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17개

  • 가전별초 : 1 駕前別抄 조선 시대에, 공이 많았던 사냥꾼과 투항한 왜인(倭人)의 자손들로 편성한 중앙 군대. 인조 15년(1637)에 둔 것으로 어영청에 속하였다. 2 駕前別抄 조선 시대에, 임금이 행차할 때 그 수레 앞에 서던 시위병 이외에 따로 앞서던 군대.
  • 간접반칙 : 間接反則 농구 따위에서, 상대편의 몸에 직접 부딪치지는 않았으나 경기 규칙에 맞지 않게 행동하여 저지른 반칙.
  • 감자부침 : 감자를 갈아 밀가루와 섞은 뒤 애호박, 고추, 부추 따위를 넣어 기름에 얇게 부친 음식.
  • 객중보체 : 客中寶體 객지에 있는 보배로운 몸이라는 뜻으로, 편지에서 객지에 있는 상대편을 높여 이르는 말.
  • 국조보첩 : 國朝譜牒 조선 태조 때부터 영조 때의 효장 세자까지 조선 왕족의 세계(世系)를 남녀의 순으로 수록한 책. 헌종 때 펴낸 것으로, 태조 이래의 보첩(譜牒)을 쓰고, 마지막에 헌종 팔고조도(八高祖圖)를 붙여 대왕과 왕비의 존호(尊號), 탄강(誕降), 승하(昇遐), 능침(陵寢) 따위를 적었다. 1책.
  • 기정방침 : 旣定方針 이미 결정되어 있는 방침.
  • 가죽 부츠 : 가죽boots 동물의 가죽 또는 가죽과 비슷한 재질을 이용하여 만든, 목이 긴 구두.
  • 간접 배출 : 間接排出 직접적인 온실가스 배출이 아닌, 이를 수반하는 인간의 활동에 의한 배출. 다른 사람으로부터 공급된 전기나 열을 사용함으로써 배출되는 경우가 있다.
  • 개좌 봉초 : 開坐捧招 법관들이 벌여 앉아 죄인의 진술을 듣고 조서를 작성하여 올리던 일.
  • 경제 법칙 : 經濟法則 경제 행위 및 경제 조직에 관한 법칙. 경제적 현상이나 과정의 본질을 표현하며,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인과적 관련과 의존성 따위를 나타낸다.
  • 고정 배치 : 固定配置 제품의 위치를 고정하고, 작업자와 장비가 필요에 따라 이동하며 작업하는 배치 형태.
  • 고정 부채 : 固定負債 지급 기한이 1년을 넘는 부채. 사채, 장기 차입금, 관계 회사 차입금 따위가 있다.
  • 골재 배처 : 骨材batcher 안전한 철근 콘크리트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원료를 일정한 혼합비로 주입할 때, 모래와 자갈 따위의 골재 무게를 측량하는 장치.
  • 공장 배치 : 工場配置 공장 생산에서 공정 합리화의 중심이 되는 기계나 설비의 배치 방법. 동종(同種)의 기계를 한곳에 배치하는 기계별 배치와 공정 순서에 따라 그에 필요한 각종 기계를 배치하는 공정별 배치가 있다.
  • 공정 배출 : 工程排出 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대기ㆍ수질ㆍ토양을 오염시키거나, 소음ㆍ진동ㆍ악취 따위로 국민의 건강과 생활 환경에 피해를 주거나, 그럴 우려가 있는 물질들이 배출되는 일.
  • 광전 방출 : 光電放出 고체 또는 액체에 전자파를 조사(照射)할 때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
  • 글자 배치 : 글字配置 디자인을 할 때, 여러 가지 시각적 효과를 고려하여 일정한 공간에 글자를 적절하게 위치시키는 일.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1,149 개의 단어) 🎊
  • 가자 : ‘가재’의 방언
  • 가작 佳作 : 매우 뛰어난 작품.
  • 가잔 Kazan[花山] : 일본의 제65대 왕(968~1008). 레이제이(冷泉) 왕의 첫째 아들로, 숙부인 엔유(円融) 왕에게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문학과 예술에 뛰어난 재능을 가졌으나, 후지와라(藤原) 가문의 권력 다툼에 휘말려 즉위 3년 만에 양위하고 승려가 되었다. 재위 기간은 984~986년이다.
  • 가잘 : ‘과줄’의 방언
  • 가잠 : ‘가자미’의 방언
  • 가장 : 여럿 가운데 어느 것보다 정도가 높거나 세게.
  • 가재 : 가잿과의 하나. 게와 새우의 중간 모양인데 앞의 큰 발에 집게발톱이 있다. 뒷걸음질을 잘하며 폐디스토마를 옮긴다. 개울 상류의 돌 밑에 사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가저 茄菹 : 가지로 담근 김치.
  • 가적 佳適 : ‘가적하다’의 어근.
(총 667 개의 단어) 🌈
  • 자바 Java : 네트워크상에서 쓸 수 있도록 미국 선 마이크로시스템(Sun Microsystems)사에서 개발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 자박 : 사금광에서 캐어 낸 생금(生金)의 큰 덩어리.
