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92개

  • 나락저 : ‘왕겨’의 방언
  • 나락짚 : ‘볏짚’의 방언
  • 나람쥐 : 1 ‘나라미’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람쥐’로도 적는다. 2 ‘이엉’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람쥐’로도 적는다.
  • 나람지 : 1 ‘지느러미’의 방언 2 ‘나라미’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람지’로도 적는다. 3 ‘이엉’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람지’로도 적는다.
  • 나래질 : 나래로 논밭을 고르는 일.
  • 나래짓 : 새나 나비 따위가 날개를 벌려서 세게 아래위로 움직이는 짓.
  • 나록직 : ‘볏짚’의 방언
  • 나록집 : ‘볏짚’의 방언
  • 나롯질 : 1 ‘내리막길’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롯질’로도 적는다. 2 ‘비탈길’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롯질’로도 적는다.
  • 나루질 : 나룻배를 부리는 일.
  • 나룩직 : ‘볏짚’의 방언
  • 나룩집 : ‘볏짚’의 방언
  • 나름질 : 천을 일정한 길이로 맞추어 여러 겹으로 겹쳐 놓는 일.
  • 나릇질 : 1 ‘내리막길’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릇질’로도 적는다. 2 ‘비탈길’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릇질’로도 적는다.
  • 나린진 : naringin 식물 색소의 일종인 플라보노이드의 배당체. 여름밀감이나 그레이프르푸트 따위에서 쓴맛을 내는 주성분이다. 화학식은 C27H32O14.
  • 내란죄 : 內亂罪 무력을 써서 현재의 정부를 무너뜨리려고 하거나 폭동을 일으켜 국가를 위태롭게 하는 죄.
  • 내륙적 : 內陸的 바다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육지의 성격을 띰. 또는 그런 것.
  • 내륙지 : 內陸地 바다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육지.
  • 내림장 : 내림醬 간장을 떠낸 뒤에, 남은 된장에 다시 물을 부어 우린 장.
  • 내림제 : 내림劑 어떤 기능을 억제하거나 떨어뜨리는 물질.
  • 내림조 : 내림調 내림표로만 나타내는 조.
  • 너럭지 : ‘소래기’의 방언
  • 너룩지 : ‘소래기’의 방언
  • 너리증 : 1 너리症 소, 말, 개 따위에 생기는 피부병의 하나. 털이 빠지고 헌데가 생기며 불그레한 진물이 난다. 2 너리症 ‘이틀 고름 샛길’의 북한어.
  • 년로자 : 年老者 ‘연로자’의 북한어.
  • 노락지 : ‘노래기’의 방언
  • 노락질 : 1 ‘노략질’의 방언 2 ‘놀이’의 방언
  • 노란자 : ‘노른자위’의 방언
  • 노란재 : ‘노른자위’의 방언
  • 노란젓 : ‘노른자위’의 방언
  • 노란좆 : ‘노른자위’의 방언
  • 노랑자 : ‘노른자위’의 방언
  • 노랑재 : ‘노른자위’의 방언
  • 노랑전 : 노랑錢 ‘노랑돈’의 북한어.
  • 노랑젓 : ‘노른자위’의 방언
  • 노랑좃 : ‘노른자위’의 방언
  • 노랑좆 : ‘노른자위’의 방언
  • 노랑쥐 : 속으로는 모든 정황을 다 알고 있지만 겉으로는 그렇지 않아 보이는 사람
  • 노래자 : 老萊子 중국 춘추 시대 초나라의 은사(隱士)(?~?). 70세에 어린아이 옷을 입고 어린애 장난을 하여 늙은 부모를 위안하였다고 한다. 저서에 ≪노래자≫ 15편이 있다.
  • 노래조 : 노래調 ‘노랫조’의 북한어.
  • 노래지 : ‘노래기’의 방언
  • 노래집 : 1 노래集 일정한 기준에 따라 그 부류에 속하는 노래들을 묶어 놓은 책. 2 노래集 미국의 작곡가 케이지가 1970년에 작곡하고 엮은 소품집. 노래, 전자 음악이 있는 노래, 연극적 지시, 전자 음악과 연극적 지시의 네 가지 종류로 구성된다.
  • 노랙지 : ‘노래기’의 방언
  • 노랫조 : 노랫調 노래를 부르는 식으로 말하는 어조.
  • 노략질 : 擄掠질 떼를 지어 돌아다니며 사람을 해치거나 재물을 강제로 빼앗는 짓.
  • 노량진 : 鷺梁津 서울의 한강 이남에 있는 상업 지역. 예전에는 교통의 요지로, 배를 두어 행인을 오고 가게 하였다. 현재는 동작구에 속한다. 사육신묘와 사충(四忠) 서원 따위의 명승지가 있다.
  • 노령자 : 老齡者 나이가 많은 사람.
  • 노루잠 : 깊이 들지 못하고 자꾸 놀라 깨는 잠.
