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281개

  • 아악보 : 雅樂譜 아악의 곡을 적은 악보. 또는 그런 책.
  • 아애비 : 1 ‘아비’의 방언 2 ‘아이아버지’의 방언
  • 아연백 : 亞鉛白 아연의 산화물. 육방 정계의 흰색 가루로, 물에는 거의 녹지 않으나 알칼리나 묽은산에는 잘 녹고, 300℃로 가열하면 누런색으로 변하고, 냉각하면 흰색으로 변한다. 천연으로는 홍아연석의 주성분으로 산출되고, 인공적으로는 탄산 아연이나 질산 아연을 가열하여 만든다. 흰색 안료, 화장품, 의약품 따위로 쓴다. 화학식은 ZnO.
  • 아이방 : 아이房 아이가 거주하는 방.
  • 아이비 : 1 Ivy 미국 동북부에 있는 여덟 개의 명문 대학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예일, 코넬, 컬럼비아, 다트머스, 하버드, 브라운, 프린스턴, 펜실베이니아 대학이다. 2 ivy 포도과의 낙엽 활엽 덩굴나무. 줄기에 덩굴손이 있어 담이나 나무에 달라붙어 올라가며 심장 모양의 잎은 끝이 세 쪽으로 갈라지고 톱니가 있다. 6~7월에 황록색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취산(聚繖) 화서로 피고 열매는 장과(漿果)로 가을에 자주색으로 익는다. 흔히 담장이나 벽 밑에 심는데 한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3 IB 증권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은행. ... (총 5개의 의미)
  • 악인복 : 樂人服 조선 시대에 음악을 관장하던 관청에서 각종 의식 때 음악 담당자들이 입던 옷. 주로 악사(樂師), 악생(樂生), 악공(樂工) 등이 입던 복식이다.
  • 안양반 : 안兩班 집안의 여자 주인을 높이거나 스스럼없이 이르는 말.
  • 안와부 : 眼窩部 얼굴에서 눈 주위에 해당하는 부분. 눈구멍의 모서리로 경계가 되는 피부의 부분이다.
  • 안용복 : 安龍福 조선 숙종 때의 어민(漁民)(?~?). 일본 어민들이 울릉도를 자주 침범하자 일본에 가서 우리 영토 침범을 항의하였다.
  • 안원보 : 安原堡 조선 시대에, 육진에 속한 29개의 진보 가운데 하나. 세종 때 둔 북방의 주요 방어지로, 경원진 남쪽 28리에 위치한다.
  • 안원부 : 安遠府 발해 시대에, 지방 행정 구역인 십오부의 하나. 월희 말갈(越喜靺鞨)의 옛 땅에 설치하였다. 부 아래 영주ㆍ미주ㆍ모주ㆍ상주를 두어 다스렸다.
  • 안이비 : 眼耳鼻 눈과 귀와 코를 통틀어 이르는 말.
  • 앉으뱅 : ‘앉은뱅이’의 방언
  • 앉은반 : 앉아서 하는 국악 연주의 방식. 주로 사물놀이와 같이 실내에서 공연할 때 쓰인다.
  • 앉을배 : ‘앉은뱅이’의 방언
  • 앉음배 : ‘앉은뱅이’의 방언
  • 앉이뱅 : ‘앉은뱅이’의 방언
  • 알양반 : 알兩班 ‘양반’의 방언
  • 알양복 : 알洋服 아무것도 덧입지 않고 입은 양복.
  • 암양반 : 암兩班 양반 세력에 기대어 양반 행세를 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암영부 : 暗影部 태양 흑점 중심의 검은 부분.
  • 암유법 : 暗喩法 어떤 사물을 다른 사물로 비유하여 표현할 경우, 직유적인 표현을 쓰지 않고 대상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표현 방법.
  • 암인법 : 暗引法 남의 말을 인용하여 활용하는 수사법. 명인법과 달리, 인용한 부분을 따옴표로 묶지 않고 지문에 섞어서 문맥에 맞도록 변형시키는 방법이다.
  • 압연법 : 壓延法 회전하는 압연기의 롤 사이에 가열한 쇠붙이를 넣어 막대기 모양이나 판 모양으로 만드는 방법.
  • 압운법 : 押韻法 한시(漢詩)를 지을 때 일정한 자리에 운자를 넣는 방법. 보통 각운을 한다.
