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294개

한 글자:1개 두 글자:83개 세 글자:95개 네 글자:56개 다섯 글자:26개 여섯 글자 이상:33개 🍀모든 글자: 294개

  • 미거 : (1)중국의 현대 화가(1908~1971). 상해미전 서양화과를 나와 중앙미대에서 화조화 교육을 담당하였다.
  • 적석 목 : (1)지하에 구덩이를 파거나 지상에 목곽을 짜 놓고 사람 머리 크기의 강자갈을 덮은 후 다시 그 위에 점토 따위의 흙을 입혀 다진 무덤. 신라 특유의 것이다.
  • 무덤 : (1)고조선 시대에 판자로 상자를 만들고 그 위에 흙을 덮어 봉분을 만든 무덤.
  • 단체 : (1)‘윤곽 단체’의 북한어.
  • : (1)일이나 사건의 대체적인 줄거리. (2)사물의 테두리나 대강의 모습. (3)인지적으로 낱말이 지시하는 실체를 받아들이는 틀. 바탕이 되는 큰 단위에서 하위 구조를 부각 시킴으로써 나타난다. 예를 들어 ‘손가락’은 더 큰 바탕인 몸, 팔, 그리고 손으로 영역이 좁혀지면서 그 안에서 지위를 획득한다.
  • : (1)미역을 넣어 끓인 국.
  • : (1)‘성냥갑’의 방언
  • : (1)중국 전한(前漢)의 장군(?~B.C.68). 무제를 섬기다가 무제가 죽자 실권을 장악하였다. 어린 소제를 보좌하여 대사마 대장군(大司馬大將軍)이 되었으며, 소제가 죽은 뒤 선제를 즉위시켜 20여 년 동안 권력을 누렸다.
  • 도시 : (1)성곽으로 둘러싸인 도시. 예전에 외적을 막기 위하여 만들었는데, 오늘날에도 흔히 볼 수 있다. 베이징이 대표적인 예이다. (2)중국, 러시아, 인도에서 ‘방수 도시’를 달리 이르는 말.
  • 수비 : (1)축구나 농구 따위의 경기에서 골 에어리어 바깥쪽에서 상대 팀의 공격을 막는 일.
  • : (1)등뼈, 갈비뼈, 가슴뼈와 가로막으로 이루어지는 원통 모양의 부분. 심장, 허파, 식도 따위를 보호하고 흉근으로 운동하여 호흡 운동을 돕는다.
  • 토광목 : (1)관을 넣어 두는 널방을 나무로 만든 무덤. 평양 부근의 낙랑 고분, 경주 부근의 신라 고분이 이에 속한다.
  • 토사 : (1)위로는 토하고 아래로는 설사하면서 배가 질리고 아픈 병.
  • : (1)많은 창녀를 두고 매음 영업을 하는 집. 또는 그런 집이 모여 있는 곳.
  • 말약 : (1)중국의 문학가ㆍ정치가(1892~1978). 신문학 운동에 종사하였고 중일 전쟁 후에 과학원 원장, 부수상을 지냈다. 저서에 ≪중국 고대 사회 연구≫, ≪갑골 문자 연구≫, 시집 ≪여신(女神)≫ 따위가 있다. ⇒규범 표기는 ‘궈모뤄’이다.
  • : (1)우뚝하게 높이 솟아 성곽같이 된 산. (2)산속에 있는 마을. (3)산중의 성곽. (4)골상학에서, 눈동자의 윗부분 반쪽을 이르는 말. (5)아이를 낳은 사람이 먹을 미역.
  • 유두 : (1)혀에서 가장 큰 유두인 바퀴 모양의 유두. 8~12개가 있으며, 유두 외측의 유두 고랑이 매우 깊어 마치 성곽의 해자와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이름을 갖게 되었다.
  • : (1)바깥 테두리 선. (2)어떤 대상의 바깥 테두리를 이은 선. (3)도심의 바깥 부분으로 우회하도록 만든 도로.
  • : (1)눈의 흰자위.
  • 볼록 외 : (1)기하 객체를 포함하는 최소의 볼록 집합의 외곽.
