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술어 (敍述語)
☆ 명사
1. 문장에서 주어의 성질, 상태, 움직임 등을 나타내는 말.
1. PREDICATE: A word that shows the subject's character, state, movement, etc., in a sentence.
-
서술어의 생략.
The omission of a predicate. -
서술어의 여부.
Whether it's a predicate. -
서술어의 호응.
The response of a predicate. -
서술어가 사용되다.
Descriptive words are used. -
서술어를 쓰다.
Use a predicate. -
한국어는 서술어가 생략된 문장으로도 얼마든지 의사소통이 가능한 언어이다.
Korean is a language that can communicate as much as possible with sentences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
한국어는 서술어가 주어와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주어와의 호응을 잘 맞추어야 한다.
Korean should be well matched with the subject because the predicate is far from the subject. -
♔
이 문장에 들어갈 서술어의 알맞은 형태는 무엇일까요?
What is the correct form of the predicate in this sentence?
♕ 음, 글쎄요. 너무 어려워서 잘 모르겠어요.
Well, i don't know. it's so hard that i don't know.
유의어
술어(述語): 문장 안에서 주어의 성질, 상태, 움직임 등을 나타내는 말.
🗣️ 발음, 활용: • 서술어 (
서ː수러
)
📚 분류: 학문 용어 언어📚 주석: 주로 동사, 형용사, 서술격 조사의 종결형으로 나타난다.
🗣️ 서술어 (敍述語) @ 뜻풀이
- 문장 성분 (文章成分) : 주어, 서술어, 목적어 등과 같이 한 문장을 구성하는 요소.
- 주성분 (主成分) : 주어, 서술어, 목적어 등과 같이 문장을 이루는 필수적인 성분.
- 어순 (語順) : 한 문장 안에서 주어, 목적어, 서술어 등의 문장 성분이 나오는 순서.
🗣️ 서술어 (敍述語) @ 용례
- 한국어는 주어, 목적어, 서술어 순의 어순을 가지고 있다. [어순 (語順)]
- 가장 기본적인 문형은 ‘주어-서술어’의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문형 (文型)]
- 서술어 '되다'나 '아니다' 앞에서 조사 '이', '가'가 붙은 문장 성분을 찾아봐. [보어 (補語)]
- 주어와 서술어를 도치하다. [도치하다 (倒置하다)]
- 그 문장은 주어와 서술어를 도치해 주어가 서술어 뒤에 나온다. [도치하다 (倒置하다)]
- ‘나는 밥을 먹는다.’에서 목적어와 서술어를 도치하면 어떻게 되죠? [도치하다 (倒置하다)]
- 학생들은 주어와 서술어 사이에 수식어가 많은 문장을 잘 해석하지 못했다. [주어 (主語)]
- 한국어에서는 긍정문의 서술어 앞에 부정 부사를 넣으면 부정문이 된다. [긍정문 (肯定文)]
-
ㅅㅅㅇ (
수산업
)
: 바다나 강 등의 물에서 나는 생물을 잡거나 기르거나 가공하는 등의 산업.
☆
명사
🌏 FISHING INDUSTRY: The industry that catches, cultivates or processes organisms from water such as rivers, the ocean, etc. -
ㅅㅅㅇ (
샅샅이
)
: 빈틈없이 모조리.
☆
부사
🌏 THOROUGHLY; COMPLETELY: To the very last one. -
ㅅㅅㅇ (
서술어
)
: 문장에서 주어의 성질, 상태, 움직임 등을 나타내는 말.
☆
명사
🌏 PREDICATE: A word that shows the subject's character, state, movement, etc., in a sentence.
• 법 (42) • 연애와 결혼 (28) • 스포츠 (88) • 길찾기 (20) • 취미 (103) • 언론 (36) • 공공 기관 이용하기(출입국 관리 사무소) (2) • 외양 (97) • 집 구하기 (159) • 가족 행사-명절 (2) • 사회 제도 (78) • 예술 (76) • 직장 생활 (197) • 초대와 방문 (28) • 학교생활 (208) • 소개하기(자기소개) (52) • 주말 및 휴가 (47) • 환경 문제 (81) • 경제·경영 (273) • 대중 매체 (47) • 위치 표현하기 (70) • 컴퓨터와 인터넷 (43) • 역사 (92) • 인간관계 (255) • 과학과 기술 (91) • 문제 해결하기(분실 및 고장) (28) • 공공 기관 이용하기(우체국) (8) • 지리 정보 (138) • 건축 (43) • 감정, 기분 표현하기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