  • 압입법 : 壓入法 나무 세포에 크레오소트와 염화 아연 따위의 방부제를 주입하는 처리법.
  • 애아범 : 1 ‘아이아범’의 준말. 2 ‘아이아범’의 준말. 3 ‘아이아범’의 준말.
  • 애아비 : 1 ‘아이아비’의 준말. 2 ‘아이아비’의 준말.
  • 애염법 : 愛染法 밀교에서, 식재(息災)ㆍ연명(延命) 따위를 애염명왕에게 비는 수법.
  • 액염법 : 液鹽法 염지액을 만들어 그 속에 원료육을 담가 염지하는 방법.
  • 액와부 : 腋窩部 팔이 어깨에 연결되는 관절 밑의 몸 부분으로, 겨드랑이의 오목한 부분과 이것을 둘러싸는 가슴의 부위.
  • 앤아버 : Ann Arbor 미국 미시간주 동남부에 있는 도시. 항공ㆍ우주ㆍ핵ㆍ화학ㆍ야금학 연구의 중심지이며, 정밀 기계 제조 따위의 공업이 활발하다. 미시간 대학이 있다.
  • 야외복 : 野外服 야외 활동을 할 때에 입는, 활동성을 강조한 옷.
  • 야유법 : 揶揄法 ‘반의법’의 북한어.
  • 야율배 : 耶律倍 중국 요나라 태조인 야율아보기의 장남ㆍ동단국의 왕(899~937). 요 세종에 의해 의종 문헌 흠의 황제(文獻欽義皇帝)로 추숭되었다.
  • 약염법 : 弱鹽法 소금을 약간 뿌려서 조금 절이는 법. ‘얼간법’으로 다듬음.
  • 약원병 : 藥原病 어떤 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한 약물의 독성으로 인하여 생긴 새로운 질병.
  • 양아비 : 養아비 ‘양아버지’의 낮춤말.
  • 양약방 : 洋藥房 양약을 조제하거나 파는 곳.
  • 양위분 : 兩位분 부모나 부모처럼 섬기는 사람의 내외분.
  • 양육법 : 養育法 양육하는 방법.
  • 양육비 : 養育費 양육하는 데 드는 비용.
  • 어업법 : 漁業法 1908년 11월에 제정된, 어업권 허가에 관한 법률. 이로 인해 일본 어업 자본의 한국 침투는 쉬워진 반면, 한국 어민의 권익은 무시되었다.
  • 어엿비 : ‘불쌍히’의 옛말.
  • 어욱밧 : ‘억새밭’의 방언
  • 어유봉 : 魚有鳳 조선 영조 때의 학자ㆍ문신(1672~1744). 자는 순서(舜瑞). 호는 기원(杞園). 인성(人性)과 물성은 동일하게 오행을 갖추었다는 설을 주장하였다. 저서에 ≪기원집≫, ≪경설어록(經說語錄)≫ 따위가 있다.
  • 어유분 : 魚油粉 물고기에서 짜낸 기름과, 비료ㆍ사료 따위에 쓸 목적으로 생선을 찐 다음 말려서 만든 가루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어은보 : 漁隱譜 조선 숙종ㆍ영조 때 거문고 명인 어은 김성기의 가락을 엮은 거문고 합자보. 뒤에 제자들이 엮은 것으로 보인다. 1권의 사본.
  • 어음법 : 어음法 어음 거래에 관한 사법 법규를 통틀어 이르는 말.
  • 억양법 : 1 抑揚法 우선 누르고 후에 올리거나, 우선 올리고 후에 누르는 방식으로 문세(文勢)에 기복을 두어 효과를 노리는 수사법. 예를 들면 ‘그는 모자라지만 착실한 사람이야.’ 따위가 있다. 2 抑揚法 억양의 세기를 중심으로 하는 작시법. 시행마다 일정 수의 강세 음절을 포함시켜야 한다. 음절의 길이를 중시하는 양적인 작시법과 대비된다.
  • 억울병 : 抑鬱病 기분이 우울하고 피로감과 불안을 느끼는 정신병.
  • 언어법 : 1 言語法 표준어 및 수화의 사용 등 말에 관련된 법. 2 言語法 말을 사용하는 방법이나 체계.
