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96개

  • 라직하다 : 羅織하다 ‘나직하다’의 북한어.
  • 락자하다 : ‘영락없다’의 방언
  • 락적하다 : 落籍하다 ‘낙적하다’의 북한어.
  • 락점하다 : 落點하다 ‘낙점하다’의 북한어.
  • 락제하다 : 1 落第하다 ‘낙제하다’의 북한어. 2 落第하다 ‘낙제하다’의 북한어. 3 落第하다 ‘낙제하다’의 북한어.
  • 락종하다 : 1 落種하다 ‘낙종하다’의 북한어. 2 樂從하다 ‘낙종하다’의 북한어.
  • 락지하다 : 落地하다 ‘낙지하다’의 북한어.
  • 락직하다 : 落職하다 ‘낙직하다’의 북한어.
  • 란자하다 : 亂刺하다 ‘난자하다’의 북한어.
  • 란전하다 : 亂戰하다 ‘난전하다’의 북한어.
  • 란조하다 : 攔阻하다 ‘난조하다’의 북한어.
  • 람작하다 : 濫作하다 ‘남작하다’의 북한어.
  • 람장하다 : 濫杖하다 ‘남장하다’의 북한어.
  • 람제하다 : 濫製하다 ‘남제하다’의 북한어.
  • 람조하다 : 濫造하다 ‘남조하다’의 북한어.
  • 람징하다 : 濫徵하다 ‘남징하다’의 북한어.
  • 랑자하다 : 狼藉하다 ‘낭자하다’의 북한어.
  • 래전하다 : 來電하다 ‘내전하다’의 북한어.
  • 래조하다 : 來朝하다 ‘내조하다’의 북한어.
  • 래주하다 : 來駐하다 ‘내주하다’의 북한어.
  • 랭장하다 : 冷藏하다 ‘냉장하다’의 북한어.
  • 랭적하다 : 冷寂하다 차고 고요하다. ⇒남한 규범 표기는 ‘냉적하다’이다.
  • 랭정하다 : 冷情하다 ‘냉정하다’의 북한어.
  • 랭조하다 : 冷嘲하다 ‘냉조하다’의 북한어.
  • 량전하다 : 1 量田하다 ‘양전하다’의 북한어. 2 兩全하다 ‘양전하다’의 북한어.
  • 량지하다 : 1 量地하다 ‘양지하다’의 북한어. 2 諒知하다 ‘양지하다’의 북한어.
  • 량직하다 : 亮直하다 ‘양직하다’의 북한어.
  • 려정하다 : 勵精하다 ‘여정하다’의 북한어.
  • 력작하다 : 力作하다 ‘역작하다’의 북한어.
  • 력쟁하다 : 力爭하다 ‘역쟁하다’의 북한어.
  • 력전하다 : 1 力田하다 ‘역전하다’의 북한어. 2 力戰하다 ‘역전하다’의 북한어.
  • 력주하다 : 力走하다 ‘역주하다’의 북한어.
  • 력진하다 : 力盡하다 ‘역진하다’의 북한어.
  • 련장하다 : 連牆/連墻하다 ‘연장하다’의 북한어.
  • 련재하다 : 連載하다 ‘연재하다’의 북한어.
  • 련접하다 : 1 連接하다 ‘연접하다’의 북한어. 2 連接하다 단어 및 문장의 구성 요소들이 문법적으로 연결되다.
  • 련조하다 : 鍊操하다 ‘연조하다’의 북한어.
  • 련좌하다 : 連坐하다 ‘연좌하다’의 북한어.
  • 련중하다 : 連中하다 ‘연중하다’의 북한어.
  • 렬좌하다 : 列坐하다 ‘열좌하다’의 북한어.
  • 렬지하다 : 裂指하다 ‘열지하다’의 북한어.
  • 렬진하다 : 列陣하다 ‘열진하다’의 북한어.
  • 렴장하다 : 殮葬하다 ‘염장하다’의 북한어.
