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21개

  • 반혁명적 : 反革命的 혁명을 반대하여 혁명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려는. 또는 그런 것.
  • 방한모자 : 防寒帽子 추위를 막기 위하여 쓰는 모자.
  • 범학문적 : 汎學問的 널리 학문 전반과 관련되어 있거나 학문으로서의 방법이나 체계가 서 있는. 또는 그런 것.
  • 비학문적 : 非學問的 학문과 관련이 없고 학문으로서의 방법이나 체계가 없는. 또는 그런 것.
  • 비핵무장 : 非核武裝 핵무기로 무장을 하지 아니함.
  • 발화 물질 : 發火物質 불이 쉽게 나는 물질. 또는 불에 쉽게 타는 물질.
  • 발효 물질 : 醱酵物質 빵을 구울 때 반죽을 부풀게 하는 물질. 베이킹파우더, 이스트 따위가 있다.
  • 방향 물질 : 芳香物質 사람의 코로 지각할 수 있는 향기를 가진 물질.
  • 방화 목재 : 防火木材 불에 타지 아니하고 잘 견디도록 약품으로 처리한 목재. 콘크리트 건축 내부의 마루나 목조 건축의 바깥 벽에 사용한다.
  • 배합 목적 : 配合目的 이것저것을 일정한 비율로 한데 섞어 합치는 목적.
  • 보호 문자 : 保護文字 오류를 방지하거나 생략된 0을 대치하기 위하여 프로그래머나 기계에 의해 선택된 문자. 일반적으로 애스터리스크(*) 기호를 많이 사용한다.
  • 보호 물질 : 保護物質 작물을 보호하는 물질.
  • 복합 매장 : 複合賣場 특정한 소비 계층의 기호에 맞춘 다양한 상품을 한자리에 모아 판매하는 매장이나 상점.
  • 복합 명제 : 複合命題 몇 가지 명제가 ‘또는’, ‘이고’, ‘이면’, ‘-이 아닌’ 따위의 논리어나 그와 같은 말을 적어도 하나는 포함하고 있는 명제.
  • 복합 문자 : 複合文字 오버스트라이크 또는 특수한 위치 설정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그래픽 엘리먼트를 합성한 그래픽 문자.
  • 봉황문 전 : 鳳凰文塼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외리에 있는 절터에서 출토된, 봉황 무늬를 새긴 백제 시대의 벽돌. 여러 개의 구슬을 이은 타원형 안에 봉황 한 마리가 새겨져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부여 외리 문양 전 일괄 봉황문 전’이다.
  • 부호 문자 : 符號文字 기호나 이산값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 문자. 또는 부호에 따라서 유도된 문자.
  • 부활 물질 : 賦活物質 어떤 화학 반응에 이바지하는 물질이나 촉매의 작용을 하는 물질의 활성을 증대시키고 반응을 잘 진행시키는 물질.
  • 부후 목재 : 腐朽木材 세균 따위의 작용으로 부패한 목재.
  • 분할 문제 : 分割問題 주어진 양의 정수의 다중 집합이 수들의 합이 같은 두 개의 부분 집합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문제.
  • 분해 물질 : 分解物質 어떤 물질을 체내에 투여하였을 때, 대사 따위의 분해 과정을 거쳐 얻어진 산물, 또는 열과 빛 따위의 물리ㆍ화학적 자극으로 분해되고 난 뒤의 물질.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429 개의 단어) 🌾
  • 바하 : 독일의 작곡가(1685~1750). 많은 종교곡, 기악곡 소나타, 협주곡, 관현악 모음곡 따위를 썼고, 대위법 음악을 완성하여 바로크 음악의 정상에 올랐다. 작품으로 <마태 수난곡>,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부활제> 따위가 있다. ⇒규범 표기는 ‘바흐’이다.
  • 바확 : ‘방아확’의 방언
  • 바회 : ‘바위’의 옛말.
  • 바후 buff : ‘버프’의 북한어.
  • 바흐 Bach, Johann Sebastian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독일의 작곡가(1685~1750). 많은 종교곡, 기악곡 소나타, 협주곡, 관현악 모음곡 따위를 썼고, 대위법 음악을 완성하여 바로크 음악의 정상에 올랐다. 작품으로 <마태 수난곡>,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부활제> 따위가 있다.
  • 바히 : ‘바이’의 옛말.
  • 박하 薄荷 :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60~100cm이며, 잎은 마주나고 유선(油腺)이 있다. 여름에 옅은 자주색 또는 흰색의 작은 꽃이 줄기 윗부분에 윤산(輪繖) 화서로 피고, 열매는 달걀 모양의 수과(瘦果)를 맺는다. 한방에서는 잎을 약용하고 향기가 좋아 향료, 음료, 사탕 제조에도 쓴다. 중국이 원산지로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 박학 博學 : 배운 것이 많고 학식이 넓음. 또는 그 학식.
