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106개

  • 마애불 : 磨崖佛 자연 암벽에 부조(浮彫) 또는 음각으로 조각한 불상. 인도에서 발생하여 한국, 중국, 일본에 전하여졌다.
  • 마약반 : 痲藥班 검찰청이나 경찰청에서 마약류 단속을 위해 만든 조직.
  • 마약범 : 痲藥犯 마약을 복용하거나 밀반입하여 유통하는 죄를 지은 사람.
  • 마약법 : 痲藥法 예전에, 마약의 해독(害毒)을 막기 위하여 그 용도나 관리 및 단속에 관하여 규정한 법률. ‘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에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 마을방 : 마을房 마을꾼들이 모여드는 방.
  • 마을별 : 마을別 마을에 따라서 나눈 구별.
  • 마음벵 : ‘심병’의 방언
  • 마음보 : 마음을 쓰는 속 바탕.
  • 마응방 : 馬應房 조선 중기의 의병장(?~1597). 본관은 장흥(長興). 자는 정숙(靖叔). 호는 용암(龍菴). 선조 25년(1592)에 의병으로 활약하여, 선조 30년(1597)에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용암집(龍庵集)≫을 저술하였다.
  • 막이벽 : 막이壁 ‘흙막이벽’의 북한어.
  • 만안벼 : 晩安벼 벼 품종의 하나. 내병성, 다수성 품종으로, 쌀의 아밀로오스 함량은 금오벼보다 낮은 편이고 단백질 함량은 약간 높다. 식미의 질감과 맛이 좋은 양질미이다.
  • 만입부 : 灣入部 강이나 바다의 물이 활등처럼 뭍으로 휘어드는 부분.
  • 맏아배 : 1 ‘큰아버지’의 방언 2 ‘고모부’의 방언 3 ‘고모부’의 방언 ... (총 4개의 의미)
  • 맏아뱀 : 1 ‘큰아버지’의 방언 2 ‘큰아버지’의 방언
  • 맏양반 : 1 맏兩班 남의 맏아들을 높여 이르는 말. 2 맏兩班 강령 탈춤에서, 갈포 장삼을 입고 개가죽 관을 쓰고 나오는 인물. 또는 그가 쓰고 나오는 흰 바탕에 수염이 달린 탈.
  • 맏웃방 : 맏웃房 여러 방 가운데서 맨 윗방. ⇒남한 규범 표기는 ‘맏윗방’이다.
  • 맞은변 : 맞은邊 다각형에서, 한 변이나 한 각과 마주 대하고 있는 변.
  • 맞이방 : 맞이房 공공시설에서 손님이 기다리며 머물 수 있도록 마련한 곳.
  • 매음부 : 賣淫婦 돈을 받고 남자에게 몸을 파는 여자.
  • 매일반 : 1 매一般 결국 서로 같음. 2 每日班 학원 따위에서 매일 강좌를 열어 운영하는 반.
  • 매입법 : 買入法 기업 합병 시 취득 회사가 피취득 회사의 자산을 공정한 시가로 평가하여 회계 처리 하는 방법.
  • 매입비 : 買入費 물품 따위를 사들이는 데 드는 비용.
  • 맥아분 : 麥芽粉 엿기름을 맷돌에 갈아서 만든 가루.
  • 맹안부 : 猛安部 중국 금나라 때에, 민가 삼천 호의 10모극부로 편성한 행정 단위.
  • 머을밧 : ‘자갈땅’의 방언
  • 먹이밭 : ‘사료밭’의 북한어.
  • 먹임밭 : 윷놀이에서, 처음 말을 쓰기 시작하는 밭.
  • 면양반 : 緬羊斑 태양의 표면에 나타나는 불규칙한 얼룩무늬. 수소 광선이나 칼슘 광선으로 태양을 촬영할 때 나타나는 것으로 양털처럼 흩어져 보인다.
  • 면역법 : 免疫法 항원을 투여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법.
  • 면역병 : 免疫病 비정상적인 면역 반응으로 일어나는 병. 자가 면역 질환이나 알레르기가 여기에 속한다.