  • 렴적하다 : 斂跡하다 ‘염적하다’의 북한어.
  • 렴전하다 : 斂錢하다 ‘염전하다’의 북한어.
  • 렴정하다 : 廉正하다 ‘염정하다’의 북한어.
  • 렴직하다 : 廉直하다 ‘염직하다’의 북한어.
  • 렵주하다 : 獵酒하다 ‘엽주하다’의 북한어.
  • 령절하다 : 靈絕하다 아주 영검하다. ⇒남한 규범 표기는 ‘영절하다’이다.
  • 령정하다 : 零丁하다 ‘영정하다’의 북한어.
  • 례장하다 : 1 禮裝하다 ‘예장하다’의 북한어. 2 禮裝하다 ‘예장하다’의 북한어.
  • 례접하다 : 禮接하다 ‘예접하다’의 북한어.
  • 례증하다 : 例證하다 ‘예증하다’의 북한어.
  • 로적하다 : 露積하다 ‘노적하다’의 북한어.
  • 로정하다 : 露呈하다 ‘노정하다’의 북한어.
  • 로제하다 : 老除하다 ‘노제하다’의 북한어.
  • 로졸하다 : 1 露拙하다 ‘노졸하다’의 북한어. 2 老拙하다 ‘노졸하다’의 북한어.
  • 론쟁하다 : 論爭하다 ‘논쟁하다’의 북한어.
  • 론저하다 : 論著하다 ‘논저하다’의 북한어.
  • 론적하다 : 論摘하다 논하여 지적하다. ⇒남한 규범 표기는 ‘논적하다’이다.
  • 론전하다 : 論戰하다 ‘논전하다’의 북한어.
  • 론정하다 : 論定하다 ‘논정하다’의 북한어.
  • 론죄하다 : 論罪하다 ‘논죄하다’의 북한어.
  • 론주하다 : 論奏하다 ‘논주하다’의 북한어.
  • 론증하다 : 1 論症하다 ‘논증하다’의 북한어. 2 論證하다 ‘논증하다’의 북한어.
  • 론진하다 : 論盡하다 ‘논진하다’의 북한어.
  • 론집하다 : 論執하다 ‘논집하다’의 북한어.
  • 뢰정하다 : 牢定하다 ‘뇌정하다’의 북한어.
  • 뢰주하다 : 酹酒하다 ‘뇌주하다’의 북한어.
  • 뢰진하다 : 雷震하다 ‘뇌진하다’의 북한어.
  • 료적하다 : 寥寂하다 ‘요적하다’의 북한어.
  • 루적하다 : 1 累積하다 ‘누적하다’의 북한어. 2 漏籍하다 ‘누적하다’의 북한어.
  • 루전하다 : 漏電하다 ‘누전하다’의 북한어.
  • 루정하다 : 漏丁하다 ‘누정하다’의 북한어.
  • 루즈하다 : 1 loose하다 옷이나 신발 따위가 죄어 있지 않고 늘어져 헐겁다. ⇒규범 표기는 ‘루스하다’이다. 2 loose하다 행동이나 태도가 절제가 없거나 긴장이 풀려 있다. ⇒규범 표기는 ‘루스하다’이다.
  • 루증하다 : 累增하다 ‘누증하다’의 북한어.
  • 루진하다 : 1 累進하다 ‘누진하다’의 북한어. 2 累進하다 ‘누진하다’의 북한어.
  • 류적하다 : 流謫하다 ‘유적하다’의 북한어.
  • 류전하다 : 1 流傳하다 ‘유전하다’의 북한어. 2 流轉하다 ‘유전하다’의 북한어.
  • 류질하다 : 流質하다 ‘유질하다’의 북한어.
  • 륜작하다 : 輪作하다 ‘윤작하다’의 북한어.
  • 륜재하다 : 輪栽하다 ‘윤재하다’의 북한어.
  • 륜전하다 : 輪轉하다 ‘윤전하다’의 북한어.
