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58개

  • 개관지도 : 槪觀地圖 자연적ㆍ지리적 요소들과 사회적ㆍ경제적 요소들을 비롯한 그 밖의 전반적 요소들을 포함한 일반 지도.
  • 개구지다 : ‘짓궂다’의 방언
  • 갬겨지다 : ‘감기다’의 방언
  • 걸귀지다 : 새끼를 낳은 가축이 야위어 뼈만 남은 듯하다
  • 검경정동 : 瞼硬睛疼 눈물이 나오며 눈시울이 부어 단단하고, 눈알이 아픈 병.
  • 경기좌도 : 1 京畿左道 고려 시대에, 경기 서부의 마전(麻田), 송림(松林), 임강(臨江), 임진(臨津), 장단(長湍), 적성(積城), 파평(坡平), 토산(兔山)의 여덟 고을로 이룬 도. 2 京畿左道 조선 시대에, 경기 서부의 강화, 광주, 김포, 수원, 시흥, 안성, 용인, 인천 등의 여러 고을로 이룬 도.
  • 고갯장단 : 고갯짓으로 맞추는 장단.
  • 고급지다 : 高級지다 고급스러운 느낌이 있다.
  • 관골지다 : 顴骨지다 광대뼈가 나오다.
  • 구게지다 : ‘구겨지다’의 방언
  • 구겨지다 : 1 구김살이 잡히다. 2 마음이 언짢게 되다.
  • 구기지다 : ‘구겨지다’의 방언
  • 구김지다 : 옷 따위에 구겨진 선이 생기다.
  • 국경제도 : 國境制度 나라의 대외적 안전을 보호하기 위하여, 국내법과 관련 국가들의 국제 조약으로 국경 지대의 문제를 규정한 법률 제도.
  • 군것지다 : 없어도 좋을 것이 쓸데없이 있어서 거추장스럽다.
  • 굴곡지다 : 1 屈曲지다 이리저리 굽어 있다. 2 屈曲지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잘되거나 잘 안되거나 하는 일이 번갈아 나타나는 변동이 있다.
  • 귀겨지다 : ‘구겨지다’의 방언
  • 근긴장도 : 筋緊張度 근육의 수동적이고 부분적인 수축 증상, 또는 안정된 상태에서 근육이 수동적으로 늘어나는 증상에 대하여 근육이 저항하는 성질.
  • 금강전도 : 金剛全圖 조선 후기 때에, 화가 정선(鄭歚)이 그린 대표적인 실경(實景) 산수화. 원형 구도로 그림의 윗부분에 비로봉이 서 있고, 거기서 화면의 중심인 만폭동을 지나 아랫부분 끝에는 장안사의 비홍교가 배치되어 있는, 종이에 먹과 옅은 채색을 한 그림이다. 국보 제217호.
  • 기골장대 : 氣骨壯大 기골이 건장하고 큼.
  • 기관지돌 : 氣管枝돌 기관지 벽에서 루멘으로 나오는 기관지 내의 딱딱한 응결물. 결핵이나 육아종 림프절 부식이 원인이다.
  • 가곡 장단 : 歌曲장단 국악 가곡 연주에 쓰는 장단. 장구로 맞추며, 16박의 기본 장단과 10박의 편장단이 있다.
  • 가구 집단 : 1 街區集團 유닉스에서, 파일 시스템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블록. 파일 시스템의 크기, 저장할 수 있는 파일의 개수, 사용할 수 있는 공간 따위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2 街區集團 연속된 가로로 둘러싸인, 개발 가능한 대단위 구역. 택지를 조성할 때 여러 구역을 묶어 하나의 단지로 계획한 것이다.
  • 간극 집단 : 間隙集團 여러 종류의 사회적 간극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비형식적인 동아리 집단이나 또래 집단을 아울러 이르는 말.
  • 건강 진단 : 健康診斷 건강의 유지와 증진, 병의 조기 발견이나 예방 따위를 위해서 심신의 상태를 검사하는 일.
  • 건근 절단 : 腱筋切斷 전체 인대 가운데 주요한 부분의 일부나 전체를 절단하는 수술.
  • 경계 전대 : 警戒戰隊 기동 함대가 목표 지역으로부터 이동하는 도중 및 목표 지역에서 작전하는 도중 방호를 제공하는 함정의 기동 편성.
  • 경기 주도 : 競技主導 경기의 흐름을 이끄는 것.
  • 경기 진단 : 景氣診斷 경제 활동의 상태를 진단하는 일. 경제 성장률과 기준 금리 등을 근거로 판단한다.
  • 계급 정당 : 階級政黨 특정 계급의 처지와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정당. 일반적으로 노동자, 농민들의 처지나 이익을 주장하는 정치적 단체이다.
  • 계급 제도 : 1 階級制度 사회적 지위의 구별에 관한 국가의 제도. 2 階級制度 서로 대립하는 계급이 있어서 지배와 지배를 당함, 착취와 착취를 당하는 따위의 관계를 이루는 사회 제도.
