고인 현금(玄琴)을 만들었다.
  • 왕새오 : 王새오 ‘왕새우’의 방언
  • 왕새우 : 王새우 ‘대하’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 왕생우 : 王생우 ‘왕새우’의 방언
  • 왕송어 : 王송어 연어목의 바닷물고기. 몸무게는 보통 7.5~8.3kg인데 큰 것은 17kg까지 나간다. 머리와 등 쪽,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에는 검은색의 둥근 점들이 흩어져 있다. 원산 이북에 분포한다.
  • 왕수인 : 王守仁 ‘왕양명’의 본명.
  • 왕싱아 : 王싱아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고 높이가 2~3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으로 호장근보다 크고 뒷면에 흰빛이 돈다. 암수딴그루로 8~9월에 흰 단성화(單性花)가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뿌리줄기는 이뇨제, 통경제로 쓰이고 한국의 울릉도와 일본, 러시아의 사할린 등지에 분포한다.
  • 왜소인 : 矮小人 몸집이 비정상적으로 작은 사람.
  • 왠수이 : ‘원숭이’의 방언
  • 외사위 : 1 상모돌리기에서, 소고재비가 추는 채상모 소고 춤의 동작. 한쪽으로만 상모를 돌린다. 2 탈춤에서, 제자리에서 오른발을 들고 오른팔을 머리 위에서 치며 몸통을 왼쪽으로 틀면서 뛰고 다시 왼발과 왼손으로 같은 동작을 되풀이하여 제자리로 서는 춤사위.
  • 외설악 : 外雪嶽 설악산의 주봉(主峯)인 대청봉을 중심으로 동쪽 일대를 이르는 이름.
  • 외수위 : 外水位 강이나 간석지를 막은 둑 바깥쪽의 물 높이. 밀물 때에는 안쪽보다 높고 썰물 때에는 안쪽보다 낮다.
  • 외식업 : 外食業 식당에서 음식을 직접 팔거나 가정으로 배달하는 영업.
  • 요사이 : 이제까지의 매우 짧은 동안.
  • 요산염 : 尿酸鹽 푸린이 분해되어 만들어진 대사산물인 요산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 콩팥이나 방광돌의 주성분이다.
  • 요상완 : 腰上腕 노뼈와 위팔뼈에 관련된 것. 또는 노뼈와 위팔뼈 사이의 관절을 나타내는 것.
  • 요상인 : 凹狀刃 양 끝에서 가운데 쪽으로 오목한 날.
  • 요시야 : Josiah 유다 왕국의 제16대 왕(?~?). 부왕(父王) 아몬의 횡사(橫死)로 8세에 왕위에 올라 아시리아의 붕괴와 이집트의 쇠약을 틈타 독립에 성공하였으며, 수리 중인 신전에서 발견한 법전에 의거하여 종교 개혁을 실시하고 우상 숭배와 신전을 폐지하였다. 아시리아를 치려던 이집트 왕 네코(Necho)와 싸우다 전사하였다.
  • 요식업 : 料食業 일정한 시설을 만들어 놓고 음식을 파는 영업.
  • 욕실용 : 浴室用 욕실에서 쓰임. 또는 그런 물건.
  • 용상어 : 龍상어 철갑상엇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1~1.5미터이며, 회청색의 긴 원통 모양이다. 긴 주둥이 아래에 입이 있고 네 개의 촉수가 있다. 알은 캐비아의 재료가 된다. 한국의 동해, 일본, 사할린, 옌하이저우 및 유럽, 북아메리카의 각 북부에 분포한다.
  • 용솟음 : 1 湧솟음 물 따위가 세찬 기세로 위로 나옴. 2 湧솟음 힘이나 기세 따위가 세차게 북받쳐 오르거나 급히 솟아오름. 또는 그런 기세. 3 湧솟음 상모돌리기 동작의 하나. 부포를 꼿꼿이 세우고 사뿐사뿐 뛰어 깃털이 아래위로 펄럭거리게 한다.