  • 륭중하다 : 隆重하다 권한이나 책임, 의의 따위가 매우 크고 무겁다. ⇒남한 규범 표기는 ‘융중하다’이다.
  • 륵징하다 : 勒徵하다 ‘늑징하다’의 북한어.
  • 름장하다 : 廩藏하다 ‘늠장하다’의 북한어.
  • 리재하다 : 理財하다 ‘이재하다’의 북한어.
  • 리적하다 : 1 利敵하다 ‘이적하다’의 북한어. 2 離籍하다 ‘이적하다’의 북한어.
  • 리전하다 : 離箭하다 ‘이전하다’의 북한어.
  • 리직하다 : 1 理直하다 ‘이직하다’의 북한어. 2 理直하다 나무의 결이 바르다.
  • 리징하다 : 里徵하다 ‘이징하다’의 북한어.
  • 림종하다 : 1 臨終하다 ‘임종하다’의 북한어. 2 臨終하다 ‘임종하다’의 북한어.
  • 립조하다 : 立朝하다 ‘입조하다’의 북한어.
  • 립주하다 : 立柱하다 ‘입주하다’의 북한어.
  • 립증하다 : 立證하다 ‘입증하다’의 북한어.
  • 렌즈 후드 : lens hood 빛이 렌즈 속으로 직접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하여 사진기의 렌즈 앞에 씌우는 것.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346 개의 단어) 🌾
  • 라장 裸葬 : ‘나장’의 북한어.
  • 라전 螺鈿 : ‘나전’의 북한어.
  • 라조 la調 : ‘라’ 음을 으뜸음으로 하여 만들어진 음조.
  • 라졸 羅卒 : ‘나졸’의 북한어.
  • 라주 螺舟 : ‘나주’의 북한어.
  • 라지 裸地 : ‘나지’의 북한어.
  • 라직 羅織 : ‘나직’의 북한어.
  • 라진 Razin, Stepan Timofeevich : 스테판 티모페예비치 라진, 제정 러시아의 농민 반란 지도자(1630?~1671). 1667년에 카자흐인과 빈농들을 모아 반란을 일으켜, 한때는 카스피해 서북부 일대를 점령하였으나 강력한 정부군에 패배하였다. 그 후 재기를 꾀하였으나 카자흐의 상층 계급에 잡혀 모스크바에서 처형되었다.
  • 라질 癩疾 : ‘나병’의 옛말.
(총 589 개의 단어) 💌
  • 자하 子夏 : 중국 춘추 시대의 유학자(B.C.507~B.C.420?). 본명은 복상(卜商). 공자의 제자로서 십철(十哲)의 한 사람이다. 위나라 문후(文侯)의 스승으로 시와 예(禮)에 능통하였는데, 특히 예의 객관적 형식을 존중하였다.
  • 자학 子瘧 : 임신 중에 앓는 학질.
  • 자한 自汗 : 깨어 있는 상태에서 저절로 땀이 많이 흐름. 또는 그런 병.
  • 자할 自割 : 일부 동물이 위기를 벗어나기 위하여 몸의 일부를 스스로 끊는 일. 도마뱀은 꼬리, 게나 여치 따위는 다리를 끊는데 그 부분은 쉽게 재생된다.
  • 자항 慈航 : 중생을 자비심으로 구하는 일.
  • 자해 字解 : 글자에 대한 해석. 주로 한자에 대하여 이른다.
  • 자핵 自劾 : 자기의 죄를 스스로 탄핵함.
  • 자행 字行 : 글자의 줄.
  • 자허 自許 : 자기 힘으로 넉넉히 할 만한 일이라고 여김.
(총 447 개의 단어) 🏆
  • 하다 : 사람이나 동물, 물체 따위가 행동이나 작용을 이루다.
  • 하닥 : ‘화덕’의 방언
  • 하단 下段 : 여러 단으로 된 것의 아래의 단.