  • 명암법 : 明暗法 회화에서, 한 가지 색상의 명도 차에 의하여 입체감을 나타내는 기법.
  • 명암비 : 1 明暗比 영상에서 가장 밝은 곳과 어두운 곳 사이에 드러나는 밝은 정도의 비율. 이것이 높을수록 밝은 것을 나타낸다. 2 明暗比 피디피에서, 외광에 의해 디스플레이로부터 반사되는 빛까지 포함한 영상의 최소 휘도에 대한 최대 휘도의 비.
  • 명언비 : 名言碑 사리에 맞는 훌륭한 말이나 널리 알려진 말을 새겨 넣은 비석.
  • 명예법 : 名譽法 로마 공화정 후기에, 명예직이었던 법무관 등에 의하여 현실에 적합하게 만들어진 법. 시민법을 보충하거나 개선하는 역할을 하였다.
  • 명완벽 : 明完璧 구한말의 가야금 연주자(1842~1929). 자는 덕조(德祚). 호는 진당(眞堂). 장악원 아악사장으로, 가곡ㆍ여창(女唱)에 뛰어났고, 악기를 잘 연주하였으며 특히 가야금의 명수였다.
  • 명유법 : 明喩法 비유의 가장 초보적인 방법으로, 하나의 사물을 다른 사물에 비교하는 직유법을 이르는 말. 비유법 중 직유법이 비유가 가장 선명하고 명확하다고 하여 이름 지어진 용어이다.
  • 명음반 : 名音盤 이름나거나 훌륭한 음반.
  • 명인법 : 明引法 인용법 중의 하나로, 인용 부호를 통해 인용부를 분명하게 밝히는 방법. 인용 부호 없이 인용부를 밝히지 않는 암인법과 대조된다.
  • 모아비 : 母兒比 15~49세의 가임 여성 인구에 대한 0~4세의 유아 인구의 비율.
  • 모양반 : 1 毛兩班 동래 야유와 김해 오광대놀이에 등장하는 인물의 하나. 동래 야유에서는 옥색 바지저고리에 자주색 도포를 입고 개털 관을 쓰고 부채를 들고 나온다. 2 毛兩班 동래 야유와 김해 오광대놀이에 쓰는 탈의 하나. 개털이나 고양이 털로 만든다.
  • 모양별 : 模樣別 모양에 따른 구별.
  • 모역법 : 募役法 중국 송나라 때, 왕안석이 내놓은 빈민 구제법. 부역(賦役) 대신 면역전(免役錢), 조역전(助役錢)을 내게 하고 그 돈으로 정부가 실업자를 싼 임금으로 고용하던 방법이다.
  • 모원병 : 母原病 어머니가 원인이 되어 태아가 어머니 배 속에서 걸린 병. 성장 단계에서 말이 늦거나 무기력한 증상으로 나타난다고 한다.
  • 모음병 : 모음甁 액체 따위를 모아서 담는 병.
  • 모의반 : 1 模擬盤 컴퓨터를 이용하여 복잡한 시스템을 램프의 명멸 따위로 도식화하는 표시판. 2 模擬盤 기호 표시 및 망 제어 또는 망 구성 요소의 상태를 위한 장치.
  • 모의방 : 毛衣房 조선 시대에, 갖옷과 털로 만든 방한구 따위의 모물(毛物)을 팔던 가게. 뒤에 모물전으로 고쳤다.
  • 목욕법 : 沐浴法 목욕을 하는 방법.
  • 목이법 : 目耳法 별 따위를 관찰할 때 귀로 시계의 초음(秒音)을 듣고 눈으로 어떤 현상을 관측하면서 그 현상이 일어나는 순간의 시각(時刻)을 재는 방법. 자오의로 별의 자오선 경과를 관측할 때 쓴다.
  • 몯아배 : 1 ‘큰아버지’의 방언 2 ‘큰아버지’의 방언
  • 몯애비 : 1 ‘큰아버지’의 방언 2 ‘큰아버지’의 방언
  • 몰이법 : 몰이法 경곗값 문제를 계차 방정식으로 풀 때, 한쪽 경계에서 다른 쪽 경계로 옮겨 가면서 풀이 공식에 포함된 매개 변수들을 구한 다음 다시 옮겨 간 경계에서 출발 경계로 되돌아오면서 풀이를 구하는 방법.