  • 경부 청술 : (1)목 빗근, 내경정맥, 척추 부수 신경 및 목의 림프절을 제거하는 수술. 주로 머리와 목 부위의 암을 치료할 때 일차적으로 시행한다.
  • 망우당 유물 : (1)망우당 곽재우 장군의 일괄(一括) 유물.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곽재우 장군 기념 사업회에서 소장하고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곽재우 유물 일괄’이다.
  • 서울 성 : (1)서울의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조선 시대의 도성. 태조 4년(1395)에 한양을 방어하기 위해 성곽을 쌓도록 하여, 네 개의 대문과 소문이 만들어졌다. 현재는 삼청동ㆍ장충동 일대의 성벽과 숭례문ㆍ흥인지문ㆍ홍예문(虹霓門)이 남아 있다. 사적 정식 명칭은 ‘서울 한양 도성’이다.
  • 우록 : (1)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익이 나라에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쓴 책. 경연, 육재(育才), 입법, 치민, 생재(生財), 국용(國用) 등 19항목에 대한 견해를 쓴 것이다. 2권 1책.
  • 산의 참살 : (1)3ㆍ1 운동 때에, 평안북도 곽산에서 일본군이 독립 만세 시위 군중을 참혹하게 죽인 사건. 곽산의 3ㆍ1 운동은 교회(敎會)를 중심으로 일어났으며, 1919년 3월 6일에 수천 명의 군민이 합세하여 절정에 달하였다.
  • 성내 : (1)‘성냥갑’의 방언
  • : (1)곽란의 하나. 토하고 설사를 해서 위장 내의 병리성 내용물을 배출한다.
  • 게이지 : (1)부품의 윤곽을 검사하는 데에 쓰는 게이지. 보통 검사할 부분과 반대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검사할 부분에 맞대었을 때 윤곽선과 게이지 사이에 빛이 통과하지 않으면 합격이 된다.
  • 성 입자 : (1)기도와 가스 교환 부위에 침착되었을 때 독성을 나타내는 물질의 입자. 일반적으로 직경의 중앙값이 10±1.0 마이크로미터(㎛)이다.
  • 우윳 : (1)우유를 담아 두는 갑. ⇒규범 표기는 ‘우유갑’이다.
  • : (1)한 무덤 안에 둘 이상의 널을 갖춘 양식.
  • : (1)내성(內城)과 외성(外城)을 통틀어 이르는 말. (2)예전에, 적을 막기 위하여 흙이나 돌 따위로 높이 쌓아 만든 담. 또는 그런 담으로 둘러싼 구역.
  • 공충 : (1)개미붙잇과의 곤충. 몸의 길이는 9mm 정도이고, 몸은 붉은 갈색 털로 덮여 있으며 점각(點刻)이 촘촘히 있다. 나무굼벵이 따위를 잡아먹는 이로운 곤충이며 애벌레는 다른 곤충의 알을 먹는다.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인쇄 : (1)함이나 갑(匣)에 하는 인쇄.
  • 근치적 경부 청술 : (1)목 빗근, 내경정맥, 척추 부수 신경 및 목의 림프절을 제거하는 수술. 이 수술은 주로 머리와 목 부위의 암을 치료할 때 일차적으로 시행한다.
  • : (1)미용에서, 얼굴이나 특정 부위를 작아 보이게 하려고 칠하는 색.
  • 지식적재기 : (1)짐을 퍼서 담는 부분이 갈퀴 모양으로 된 운반 기계의 하나.
  • : (1)넓고 길쭉한 미역.
  • 향로 : (1)꿀풀과에 속한 곽향의 줄기나 잎을 증류해서 얻은 방향수. 더위로 인한 기체, 흉번 따위를 치료하는 데 쓴다.
  • 사봉 : (1)함경남도 혜산군 보천면에 있는 산. 부전령산맥에 속한다. 높이는 1,854미터.
  • : (1)지도의 윤곽을 정하는 선.
  • 점심 : (1)점심을 담은 도시락.