  • 언어별 : 言語別 언어의 종류에 따라 구별함. 또는 그렇게 나눈 갈래.
  • 얼에빗 : ‘얼레빗’의 옛말.
  • 얼음방 : 얼음房 주로 찜질방에서 얼음을 넣어 시원하게 만든 방.
  • 얼음배 : ‘썰매’의 방언
  • 얼음벌 : ‘빙원’의 북한어.
  • 얼음벽 : 1 얼음壁 빙산의 벽. 2 얼음壁 얼음이나 눈에 덮인 낭떠러지.
  • 얼음비 : 빗방울이 얼거나 눈이 거의 녹았다가 얼어 내리는 비.
  • 얼음빛 : 얼음의 빛깔과 같이 파랗고 반투명한 빛.
  • 에어백 : air bag 자동차가 충돌할 때에, 순간적으로 탑승자 주위에서 공기 주머니가 부풀어 나와 충격을 완화하는 보호 장치.
  • 에이비 : AB 야구에서, 실제로 타석에 들어간 횟수에서, 사구(四球)ㆍ사구(死球)ㆍ희생타 및 타격 방해에 의한 출루의 횟수를 뺀 수.
  • 에이빔 : abeam 빔에서, 배 용골의 중앙선에 대한 오른쪽 각에서 상대적인 방위각.
  • 엔엔비 : NNB 정보 통신 기술의 시간적, 공간적 접근의 편리성을 활용한 비즈니스. 새로운 미디어를 사용한 홍보, 마케팅, 서비스의 혁신을 가능하게 한다.
  • 엘오비 : LOB 야구에서, 공격이 끝나고 수비로 바뀔 때 누상에 주자가 남아 있는 일.
  • 엘유법 : LU法 설비 예비력과 그 계통에서 가장 큰 발전기의 용량과 비교하여, 설비 예비력을 최대 단위기의 용량보다 크게 만드는 방법. 이를 위해 필요한 예비율은 일정 예비율값에 연 최대 부하에 대한 최대 설비 용량의 비율을 더한 값이 된다.
  • 엘유비 : LUB 슈퍼바이저 상주 영역에 있으며, 논리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보관되어 있는 영역. 작업으로 장치 할당이 이루어지면 이 장치에 대응하는 논리 장치 제어 블록에 물리 장치 제어 블록의 포인터, 작업 정보 제어 블록의 포인터가 세팅된다.
  • 엠에베 : MEV 1966년 이탈리아 로마에서 결성된 라이브 전자 음악 그룹. 제프스키, 큐란(Curran, A.), 테이텔바움(Teitelbaum, R.) 등이 멤버이다.
  • 여아복 : 女兒服 여자아이가 입는 옷.
  • 여압복 : 與壓服 대류권 위나 대기권 밖의 우주를 비행할 때 입는 특수한 옷. 몸을 둘러싼 공간을 일정한 기압으로 유지하여 비행사를 보호한다.
  • 여야별 : 與野別 여당과 야당에 따라 구별함. 또는 그렇게 나눈 갈래.
  • 여왕벌 : 女王벌 알을 낳는 능력이 있는 암벌. 몸이 크며 벌 사회의 우두머리이다. 꿀벌에서는 한 떼에 한 마리만 있다.
  • 여왕봉 : 女王蜂 알을 낳는 능력이 있는 암벌. 몸이 크며 벌 사회의 우두머리이다. 꿀벌에서는 한 떼에 한 마리만 있다.
  • 여우볕 : 비나 눈이 오는 날 잠깐 났다가 숨어 버리는 볕.
  • 여우불 : 1 밤에 무덤이나 축축한 땅 또는 고목이나 낡고 오래된 집에서 인 따위의 작용으로 저절로 번쩍이는 푸른빛의 불꽃. ⇒규범 표기는 ‘도깨비불’이다. 2 까닭 없이 저절로 일어나는 불. ⇒규범 표기는 ‘도깨비불’이다.
  • 여우비 : 볕이 나 있는 날 잠깐 오다가 그치는 비.
  • 여유분 : 餘裕分 넉넉하게 남도록 마련해 둔 분량.
  • 여의봉 : 如意棒 자기 뜻대로 늘어나게도 오므라들게도 하여 마음대로 쓸 수 있다는 몽둥이.