  • 공격 종대 : 攻擊縱隊 공격하기 위하여 이루는 세로 대형.
  • 공격 지대 : 攻擊地帶 공격 작전 시 전술 부대에 지역에 대한 책임을 부여하기 위하여 전투 지경선에 의해서 전술적으로 재분할된 지역.
  • 공공 주도 : 公共主導 사회의 일반 구성원에게 공동으로 속하거나 두루 관계되는 어떤 일을 이끌거나 지도하는 일.
  • 공기 전달 : 空氣傳達 귀길 안에서 공기를 통하여 속귀로 소리가 전달되는 현상.
  • 공기 전도 : 空氣傳導 소리가 외이 안의 공기를 통하여 내이로 전달되는 현상.
  • 공기 제동 : 空氣制動 압축 공기를 이용하는 제동.
  • 공기 진동 : 空氣振動 주파수가 약 15헤르츠 이하인, 음성 대역 최저 한계 이하의 음.
  • 과거 제도 : 科擧制度 고려ㆍ조선 시대에, 과거를 통하여 관리를 선발하던 제도.
  • 관계 중독 : 關係中毒 모든 사람과 친밀한 인간관계를 맺는 일에 집착하는 병적 상태.
  • 관계 집단 : 關係集團 개인이 자기의 행위나 규범의 표준으로 삼는 집단. 소속 집단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한 개인이 동시에 여러 개의 관계 집단에 속하는 경우도 있다.
  • 관광 지대 : 觀光地帶 한국의 극작가인 박조열이 쓴 희곡. 판문점에 있는 휴전 회의실에서 벌어진 풍경을 다룬 작품이다.
  • 관광 지도 : 觀光地圖 관광지를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길을 안내하고 관광 지점 따위를 표시해 놓은 지도.
  • 광고 전단 : 廣告傳單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그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종이쪽.
  • 교계 제도 : 敎階制度 교회 성직의 계급 제도.
  • 교과 전담 : 敎科專擔 초등학교에서, 특정 과목을 전담하여 자기 학급뿐만 아니라 타 학급을 지도하는 일. 또는 그런 교사.
  • 교권 제도 : 敎權制度 성자(聖者)가 모든 백성을 지도하고 지배한다는 권리 제도. 로마 가톨릭교회에서는 교황이 모든 세속적인 권력 위에 있어서, 국가라 할지라도 교회의 승인이 있는 한도 안에서 권력 행사를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 구간 종단 : 區間終端 케이블 또는 광케이블과 같은 통신 선로의 한 구간. 한 구간의 입력단이나 출력단은 커넥터를 통해 다른 매체 구간과 접속된다.
  • 국가 전도 : 國家傳導 반덤핑 조치의 대상인 수입업자가 덤핑 제품의 공급원을 조사 대상이 아닌 다른 국가나 기업으로 바꾸는 행위를 비공식적으로 부르는 말.
  • 국경 지대 : 國境地帶 나라와 나라의 영역이 나뉘는 일정 구역.
  • 군국 제도 : 郡國制度 중국 한나라 고조가 실시한 지방 통치 제도. 주나라의 봉건 제도와 진나라의 군현(郡縣) 제도를 절충한 것으로, 수도에 가까운 지역은 군현을 두어 황제가 직접 다스리고, 먼 지역은 황족이나 공신들을 제후로 봉하여 다스리게 하였다.
  • 굴곡 진동 : 屈曲振動 막대나 판 따위의 탄성 물체가 휘어질 때 생기는 진동.
  • 굴근 지대 : 屈筋支帶 손목 앞쪽에 형성된 강한 섬유띠. 손목을 굽힐 때 힘줄이 불거지는 것을 방지하며, 손목뼈가 오목하게 배열되어 형성된 손목 고랑의 양쪽 끝에 붙어 손목굴을 형성한다.
  • 기계 작동 : 機械作動 프로그램 명령어를 실행하는 상태. 명령어의 전송, 해독, 실행 등 세 단계를 거친다.
  • 기계 제도 : 機械製圖 기계나 기계 부분품의 구조ㆍ배치ㆍ치수ㆍ사용 재료ㆍ공작 과정 따위를 표시한 도면. 또는 그 도면을 그리는 일.
  • 기계 진동 : 機械振動 기계 및 구조물에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바람직하지 아니한 운동.
  • 기관 제동 : 機關制動 자동차에서, 엔진의 압축 저항이나 엔진과 변속기의 마찰 저항 따위를 이용하여 감속하는 일. 달리다가 액셀러레이터에서 발을 떼면, 브레이크를 밟지 않아도 속도가 떨어지며 저속 기어일수록 효과가 크다.
  • 긴급 조달 : 緊急調達 부대의 임무와 장비의 상태 따위를 전반적으로 고려하여 긴급하게 필요한 물자나 자재를 마련하는 일.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1,403 개의 단어) 🥝
  • 가가 可呵 : 주로 편지에서, 스스로 생각하여도 우습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 가각 苛刻 : ‘가각하다’의 어근.
  • 가간 家間 : 온 집안.