  • 산 학살 사건 : (1)3ㆍ1 운동 때에, 평안북도 곽산에서 일본군이 독립 만세 시위 군중을 참혹하게 죽인 사건. 곽산의 3ㆍ1 운동은 교회(敎會)를 중심으로 일어났으며, 1919년 3월 6일에 수천 명의 군민이 합세하여 절정에 달하였다.
  • 결정소 : (1)구나 문장 전체의 윤곽을 결정하는 요소. 예를 들어 ‘지하철에서 목도리를 짜는 소녀’라는 문장에는 ‘지하철’, ‘목도리를 짜다’, ‘소녀’ 따위의 많은 구성 요소가 존재한다. 그러나 ‘소녀’만이 전체 구를 ‘명사구’라는 위상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 상훈 : (1)정치가(1896~1980). 호는 삼연(三然). 3ㆍ1 운동에 참여하였으며, 8ㆍ15 광복 후 초대~5대 국회 의원, 제5대 민의원 의장, 통일 주체 국민 회의 운영 위원장 따위를 지냈다.
  • 종석 : (1)구한말의 학자(1846~1919). 자는 명원(鳴遠). 호는 면우(俛宇). 1905년에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조약의 폐기와 조약 체결에 참여한 매국노의 처형을 상소하고, 3ㆍ1 운동 때는 파리의 만국 평화 회의에 독립 호소문을 보내어 옥고를 치렀다.
  • 재우전 : (1)곽재우를 주인공으로 하는 조선 시대의 한글 소설. 곽재우가 임진왜란 때에 기묘한 전술로 왜군을 무찌른 무용담이 주된 내용이다. 작가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 (1)중국 명나라 때의 전기(傳奇). 전국 시대에 서로 출세를 약속한 세 남자의 각각 다른 처세법을 내용으로 한 작품이다.
  • 거리 : (1)‘씻김굿’의 방언
  • 성낭 : (1)‘성냥갑’의 방언
  • : (1)제품을 갑 속에 넣는 기계.
  • 바느질 : (1)‘반짇고리’의 북한어.
  • 장이 : (1)관곽을 만들거나 파는 사람.
  • : (1)항해에 필요한 각종 장비나 기관 따위를 제외한 배의 골격과 외곽을 형성하는 구조 주체. 공장에서 만든 블록으로 선대(船臺) 위에서 조립한다.
  • 무천 : (1)중국 송나라 때의 학자(?~?). 유일하게 전해지는 저서인 ≪악부시집(樂府詩集)≫은 악부 가사를 정리한 총집으로 정리가 잘 되어 있어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고 있다.
  • 수경 : (1)중국 원나라의 과학자(1231~1316). 자는 약사(若思). 세조를 섬기고, 수리ㆍ토목 사업에 큰 공적을 남겼다. 중국 역법 사상 획기적이고 새로운 수시력(授時曆)을 만들었다. 저서에 ≪추보(推步)≫, ≪입성(立成)≫ 따위가 있다.
  • 문자 윤 : (1)인쇄체 또는 필기체의 문자 인식에서 문자 각 획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도형적 형태.
  • : (1)‘윤곽미’의 북한어.
  • 따내기 : (1)포토샵을 이용하여 사진을 편집할 때, 원하는 부분을 추출하고자 할 경우 명도가 바뀌는 부분에는 가는 선을 그리고 나머지 부분에는 흰색을 써서 윤곽선을 드러나게 하는 방법.
  • 무덤 : (1)‘곽’의 북한어.
  • 수혈식 석 : (1)주검을 위에서 수직으로 넣도록, 옆으로 트인 창이나 입구 없이 돌로 네 벽을 짠 무덤.
  • 분도 : (1)지도에서, 테두리 선의 하나. 대상물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경도와 위도의 눈금이 표시되어 있다.
  • : (1)미역을 넣어 끓인 국.
  • 티슈 : (1)네모진 종이 상자에 담긴 화장지. 한 장씩 뽑아 쓰도록 되어 있다. ⇒규범 표기는 ‘갑 티슈’이다.
  • 빔 안테나 : (1)안테나의 빔이 표면 형태의 특정한 윤곽 위에 입사한 등가 전력 선속 밀도의 표면 선을 가로지를 때와 같은 방식으로 설계된 성형 빔 안테나.