  • 용수염 : 龍鬚髥 볏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0~80cm이며, 7~8월에 꽃이 피고 숲속 습지에서 자란다.
  • 용수원 : 用水源 용수의 근원지.
  • 용시이 : ‘용마루’의 방언
  • 우사어 : 右司禦 조선 시대에, 세자익위사에 속하여 왕세자의 시위(侍衛)를 맡아보던 종오품 무관 벼슬.
  • 우사윤 : 右司尹 고려 시대에, 왕비부에 속한 정삼품 벼슬. 공민왕 때 우첨사를 고친 것이다.
  • 우사이 : Houssay, Bernardo Alberto 베르나르도 알베르토 우사이, 아르헨티나의 생리학자(1887~1971). 동물의 뇌하수체 앞엽 호르몬과 혈당량과의 관계를 밝혀 1947년에 노벨 생리ㆍ의학상을 받았다.
  • 우삼엽 : 羽三葉 가곡에서, 우조의 삼삭대엽을 이르는 말.
  • 우상엽 : 羽狀葉 모양이 새의 깃처럼 생긴 잎. 우상 복엽과 우상 단엽이 있다.
  • 우서윤 : 右庶尹 고려 시대에, 세자첨사부에 속한 벼슬. 충렬왕 3년(1277)에 두었다.
  • 우선어 : 1 優先語 어휘를 뜻의 관점에서 분류하여 체계화한 시소러스에서 유의어ㆍ반의어뿐만 아니라, 개념의 상위ㆍ하위의 관계에 의한 관련어 중 용어 수용성 등급 척도에 따라 제1의 언어로 분류된 용어. 2 優先語 등가어의 집합 가운데 디스크립터로서 선택된 용어.
  • 우설어 : 牛舌魚 참서댓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몸 높이의 3.8배, 머리 길이의 5.5배 정도이며, 혀 모양이다. 머리 길이는 눈 지름의 약 12배이다. 우리나라 서남 연안에 분포한다.
  • 우세안 : 1 優勢眼 두 눈 중에서 기능이 더 좋거나 먼 거리를 더 잘 보는 눈. 2 優勢眼 작은 구멍을 들여다볼 때나 사격을 할 때와 같이 한쪽 눈만으로 작업을 수행할 때 무의식으로 선택되는 눈.
  • 우소이 : 우습게.
  • 우수아 : 1 優秀兒 음악, 미술 등 여러 재능이 뛰어난 어린이. 2 優秀兒 일반 지능이 같은 나이 또래 가운데 상위 2% 안에 드는 어린이.
  • 우수영 : 右水營 조선 시대에 둔, 전라도와 경상도의 각 우도(右道)에 둔 수군절도사의 군영. 해남에 전라 우수영, 통영에 경상 우수영을 각각 두었다가 고종 31년(1894)에 군제 개편에 따라 없앴다.
  • 우수이 : 대단치 아니하거나 하잘것없게
  • 우순열 : 偶順列 기준 순열에서 자리 맞바꾸기를 짝수 번만큼 하여 얻은 순열. 예를 들면 기준 순열 ‘1, 2, 3’에서 2와 3을 바꾸어 얻은 순열 ‘1, 3, 2’에서 1과 3을 바꾸어서 얻은, 곧 두 번 맞바꾸어서 얻은 순열 ‘3, 1, 2’는 기준 순열 ‘1, 2, 3’의 짝순열이 된다.
  • 우습유 : 1 右拾遺 고려 시대에, 중서문하성에 속한 종육품 낭사 벼슬. 예종 11년(1116)에 우정언으로 고쳤다. 2 右拾遺 조선 전기에, 문하부에 속한 정육품 낭사 벼슬. 태종 원년(1401)에 우정언으로 고쳤다.
  • 우승유 : 牛僧孺 중국 당나라의 재상(779~847). 자는 사암(思黯). 이른바 우이(牛李)의 당쟁의 대표자로, 이길보(李吉甫)와 그 아들 이덕유(李德裕)와 반목하여, 재상이 되자마자 신관료를 자기편으로 끌어들여 귀족 출신자와 신관료 사이의 심한 정쟁(政爭)을 일으켰다.
