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109개

  • 가마밥 : ‘가맛밥’의 북한어.
  • 가마보 : ‘대들보’의 방언
  • 가마분 : 가마分 가마니에 해당하는 분량.
  • 가마비 : 假痲痹 실제로는 마비가 없는 상태에서 팔이나 다리의 운동성을 외견상 상실한 상태. 영아에게서는 구루병이나 괴혈병에 동반되는 관절의 통증으로 인해 생길 수 있다.
  • 가만빛 : 밝고 엷은 검은빛.
  • 가맛밥 : 가마솥에 지은 밥.
  • 가매벌 : ‘땅벌’의 방언
  • 가매부 : ‘들보’의 방언
  • 가맷박 : ‘가맛바가지’의 방언
  • 가맷보 : ‘들보’의 방언
  • 가문베 : 검은 빛깔의 베
  • 가문별 : 家門別 가문에 따른 구별.
  • 가문비 : 소나뭇과의 상록 침엽 교목. 암수한그루로 높이는 30미터 이상이며, 잎은 바늘 모양이다. 나무껍질은 비늘 모양의 검은 갈색으로, 6월에 웅화수는 황갈색의 원기둥 모양으로 피고 자화수는 붉은 보라색의 달걀 모양으로 핀다. 방울 모양의 열매를 맺으며 재목은 건축재, 펄프 원료로 쓴다. 한국, 일본, 만주, 우수리강, 캄차카반도 등지에 분포한다.
  • 각면병 : 角面甁 면을 모가 나도록 깎아 만든 병.
  • 각면보 : 角面堡 다각형으로 각이 지게 만든 보루. 여러 방면에서 오는 적을 막거나 공격하는 데 적합하다.
  • 각명비 : 刻銘碑 죽은 사람의 성명, 성별, 연령, 사망 일시 및 장소 따위가 기록된 비석.
  • 간무봉 : 間舞峯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에 있는 산. 태백산맥에 속하며, 북한강의 지류인 소양강ㆍ인북천이 시작하는 곳이다. 높이는 1,161미터.
  • 갈마부 : 羯磨部 오부(五部)의 하나. 중생을 제도하는 부처의 활동을 나타낸 부분.
  • 갈맷빛 : 짙은 초록빛.
  • 갈목비 : 갈대의 이삭을 묶어 만든 비.
  • 갈미봉 : 1 葛味峯 강원도 정선군에 있는 산. 태백산맥에 속하며, 한강의 지류인 송천이 시작하는 곳이다. 높이는 1,265미터. 2 葛味峯 함경남도 단천군 남두일면에 있는 산. 부전령산맥의 첫머리 부분을 이루며, 동해로 흘러가는 북대천이 시작하는 곳이다. 높이는 1,328미터.
  • 감목법 : 감목法 동사가 그 형태를 다른 모양으로 바꾸어 다른 품사의 자격을 얻는 법. 명사화, 관형화, 부사화 따위가 있다.
  • 감미비 : 甘味比 과실의 당도를 산도로 나눈 값. 과실이나 과즙의 품질 평가 지표로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당도는 굴절 당도계로 측정한 가용성 고형물 함량을, 산도는 적정 산 함량을 의미한다.
  • 갑문비 : 閘門扉 갑문의 갑실 앞뒤에 설치하는 수문.
  • 개문방 : 開門方 개문(開門)의 방위.
  • 개미벌 : 개미벌과의 곤충. 암컷은 몸의 길이가 1.4cm 정도이고 광택이 있는데 특히 등이 더 심하다. 몸에는 긴 털이 빽빽이 나 있으며, 작은 점무늬가 있다. 머리는 검은색이고 큰 점무늬가 있는데 머리 꼭대기가 팥색인 것도 있다.
  • 거마비 : 車馬費 수레와 말을 타는 비용이라는 뜻으로, ‘교통비’를 이르는 말.
  • 거먕빛 : 아주 짙게 검붉은 빛.
  • 거먹빛 : 1 숯이나 먹의 빛깔과 같이 어둡고 짙은 빛. ⇒규범 표기는 ‘검은빛’이다. 2 윤기가 없는 검은빛.