  • : (1)흰담비의 털가죽. 털의 끝부분이 연두색이며, 담비의 털가죽 가운데 품질이 가장 나쁘다.
  • : (1)시체가 안치되어 있는 무덤 속의 방.
  • 부두 외 컨테이너 장치장 : (1)부두에서 떨어져 있는, 컨테이너를 임시로 쌓아 두는 장소.
  • : (1)성이나 왕궁 따위의 바깥 테두리에 있는 문.
  • 투영기 : (1)나사나 게이지 따위의 검사 대상물을 광학적으로 확대한 뒤 스크린 위에 투영하여 윤곽의 형상이나 치수를 검사하고 측정하는 장치. 광원(光源), 스크린, 콘덴서, 투영 렌즈, 반사경 또는 프리즘으로 구성된다.
  • 약허 : (1)중국 북송대의 미술 이론가(?~?). 대표작으로 미술 이론과 작가 정리, 그림평 등이 기술된 ≪도화견문지≫가 있다.
  • : (1)곽란의 하나. 배가 뒤틀리는 것처럼 아프며, 토하거나 설사는 하지 않으나 가슴이 답답해진다.
  • : (1)한 무덤 안에 한 개의 널을 갖춘 양식.
  • 상구 : (1)가슴우리의 위쪽 부분. 첫째 등뼈, 갈비뼈와 갈비 연골, 복장뼈 자루의 위 모서리가 만나 이루며, 앞쪽이 뒤쪽에 비해 낮은 타원형 구조로 되어 있다. 이곳으로 식도, 기관 및 큰 혈관이 지나가 가슴안으로 들어간다.
  • 가지개 : (1)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40cm 정도이며, 온몸에 털이 있고 잎은 마주난다. 7~8월에 연한 붉은색 꽃이 윤산(輪繖) 화서로 피고 골돌과(蓇葖果)는 달걀 모양이다. 개곽향에 비하여 키가 작고 가지가 많이 갈라졌다. 산이나 들에서 자라는데 함북에 분포한다.
  • : (1)‘갈퀴’의 방언
  • 백반 : (1)흰밥과 미역국을 아울러 이르는 말. 생일에 흔히 먹는 음식이다.
  • 선 다루기 : (1)그림을 그릴 때, 사물의 테두리를 잇는 선을 처리하는 일.
  • 진성 신경학적 흉 출구 증후군 : (1)매우 만성적으로 진행하는 축삭 소실 팔 신경얼기 병증. 시(C) 8 앞 가지 먼 쪽이나 팔 신경얼기 아래 줄기 몸쪽 부분이 흔적으로 남은 목갈비뼈와 첫째 갈비뼈 사이에 뻗은 선천적인 띠에 의해 압박을 받기 때문에 일어난다. 드문 장애로, 대개 젊거나 중년의 여성에게서 흔히 발견되고, 한쪽 손의 황폐와 쇠약이 나타나는데, 특히 가쪽의 엄지 두덩이 침범된다.
  • 건달 : (1)기본 빗장이 없고 보조 빗장만 있는 곽쇠. 문을 잠글 필요가 없는 곳에 쓴다.
  • 비눗 : (1)‘비눗갑’의 방언
  • 단체 : (1)공공 단체나 정당 따위에서 형식적으로 독립한 조직이면서도 인사와 재정 면에서 특별한 관계를 가지며, 그 단체 기능의 일부를 전문적으로 떠맡아 지원 활동을 하는 단체. 철도청의 홍익회나 보건 복지 가족부의 대한 결핵 협회 따위가 있다.
  • 산뻬 : (1)‘무릎뼈’의 방언
  • : (1)‘성냥갑’의 방언
  • 승진 묘 : (1)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간매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곽승진의 묘. 송전산 구릉의 청주 곽씨 세장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묘표는 글자가 마모되어 알아보기 어렵다.
  • : (1)마찰에 의하여 불을 일으키는 물건. 작은 나뭇개비의 한쪽 끝에 황 따위의 연소성 물질을 입혀 만든다. 황린(黃燐), 적린(赤燐), 무린(無燐) 성냥 따위가 있다. ⇒규범 표기는 ‘성냥’이다.