  • 우시아 : 1 ousia 모든 존재자들의 공통된 모습으로서의 존재나 모든 존재자들을 존재하게 해 주는 근거로서의 초월적 실체. 2 ousia 본질적 모습이 각각 개별자에 내재화된 구체적 실체.
  • 우시암 : ‘윗수염’의 방언
  • 우시어 : 右侍御 대한 제국 때에, 시종원에 속한 판임(判任) 관직.
  • 우식악 : 憂息樂 신라 눌지왕이 지은 가요. 고구려와 일본에 각각 볼모로 잡혀 있던 왕의 아우 복호(卜好)와 미사흔(未斯欣)을 박제상이 무사히 데려오자 그들을 맞이하는 잔치에서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하며, 가사는 전하지 않는다.
  • 우심이 : 右心耳 심장에서, 오른심방의 일부를 이루는 귓바퀴 모양의 돌출부.
  • 운석우 : 隕石雨 지구가 유성군(流星群)과 만날 때 많은 유성이 비처럼 쏟아지는 현상.
  • 운송업 : 運送業 운임이나 수수료를 받고 사람을 태워 나르거나 물건을 실어 나르는 영업.
  • 운송인 : 1 運送人 운임이나 수수료를 받고 사람을 태워 나르거나 물건을 실어 나르는 영업을 하는 사람. 2 運送人 운임이나 수수료를 받고 사람을 태워 나르거나 물건을 직접 실어 나르는 사람.
  • 운송임 : 運送賃 운반이나 운수 따위의 보수로 받거나 주는 돈.
  • 운수업 : 運輸業 규모가 크게 사람을 태워 나르거나 물건을 실어 나르는 영업.
  • 운시이 : ‘원숭이’의 방언
  • 웃수염 : 웃鬚髥 윗입술의 가장자리 위로 난 수염. ⇒규범 표기는 ‘윗수염’이다.
  • 웃쉬엄 : ‘윗수염’의 방언
  • 웃쉬염 : ‘윗수염’의 방언
  • 웃시엄 : ‘윗수염’의 방언
  • 웃시울 : ‘윗눈시울’의 북한어. ⇒남한 규범 표기는 ‘윗시울’이다.
  • 원살이 : 員살이 고을의 원 노릇을 함.
  • 원새이 : ‘원숭이’의 방언
  • 원생이 : ‘원숭이’의 방언
  • 원서이 : ‘원숭이’의 방언
  • 원섬유 : 原纖維 세포질 안에 있는 미세한 실 모양의 조직. 근육에서 볼 수 있으며 근원섬유, 신경 원섬유 따위가 있다.
  • 원성왕 : 元聖王 신라의 제38대 왕(?~798). 성은 김(金). 이름은 경신(敬信). 상대등(上大等)에 올랐다가 선덕왕이 후사가 없이 죽자 왕으로 추대되었다. 788년에 독서삼품과를 두어 인재를 고루 등용하는 한편 790년에는 벽골제를 증축하여 농사에도 힘썼다. 재위 기간은 785~798년이다.
  • 원성이 : ‘원숭이’의 방언
  • 원셍이 : ‘원숭이’의 방언
  • 원셰이 : ‘원숭이’의 방언
  • 원쇄이 : ‘원숭이’의 방언
  • 원쇵이 : ‘원숭이’의 방언
  • 원수이 : ‘원숭이’의 방언
  • 원순열 : 圓順列 몇 개의 물건이나 원소의 차례를 바꾸어 원둘레 위에 배열하는 순열. 그 배열 방법의 수는 (n-1)!이다.
1 2 4 5 6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1,471 개의 단어) 🌈
  • 아사 亞使 : 정사(正使)를 돕던 버금 사신.
  • 아삭 : 연하고 싱싱한 과일이나 채소 따위를 보드랍게 베어 물 때 나는 소리.