  • 거먼빛 : 어둡고 엷은 검은빛.
  • 거미발 : 노리개, 반지, 비녀, 연봉잠 따위의 장신구에 보석이나 진주로 알을 박을 때, 빠지지 않게 물리고 겹쳐 오그리게 된 삐죽삐죽한 부분. 모양이 거미의 발처럼 생겼다.
  • 거미배 : 복수로 인해 배가 부풀어 오르는 상태. 이는 쇠약한 환자에게서 볼 수 있다.
  • 건명부 : 件名簿 일이나 물건 따위의 이름을 조목조목 적은 장부.
  • 격막법 : 隔膜法 식염수를 전기 분해 하여 염소와 수산화 나트륨을 제조하는 방법. 양극(兩極) 사이에 석면 따위의 격막을 두고 양극(陽極)에서 생긴 염소와 음극에서 생긴 수산화 나트륨이 다시 반응하여 식염으로 돌아가는 것을 막는다. 격막을 두는 방식에 따라 수평식과 직립식이 있다.
  • 격문법 : 格文法 언어 분석의 한 체계. 문장에서 의미 관련성을 명확히 하기 위한 의미론적 역할을 강조하는 언어학 이론이다. 미국의 언어학자 필모어(Fillmore, C. J.)에 의하여 1968년 개발된 이론으로 변형 문법에 대한 실질적인 수정 이론이다.
  • 견마배 : 牽馬陪 조선 시대에, 사복시에 속하여 임금, 세자, 군이 탄 말을 끌던 종칠품 잡직.
  • 견마부 : 牽馬夫 선 시대에, 사복시에 속하여 임금, 세자, 군이 탄 말을 끌던 종칠품 잡직.
  • 결말부 : 結末部 어떤 이야기에서 사건의 결론이 드러나는 마지막 부분.
  • 경마법 : 競馬法 경마의 경주를 규정하고 개최하기 위하여 제정된 법률.
  • 경매법 : 競賣法 예전에, 유치권자, 질권자, 저당권자 및 전세권자의 경매와 민법이나 상법의 규정에 의한 경매 절차를 규정하기 위하여 제정한 법률. 1990년에 민사 소송법에 통합되었다.
  • 경묘법 : 頃畝法 옛날 중국에서 토지를 측량할 때 쓰던 면적 단위법. 전한(前漢) 이전에는 6자 평방의 넓이를 1보(步), 100보의 넓이를 1묘(畝), 100묘의 넓이를 1경(頃) 또는 1부(夫)라 하였고, 전한 이후부터는 5자 평방의 넓이를 1보, 240보의 넓이를 1묘, 100묘의 넓이를 1경으로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고구려와 조선 세종 때, 이를 중국으로부터 받아들이어 한때 토지 측량에 사용하였다.
  • 경무법 : 頃畝法 ‘경묘법’의 원말.
  • 경문방 : 1 景門方 점술가의 팔문(八門) 가운데 길한 문의 하나인 경문의 방위. 2 驚門方 점술가의 팔문(八門) 가운데 흉한 문의 하나인 경문의 방위.
  • 경미반 : 粳米飯 멥쌀로 지은 밥.
  • 곁마부 : 곁馬夫 마부를 따라다니며 도와주는 사람.
  • 고마법 : 雇馬法 조선 시대에, 역마 이외에 민간의 말을 삯을 주고 활용하던 제도. 조선 숙종 7년(1681)에 정착되었다.
  • 고마부 : 1 고마夫 ‘고모부’의 방언 2 고마夫 ‘고모부’의 방언
  • 고막벽 : 鼓膜壁 고실에서, 주로 고막으로 이루어진 가쪽 벽.
  • 고모보 : 1 姑母보 ‘고모부’의 방언 2 姑母보 ‘고모부’의 방언
  • 고모부 : 1 姑母夫 고모의 남편. 2 姑母夫 고모의 남편을 이르는 말. 3 姑母夫 고모의 남편을 부르는 말.
  • 고무배 : 속에 공기를 넣어서 물 위에 뜨도록 한, 고무로 만든 작은 배.
