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17개

  • 아롱점말 : 아롱點말 아롱아롱한 점을 가진 말.
  • 약롱중물 : 1 藥籠中物 약롱 속의 약품이라는 뜻으로, 꼭 필요한 사람을 이르는 말. 2 藥籠中物 가까이 사귀어 자기편으로 만든 사람. 3 藥籠中物 병을 고치는 약처럼 사람의 잘못을 고치도록 하는 것.
  • 약롱지물 : 1 藥籠之物 약롱 속의 약품이라는 뜻으로, 꼭 필요한 사람을 이르는 말. 2 藥籠之物 가까이 사귀어 자기편으로 만든 사람. 3 藥籠之物 병을 고치는 약처럼 사람의 잘못을 고치도록 하는 것.
  • 연리지목 : 連理枝木 두 나무의 줄기나 가지가 서로 맞닿아서 결이 서로 통한 나무.
  • 요량주문 : 料量注文 증권업자에게 일정한 가격을 지정하여 주고 증권의 가격이 그 가격 이상이면 팔고 그 이하이면 사 달라고 부탁하는 일.
  • 유리질막 : 琉璃質膜 모낭의 ‘외근초’와 내부 섬유층 사이의 막, 폐포, 폐포관 세 기관지의 내면을 덮고 있는 호산성 초자양 물질의 층. 출생 시 호흡기 난조 증후군으로 인하여 사망한 어린아이의 부검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 의려지망 : 倚閭之望 자녀나 배우자가 돌아오기를 초조하게 기다리는 마음.
  • 이루지명 : 離婁之明 눈이 몹시 밝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황제(黃帝) 때 사람인 이루가 눈이 밝았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 양륙 증명 : 揚陸證明 수입품이 수입지에 양륙한 사실을 수입지 주재의 수출국 영사가 증명하는 일.
  • 여름 작물 : 여름作物 여름 동안에 가꾸어서 가을철에 거두어들이는 작물. 벼, 콩, 담배, 고추, 가지 따위가 여기에 속한다.
  • 여름 장마 : 여름철에 여러 날을 계속해서 비가 내리는 현상이나 날씨.
  • 연료 작물 : 燃料作物 땔감이나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재배하는 작물. 들깨, 유채, 알코올 채취용 옥수수, 고구마, 사탕수수 따위가 있다.
  • 염료 작물 : 染料作物 염료를 만드는 원료가 되는 식물. 잇꽃, 치자, 쪽 따위가 있다.
  • 오렌지 맛 : orange맛 첨가물을 가미하여 오렌지와 비슷하게 낸 맛.
  • 유료 작물 : 油料作物 기름을 얻기 위하여 재배하는 작물. 참깨, 들깨, 땅콩, 유채, 아마, 아주까리, 야자나무, 올리브, 동백 따위가 있다.
  • 유리 직물 : 琉璃織物 유리 섬유로 짠 직물.
  • 일렬 조명 : 一列照明 천장 매립형 트로퍼 조명 방식의 하나로, 여러 개의 조명등을 일렬로 설치하는 조명 방식. 형광등 조명 방식 가운데 가장 효과적이다.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959 개의 단어) 🙏
  • 아라 : 해라할 자리에 쓰여, 명령하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아란 阿蘭 : ‘알란’의 음역어.
  • 아람 : 밤이나 상수리 따위가 충분히 익어 저절로 떨어질 정도가 된 상태. 또는 그런 열매.
  • 아랍 Arab : 아시아 서남부 페르시아만, 인도양, 아덴만, 홍해에 둘러싸여 있는 지역. 대부분이 사막이므로 주민들은 오아시스 부근에서 농사를 짓는다. 7세기 초에 마호메트가 통일한 후 이슬람 제국으로 번영하다가 16세기에 터키의 지배를 받게 되었으며, 18세기 말에 민족 운동을 통하여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예멘 등의 나라로 독립하였다. 매장량이 풍부한 유전 지대가 있다. 면적은 259만 ㎢.
  • 아랑 : 소주를 곤 뒤에 남은 찌꺼기.
  • 아래 : 어떤 기준보다 낮은 위치.
  • 아량 雅量 : 너그럽고 속이 깊은 마음씨.
  • 아레 : ‘아흐레’의 방언
  • 아려 雅麗 : ‘아려하다’의 어근.
(총 346 개의 단어) 🦖
  • 라장 裸葬 : ‘나장’의 북한어.
  • 라전 螺鈿 : ‘나전’의 북한어.
  • 라조 la調 : ‘라’ 음을 으뜸음으로 하여 만들어진 음조.
  • 라졸 羅卒 : ‘나졸’의 북한어.
  • 라주 螺舟 : ‘나주’의 북한어.
  • 라지 裸地 : ‘나지’의 북한어.
  • 라직 羅織 : ‘나직’의 북한어.