  • 몰잇배 : 고기잡이를 할 때 몰이를 맡은 배.
  • 몽유병 : 夢遊病 잠을 자다가 무엇에 이끌린 듯 일어나 멀쩡하게 행동을 하며 돌아다니기도 하다가 다시 잠이 든 뒤, 다음 날 아침 깨어나서는 그런 일을 전혀 기억하지 못하는 정신병.
  • 무어법 : Moore法 동맥 자루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주머니에 은 또는 아연 철사를 삽입하여 섬유소 침착을 유도하는 방법.
  • 무언부 : 無言符 부호의 하나. ‘……’의 이름이다. 할 말을 줄였을 때나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에 쓰거나 문장이나 글의 일부를 생략할 때, 머뭇거림을 보일 때 쓴다.
  • 무역부 : 貿易部 나라와 나라 간에 물건을 사고파는 일에 관련된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
  • 무역불 : 貿易弗 1873년 미국이 멕시코 은 대신에 동양 여러 나라에 유통시킬 목적으로 제정한 은화(銀貨). 순분(純分)은 420그레인(grain)이다.
  • 무연분 : 無鉛粉 연백, 곧 염기성 탄산염이 들어 있지 않은 분.
  • 무연불 : 無緣佛 자신과는 인연이 없는 부처.
  • 무염분 : 無鹽分 소금기가 없음. 또는 그런 것.
  • 무용보 : 舞踊譜 춤의 동작을 악보처럼 일정한 기호나 그림으로 기록한 것.
  • 무용복 : 舞踊服 무용할 때 입는 옷.
  • 무위배 : 無爲輩 하는 일 없이 놀고먹기만 하는 무리.
  • 무위법 : 無爲法 오위(五位)의 하나. 인연을 따라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생멸(生滅)의 변화를 떠나 상주 불변 하는 참된 법이다.
  • 무유방 : 無乳房 정상적으로 있어야 할 유방이 없는 것.
  • 무은보 : 무은褓 작은 천 조각을 곱게 이어 붙여서 만든 보.
  • 무의범 : 無意犯 부주의로 인하여, 어떤 결과의 발생을 미리 내다보지 못함으로써 성립하는 범죄. 또는 그런 죄를 저지른 사람.
  • 무이보 : 撫夷堡 조선 시대에, 육진(六鎭)에 속한 이십구 진보 가운데 하나. 세종 때 둔 북방의 주요 방어지로, 경흥진 북쪽 35리에 위치한다.
  • 무일변 : 無日邊 단기 신용 거래에서 대차의 대상이 되는 주식에 과부족이 없어서 일변(日邊)이나 역일변(逆日邊)이 붙지 않는 일.
  • 무일보 : 無日步 ‘무일변’의 전 용어.
  • 무일불 : 無日不 날마다 하지 않는 날이 없음. 곧 날마다 하는 일을 되풀이함을 이른다.
  • 묵운밭 : ‘묵정밭’의 방언
  • 묵운빚 : 1 ‘묵은빚’의 방언 2 ‘묵은빚’의 방언
  • 묵은밥 : 1 ‘찬밥’의 방언 2 지어서 하룻밤을 지난 밥.
  • 묵은밭 : ‘묵정밭’의 방언
  • 묵은빚 : 1 오랫동안 갚지 못하고 있는 빚. 2 오랫동안 쌓인 좋지 못한 감정이나 원한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해를 넘긴 빚. ... (총 4개의 의미)
  • 묵이배 : 배의 하나. 딸 때에는 맛이 떫고 빡빡하나 오래 묵힐수록 맛이 좋아진다.
  • 묶음북 : 여러 개의 작은북을 하나의 틀에 묶어 놓고 연주하는 북. 옛날 궁중 음악에서 쓰던 영고(靈鼓), 뇌고(雷鼓), 노고(路鼓) 따위가 있다.