  • 고무병 : 고무病 사과에서 발생하는 생리 장해. 홍옥, 딜리셔스 계통에서 저장 중에 발생하는데 과피 밑의 과육 일부가 갈변하고, 과육에 탄력이 생겨 누르면 스펀지 같은 느낌이 있다.
  • 고무부 : 1 고무夫 ‘고모부’의 방언 2 고무夫 ‘고모부’의 방언
  • 고무빗 : 탄성 고무에 유황을 흡수시킨 에보나이트나 셀룰로이드로 만든 빗.
  • 고문비 : 顧問費 고문의 대가로 지불하는 비용.
  • 고물방 : 고물房 배의 고물 쪽에 칸막이하여 만든 방.
  • 곡면부 : 曲面部 어떤 사물에서, 편평하지 않고 굽어 휘어진 부분.
  • 곡물법 : 穀物法 12세기 이래, 영국에서 지주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곡물의 수입을 규제한 법률. 1815년에는 법률로 곡물 가격을 고정하고자 하였으나 자유 무역론자들의 반대로 1846년에 폐지되었다.
  • 골무병 : 골무餠 동그란 모양으로 썬 가래떡. 그 모양은 엽전을 본뜬 것으로, 한 해 동안의 재복을 의미한다고 한다.
  • 공모범 : 共謀犯 두 사람 이상이 공동으로 범죄를 계획하고 그 가운데 한 사람에게 범죄를 저지르게 하였을 경우의 공범.
  • 공무부 : 1 工務部 기업에서, 공장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는 부서. 2 工務部 신문사나 출판사에서 주로 문선, 식자, 인쇄, 제본 따위의 일을 맡아보는 부서.
  • 공물방 : 貢物房 조선 후기에, 지방 백성을 대신하여 나라에 공물을 바치고 나중에 그 비용과 이자를 합하여 값을 받던 곳.
  • 과목밭 : 果木밭 과실나무를 심은 밭. 흔히 먹을 수 있는 열매를 얻기 위하여 배나무, 감나무, 밤나무, 대추나무 따위를 가꾼다.
  • 과목별 : 科目別 과목에 따른 구별.
  • 관모봉 : 冠帽峯 함경북도 무산군과 경성군 사이에 있는 산. 함경산맥에 속하며, 모양이 웅대하고 천연림이 무성하다. 산 전체가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장년기(壯年期) 지형이다. 높이는 2,541미터.
  • 광마반 : 光磨盤 금속 제품, 소성체, 유리 제품, 나무 제품 따위의 겉면을 청소하고 곱게 윤을 내는 마무리 가공 기계. 원통의 안과 밖, 평면, 곡면을 윤이 나게 닦을 수 있다.
  • 광명불 : 光明佛 연화장 세계에 살며 그 몸은 법계(法界)에 두루 차서 큰 광명을 내비치어 중생을 제도하는 부처. 천태종에서는 법신불, 화엄종에서는 보신불, 밀교에서는 대일여래라고 한다.
  • 괴목반 : 槐木盤 회화나무로 만든 작은 밥상.
  • 교맥반 : 蕎麥飯 메밀을 찧어서 나깨를 벗겨 버리고 지은 밥.
  • 교맥분 : 蕎麥粉 메밀의 열매를 찧어서 낸 가루.
  • 교무부 : 敎務部 학교에서, 교육 사업이 필요한 교육학적 과정을 정확히 거쳐 진행되도록 지도하고 통제하는 부서.
  • 구마비 : 球痲痹 숨뇌를 다치어 숨쉬기, 음식물을 씹거나 삼키기, 발음 따위에 장애가 있는 상태.
  • 구매부 : 1 購買部 기업체 등에서, 필요한 자재나 물품 따위를 집중적으로 구매하는 부서. 2 購買部 학교 등 공공 기관이나 기업체 등에서, 자체적으로 학용품ㆍ생활필수품 따위를 싸게 사들여 싸게 파는 곳.
  • 구매분 : 購買分 물건 따위를 사들인 분량.
  • 구매비 : 購買費 물건 따위를 사들이는 데 드는 비용.
  • 구멍병 : 구멍病 세균이나 곰팡이가 기생하여 잎에 구멍이 뚫리는 식물의 병. 복숭아, 앵두, 벚나무, 매화 따위의 핵과류에 생긴다.
