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165개

  • 아야만 : 앞 절의 일이 뒤 절 일의 필수적인 조건임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어미 ‘-아야’에 보조사 ‘만’이 결합한 말이다.
  • 아연말 : 亞鉛末 증류법으로 아연을 정련할 때 생기는 가루. 85~90%의 아연, 8~13%의 산화 아연, 소량의 카드뮴이 혼합된 물질로, 환원 작용이 강하다. 유기 화합물의 침전제, 환원제로 쓰인다.
  • 아오먼 : Aomen[澳門] 중국 광둥성(廣東省) 남부, 주장강(珠江江) 어귀에 있는 특별 행정구. 1887년에 포르투갈령이 되었으나, 1999년 중국에 정식으로 반환되어 홍콩에 이어 두 번째로 특별 행정구가 되었다. 면적은 30.3㎢.
  • 아이맥 : I-MAC 중단 없이 데이터를 일정 비율로 전달되도록 하는 매체 접근 제어 방식. 동기 및 비동기 전송이 모두 가능하다.
  • 아이맵 : IMAP 공유할 수 있는 메일 서버에 저장된 전자 우편이나 전자 게시판 메시지에 접속하는 방식. 실제로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도 마치 국부 영역에 있는 것처럼 클라이언트 전자 우편 응용이 저장된 원격 메시지에 접속할 수 있다.
  • 안여멸 : 眼여멸 ‘안경’, ‘여드름’, ‘멸치’의 머리글자를 따서 만든 말로, 안경을 끼고 여드름이 난 마른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 안입미 : 岸立眉 눈썹을 일자로 굵게 그리는 일본의 화장법. 10세기~14세기에 일본에서 유행하였다.
  • 앉음매 : 앉은 모양이나 태도.
  • 알이마 : 가린 것 없이 드러난 이마.
  • 압이매 : ‘앞이마’의 방언
  • 앞여밈 : 옷자락을 앞으로 여밈. 또는 그렇게 할 때 겹치는 부분.
  • 앞이마 : 1 이마의 한가운데 부분. 2 ‘이마’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 애어멈 : 1 ‘아이어멈’의 준말. 2 ‘아이어멈’의 준말. 3 ‘아이어멈’의 준말.
  • 애어미 : 1 ‘아이어미’의 준말. 2 ‘아이어미’의 준말.
  • 애완물 : 愛玩物 좋아하여 가까이 두고 다루거나 보며 즐기는 물건.
  • 애용물 : 愛用物 좋아하여 애착을 가지고 자주 사용하는 물건.
  • 약우물 : 藥우물 약물이 나오는 우물.
  • 양압면 : 揚壓面 블레이드의 양면 중 익면(翼面) 압력이 더 높은 쪽의 익면.
  • 양어미 : 養어미 ‘양어머니’의 낮춤말.
  • 양엄마 : 養엄마 자기를 길러 준 엄마.
  • 양열물 : 釀熱物 온상(溫床) 따위에서 인공적으로 온도를 높이는 데 쓰는 재료. 낙엽ㆍ짚ㆍ쌀겨ㆍ두엄ㆍ똥ㆍ퇴비 따위가 있으며, 미생물이 이들 재료를 분해할 때 생기는 열을 이용한다.
  • 양오목 : 兩오목 두 개의 오목한 면을 가진 상태.
  • 양용매 : 良溶媒 용질 분자를 잘 녹여 주는 용매. 용질이 녹을 때 열을 내는 것이 보통이다.
  • 양유맥 : 陽維脈 기경 팔맥의 하나. 전신의 양맥과 음맥들을 서로 긴밀하게 연계하는 작용을 한다.
  • 얕은맛 : 진하지 않으면서 산뜻하고 부드러운 맛.
  • 어야만 : 앞 절의 일이 뒤 절 일의 필수적인 조건임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어미 ‘-어야’에 보조사 ‘만’이 결합한 말이다.
  • 어업민 : 漁業民 어업에 종사하는 사람.
