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42개

  • 나주막 : ‘나중’의 북한어.
  • 나지막 : ‘나지막하다’의 어근.
  • 나진만 : 羅津灣 함경북도 북부의 동쪽 해안에 있는 만. 만의 안쪽에 나진항이 있다. 다시마 양식이 대규모로 이루어지고 있다.
  • 낙정미 : 1 落庭米 되나 말 따위로 곡식을 되다가 땅에 떨어뜨린 곡식. 2 落庭米 수고한 끝에 조금 얻어 차지하게 되는 변변치 못한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낙종물 : 落種물 못자리할 때에 맞추어 알맞게 내리는 비.
  • 난족문 : 卵簇紋 달걀 모양 무늬와 갈대 모양 무늬를 교차로 배치하여 만드는 서양식 문양의 일종.
  • 날줄면 : 날줄面 자오선을 포함하는 평면. 적도면과 수직으로 만난다.
  • 남자문 : 男字紋 아들을 많이 낳기를 기원하는 의미로 한자 ‘男’을 본떠 만든 무늬. 주로 생활용품이나 장식품에 수놓아졌다.
  • 납작못 : 대가리가 크고 촉이 짧아서 흔히 손가락으로 눌러 박는 쇠못.
  • 낭장망 : 囊長網 양쪽 날개의 앞 끝에 닻이 있어 강한 조류에 어구(漁具)가 밀려가지 않도록 고정이 되어 있는 그물. 끌그물과 비슷하며 멸치, 새우, 반지 따위를 잡는다.
  • 낭중물 : 囊中物 주머니 속에 들어 있는 물건이라는 뜻으로, 자기 수중에 있는 물건을 이르는 말.
  • 내작문 : 內作門 군영을 둘러싼 작문 가운데 안쪽 문.
  • 내장면 : 內臟面 배안에 있는 장기(臟器)가 이웃한 다른 장기와 접하고 있는 면.
  • 내장물 : 內臟物 가슴과 배 속에 있는 모든 것.
  • 내종매 : 內從妹 ‘고종매’를 외종매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 내질망 : 內質網 ‘소포체’의 북한어.
  • 널재목 : 널材木 널빤지로 된 재목.
  • 녀정목 : 女貞目 ‘광나무’의 북한어. ⇒남한 규범 표기는 ‘여정목’이다.
  • 노장마 : 老將馬 경마에서, 경주 경험이 많은 말.
  • 노장무 : 老長舞 봉산 탈춤 따위에서, 노장중이 나와 추는 춤. 소무에게 유혹을 받아 파계하는 장면이다.
  • 노정맥 : 노靜脈 노동맥과 나란히 달리는 두 개의 정맥. 자정맥과 만나 위팔 정맥을 이룬다.
  • 노제미 : ‘삿자리’의 방언
  • 녹저마 : 綠苧麻 천연의 녹색을 띄는 모시풀.
  • 녹지망 : 綠地網 녹지가 넓은 지역에 광범위하게 그물 모양으로 조성되어 있는 것. 도시 안의 공원, 산책로, 도로변의 녹지들이 그물처럼 서로 연결될 때 이루어진다.
  • 논증문 : 論證文 옳고 그름을 이유를 들어 밝히는 글.
  • 농작물 : 農作物 논밭에 심어 가꾸는 곡식이나 채소.
  • 높지막 : ‘높지막하다’의 어근.
  • 누진명 : 漏盡明 삼명(三明)의 하나. 현재의 고통을 알아서 일체의 번뇌를 끊는 지혜를 이른다.
  • 눈접모 : 눈椄모 눈접을 하여 기른 묘목.
  • 눈주목 : 눈朱木 주목과의 상록 관목. 높이는 3미터 정도이고 줄기가 갈라져 키가 작으며, 잎은 나선 모양으로 달리고 뾰족하다. 4월에 꽃이 피고 열매는 둥근 견과(堅果)로 9월에 붉게 익는다. 관상용이고 높은 지대에 자라는데 한국의 설악산과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느즈막 : 느지막한 때
  • 느즈목 : 물매가 느리고 밋밋하게 된 길목. 또는 그런 지대.
  • 느지막 : ‘느지막하다’의 어근.
  • 능직물 : 綾織物 직물의 기본 조직의 하나. 날실과 씨실을 둘이나 그 이상으로 건너뛰어 무늬가 비스듬한 방향으로 도드라지게 짜는 방법을 이른다.
  • 늦작물 : 1 늦作物 다른 종류보다 늦게 여무는 작물. 벼, 옥수수, 수수 따위가 있다. 2 늦作物 일 년 중에 늦게 가꾸는 농작물.
  • 늦장마 : 제철이 지난 뒤에 지는 장마.
  • 늦장매 : ‘늦장마’의 방언
  • 니자미 : Ni<EQU>ẓ</EQU>āmī Ganjavī 간자비 니자미, 페르시아의 시인(1141?~1202?). 신비주의자로서 우아하고 유려한 문체로 환상적인 분위기의 시를 썼다. 작품에 <비밀의 보고(寶庫)>, <칠인상(七人像)> 따위가 있다.
  • 낮 장면 : 낮場面 낮을 나타내는 장면, 또는 시나리오상에 나타나는 그 지시.