  • 역안법 : 力按法 거문고에서는 줄을 밀어 짚고, 해금에서는 줄을 당기어 짚는 연주법.
  • 역어법 : 逆語法 문장의 뜻을 강조하기 위하여 표면에 나타난 의미와 원래의 의미가 정반대가 되도록 본래의 뜻에 반대되는 말을 사용하는 수사법.
  • 역온법 : 逆溫法 누에알을 처음에는 높은 온도에 두었다가 나중에는 계속 낮은 온도에 두어서 깨우는 방법. ‘거꿀온도법’으로 다듬음.
  • 역일변 : 逆日邊 증권 거래에서, 사는 쪽보다 파는 쪽의 주식이 적을 때 증권 거래소나 대행 기관에게 파는 쪽을 대신하여서 부족한 주식을 인도하게 하고 지급하는 금리.
  • 역일보 : 逆日步 증권 거래에서, 사는 쪽보다 파는 쪽의 주식이 적을 때 증권 거래소나 대행 기관에게 파는 쪽을 대신하여서 부족한 주식을 인도하게 하고 지급하는 금리.
  • 연안빙 : 沿岸氷 바람, 조류, 해류, 얼음의 압력 따위로 해안에 밀린 해빙(海氷).
  • 연애벵 : 戀愛벵 ‘연애병’의 방언
  • 연애병 : 戀愛病 짝사랑하거나 이룰 수 없는 사랑 때문에 상대를 몹시 그리워하는 데서 생기는 마음의 병.
  • 연약밥 : 軟藥밥 보들보들하고 맛이 좋은 약밥.
  • 연어반 : 鰱魚斑 보통 눈꺼풀, 두 눈 사이나 이마에서 나타나는 연어 살색의 불꽃 모양 모반. 신생아의 40%에게서 나타나고 보통 출생 후 1년이면 없어지는 영아기의 가장 흔한 혈관계 병변이다.
  • 연어변 : 連語邊 연어 관계에 놓인 두 요소 중, 다른 단어에 종속되는 단어. 예를 들어 동사 ‘악물다’는 ‘이’를 예측할 수 있게 하므로, ‘이’가 연어변이다.
  • 연역법 : 演繹法 연역에 따른 추리의 방법. 일반적 사실이나 원리를 전제로 하여 개별적인 특수한 사실이나 원리를 결론으로 이끌어 내는 추리 방법을 이른다. 경험에 의하지 않고 논리상 필연적인 결론을 내게 하는 것으로, 삼단 논법이 그 대표적인 형식이다. 이를테면 ‘모든 사람은 잘못을 저지르는 수가 있다. 모든 지도자도 사람이다. 그러므로 지도자도 잘못을 저지르는 수가 있다.’ 하는 따위이다.
  • 연엽반 : 蓮葉盤 반면(盤面)의 가장자리가 연꽃 모양으로 된 소반. 보통 일인용 주안상으로 쓴다.
  • 연예병 : 演藝兵 예전에, 연극ㆍ음악ㆍ오락 따위로 부대를 위문하는 임무를 맡은 병사를 이르던 말.
  • 연옥빛 : 軟玉빛 연한 옥빛.
  • 연운법 : 煙雲法 산수화에서 구름과 연기, 안개 따위를 그리는 기법. 중국의 북방 산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심산유곡을 그릴 때 당과 북송대 작가들이 많이 사용하였으며, 남송 이후에는 양자강을 중심으로 한 남방 산수의 안개, 구름 따위를 그릴 때 많이 사용하였다.
  • 연음부 : 1 連音符 악보에서, 같은 음표 몇 개를 연결하여 본래의 박자 수보다 길거나 짧게 연주하는 음표. 둘잇단음표, 셋잇단음표, 넷잇단음표, 다섯잇단음표, 여섯잇단음표, 일곱잇단음표 따위가 있다. 2 軟音符 러시아어에서, 앞 자음이 연자음임을 나타내는 부호.
  • 연잎밥 : 蓮잎밥 찹쌀, 흑미, 밤, 대추, 잣, 호박씨 따위를 연잎에 말아 쪄 낸 밥. 밥에 연잎의 은은한 향이 베어 영양과 풍미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 열안보 : 悅眼步 눈을 즐겁게 하는 태도.