  • 어영목 : 御營木 조선 시대에, 역(役)의 대가로 어영청에 내던 무명.
  • 어유미 : 於由味 조선 시대에, 부인이 예장할 때에 머리에 얹던 큰머리. 머리에 족두리를 쓰고 그 위에 다리로 된 큰머리를 얹은 다음, 봉잠과 밀화잠을 양편으로 찔러 화잠으로 쪽을 만든 뒤 옥판을 앞에, 화잠을 좌우에 1개씩 꽂고 위에 활머리를 얹는다. ‘어여머리’를 한자를 빌려서 쓴 말이다. ⇒규범 표기는 ‘어여머리’이다.
  • 언어맹 : 言語盲 뇌에 존재하는 언어 중추의 일부에 문제가 생겨 언어 활동이 불가능한 상태.
  • 언어명 : 言語名 언어의 이름.
  • 얼음마 : ‘썰매’의 방언
  • 얼음면 : 1 얼음面 얼음의 겉면. 2 얼음面 얼고 있는 얼음과 물이 맞닿은 부분.
  • 얼음물 : 얼음을 넣은 물. 또는 얼음이 낀 물.
  • 없을무 : 없을无 한자 부수의 하나. ‘旣’에 쓰인 ‘旡’를 이른다.
  • 에이만 : Eiman[永萬] 일본 헤이안 시대 니조 천황 때의 연호(1165~1166). 니조 천황의 다섯 번째 연호로, 1165년 8월 로쿠조 천황이 이어 이 연호를 사용하였고 1166년에 새로 개원하였다.
  • 에이밍 : aiming 골프나 양궁 따위에서, 조준점을 맞추어 겨냥하는 일.
  • 여야만 : 앞 절의 일이 뒤 절 일의 필수적인 조건임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어미 n‘-여야’에 보조사 ‘만’이 결합한 말이다.
  • 여울목 : 여울물이 턱진 곳.
  • 여울물 : 여울을 흐르는 물.
  • 여유미 : 餘裕美 사물이나 작품 따위가 넉넉하고 남음이 있는 데서 느끼는 아름다움.
  • 여인목 : 旅人木 파초과의 상록 교목. 높이는 10~25미터이며, 잎은 길이 3~4미터의 파초 잎 모양이다. 흰 꽃이 피고 잎집에 구멍을 내면 괴었던 물이 나온다. 마다가스카르섬 특산종이다.
  • 역용마 : 役用馬 마차나 수레 따위를 끄는 말.
  • 역우물 : 逆우물 기계 따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파 놓은 주입정(注入井).
  • 역이민 : 逆移民 다른 나라로 이민을 갔다가 본래의 나라로 다시 이민 오는 일.
  • 역인물 : 役人物 배우가 연극이나 영화에서 맡아서 만들어 내는, 작품 속의 인물.
  • 연알못 : 戀알못 ‘연애를 알지 못하다’라는 뜻으로, 연애에 대한 지식이 없거나 연애를 못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 연애물 : 戀愛物 남녀 사이의 사랑을 주제로 하는 소설이나 영화 따위의 작품.
  • 연어목 : 鰱魚目 척추동물문 조기강의 한 목. 크기는 15cm에서 2미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바다에서 살다가 귀소 본능에 의해 민물에서 알을 낳는다.
  • 연예면 : 演藝面 신문에서 연예계와 관계된 기사를 싣는 지면.
  • 연은문 : 延恩門 조선 시대에, 중국에서 오는 사신을 맞아들이던 문. 중종 31년(1536)에 모화관 남쪽 홍살문 자리에 세운 영조문을 중종 34년(1539)에 영은문으로 고쳤는데, 이에 따라 이름을 고친 것이다. 고종 33년(1896)에 중화사상의 상징이라는 비판을 받아 헐렸다. 이후 독립 협회의 주도로 성금이 모금되어 그 자리에 독립문이 세워졌다. 현재 두 개의 주춧돌이 두 단의 사각형 받침돌 위에 기둥처럼 길게 남아 있다.