  • 가감 加減 : 더하거나 빼는 일. 또는 그렇게 하여 알맞게 맞추는 일.
  • 가강 加強 : ‘가강하다’의 어근.
  • 가개 : ‘홍역’의 방언
  • 가객 佳客 : 반갑고 귀한 손님.
  • 가갸 : ‘가갸거겨……’로 시작되는 반절본문의 첫 두 글자.
  • 가걔 : ‘가게’의 방언
(총 1,149 개의 단어) 🍭
  • 가자 : ‘가재’의 방언
  • 가작 佳作 : 매우 뛰어난 작품.
  • 가잔 Kazan[花山] : 일본의 제65대 왕(968~1008). 레이제이(冷泉) 왕의 첫째 아들로, 숙부인 엔유(円融) 왕에게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문학과 예술에 뛰어난 재능을 가졌으나, 후지와라(藤原) 가문의 권력 다툼에 휘말려 즉위 3년 만에 양위하고 승려가 되었다. 재위 기간은 984~986년이다.
  • 가잘 : ‘과줄’의 방언
  • 가잠 : ‘가자미’의 방언
  • 가장 : 여럿 가운데 어느 것보다 정도가 높거나 세게.
  • 가재 : 가잿과의 하나. 게와 새우의 중간 모양인데 앞의 큰 발에 집게발톱이 있다. 뒷걸음질을 잘하며 폐디스토마를 옮긴다. 개울 상류의 돌 밑에 사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가저 茄菹 : 가지로 담근 김치.
  • 가적 佳適 : ‘가적하다’의 어근.
(총 473 개의 단어) 🦄
  • 자다 : 생리적인 요구에 따라 눈이 감기면서 한동안 의식 활동이 쉬는 상태가 되다.
  • 자닥 : ‘다발’의 방언
  • 자단 自斷 : 스스로 딱 잘라 결정을 함.
  • 자달 紫闥 : 대궐 안.
  • 자담 自擔 : 스스로 맡아서 하거나 부담함.
  • 자답 自答 : 스스로 자기에게 물은 것에 대하여 스스로 대답함. 또는 그런 대답.
  • 자당 自當 : 스스로 맡아서 하거나 부담함.
  • 자대 : ‘몸매’의 방언
  • 자도 子刀 : 긴 칼의 한쪽 옆에 붙은 조그만 칼.
(총 141 개의 단어) 🍎
  • : 경계에 가까운 바깥쪽 부분.
  • : 낱낱의.
  • : 음식물에 짠맛을 내는 물질. 소금, 간장, 된장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 : 갓. 모자.
  • : 서쪽에서 부는 바람.
  • : ‘가루’의 방언
  • : ‘칼’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갈’로 나타난다.
  • : 감나무의 열매. 모양은 둥글거나 둥글넓적하고 빛이 붉다. 익기 전에는 떫은맛이 나지만 익으면 단맛이 나며 그대로 먹기도 하고 껍질을 벗겨 곶감을 만들기도 한다.
  • : 귤 따위의 껍질을 벗긴 열매가 속껍질로 따로따로 싸인 낱개
(총 104 개의 단어) 🍬
  • : 길이를 재는 데 쓰는 도구.
  • : 줄이나 획을 한 번 긋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좀’의 방언
  • : 검은담비의 털가죽.
  • : ‘자루’의 방언
  • : 눈이 감긴 채 의식 활동이 쉬는 상태.
  • job : 사용자가 정의하고 컴퓨터가 처리하는 일의 단위. 일련의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묶음으로 되어 있는 일을 이른다.
  • : 잣나무의 열매. 솔방울 같은 단단한 송이에 들어 있으며, 맛이 고소하고 기름기가 많아 기름을 내거나 고명으로 쓴다.
  • : 게의 딱지 속에 들어 있는 누르스름한 물질. 가을에 특히 양이 많고 맛이 있다.
(총 100 개의 단어) 🍿
  • : 궁중에서, ‘숭늉’을 이르던 말.
  • : 뽕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3미터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대개 2~3개의 결각이 있다. 암수한그루로 봄에 단성화가 이삭 모양으로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9월에 붉은색의 핵과(核果)를 맺는다. 열매는 ‘저실’ 또는 ‘구수자’라 하여 약용한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껍질은 한지를 만드는 데 쓴다. 산기슭의 양지바른 곳이나 밭둑에서 자라는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 ‘닻’의 방언
  • : 짚, 땔나무, 채소 따위의 묶음.
  • : ‘닻’의 옛말.
  • : 심마니들의 은어로, ‘불’을 이르는 말.
  • : 꿩과의 새. 머리에 붉은 볏이 있고 날개는 퇴화하여 잘 날지 못하며 다리는 튼튼하다. 육용과 난용으로 육종된 수많은 품종이 있으며, 가금으로 가장 많이 사육한다. 원종은 인도, 말레이시아 등지의 들꿩이다.
  • : 집의 둘레나 일정한 공간을 둘러막기 위하여 흙, 돌, 벽돌 따위로 쌓아 올린 것.
  • : ‘무렵’의 방언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