  • 나니 : (1)‘곽란’의 방언
  • : (1)벽돌로 시체실을 만든 무덤. 입구는 아치 모양이고 천장은 돔 모양으로 낙랑ㆍ삼국 시대의 유적에서 볼 수 있다.
  • : (1)중국 서진(西晉)의 사상가(?~312). 자는 자현(子玄). 사도연(司徒掾)과 사공연(司空掾), 태학 박사(太學博士), 황문시랑(黃門侍郞) 등을 역임했다. 위진 남북조 시대 현학(玄學)의 대표적 인물로서 노장의 신비주의 사상을 신봉하였다. 저서로 ≪장자주(莊子注)≫가 있다.
  • : (1)짠 판(版)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굵은 장식괘.
  • 무덤 : (1)한 봉토 안에 덧널을 나란히 쌍으로 놓은 고분. 벽돌무덤과 돌방무덤에서 간혹 볼 수 있다.
  • : (1)축구ㆍ하키ㆍ농구 따위에서, 골 에어리어 밖에서 차거나 던지는 슛.
  • 불규칙 외 지뢰군 : (1)적을 향하여 지뢰 지대 정면에 불규칙적으로 매설한 짧은 지뢰 지대. 지뢰 지대의 형태 또는 범위를 위장하기 위하여 매설한다.
  • : (1)‘석곽’의 북한어.
  • 부하 윤 : (1)주어진 기간 내에 발주된 주문이나 계획된 주문에 근거하여 향후의 생산 능력 소요량을 표시한 도표.
  • : (1)음식이 체하여 토하고 설사하는 급성 위장병. 찬물을 마시거나 몹시 화가 난 경우, 뱃멀미나 차멀미로 위가 손상되어 일어난다.
  • 무덤 : (1)‘돌덧널무덤’의 북한어.
  • 우유 : (1)우유를 담아 두는 갑. ⇒규범 표기는 ‘우유갑’이다.
  • 재우 : (1)조선 중기의 의병장(1552~1617). 자는 계수(季綏). 호는 망우당(忘憂堂). 임진왜란 때 의령(宜寧)에서 의병을 일으켜 큰 공을 세웠고, 정유재란 때 다시 의병장으로 출전하였다. 그 뒤 진주 목사, 함경도 관찰사 따위를 지냈다.
  • : (1)빨리 흩어짐.
1 3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1개) : 가, 각, 간, 갇, 갈, 갉, 갏, 감, 갑, 값, 갓, 강, 갖, 갗, 개, 객, 갠, 갤, 갬, 갭, 갱, 갸, 갹, 걈, 걍, 걔, 걘, 거, 건, 걸, 검, 겁, 겂, 것, 겄, 겇, 겉, 게, 겍, 겐, 겔, 겝, 겟, 겠, 겡, 겥, 겨, 격, 견, 겯, 결, 겸, 겹, 겻, 경, 겿, 곁, 계, 고, 곡, 곤, 곧, 골, 곬, 곰, 곱, 곳, 공, 곶, 곷, 곻, 과, 곽, 관, 괄, 괌, 광, 괘, 괙, 괜, 괠, 괨, 괭, 괴, 괵, 괼, 굄, 굉, 교, 굠, 굥, 구, 국, 굮, 군, 굳, 굴, 굼, 굽, 굿 ...

실전 끝말 잇기

곽으로 시작하는 단어 (101개) : 곽, 곽가, 곽각선생, 곽거, 곽거리, 곽거병, 곽공, 곽공충, 곽광, 곽기, 곽나니, 곽낙원, 곽내, 곽독, 곽란, 곽란에 약 지으러 보내면 좋겠다, 곽란에 죽은 말 상판대기 같다, 곽령, 곽말약, 곽망우당 유물, 곽머리굿, 곽머리 씻김굿, 곽무천, 곽문유산, 곽미거, 곽박, 곽밥, 곽분양전, 곽분양팔자, 곽분양행락도 ...
곽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101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곽을 포함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294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