  • 냅 직물 : nap織物 표면을 기모한 직물. 방모 직물의 느낌을 주기 위해 직물의 표면을 긁어 보풀을 세워 만든다. 따뜻하고 촉감이 부드러워 외투감으로 주로 쓰인다.
  • 냉장 면 : 冷藏麵 0℃에서 4℃ 정도의 낮은 온도를 유지하여 유통ㆍ판매하는 면(麵) 제품.
  • 논 작물 : 논作物 논에서 재배되는 작물.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422 개의 단어) 🦄
  • 나자 儺者 : 나례(儺禮)를 거행하는 사람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 초라니, 방상시(方相氏), 아이 초라니, 지군(持軍) 등이 있다.
  • 나잘 : ‘한나절’의 옛말.
  • 나장 裸葬 : 관은 묻지 아니하고 시체만 땅에 묻음.
  • 나전 나錢 : 신이나 부처에게 복을 빌 때에, 그 사람 나이만큼의 수효대로 놓는 돈.
  • 나절 : 하룻낮의 절반쯤 되는 동안.
  • 나정 裸錠 : 코팅하지 아니하고 타정(打錠)한 상태 그대로의 정제(錠劑).
  • 나제 羅濟 : 신라와 백제를 아울러 이르는 말.
  • 나조 : ‘저녁’의 방언
  • 나졸 羅卒 : 조선 시대에, 지방 관아에 속한 사령(使令)과 군뢰를 통틀어 이르던 말.
(총 493 개의 단어) ⛄
  • 자마 雌馬 : 말의 암컷.
  • 자막 字幕 : 영화나 텔레비전 따위에서, 관객이나 시청자가 읽을 수 있도록 화면에 비추는 글자. 표제나 배역, 등장인물의 대화, 설명 따위를 보여 준다.
  • 자만 子滿 : 임신 5~7개월에 배가 지나치게 커지고 가슴이 답답하며, 오줌을 잘 누지 못하고 몸이 붓는 병.
  • 자말 子末 : 자시(子時)의 끝 무렵.
  • 자망 自望 : 자기를 추천함.
  • 자매 自媒 : 중매를 거치지 아니하고 스스로 배우자를 구함.
  • 자맥 自脈 : 스스로 자기 맥을 짚어서 병을 진찰하는 일.
  • 자먼 Jarman, Derek : 데릭 자먼, 영국의 영화감독(1942~1994). 평생 무정부주의, 동성애주의, 미학적 실험주의를 일관되게 추구하였다. 러셀(Russell, K.) 감독의 세트 디자이너로 시작하여 1970년대 8mm, 16mm 비디오 영화를 고수하다가 1980년대 최초의 35mm 극영화 <카라바지오>로 명성을 얻었다. 작품에 <희년>, <템페스트>, <대영 제국의 종말>, <에드워드 이세>가 있다.
  • 자며 : ‘-자면서’의 준말.
(총 118 개의 단어) 🍈
  • : 서양 음악의 7음 체계에서, 일곱 번째 음이름. 계이름 ‘시’와 같다.
  • : ‘낙하다’의 어근.
  • : 물방아 따위의 사용료로 떠 내던 곡식.
  • : 암컷의 생식 세포. 유성 생식을 하는 생물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감수 분열에 의하여 생기며, 수정 후 발달하여 배(胚)를 형성한다.
  • : 곡식의 알.
  • : 지구가 한 번 자전하는 동안. 자정에서 다음 자정까지의 동안으로 24시간이다.
  • : ‘나루’의 방언
  • : 자기 이외의 다른 사람.
  • : 푸르스름한 잿빛의 금속 원소. 금속 가운데 가장 무겁고 연하며, 전성(展性)은 크나 연성(延性)은 작다. 공기 중에서는 표면에 튼튼한 산화 피막을 만들어 안정하며, 불에 잘 녹는다. 연판, 연관, 활자 합금 따위로 쓴다. 원자 기호는 Pb, 원자 번호는 82, 원자량은 207.19.
(총 104 개의 단어) 🍎
  • : 길이를 재는 데 쓰는 도구.
  • : 줄이나 획을 한 번 긋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좀’의 방언
  • : 검은담비의 털가죽.
  • : ‘자루’의 방언
  • : 눈이 감긴 채 의식 활동이 쉬는 상태.
  • job : 사용자가 정의하고 컴퓨터가 처리하는 일의 단위. 일련의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묶음으로 되어 있는 일을 이른다.
  • : 잣나무의 열매. 솔방울 같은 단단한 송이에 들어 있으며, 맛이 고소하고 기름기가 많아 기름을 내거나 고명으로 쓴다.
  • : 게의 딱지 속에 들어 있는 누르스름한 물질. 가을에 특히 양이 많고 맛이 있다.
(총 99 개의 단어) 🐰
  • : 뱃사람의 말로, ‘남쪽’을 이르는 말.
  • : 바로 지금.
  • : ‘앞말이 가리키는 동안이나 거리’를 나타내는 말.
  • : ‘맏이’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데 쓰는 음성 기호. 곧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목구멍을 통하여 조직적으로 나타내는 소리를 가리킨다.
  • : 불행한 일의 마지막
  • : ‘말뚝’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말’로 나타난다.
  • : ‘마음’의 준말.
  • : 음식 따위를 혀에 댈 때에 느끼는 감각.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