  • 열아문 : 열이 조금 넘는 수. 또는 그런 수의. ⇒규범 표기는 ‘여남은’이다.
  • 염옥맹 : 鹽屋虻 파리맷과의 곤충. 벌과 비슷한데 몸의 길이는 2.5~2.8cm이며 몸빛은 검은색이고 가슴의 등 쪽 가운데에는 갈색 세로줄이 두 개 있다. 다른 곤충을 잡아먹고 사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영양막 : 營養膜 포유류 발생에서 포배의 포배강과 내부 세포덩이를 에워싸는 한층의 세포로 구성된 막.
  • 영양물 : 營養物 영양소가 많이 들어 있는 음식물.
  • 영어명 : 英語名 영어로 된 이름.
  • 영업망 : 營業網 영업을 하기 위한 조직망.
  • 영은문 : 迎恩門 조선 시대에, 중국에서 오는 사신을 맞아들이던 문. 중종 31년(1536)에 모화관 남쪽 홍살문 자리에 세운 영조문을 중종 34년(1539)에 이 이름으로 고쳤는데, 고종 33년(1896)에 중화사상의 상징이라는 비판을 받아 헐렸다. 이후 독립 협회의 주도로 성금이 모금되어 그 자리에 독립문이 세워졌다. 현재 두 개의 주춧돌이 두 단의 사각형 받침돌 위에 기둥처럼 길게 남아 있다.
  • 영일만 : 迎日灣 경상북도 동해안 남부와 영일 반도 사이에 있는 만. 포항시를 안고 있으며 포항 제철 공업 지대가 있다.
  • 오야마 : oyama[女形] 일본 전통극 가부키에서 여성 역을 연기하는 남성 배우. 풍기 문란이라는 이유로 여자가 무대에 오르는 것이 법령으로 금지되면서 남성이 여성 역할을 맡게 되었다. 이들의 연기는 실제 여성이 아니라 이상화된 여성의 모습을 지향한다고 평가된다.
  • 오양목 : ‘옥양목’의 방언
  • 오염모 : 汚染毛 오염된 양털.
  • 오염물 : 汚染物 오염된 물질이나 물건 따위.
  • 오엽매 : 五葉苺 포도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푸른 자주색의 줄기는 모가 지고 다른 나무나 풀을 감으며 올라간다. 잎은 다섯 개의 작은 잎으로 된 겹잎이며, 7~8월에 누런 녹색 꽃이 산방상(繖房狀) 취산(聚繖) 화서로 핀다. 열매는 장과(漿果)로 까맣게 익으며 약재로 쓴다. 산이나 들에 나는데 한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오영문 : 五營門 조선 시대에, 오위(五衛)를 고쳐 둔 다섯 군영. 훈련도감, 총융청, 수어청, 어영청, 금위영을 이른다.
  • 오예물 : 汚穢物 지저분하고 더러운 물건.
  • 오이막 : 오이幕 오이를 심은 밭을 지키기 위하여 밭머리에 지은 막.
  • 오이미 : ‘워워’의 방언
  • 오인무 : 五人舞 다섯 사람이 출연하는 무용 형태. 주인공을 축으로 인물 배치에서 균형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 오일막 : oil膜 금속과 금속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이나,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 표면에 입히는 얇은 오일 코팅.
  • 옥양목 : 玉洋木 생목보다 발이 고운 무명. 빛이 희고 얇다.
  • 옥영목 : 옥영木 ‘옥양목’의 방언
  • 온의미 : 온意味 대화 참여자들이 담화 의미를 이해한 정도에 따라 구분된 의미 유형의 하나로서 발화된 메시지가 의도하는 내용을 청자가 온전히 이해한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좀 더운 것 같다’는 발화가 지닌 ‘창문을 열어달라’는 화자의 의도를 청자가 이해하였을 경우에 청자는 발화를 온의미로 받아들였다고 할 수 있다.