  • 라진 Razin, Stepan Timofeevich : 스테판 티모페예비치 라진, 제정 러시아의 농민 반란 지도자(1630?~1671). 1667년에 카자흐인과 빈농들을 모아 반란을 일으켜, 한때는 카스피해 서북부 일대를 점령하였으나 강력한 정부군에 패배하였다. 그 후 재기를 꾀하였으나 카자흐의 상층 계급에 잡혀 모스크바에서 처형되었다.
  • 라질 癩疾 : ‘나병’의 옛말.
(총 493 개의 단어) 🍌
  • 자마 雌馬 : 말의 암컷.
  • 자막 字幕 : 영화나 텔레비전 따위에서, 관객이나 시청자가 읽을 수 있도록 화면에 비추는 글자. 표제나 배역, 등장인물의 대화, 설명 따위를 보여 준다.
  • 자만 子滿 : 임신 5~7개월에 배가 지나치게 커지고 가슴이 답답하며, 오줌을 잘 누지 못하고 몸이 붓는 병.
  • 자말 子末 : 자시(子時)의 끝 무렵.
  • 자망 自望 : 자기를 추천함.
  • 자매 自媒 : 중매를 거치지 아니하고 스스로 배우자를 구함.
  • 자맥 自脈 : 스스로 자기 맥을 짚어서 병을 진찰하는 일.
  • 자먼 Jarman, Derek : 데릭 자먼, 영국의 영화감독(1942~1994). 평생 무정부주의, 동성애주의, 미학적 실험주의를 일관되게 추구하였다. 러셀(Russell, K.) 감독의 세트 디자이너로 시작하여 1970년대 8mm, 16mm 비디오 영화를 고수하다가 1980년대 최초의 35mm 극영화 <카라바지오>로 명성을 얻었다. 작품에 <희년>, <템페스트>, <대영 제국의 종말>, <에드워드 이세>가 있다.
  • 자며 : ‘-자면서’의 준말.
(총 161 개의 단어) 🎁
  • : 한글 자모 ‘ㅏ’의 이름.
  • : 있는 힘을 다하여 모질게 마구 쓰는 기운.
  • : ‘아우’의 방언
  • : 어떤 물체나 공간의 둘러싸인 가에서 가운데로 향한 쪽. 또는 그런 곳이나 부분.
  • : ‘안’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안’으로 나타난다.
  • : 조류, 파충류, 어류, 곤충 따위의 암컷이 낳는, 둥근 모양의 물질.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새끼나 애벌레로 부화한다.
  • : 아는 일.
  • : ‘앞’의 옛말.
  • : ‘알’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알’로 나타난다.
(총 64 개의 단어) 🏵
  • : 서양 음악의 칠음 체계에서, 두 번째 음이름. 계이름 ‘레’와 같다.
  • : ‘낙’의 북한어.
  • : ‘알’의 뜻을 나타내는 말.
  • : ‘-라고 할’이 줄어든 말.
  • rum : ‘럼’의 북한어.
  • : ‘라’의 음역어.
  • : 낭자라는 뜻으로 ‘여자’를 이르던 말. ⇒남한 규범 표기는 ‘낭’이다.
  • : 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
  • lac : 랙깍지진디 따위가 내는, 끈적거리는 나무의 진 같은 분비물. 또는 그것을 가공한 것. 주로 무환자나무, 보리수, 고무나무 따위의 가지에 분비하며, 주로 셸락과 랙 물감을 만드는 데 쓴다.
(총 104 개의 단어) 🌈
  • : 길이를 재는 데 쓰는 도구.
  • : 줄이나 획을 한 번 긋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좀’의 방언
  • : 검은담비의 털가죽.
  • : ‘자루’의 방언
  • : 눈이 감긴 채 의식 활동이 쉬는 상태.
  • job : 사용자가 정의하고 컴퓨터가 처리하는 일의 단위. 일련의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묶음으로 되어 있는 일을 이른다.
  • : 잣나무의 열매. 솔방울 같은 단단한 송이에 들어 있으며, 맛이 고소하고 기름기가 많아 기름을 내거나 고명으로 쓴다.
  • : 게의 딱지 속에 들어 있는 누르스름한 물질. 가을에 특히 양이 많고 맛이 있다.
(총 99 개의 단어) ⭐
  • : 뱃사람의 말로, ‘남쪽’을 이르는 말.
  • : 바로 지금.
  • : ‘앞말이 가리키는 동안이나 거리’를 나타내는 말.
  • : ‘맏이’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데 쓰는 음성 기호. 곧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목구멍을 통하여 조직적으로 나타내는 소리를 가리킨다.
  • : 불행한 일의 마지막
  • : ‘말뚝’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말’로 나타난다.
  • : ‘마음’의 준말.
  • : 음식 따위를 혀에 댈 때에 느끼는 감각.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