  • 문안비 : 問安婢 예전에, 출입이 자유롭지 못한 부녀자 사이에서 정초에 새해 인사를 전하기 위하여 보내던 여자 하인.
  • 문앜방 : 문앜房 ‘문간방’의 방언
  • 문어발 : 文魚발 문어의 발처럼 여러 갈래로 나눔.
  • 문어법 : 文語法 문어(文語)에 관한 법칙.
  • 문언박 : 文彦博 중국 북송 때의 재상(宰相)(1006~1097). 자는 관부(寬夫). 장군과 재상을 지내면서 나라에 충성을 다하여 이름을 떨쳤다. 저서에 ≪노공집(潞公集)≫이 있다.
  • 문예반 : 文藝班 학교 따위에서 문예에 관한 연구나 활동을 하는 모임. 흔히 신문이나 교지를 만드는 일을 맡기도 한다.
  • 문예부 : 1 文藝部 신문사ㆍ잡지사 따위에서, 문예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부서. 2 文藝部 학교 따위에서 문예에 관한 연구나 활동을 하는 모임. 흔히 신문이나 교지를 만드는 일을 맡기도 한다.
  • 문외배 : 門外拜 방문 밖에서 절하는 풍습
  • 문인비 : 文人碑 문인을 기리기 위하여 그 문인의 작품이나 행적, 인물평 등을 새겨서 세운 비.
  • 물아범 : 물 긷는 일을 맡아 하는 남자 하인.
  • 물애비 : 물 긷는 일을 맡아 하는 남자 하인. ⇒규범 표기는 ‘물아범’이다.
  • 물에밥 : ‘물밥’의 방언
  • 물윗배 : 뱃전이 비교적 낮고 바닥이 평평한 배. 주로 강물에서 나룻배로 쓴다.
  • 물음법 : 물음法 문장에서 종결 어미에 나타나는 서법의 하나. 화자가 청자에게 질문을 하여 그 해답을 요구한다. ‘-느냐’, ‘-ㄴ가’, ‘-습니까’ 따위의 어미로 표현된다.
  • 미엉배 : ‘무명’의 방언
  • 미역발 : 미역을 양식할 때, 미역이 붙어 자라도록 만든 발.
  • 미역밭 : 1 미역을 따는 바다의 일정한 곳. 2 미역을 인공적으로 가꾸는 바다의 일정한 구역. 또는 그 구역의 밑바닥.
  • 미연방 : 美聯邦 북아메리카 대륙의 가운데를 차지하는 연방 공화국. 영국의 식민지였으나 1776년 13주가 독립을 선언하고 독립 전쟁에 승리하여 1783년 각국의 승인을 받았다. 이후 영토를 확장하면서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어 국제 정치ㆍ경제상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50개의 주와 하나의 특별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민은 대부분이 백인이고 인구의 약 10%가 흑인이며 주요 언어는 영어이다. 수도는 워싱턴, 면적은 937만 5720㎢.
  • 미영베 : ‘무명베’의 방언
  • 미완본 : 未完本 내용이 완전히 다 이루어지지 않은 글이나 책 따위.
  • 미용법 : 美容法 얼굴이나 머리를 아름답게 매만지는 방법.
  • 미음변 : 米飮便 미음과 비슷한 변. 설사를 일으키는 질환이나 콜레라에서 많이 나타난다.
2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652 개의 단어) 🍇
  • 마아 麽兒/麻兒 : 사람처럼 만든 허수아비. 진법을 연습할 때 사용하였다.
  • 마안 馬鞍 : 말, 나귀 따위의 등에 얹어서 사람이 타기에 편리하도록 만든 도구.
  • 마알 marl : 여러 가지 성분의 불순물이 혼합된 풍화 퇴적물의 일종.
  • 마앙 馬鞅 : 마소의 안장이나 길마를 얹을 때에 배에 걸쳐서 졸라매는 줄.
  • 마애 磨崖 : 석벽에 글자나 그림, 불상 따위를 새김.