  • 염입본 : 閻立本 중국 당나라의 화가(?~673). 궁정의 의복 제작과 장식에도 참여하였다. 작품에 <진왕부십팔학사도(秦王府十八學士圖)>, <능운각공신이십사인도(凌雲閣功臣二十四人圖)> 따위가 있다.
  • 영아반 : 嬰兒班 어린이집 따위에서, 젖먹이들을 모아 만든 반. 주로 0세에서 2세까지의 어린아이를 대상으로 한다.
  • 영양밥 : 營養밥 밥, 은행, 대추, 인삼, 잡곡 따위의 몸에 좋은 재료들을 넣어 지은 밥.
2 3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1,774 개의 단어) 🐈
  • 아아 : 감격하거나 탄식할 때 내는 소리.
  • 아악 雅樂 : 삼부악의 하나. 예전에 우리나라에서 의식 따위에 정식으로 쓰던 음악으로, 고려 예종 때 중국 송나라에서 들여왔던 것을 조선 세종이 박연에게 명하여 새로 완성시켰다.
  • 아안 鵝眼 : 중국 남조 송나라 때 주조한, 구멍이 있는 쇠돈.
  • 아알 鴉軋 : 물건을 서로 비빌 때 나는 소리.
  • 아압 鵝鴨 : 거위와 오리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아애 我愛 : 네 가지 번뇌 가운데 하나. ‘나’에게 애착하는 번뇌를 이른다.
  • 아야 : 갑자기 아픔을 느낄 때 나오는 소리.
  • 아약 兒弱 : 아직 덜 자란 아이. 열네 살 이하를 이른다.
  • 아얌 : 겨울에 부녀자가 나들이할 때 춥지 않도록 머리에 쓰는 쓰개. 위는 터져 있어 이마만 두르게 되어 있고 뒤에는 아얌드림을 늘어뜨린다.
(총 952 개의 단어) 🌈
  • 아바 : ‘아버지’의 방언
  • 아박 牙拍 : 우리나라 타악기의 하나. 상아나 고래 뼈, 소뼈, 사슴 뼈 따위로 만든 작은 박으로 고려 시대부터 쓰였다. 아박무를 출 때에 두 손아귀에 넣고 박자를 맞추며 친다.
  • 아반 : ‘아버지’의 방언
  • 아발 aval : 보증인이 유통 증권 자체를 보증하여 채무에 대한 성실한 이행을 약속하는 취소 불능의 무조건적인 보증.
  • 아밤 : ‘아범’의 방언
  • 아방 : ‘아욱’의 방언
  • 아배 : ‘아버지’의 방언
  • 아뱀 : ‘아버지’의 방언
  • 아범 : ‘아비’를 조금 대접하여 이르는 말.
(총 161 개의 단어) 💗
  • : 한글 자모 ‘ㅏ’의 이름.
  • : 있는 힘을 다하여 모질게 마구 쓰는 기운.
  • : ‘아우’의 방언
  • : 어떤 물체나 공간의 둘러싸인 가에서 가운데로 향한 쪽. 또는 그런 곳이나 부분.
  • : ‘안’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안’으로 나타난다.
  • : 조류, 파충류, 어류, 곤충 따위의 암컷이 낳는, 둥근 모양의 물질.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새끼나 애벌레로 부화한다.
  • : 아는 일.
  • : ‘앞’의 옛말.
  • : ‘알’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알’로 나타난다.
(총 112 개의 단어) 🎄
  • : 삼이나 칡 따위로 세 가닥을 지어 굵다랗게 드린 줄.
  • : 물이 새지 아니하도록 하려고, 배에 댄 널빤지에 난 틈을 메우는 물건.
  • : 어떤 선이나 금을 넘어선 쪽.
  • : 얇게 펴서 다듬어 만든 조각.
  • : 사람이나 동물의 다리 맨 끝부분.
  • : 해가 져서 어두워진 때부터 다음 날 해가 떠서 밝아지기 전까지의 동안.
  • : 쌀, 보리 따위의 곡식을 씻어서 솥 따위의 용기에 넣고 물을 알맞게 부어, 낟알이 풀어지지 않고 물기가 잦아들게 끓여 익힌 음식.
  • baht : 타이의 화폐 단위. 1밧은 1사땅의 100배이다. 기호는 B.
  • : 윷판의 한가운데에 있는 밭.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