  • 왕양명 : 王陽明 중국 명나라의 유학자(1472~1528?). 이름은 수인(守仁). 자는 백안(伯安). 양명은 호. 양명학의 주창자이다. 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과 심즉이설(心卽理說) 및 치양지설(致良知說)을 주장하였다. 저서에 ≪왕문성전서(王文成全書)≫, ≪전습록≫이 있다.
  • 왕이문 : 王以文 중국의 의사(1625~1699).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 있던 봉림 대군이 1645년에 돌아올 때 귀화한 아홉 명의 의사 가운데 한 사람으로, 제남 왕씨의 시조가 되었다. 경기도 가평군 하면 대보리에 있는 조종암 대통묘(朝宗巖大統廟)에 배향되었다.
  • 왜요미 : 倭料米 조선 시대에, 왜관에 머무르던 왜인들의 생활을 지원하기 위하여 해마다 거두어들이던 쌀.
  • 외아문 : 1 外衙門 구한말에, 외교 사무를 맡아보던 관아. 2 外衙門 구한말에, 외교와 통상 사무를 맡아보던 관아.
  • 외양미 : 外樣美 겉모양의 아름다움.
  • 외왕모 : 外王母 어머니의 친정어머니를 이르는 말.
  • 외용문 : 外用門 밖으로 드나드는 문.
  • 왹양목 : 왹양木 ‘옥양목’의 방언
  • 요약문 : 要約文 말이나 글의 요점을 잡아서 간추린 내용을 적은 글.
  • 용왕문 : 龍王門 제주 영등굿놀이에서, 용왕과 영등신이 찾아온다고 하는 문. 푸른 잎이 붙은 1미터가량의 댓가지 8개를 한 줄로 꽂아 흰 종이, 지전(紙錢), 돈 따위를 걸어 놓는다.
  • 용융물 : 鎔融物 광석과 부원료, 연료가 녹아 있는 물질.
  • 우아미 : 優雅美 미적 범주의 하나. 자연을 바라보는 ‘나’가 자연의 조화라는 가치에 순응하는 태도를 보임으로써 미의식이 나타난다.
  • 우에말 : ‘윗마을’의 방언
  • 우엣말 : ‘윗마을’의 방언
  • 우엣물 : ‘윗물’의 방언
  • 우연만 : ‘우연만하다’의 어근.
  • 우육면 : 牛肉麵 중국 면류(麵類) 음식의 하나. 삶은 국수에 쇠고기 국물을 넣고 그 위에 각종 채소를 볶아 쇠고기와 함께 고명을 올려 낸다.
  • 우윤문 : 虞允文 중국 송나라 때의 무장(?~?). 당시 중서사인(中書舍人)의 관직으로 재상 엽의문(葉義問)을 대신하여 채석에 나아가 군사들을 위로하였는데 이때 쳐들어 온 금나라 군대를 물리쳤다. 후에 재상이 되었다.
  • 우잇말 : ‘윗마을’의 방언
  • 운예망 : 雲霓望 가뭄 때 구름과 무지개를 바란다는 뜻으로, 간절하게 바람을 이르는 말.
  • 웃음매 : 웃는 모습이나 모양새.
  • 웃음문 : 웃음門 웃을 때에 떼는 입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웃잇몸 : 위쪽의 잇몸. ⇒규범 표기는 ‘윗잇몸’이다.
  • 워어미 : ‘워워’의 방언
  • 원앙무 : 鴛鴦舞 두 사람이 원앙처럼 다정한 율동으로 추는 춤.
  • 원앙문 : 鴛鴦紋 원앙의 특징을 살려 본뜬 무늬. 암수의 애정이 좋기로 유명한 원앙은 귀한 자손을 얻고 백년화목을 기원하는 의미가 있으며, 직물이나 자수, 장신구 따위에 널리 사용되었다.
  • 원약명 : 原藥名 제제로 만들어지기 이전 상태인 의약품에 붙이는 이름. 예를 들어 클로르디아제폭시드, 피라비탈 등이 있는데, 원약을 가공하여 만든 제제에 제형명과 함께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
2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1,774 개의 단어) 🐳
  • 아아 : 감격하거나 탄식할 때 내는 소리.