  • 하달 下達 : 상부나 윗사람의 명령, 지시, 결정 및 의사 따위를 하부나 아랫사람에게 내리거나 전달함.
  • 하담 荷擔 : 어깨에 짐을 짊어짐.
  • 하답 下畓 : 토양 조건과 물의 형편이 나빠서 농사가 잘되지 아니하는 논.
  • 하당 下堂 : 방이나 마루에서 뜰로 내려옴.
  • 하대 下待 : 상대편을 낮게 대우함.
  • 하덕 下德 : 아랫사람에게서 받는 은덕.
(총 64 개의 단어) 🍬
  • : 서양 음악의 칠음 체계에서, 두 번째 음이름. 계이름 ‘레’와 같다.
  • : ‘낙’의 북한어.
  • : ‘알’의 뜻을 나타내는 말.
  • : ‘-라고 할’이 줄어든 말.
  • rum : ‘럼’의 북한어.
  • : ‘라’의 음역어.
  • : 낭자라는 뜻으로 ‘여자’를 이르던 말. ⇒남한 규범 표기는 ‘낭’이다.
  • : 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
  • lac : 랙깍지진디 따위가 내는, 끈적거리는 나무의 진 같은 분비물. 또는 그것을 가공한 것. 주로 무환자나무, 보리수, 고무나무 따위의 가지에 분비하며, 주로 셸락과 랙 물감을 만드는 데 쓴다.
(총 104 개의 단어) 🕊
  • : 길이를 재는 데 쓰는 도구.
  • : 줄이나 획을 한 번 긋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좀’의 방언
  • : 검은담비의 털가죽.
  • : ‘자루’의 방언
  • : 눈이 감긴 채 의식 활동이 쉬는 상태.
  • job : 사용자가 정의하고 컴퓨터가 처리하는 일의 단위. 일련의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묶음으로 되어 있는 일을 이른다.
  • : 잣나무의 열매. 솔방울 같은 단단한 송이에 들어 있으며, 맛이 고소하고 기름기가 많아 기름을 내거나 고명으로 쓴다.
  • : 게의 딱지 속에 들어 있는 누르스름한 물질. 가을에 특히 양이 많고 맛이 있다.
(총 98 개의 단어) 🎄
  • : 정도가 매우 심하거나 큼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아주’, ‘몹시’의 뜻을 나타낸다.
  • : 급히 토하거나 뱉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그 수량이 하나임을 나타내는 말.
  • : ‘하늘’의 방언
  • : ‘흙’의 방언
  • : ‘달팽이’의 방언
  • : 여럿이 한데 모임. 또는 여럿을 한데 모음.
  • : ‘짝을 갖춘’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 몹시 놀라서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며 입을 짝 벌리는 모양.
(총 100 개의 단어) 🦖
  • : 궁중에서, ‘숭늉’을 이르던 말.
  • : 뽕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3미터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대개 2~3개의 결각이 있다. 암수한그루로 봄에 단성화가 이삭 모양으로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9월에 붉은색의 핵과(核果)를 맺는다. 열매는 ‘저실’ 또는 ‘구수자’라 하여 약용한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껍질은 한지를 만드는 데 쓴다. 산기슭의 양지바른 곳이나 밭둑에서 자라는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 ‘닻’의 방언
  • : 짚, 땔나무, 채소 따위의 묶음.
  • : ‘닻’의 옛말.
  • : 심마니들의 은어로, ‘불’을 이르는 말.
  • : 꿩과의 새. 머리에 붉은 볏이 있고 날개는 퇴화하여 잘 날지 못하며 다리는 튼튼하다. 육용과 난용으로 육종된 수많은 품종이 있으며, 가금으로 가장 많이 사육한다. 원종은 인도, 말레이시아 등지의 들꿩이다.
  • : 집의 둘레나 일정한 공간을 둘러막기 위하여 흙, 돌, 벽돌 따위로 쌓아 올린 것.
  • : ‘무렵’의 방언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