  • 노룬재 : ‘노른자위’의 방언
  • 노룸질 : ‘노름질’의 방언
  • 노른자 : 1 알의 흰자위에 둘러싸인 동글고 노란 부분. 2 어떤 사물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노른재 : ‘노른자위’의 방언
  • 노름질 : 노름을 하는 일을 낮잡아 이르는 말.
  • 노릉지 : 魯陵志 조선 인조 때에, 윤순거(尹舜擧)가 지은 책. 잡기(雜記)와 소설이 곁들여 있다. 2권 1책.
  • 노린자 : ‘노른자위’의 방언
  • 노린재 : 1 노린재목 노린잿과의 곤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의 길이는 2cm 정도이며, 겉날개는 누렇고 다리는 검다. 몸은 작고 납작하며 거의 육각형인데 몸에서 고약한 냄새가 난다. 오이, 참외, 호박, 무 따위에 해로운 곤충으로 우리나라에는 대체로 37과가 있다. 2 ‘노른자위’의 방언
  • 노린전 : 노린錢 매우 적은 액수의 돈.
  • 노린제 : ‘노래기’의 방언
  • 노릿집 : ‘요릿집’의 방언
  • 논리적 : 1 論理的 논리에 맞는. 또는 그런 것. 2 論理的 사고나 추리에 능란한. 또는 그런 것. 3 論理的 논리학적 지식의 기준에 꼭 알맞은. 또는 그런 것. ... (총 4개의 의미)
  • 놀림조 : 놀림調 놀리는 것과 같은 말투나 태도.
  • 농려집 : 農廬集 조선 시대에 강헌규(姜獻奎)의 시문을 그의 아들 면(𨬋)이 모아 펴낸 책. 고종 32년(1895)에 간행되었다. 10권 5책.
  • 농림지 : 農林地 농지와 임지를 아울러 이르는 말.
  • 누락자 : 漏落者 마땅히 기록에 들어가 있어야 하나 빠진 사람.
  • 누람자 : 漏藍子 천오두(川烏頭)의 가장자리에 대추씨같이 잘게 붙은 뿌리. 이질, 냉루창(冷漏瘡) 따위에 쓰인다.
  • 누런자 : ‘노른자위’의 방언
  • 누럼지 : ‘누룽지’의 방언
  • 누렁지 : ‘누룽지’의 방언
  • 누롱지 : ‘누룽지’의 방언
  • 누룸지 : ‘누룽지’의 방언
  • 누룽지 : 1 솥 바닥에 눌어붙은 밥. 2 솥 바닥에 눌어붙은 밥에 물을 부어 불려서 긁은 밥. ⇒규범 표기는 ‘눌은밥’이다.
  • 누름재 : 누름材 상품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
  • 누름적 : 1 누름炙 고기나 도라지 따위를 꼬챙이에 꿴 뒤 달걀 푼 것을 씌워 번철이나 프라이팬 따위에 지진 음식. 2 누름炙 녹두를 갈아 도라지, 고비, 버섯, 파, 김치 따위를 넣어 섞고 번철이나 프라이팬 따위에 지진 음식.
  • 누름지 : ‘누룽지’의 방언
  • 누리집 : 개인이나 단체가 월드 와이드 웹에서 볼 수 있게 만든 하이퍼텍스트. 개인의 관심사나 단체의 업무, 홍보 따위의 내용을 다양하게 제공한다.
  • 누린자 : ‘노른자위’의 방언
  • 눈렌즈 : 눈lens 현미경이나 망원경 따위에서, 눈으로 보는 쪽의 렌즈. 대물렌즈를 통하여 물체의 실상을 확대하여 보는 데에 쓴다.
  • 눌룸줄 : ‘눌림줄’의 방언
  • 눌림줄 : 베틀에서, 눌림대에 걸어 베틀다리에 매는 끈.
  • 뉴랜즈 : Newlands, John Alexander Reina 영국의 화학자(1837~1898). 1864년에 ‘옥타브 법칙’을 발견하고, 원소의 주기율을 발견하는 데 업적을 남겼다.
  • 느라죽 : ‘고무총’의 방언
  • 느라줄 : ‘고무총’의 방언
  • 느릇질 : 1 ‘내리막길’의 방언 2 ‘비탈길’의 방언
  • 느리잠 : ‘늦잠’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느리’으로도 적는다.
  • 느림줄 : 손으로 끌어 잡고 오르내리는 운동에 쓰는 줄. 한쪽 끝을 천장에 매달아 놓고 사용한다.
  • 능라장 : 綾羅匠 조선 시대에, 상의원에 속하여 비단을 짜던 장인(匠人).
  • 능라점 : 綾羅店 고려 시대에, 비단 짜는 일을 맡았던 것으로 보이는 관아. 고려 명종 8년(1178)에 서경 분사의 속사로 설치되었다.
  • 능력자 : 1 能力者 법률 행위를 할 자격이 있는 사람. 금치산자, 한정 치산자, 미성년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사람이 해당한다. 2 能力者 어떠한 일을 할 능력이 있는 사람. 또는 그 능력이 뛰어난 사람.
  • 능력적 : 能力的 일을 감당해 낼 수 있는 힘이 있는. 또는 그런 것.