  • 자반 : 생선을 소금에 절여서 만든 반찬감. 또는 그것을 굽거나 쪄서 만든 반찬.
  • 자발 自發 : 남이 시키거나 요청하지 아니하였는데도 자기 스스로 나아가 행함.
  • 자밤 : 나물이나 양념 따위를 손가락을 모아서 그 끝으로 집을 만한 분량을 세는 단위.
  • 자방 : ‘재봉틀’의 방언
  • 자백 自白 : 자기가 저지른 죄나 자기의 허물을 남들 앞에서 스스로 고백함. 또는 그 고백.
  • 자번 子煩 : 임신 때에 가슴이 답답하며 초조하고 쉽게 화를 내거나 정신적으로 우울하여지는 증상.
  • 자벌 自伐 : 자기 자신의 공(功)을 드러내어 스스로 자랑함.
(총 468 개의 단어) 💕
  • 바추 : ‘바자’의 방언
  • 바침 : ‘올가미’의 방언
  • 박차 拍車 : 말을 탈 때에 신는 구두의 뒤축에 달려 있는 물건. 톱니바퀴 모양으로 쇠로 만들어 말의 배를 차서 빨리 달리게 한다.
  • 박착 薄着 : 주로 겨울옷을 썩 얇게 입음.
  • 박찬 薄饌 : 변변하지 못한 반찬.
  • 박채 博採 : 널리 수집하거나 채택함.
  • 박처 薄妻 : 아내를 심하게 박대함.
  • 박천 博川 : 평안북도에 있는 읍. 박천선의 종점이며 박천평야의 중심지이다. 박천군의 군청 소재지이다.
  • 박철 縛鐵 : 못을 박기가 어려운 곳에, 못 대신에 검치어 대는 쇳조각.
(총 141 개의 단어) 🌏
  • : 경계에 가까운 바깥쪽 부분.
  • : 낱낱의.
  • : 음식물에 짠맛을 내는 물질. 소금, 간장, 된장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 : 갓. 모자.
  • : 서쪽에서 부는 바람.
  • : ‘가루’의 방언
  • : ‘칼’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갈’로 나타난다.
  • : 감나무의 열매. 모양은 둥글거나 둥글넓적하고 빛이 붉다. 익기 전에는 떫은맛이 나지만 익으면 단맛이 나며 그대로 먹기도 하고 껍질을 벗겨 곶감을 만들기도 한다.
  • : 귤 따위의 껍질을 벗긴 열매가 속껍질로 따로따로 싸인 낱개
(총 104 개의 단어) 🍬
  • : 길이를 재는 데 쓰는 도구.
  • : 줄이나 획을 한 번 긋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좀’의 방언
  • : 검은담비의 털가죽.
  • : ‘자루’의 방언
  • : 눈이 감긴 채 의식 활동이 쉬는 상태.
  • job : 사용자가 정의하고 컴퓨터가 처리하는 일의 단위. 일련의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묶음으로 되어 있는 일을 이른다.
  • : 잣나무의 열매. 솔방울 같은 단단한 송이에 들어 있으며, 맛이 고소하고 기름기가 많아 기름을 내거나 고명으로 쓴다.
  • : 게의 딱지 속에 들어 있는 누르스름한 물질. 가을에 특히 양이 많고 맛이 있다.
(총 112 개의 단어) 🎄
  • : 삼이나 칡 따위로 세 가닥을 지어 굵다랗게 드린 줄.
  • : 물이 새지 아니하도록 하려고, 배에 댄 널빤지에 난 틈을 메우는 물건.
  • : 어떤 선이나 금을 넘어선 쪽.
  • : 얇게 펴서 다듬어 만든 조각.
  • : 사람이나 동물의 다리 맨 끝부분.
  • : 해가 져서 어두워진 때부터 다음 날 해가 떠서 밝아지기 전까지의 동안.
  • : 쌀, 보리 따위의 곡식을 씻어서 솥 따위의 용기에 넣고 물을 알맞게 부어, 낟알이 풀어지지 않고 물기가 잦아들게 끓여 익힌 음식.
  • baht : 타이의 화폐 단위. 1밧은 1사땅의 100배이다. 기호는 B.
  • : 윷판의 한가운데에 있는 밭.
(총 61 개의 단어) 🐳
  • : 십팔기에서 ‘작살’을 병장기의 하나로 이르는 말.
  • : 물체가 바싹 다가붙거나 끈기 있게 달라붙는 모양. ‘짝’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 : ‘배’의 방언
  • : 갑옷에 단 비늘 모양의 가죽 조각이나 쇳조각.
  • : 사실이나 이치에 조금도 어긋남이 없는 것.
  • chop : 프로 레슬링에서, 손으로 상대편을 베듯이 치는 일. ⇒규범 표기는 ‘촙’이다.
  • : ‘덫’의 방언
  • : 천이나 가죽 따위의 얇은 물건이 해져서 뚫린 구멍.
  • : 발구, 달구지, 수레 따위의 앞쪽 양옆에 댄 긴 나무.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