  • 아악 雅樂 : 삼부악의 하나. 예전에 우리나라에서 의식 따위에 정식으로 쓰던 음악으로, 고려 예종 때 중국 송나라에서 들여왔던 것을 조선 세종이 박연에게 명하여 새로 완성시켰다.
  • 아안 鵝眼 : 중국 남조 송나라 때 주조한, 구멍이 있는 쇠돈.
  • 아알 鴉軋 : 물건을 서로 비빌 때 나는 소리.
  • 아압 鵝鴨 : 거위와 오리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아애 我愛 : 네 가지 번뇌 가운데 하나. ‘나’에게 애착하는 번뇌를 이른다.
  • 아야 : 갑자기 아픔을 느낄 때 나오는 소리.
  • 아약 兒弱 : 아직 덜 자란 아이. 열네 살 이하를 이른다.
  • 아얌 : 겨울에 부녀자가 나들이할 때 춥지 않도록 머리에 쓰는 쓰개. 위는 터져 있어 이마만 두르게 되어 있고 뒤에는 아얌드림을 늘어뜨린다.
(총 856 개의 단어) 🦚
  • 아마 : 단정할 수는 없지만 미루어 짐작하거나 생각하여 볼 때 그럴 가능성이 크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 개연성이 높을 때 쓰는 말이나, ‘틀림없이’보다는 확신의 정도가 낮은 말이다.
  • 아막 阿幕 : 고려ㆍ조선 시대에, 궁궐의 숙위나 임금의 시종을 맡아보던 벼슬아치.
  • 아만 我慢 : 사만(四慢)의 하나. 스스로를 높여서 잘난 체하고, 남을 업신여기는 마음이다.
  • 아말 Amal : 1975년에 결성된 레바논 시아파의 정치 군사 조직. 한때 시아파의 대표적인 무장 정치 조직이었으나, 현재는 그 규모가 예전에 비해 크게 줄었다.
  • 아망 : 아이들이 부리는 오기.
  • 아매 : ‘할머니’의 방언
  • 아먼 : ‘아무렴’의 방언
  • 아멘 Amen : 고대 이집트에서 신(神)들의 왕으로 숭배된 신. 원래 테베 지방의 신이었으나 이집트가 통일이 된 후에 파라오의 수호신으로 숭배되었으며, 특히 태양신인 라(Ra)와 동일시되어 아멘라로 불리었다. 머리에 한 쌍의 깃털 장식을 쓰고 턱수염이 긴 인간의 모습으로 표현된다.
  • 아멩 : ‘아명’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uee88멩’으로도 적는다.
(총 161 개의 단어) 🎊
  • : 한글 자모 ‘ㅏ’의 이름.
  • : 있는 힘을 다하여 모질게 마구 쓰는 기운.
  • : ‘아우’의 방언
  • : 어떤 물체나 공간의 둘러싸인 가에서 가운데로 향한 쪽. 또는 그런 곳이나 부분.
  • : ‘안’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안’으로 나타난다.
  • : 조류, 파충류, 어류, 곤충 따위의 암컷이 낳는, 둥근 모양의 물질.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새끼나 애벌레로 부화한다.
  • : 아는 일.
  • : ‘앞’의 옛말.
  • : ‘알’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알’로 나타난다.
(총 99 개의 단어) 🌷
  • : 뱃사람의 말로, ‘남쪽’을 이르는 말.
  • : 바로 지금.
  • : ‘앞말이 가리키는 동안이나 거리’를 나타내는 말.
  • : ‘맏이’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표현하고 전달하는 데 쓰는 음성 기호. 곧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목구멍을 통하여 조직적으로 나타내는 소리를 가리킨다.
  • : 불행한 일의 마지막
  • : ‘말뚝’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말’로 나타난다.
  • : ‘마음’의 준말.
  • : 음식 따위를 혀에 댈 때에 느끼는 감각.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