  • 구멍보 : 보의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보의 중간 중간에 구멍을 낸 보.
  • 구멍봉 : 가운데에 구멍이 맞뚫려 낚싯줄을 꿰어 쓸 수 있는 낚싯봉.
  • 구메밥 : 예전에, 옥에 갇힌 죄수에게 벽 구멍으로 몰래 들여보내던 밥.
  • 구명복 : 救命服 물에 빠져도 몸이 물 위에 떠 있을 수 있도록 만든 옷.
  • 구문법 : 構文法 컴퓨터에서 원시 코드로 구성되는 문장을 구성하는 문법.
  • 구민법 : 舊民法 조선 민사령 제1조에 의하여, 1912년부터 1959년까지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었던 일본의 민법전. 현행 우리나라 민법에 대응하는 말이다.
  • 국무부 : 國務部 미국에서, 외교 정책을 담당하는 연방 행정 기관.
  • 국문법 : 國文法 국어의 문법.
  • 국문본 : 國文本 우리나라 고유의 글자인 한글로 표기된 책.
  • 국민반 : 國民班 국민 조직의 가장 작은 단위. 1957년에 형성하였던 자치체의 하나로, 각 동(洞)에 조직하여 국가 방침의 하달(下達)과 민의(民意) 반영을 도모함에 목적을 두었다. 매월 1일에 반상회를 열었다.
  • 국민병 : 國民病 어느 한 나라의 국민이라면 누구든지 쉽게 걸릴 수 있는 병.
  • 국민복 : 國民服 온 국민이 입도록 간편하고 검소하게 만든 옷.
  • 국민부 : 1 國民府 1928년 만주 일대에서 활약하던 참의부ㆍ정의부ㆍ신민부가 통합하여 조직한 독립운동 단체. 주로 한국인의 농지 문제와 경작 문제를 해결해 주었고, 남만 학원(南滿學院)을 설치하여 교육 사업을 추진하였으며, ≪봉화≫라는 동인지를 발간하였다. 2 國民富 나라와 민족이 가지고 있는 물질적 부를 통틀어 이르는 말.
  • 군말법 : 군말法 필요 이상의 군더더기 말을 쓰는 표현법. 부주의나 무학(無學)에 기인하는 것과 수사적 효과를 노려 일부러 사용하는 것이 있다.
  • 귀먹보 : ‘귀머거리’의 방언
  • 귀문방 : 鬼門方 풍수지리에서, 귀신이 드나드는 방향. 보통 동북쪽과 남서쪽을 이른다.
  • 귀밀밥 : ‘귀리밥’의 북한어.
  • 규모별 : 規模別 사물이나 현상의 크기 또는 범위에 따른 구별.
  • 그물배 : 그물을 가지고 물고기를 잡는 배.
  • 그뭄밤 : ‘그믐밤’의 방언
  • 그믐밤 : 음력 그믐날의 밤.
  • 근모부 : 根毛部 뿌리에서 잔털이 빽빽하게 발생한 부분. 잔털이 뿌리의 표면적을 넓혀 양분과 수분의 흡수를 돕는다.
  • 근무병 : 勤務兵 근무를 서고 있는 병사.
  • 근무복 : 勤務服 근무할 때에 입는 옷.
2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705 개의 단어) 🦕
  • 가마 : 아주 크고 우묵한 솥.
  • 가막 : ‘감옥’의 방언
  • 가만 : 움직이지 않거나 아무 말 없이.
  • 가말 : 오랫동안 계속하여 비가 내리지 않아 메마른 날씨. ⇒규범 표기는 ‘가물’이다.
  • 가망 : 굿의 둘째 거리인 가망거리에서 청하는 신.
  • 가매 : ‘얼레’의 방언
  • 가맥 가麥 : 술집이 아닌 가게에서 파는 맥주. 또는 그러한 가게에서 맥주를 마시는 일.
  • 가맹 加盟 : 동맹이나 연맹, 단체에 가입함.