  • 박한 薄汗 : 조금 나는 땀.
(총 442 개의 단어) 💗
  • 하마 : 바라건대. 또는 행여나 어찌하면.
  • 하막 : ‘무당개구리’의 방언
  • 하만 河灣 : 큰 강의 하구가 부채꼴로 널리 벌어져 밀물과 썰물의 영향이 심한 곳.
  • 하매 : ‘달팽이’의 방언
  • 하머 : ‘벌써’의 방언
  • 하먼 : ‘아무렴’의 방언
  • 하메 : ‘청개구리’의 방언
  • 하멜 Hamel, Hendrik : 헨드릭 하멜, 네덜란드의 선원(?~1692). 동인도 회사 소속 상선을 타고 일본 나가사키로 가다가 폭풍으로 파선하여 조선 효종 4년(1653)에 일행과 함께 우리나라에 들어와 14년 동안 억류 생활을 하고 귀국하였다. 자신의 경험을 담은 ≪하멜 표류기≫를 저술하여 조선의 지리, 풍속, 정치 따위를 유럽에 처음으로 소개하였다.
  • 하며 : (구어체로) 둘 이상의 사물이나 사람을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는 접속 조사.
(총 584 개의 단어) 🍊
  • 마자 : ‘참마자’의 북한어.
  • 마작 : ‘마저’의 방언
  • 마장 : 거리의 단위. 오 리나 십 리가 못 되는 거리를 이른다.
  • 마저 : 남김없이 모두.
  • 마적 馬賊 : 말을 타고 떼를 지어 다니는 도둑. 주로 청나라 말기에 만주 지방에서 활동하였다.
  • 마전 : 갓 짠 천을 삶거나 빨아 볕에 바래는 일.
  • 마접 魔接 : 귀신을 접함. 또는 신이 내림.
  • 마정 馬丁 : 말을 부려 마차나 수레를 모는 사람.
  • 마제 馬蹄 : 말의 발톱.
(총 112 개의 단어) 🎴
  • : 삼이나 칡 따위로 세 가닥을 지어 굵다랗게 드린 줄.
  • : 물이 새지 아니하도록 하려고, 배에 댄 널빤지에 난 틈을 메우는 물건.
  • : 어떤 선이나 금을 넘어선 쪽.
  • : 얇게 펴서 다듬어 만든 조각.
  • : 사람이나 동물의 다리 맨 끝부분.
  • : 해가 져서 어두워진 때부터 다음 날 해가 떠서 밝아지기 전까지의 동안.
  • : 쌀, 보리 따위의 곡식을 씻어서 솥 따위의 용기에 넣고 물을 알맞게 부어, 낟알이 풀어지지 않고 물기가 잦아들게 끓여 익힌 음식.
  • baht : 타이의 화폐 단위. 1밧은 1사땅의 100배이다. 기호는 B.
  • : 윷판의 한가운데에 있는 밭.
(총 98 개의 단어) 🍑
  • : 정도가 매우 심하거나 큼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아주’, ‘몹시’의 뜻을 나타낸다.
  • : 급히 토하거나 뱉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그 수량이 하나임을 나타내는 말.
  • : ‘하늘’의 방언
  • : ‘흙’의 방언
  • : ‘달팽이’의 방언
  • : 여럿이 한데 모임. 또는 여럿을 한데 모음.
  • : ‘짝을 갖춘’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 몹시 놀라서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며 입을 짝 벌리는 모양.
(총 99 개의 단어) 🐠
  • : 뱃사람의 말로, ‘남쪽’을 이르는 말.
  • : 바로 지금.
  • : ‘앞말이 가리키는 동안이나 거리’를 나타내는 말.
  • : ‘맏이’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데 쓰는 음성 기호. 곧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목구멍을 통하여 조직적으로 나타내는 소리를 가리킨다.
  • : 불행한 일의 마지막
  • : ‘말뚝’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말’로 나타난다.
  • : ‘마음’의 준말.
  • : 음식 따위를 혀에 댈 때에 느끼는 감각.
(총 104 개의 단어) 🙏
  • : 길이를 재는 데 쓰는 도구.
  • : 줄이나 획을 한 번 긋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좀’의 방언
  • : 검은담비의 털가죽.
  • : ‘자루’의 방언
  • : 눈이 감긴 채 의식 활동이 쉬는 상태.
  • job : 사용자가 정의하고 컴퓨터가 처리하는 일의 단위. 일련의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묶음으로 되어 있는 일을 이른다.
  • : 잣나무의 열매. 솔방울 같은 단단한 송이에 들어 있으며, 맛이 고소하고 기름기가 많아 기름을 내거나 고명으로 쓴다.
  • : 게의 딱지 속에 들어 있는 누르스름한 물질. 가을에 특히 양이 많고 맛이 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