  • 능률적 : 能率的 능률을 많이 내거나 능률이 많이 나는. 또는 그런 것.
  • 날림 줄 : 매를 잡아 훈련시킬 때, 매가 도망가지 못하도록 연결하는 긴 끈. 명주실로 만든다.
  • 날림 집 : 정성을 들이지 아니하고 대강대강 아무렇게나 지은 집.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288 개의 단어) 🎗
  • 나라 : 일정한 영토와 거기에 사는 사람들로 구성되고, 주권(主權)에 의한 하나의 통치 조직을 가지고 있는 사회 집단. 국민ㆍ영토ㆍ주권의 삼요소를 필요로 한다.
  • 나락 : ‘벼’를 이르는 말.
  • 나란 : ‘나란하다’의 어근.
  • 나람 : ‘이엉’의 방언
  • 나랑 : ‘나라’의 방언
  • 나랗 : ‘나라’의 옛말. 사이시옷이나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나라’로 나타난다.
  • 나래 : 배를 젓는 도구의 하나. 노와 비슷하나 길이가 짧고, 두 개로 배의 양쪽에서 젓게 되어 있다.
  • 나랙 : ‘벼’의 방언
  • 나레 : ‘이엉’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ue283레’로도 적는다.
(총 346 개의 단어) 🍇
  • 라장 裸葬 : ‘나장’의 북한어.
  • 라전 螺鈿 : ‘나전’의 북한어.
  • 라조 la調 : ‘라’ 음을 으뜸음으로 하여 만들어진 음조.
  • 라졸 羅卒 : ‘나졸’의 북한어.
  • 라주 螺舟 : ‘나주’의 북한어.
  • 라지 裸地 : ‘나지’의 북한어.
  • 라직 羅織 : ‘나직’의 북한어.
  • 라진 Razin, Stepan Timofeevich : 스테판 티모페예비치 라진, 제정 러시아의 농민 반란 지도자(1630?~1671). 1667년에 카자흐인과 빈농들을 모아 반란을 일으켜, 한때는 카스피해 서북부 일대를 점령하였으나 강력한 정부군에 패배하였다. 그 후 재기를 꾀하였으나 카자흐의 상층 계급에 잡혀 모스크바에서 처형되었다.
  • 라질 癩疾 : ‘나병’의 옛말.
(총 118 개의 단어) 🍎
  • : 서양 음악의 7음 체계에서, 일곱 번째 음이름. 계이름 ‘시’와 같다.
  • : ‘낙하다’의 어근.
  • : 물방아 따위의 사용료로 떠 내던 곡식.
  • : 암컷의 생식 세포. 유성 생식을 하는 생물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감수 분열에 의하여 생기며, 수정 후 발달하여 배(胚)를 형성한다.
  • : 곡식의 알.
  • : 지구가 한 번 자전하는 동안. 자정에서 다음 자정까지의 동안으로 24시간이다.
  • : ‘나루’의 방언
  • : 자기 이외의 다른 사람.
  • : 푸르스름한 잿빛의 금속 원소. 금속 가운데 가장 무겁고 연하며, 전성(展性)은 크나 연성(延性)은 작다. 공기 중에서는 표면에 튼튼한 산화 피막을 만들어 안정하며, 불에 잘 녹는다. 연판, 연관, 활자 합금 따위로 쓴다. 원자 기호는 Pb, 원자 번호는 82, 원자량은 207.19.
(총 64 개의 단어) 🦖
  • : 서양 음악의 칠음 체계에서, 두 번째 음이름. 계이름 ‘레’와 같다.
  • : ‘낙’의 북한어.
  • : ‘알’의 뜻을 나타내는 말.
  • : ‘-라고 할’이 줄어든 말.
  • rum : ‘럼’의 북한어.
  • : ‘라’의 음역어.
  • : 낭자라는 뜻으로 ‘여자’를 이르던 말. ⇒남한 규범 표기는 ‘낭’이다.
  • : 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
  • lac : 랙깍지진디 따위가 내는, 끈적거리는 나무의 진 같은 분비물. 또는 그것을 가공한 것. 주로 무환자나무, 보리수, 고무나무 따위의 가지에 분비하며, 주로 셸락과 랙 물감을 만드는 데 쓴다.
(총 104 개의 단어) 🍇
  • : 길이를 재는 데 쓰는 도구.
  • : 줄이나 획을 한 번 긋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좀’의 방언
  • : 검은담비의 털가죽.
  • : ‘자루’의 방언
  • : 눈이 감긴 채 의식 활동이 쉬는 상태.
  • job : 사용자가 정의하고 컴퓨터가 처리하는 일의 단위. 일련의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묶음으로 되어 있는 일을 이른다.
  • : 잣나무의 열매. 솔방울 같은 단단한 송이에 들어 있으며, 맛이 고소하고 기름기가 많아 기름을 내거나 고명으로 쓴다.
  • : 게의 딱지 속에 들어 있는 누르스름한 물질. 가을에 특히 양이 많고 맛이 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