  • 아산 牙山 : 충청남도의 서북부에 있는 시. 농업, 축산업 외에 임업, 수산업, 방직업이 발달하였다. 공업 단지로서의 개발 잠재력이 크며 명승지로 신정호, 영괴대, 온양 온천, 현충사 따위가 있다.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온양시와 아산군을 통합하여 신설된 도농 복합 형태의 시이다. 면적은 542.37㎢.
  • 아살 餓殺 : 굶겨 죽임.
  • 아삼 峨蔘 : 산형과에 속한 털전호의 생약명. 뿌리를 약용하며 통기에 효능이 있어 보중익기, 비허식창, 사지 무력 따위를 치료하는 데에 쓴다.
  • 아삽 亞翣 : ‘불삽’을 달리 이르는 말. ‘亞’ 자가 쓰인 것을 근거로 하여 붙은 이름이다.
  • 아상 我相 : 사상(四相)의 하나. 오온(五蘊)이 화합하여 생긴 몸과 마음에 참다운 ‘나’가 있다고 집착하는 견해를 이른다.
  • 아새 : ‘접때’의 방언
  • 아생 芽生 : 씨앗에서 싹이 틈.
(총 1,201 개의 단어) 💗
  • 사아 死兒 : 죽은 아이.
  • 사악 司樂 : 신라 때에, 음성서(音聲署)의 으뜸 벼슬. 경덕왕 때 경(卿)을 고친 것으로 혜공왕 때 다시 경으로 고쳤다.
  • 사안 史眼 : 역사를 이해하는 안목.
  • 사알 司謁 : 고려 시대에 둔 내시부의 정칠품 벼슬.
  • 사암 沙巖/砂巖 : 모래가 뭉쳐서 단단히 굳어진 암석. 흔히 모래에 점토가 섞여 이루어지는데 건축 재료나 숫돌로 쓴다.
  • 사애 私愛 : 어느 한 사람이나 한쪽만을 치우치게 사랑함.
  • 사액 死厄 : 죽음으로 이끌 모질고 사나운 운수.
  • 사앵 絲櫻 : 장미과의 낙엽 교목. 높이는 10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으로 톱니가 있다. 4월에 담홍색 꽃이 잎보다 먼저 피고, 열매는 핵과(核果)로 여름에 붉게 익으며 식용한다. 한국의 장산곶ㆍ지리산ㆍ제주도와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사야 四野 : 사방의 들.
(총 161 개의 단어) 🏖
  • : 한글 자모 ‘ㅏ’의 이름.
  • : 있는 힘을 다하여 모질게 마구 쓰는 기운.
  • : ‘아우’의 방언
  • : 어떤 물체나 공간의 둘러싸인 가에서 가운데로 향한 쪽. 또는 그런 곳이나 부분.
  • : ‘안’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안’으로 나타난다.
  • : 조류, 파충류, 어류, 곤충 따위의 암컷이 낳는, 둥근 모양의 물질.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새끼나 애벌레로 부화한다.
  • : 아는 일.
  • : ‘앞’의 옛말.
  • : ‘알’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알’로 나타난다.
(총 145 개의 단어) 🥦
  • : 올이 풀리지 아니하도록 단춧구멍이나 꿰맨 솔기 따위의 가장자리를 실로 감치는 일.
  • : 종이나 헝겊 따위를 칼이나 가위로 단번에 베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삯’의 방언
  • : 일한 데 대한 품값으로 주는 돈이나 물건.
  • :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땅의 부분.
  • : 사람이나 동물의 뼈를 싸서 몸을 이루는 부드러운 부분.
  • : 고양잇과의 포유류. 고양이와 비슷한데 몸의 길이는 55~90cm이며, 갈색 바탕에 검은 무늬가 있다. 꼬리는 길고 사지는 짧으며 발톱은 작고 날카롭다. 밤에 활동하고 꿩, 다람쥐, 물고기, 닭 따위를 잡아먹는다. 5월경 2~4마리의 새끼를 낳고 산림 지대의 계곡과 암석층 가까운 곳에 사는데 한국, 인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 사는 일. 또는 살아 있음.
  • : ‘삽’의 옛말.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