  • 마야 摩耶 : 석가모니의 어머니. 인도 카필라바스투(Kapilavastu)의 슈도다나의 왕비로, 석가모니를 낳고 7일 후에 죽었다.
  • 마약 痲藥 : 마취 작용을 하며, 습관성이 있어서 장복(長服)하면 중독 증상을 나타내는 물질을 통틀어 이르는 말. 아편ㆍ모르핀ㆍ코카인ㆍ헤로인ㆍ코데인ㆍ페티딘ㆍ메타돈ㆍ엘에스디(LSD) 따위가 있으며, 의료에 사용하지만 남용하면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나므로 취급 및 사용을 법률로 규제하고 있다.
  • 마어 : 소규모의 가스 폭발로 생긴 화산 형태의 하나. 원형 화구로, 화구의 가장자리는 약간 높고 화구(火口)의 밑은 지표(地表)보다 낮다. 제주도의 화구가 여기에 속한다. ⇒규범 표기는 ‘마르’이다.
  • 마엠 : ‘김매기’의 방언
(총 952 개의 단어) 🎁
  • 아바 : ‘아버지’의 방언
  • 아박 牙拍 : 우리나라 타악기의 하나. 상아나 고래 뼈, 소뼈, 사슴 뼈 따위로 만든 작은 박으로 고려 시대부터 쓰였다. 아박무를 출 때에 두 손아귀에 넣고 박자를 맞추며 친다.
  • 아반 : ‘아버지’의 방언
  • 아발 aval : 보증인이 유통 증권 자체를 보증하여 채무에 대한 성실한 이행을 약속하는 취소 불능의 무조건적인 보증.
  • 아밤 : ‘아범’의 방언
  • 아방 : ‘아욱’의 방언
  • 아배 : ‘아버지’의 방언
  • 아뱀 : ‘아버지’의 방언
  • 아범 : ‘아비’를 조금 대접하여 이르는 말.
(총 99 개의 단어) 🦖
  • : 뱃사람의 말로, ‘남쪽’을 이르는 말.
  • : 바로 지금.
  • : ‘앞말이 가리키는 동안이나 거리’를 나타내는 말.
  • : ‘맏이’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데 쓰는 음성 기호. 곧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목구멍을 통하여 조직적으로 나타내는 소리를 가리킨다.
  • : 불행한 일의 마지막
  • : ‘말뚝’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말’로 나타난다.
  • : ‘마음’의 준말.
  • : 음식 따위를 혀에 댈 때에 느끼는 감각.
(총 161 개의 단어) 🍩
  • : 한글 자모 ‘ㅏ’의 이름.
  • : 있는 힘을 다하여 모질게 마구 쓰는 기운.
  • : ‘아우’의 방언
  • : 어떤 물체나 공간의 둘러싸인 가에서 가운데로 향한 쪽. 또는 그런 곳이나 부분.
  • : ‘안’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안’으로 나타난다.
  • : 조류, 파충류, 어류, 곤충 따위의 암컷이 낳는, 둥근 모양의 물질.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새끼나 애벌레로 부화한다.
  • : 아는 일.
  • : ‘앞’의 옛말.
  • : ‘알’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알’로 나타난다.
(총 112 개의 단어) 🐬
  • : 삼이나 칡 따위로 세 가닥을 지어 굵다랗게 드린 줄.
  • : 물이 새지 아니하도록 하려고, 배에 댄 널빤지에 난 틈을 메우는 물건.
  • : 어떤 선이나 금을 넘어선 쪽.
  • : 얇게 펴서 다듬어 만든 조각.
  • : 사람이나 동물의 다리 맨 끝부분.
  • : 해가 져서 어두워진 때부터 다음 날 해가 떠서 밝아지기 전까지의 동안.
  • : 쌀, 보리 따위의 곡식을 씻어서 솥 따위의 용기에 넣고 물을 알맞게 부어, 낟알이 풀어지지 않고 물기가 잦아들게 끓여 익힌 음식.
  • baht : 타이의 화폐 단위. 1밧은 1사땅의 100배이다. 기호는 B.
  • : 윷판의 한가운데에 있는 밭.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