  • 가메 : ‘가마니’의 방언
(총 359 개의 단어) 💌
  • 마발 馬勃 : 말불버섯과의 버섯. 높이는 4~6cm이고 지름은 2~3cm인 기둥 모양의 줄기 위에 둥그런 머리가 있으며 줄기가 아닌 부분의 표면에는 작은 돌기가 많은데 처음에는 희다가 차차 누렇게 된다. 식용하며, 대개 여름과 가을에 숲속의 그늘진 곳에 군서하는데 세계 각지에 널리 분포한다.
  • 마방 : ‘마구간’의 방언
  • 마번 馬番 : 경주에 출주하는 말의 안장 번호.
  • 마벌 Marvell, Andrew : 앤드루 마벌, 영국의 시인(1621~1678). 청교도로 애국적인 시 <크롬웰의 에이레로부터의 귀환에 부치는 노래>를 썼으며 <정원>, <수줍은 애인> 따위로 형이상학 시인으로서의 원숙한 지성을 나타내었다. 왕정복고 후, 국회 의원이 되었고 익명으로 정치적 풍자 문서를 발표하여 궁정과 의회 지도자를 통렬히 비판하였다.
  • 마법 魔法 : 마력(魔力)으로 불가사의한 일을 행하는 술법.
  • 마병 : 오래된 헌 물건.
  • 마보 馬步 : 말에게 해를 끼친다는 귀신. 선목(先牧)이나 마사(馬社)와 함께 모신 제단(祭壇)이 서울 동대문 밖 북쪽에 있었다.
  • 마봉 馬蜂 : 말벌과의 벌. 몸은 암컷이 2.5cm, 수컷이 2cm 정도이며, 검은 갈색에 갈색 또는 누런 갈색의 털이 나 있다. 대개 육식성으로 작은 곤충을 잡아먹는다. 한국을 비롯하여 유럽에서 극동까지 분포한다.
  • 마부 馬夫 : 말을 부려 마차나 수레를 모는 사람.
(총 141 개의 단어) 🎄
  • : 경계에 가까운 바깥쪽 부분.
  • : 낱낱의.
  • : 음식물에 짠맛을 내는 물질. 소금, 간장, 된장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 : 갓. 모자.
  • : 서쪽에서 부는 바람.
  • : ‘가루’의 방언
  • : ‘칼’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갈’로 나타난다.
  • : 감나무의 열매. 모양은 둥글거나 둥글넓적하고 빛이 붉다. 익기 전에는 떫은맛이 나지만 익으면 단맛이 나며 그대로 먹기도 하고 껍질을 벗겨 곶감을 만들기도 한다.
  • : 귤 따위의 껍질을 벗긴 열매가 속껍질로 따로따로 싸인 낱개
(총 99 개의 단어) 🐩
  • : 뱃사람의 말로, ‘남쪽’을 이르는 말.
  • : 바로 지금.
  • : ‘앞말이 가리키는 동안이나 거리’를 나타내는 말.
  • : ‘맏이’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데 쓰는 음성 기호. 곧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목구멍을 통하여 조직적으로 나타내는 소리를 가리킨다.
  • : 불행한 일의 마지막
  • : ‘말뚝’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말’로 나타난다.
  • : ‘마음’의 준말.
  • : 음식 따위를 혀에 댈 때에 느끼는 감각.
(총 112 개의 단어) ⛄
  • : 삼이나 칡 따위로 세 가닥을 지어 굵다랗게 드린 줄.
  • : 물이 새지 아니하도록 하려고, 배에 댄 널빤지에 난 틈을 메우는 물건.
  • : 어떤 선이나 금을 넘어선 쪽.
  • : 얇게 펴서 다듬어 만든 조각.
  • : 사람이나 동물의 다리 맨 끝부분.
  • : 해가 져서 어두워진 때부터 다음 날 해가 떠서 밝아지기 전까지의 동안.
  • : 쌀, 보리 따위의 곡식을 씻어서 솥 따위의 용기에 넣고 물을 알맞게 부어, 낟알이 풀어지지 않고 물기가 잦아들게 끓여 익힌 음식.
  • baht : 타이의 화폐 단위. 1밧은 1사땅의 100배이다. 기호는 B.
  • : 윷판의 한가운데에 있는 밭.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